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역

호남선과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 건설할 예정인 동명의 역에 대해서는 용두역(대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성수 방면
신 답

0.9 km
용 두
동대문구청 (211-3)

1.2 km
신설동 방면
신설동
용두(동대문구청)

다국어 표기
영어Yongdu
(Dongdaemun-gu Office)
한자龍頭(東大門區廳)
중국어龙头
일본어ヨンドゥ
역번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211-3
300px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지하 129
(舊 용두동 47-1)
서울 지하철
운영기관" />?width=100
2호선 개업일2005년 10월 20일

龍頭(東大門區廳)驛 / Yongdu(Dongdaemun-gu Office) Station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211-3번.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지하 129(舊 용두동 47-1번지) 소재.

2 역 정보

역명은 용두동에서 유래했는데, 용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용두동이라고 했다고 한다. 부역명은 동대문구청으로 동대문구청이 3번 출구 앞에 있다. 천호대로고산자로의 교점에 있으며, 2번 출구 북쪽에는 용신동주민센터가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역이며 또한 서울메트로 운행 구간 중에서 역과 역 중간에 역을 새로 만든 최초의 역이다(두번째는 동묘앞역).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바로찍고 바로타역에 해당된다. 1번과, 2번, 3번출구로 들어가면 신설동역 방향이 바로타이며 나머지 출구는 성수동 방향만 바로타다. 서로 반대로 이용한다면 승강장을 건너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원흥역과 비슷한 듯.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메트로 열차가 군자차량기지에 입출고할 때 이 역을 지나지만 승강장 등 문제로 정차하지 않는다. 그리고 신설동역에서 용두역을 거쳐 기지로 들어가는 지선 열차도 무정차 통과한다.

2005년에 역을 지은 관계로 역 내부가 굉장히 깔끔하며, 서울 지하철 1호선동묘앞역과 함께 내진 설계가 되어 있는 역 중 하나이다. 사실 이 역을 만들게 된 이유가 신답역에서 신설동역 사이의 거리가 너무 길었기 때문이다. 어지간한 2~3개 역의 거리와 맞먹을 정도였기 때문이었다.

이곳은 3기 지하철 계획에서 서울 지하철 10호선과 12호선이 만나는 곳에 있던 곳이다. 당시 동마장역을 신설할 예정이었다. 3기 지하철을 말아먹은 후 서울특별시에서 교통 불편을 해소하려 성수지선의 역을 건설했다. 12호선은 서울 경전철 동북선으로 부활되어 추진하고 있으며 용두역과 제기동역 사이에 동북선의 역을 건설하여 2개의 역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이 계획 중이다. (종로3가역서울 지하철 3호선 역사나 공덕역서울 지하철 6호선 역사를 떠올려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제기동역의 경우에는 사거리에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디에 역을 건설하든 막장환승이 되기 때문에 역을 하나만 세우면서 역간 거리를 줄이는 이러한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이지만 동북선이 언제 건설 될지는 모른다.

이 역에서 신답역으로 나가는 방향의 터널에 옆으로 갈라져 나가는 곳이 있는데, 이는 양택식 시장 시절 추진되었던 5호선의 계획과 연관이 있다. 참고

2.1 승강장

신설동
신답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신답·용답·성수 방면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신설동 방면

3 역 주변 정보

용두동 열대어상가를 찾아가려는데 용두동이라는 이름만 알고 용두역에서 내리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이 역이 아닌 제기동역을 찾아야 한다. 제기동역도 용두동과 걸쳐 있다.

이 역 남동동쪽에서 350m 떨어진 지점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교차하지만 환승거리가 길어 환승하지 않는다. 만약 환승된다면 막장환승의 반열에 오를지 모르겠다.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을 보면 알겠지만 중앙선 선로는 이 역과 신답역의 한가운데를 가로지르기 때문이다.

역 바로 남쪽으로는 성동구 마장동으로 갈 수 있으며 마장축산물시장은 마장역보다 용두역이 더 가깝다. 마장축산물시장을 직접 연계하는 노선은 110, 145, 148, 2015, 2222번 등이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2호선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1,688명1,874명1,949명1,962명2,048명2,151명2,208명2,222명2,228명2,262명
2015년
2,227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