-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간선버스(서울)
서울특별시 7권역 간선버스 | |||||||
700 | 701† | 702 | 703 | 704 | 705 | 706 | 707 |
710† | 720 | 721 | 740 | 750§ | 751 | 752 | 753 |
760 | 771 | ||||||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
현재는 대차된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20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2동 촬영소사거리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5:10 |
막차 | 23:1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8~11분 | 주말배차 | 토요일 9~12분/일.공휴일 9~14분 | ||
운수사명 | 제일여객 | 인가대수 | 32대(예비 1대) | ||
노선 | 진관공영차고지 - 구파발역 - 진관동주민센터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 세종대로네거리 - 종로1~6가 - 동대문역 - 동묘앞역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청량리역 - 서울시립대학교입구 - 서울동부교육지원청 - 답십리네거리 → 동대문구체육관 → 촬영소사거리 → 동답초교 → 답십리2동주민센터(장안시장) → 자동차부품상가 → 답십리초교 → 답십리네거리 → 촬영소사거리 → 이후 역순 |
2 개요
제일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1.9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 체계 개편 때 154번 도시형버스(기자촌차고지 - 옥수동)과 157번 도시형버스(삼송동 - 답십리)이 합쳐졌고, 번호도 720번이 되었다.
- 2004년 8월 5일에 답십리4동에서 전농동까지 연장되었다.
- 은평뉴타운 개발로 인해 2009년 11월 14일에 기점을 기자촌차고지에서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했으며, 이 과정에서 은평뉴타운2지구 경유 진관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또한 진관2로가 완공될 때까지 진관1로로 우회해서 다녔다. 관련 공지사항
- 9711B번 폐선의 영향으로, 2016년 4월 28일에 1대가 증차되어 평일 운행 횟수가 3회(149회 → 152회) 증가하였다.
4 특징
- 7권역 간선노선 대당 이용객수 1위 노선이다.[1]
- 이전에 한 번 답십리를 갈때 성바오로병원을 경유하던 것을 청량리역 경유로 변경, 그리고 답십리 구간도 개편 전 답십리종점이라 불리는 답십리초교(답십리성당) 회차에서 개편 후 전농동사거리, 답십리 종합상가 루프로 바로 청량리 굴다리로 변경하다가 지금 회차 코스인 촬영소사거리, 장안시장, 부속상가 루프로 답십리초교(답십리성당) 루프로 변경한 것 외에는 개편 초 노선을 유지 중에 있다.
- 형제 노선으로는 7211번(구 154-1)이 있다.
신설동으로 갈 땐 720번을 타는 것보다 7211번을 타고 가는 것이 빠르다. 안습이라고 하고 가끔은 7211번이 헬파티거나 차가 뻗으면 걍 720번이나 전철을 믿자.
- 팁으로 청량리역의 경우 답십리 방향은 환승센터 이후 다음 정류장이 경기도 면허 시내버스들만 정차하는 정류장이 따로 있어서[2] 도심에서 구리시, 남양주시로 갈 때는 이 노선을 이용하여 해당 정류장(정류장명은 청량리역지만 정확한 이름은 청량리미주상가)에 하차한 후 환승하면 된다.
- 구파발역에서 기자촌, 은평경찰서로 들어가기 때문에 구파발역에서 통일로 쪽으로 곧바로 나가고 싶다면 이 노선은 무조건 피해야 한다. 깔끔하게 지하철, 471번, 704번, 705번, 99번, 100번 등을 타고 나가자. 탔더라도 연서시장 쪽에서 차가 많이 밀린다.
- 이 노선에 투입된 차량 2대가 타요로 랩핑되었다.
- 2016년 4월 28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9711B번 폐선에 따라 제일여객의 유니버스 1대(74사 6374호)가 N37번으로 가고, N37번에 있던 저상버스(75사 1253호)가 720번으로 넘어왔다.[3]
- 전 차량이 저상으로 된 최장거리 노선이나 전 차량이 고상으로 된 유일하게 7권역에서 양주 가는 노선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저상/고상이 둘 다 들어가는 제일여객의 간선노선[7]이다. 하지만 과거에는 전부 고상차였는데 구형차를 대차하면서 갑자기 이 노선에 저상이 많아지고, 고상이 아무리 많아봤자 저상 : 고상 비율은 거의 9 : 1 비율이다.
근데 이정도임에도 불구하고 손잡이가 개판이지... 706번 저상 중에 한대도 이러지가 않는데...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동대문역, 동묘앞역, 신설동역, 제기동역, 청량리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설동역
- 서울 지하철 3호선 :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 서울 지하철 4호선 : 동대문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서대문역, 광화문역, 종로3가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연신내역, 불광역, 동묘앞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 청량리역(ITX-새마을, 무궁화)
- ↑ 지선 노선 1위는 같은 회사의 7211번.
- ↑ 현재 이 정류장의 경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로는 720번을 빼면 아무도 정차하지 않는다.
- ↑ 급하게 차량을 옮긴 건지 N37번번의 흔적이 일부 남았다.(운전석의 주요 정류장 통과시각표, 돈통의 차량 번호 스티커 등)
- ↑ 어떤 정도냐면 웬만해서 나오는 손잡이 높이가 다른 건 기본이요, 손잡이 색이 아예 원모델과 다르다. 대표적으로 어떤 저상 차량은 파-빨-초-노-파-빨 규칙이던게 파-파-빨-노-노-노 가 되어있고 파-빨-초-노-파 가 파-초-노-노-파 가 되어있다...
다른 회사도 이정도 까진 아니겠지 - ↑ 가장 막장인 차량은 손잡이 색이 섞여있고 길이가 장난아니게 지그재그인 차도 있다.
- ↑ 물론 이런 괴상한 차량들은 과거에 1도 없었지만 대차하면서 어쩌다가 저상버스에만 생겼다.. 그나마 재미있는 것은 신성교통, 제일여객, 한국brt(송파 영업소, 도봉 영업소 제외) 3사 중에 이 노선만 손잡이가 테러다.
- ↑ 주간선업체인 한국BRT를 제외하고 신성제일 중 두 차종이 들어간다. 아예 고상, 아예 저상일 뿐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