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적인 의미
- 偉觀 : 훌륭하고 장엄한 광경.
2 대한민국 국군의 신분
위관급 장교 항목 참조.
3 삼국시대 위나라와 서진의 인물
『진서』 「위관등전(衛瓘等傳)」 | ||
위관 | 장화 |
衛瓘
(220 ~ 291)
삼국시대의 위나라와 서진의 정치가. 자는 백옥(伯玉).
하동 사람으로 위기의 아들. 젊어서 아버지를 여의었음에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아 위나라에서 상서랑, 정위경, 진서장군 등의 관직을 지냈다.
263년에 종회가 촉한을 정벌하러 갈 때 감군으로 종군했는데, 등애와 종회의 알력 와중에 종회가 등애를 모반자로 몰려고 해 등애더러 위관을 죽이게 만드려했지만 이를 알고는 거꾸로 등애와 등충 부자를 체포해 낙양으로 호송하도록 했다. 그러나 종회가 강유의 부추김을 받아 난을 꾀하는 것을 알자 그 수하 장수인 호열과 호연 부자와 힘을 합쳐 종회와 강유를 죽여 진압했는데, 등애의 수하들이 등애가 무죄함이 밝혀졌다고 믿어 그를 풀어주자 보복당할 것을 염려해 등애에게 원한을 품었던 전속을 시켜 등애 부자까지 죽였다.
조정에서는 미연에 난을 진압했다고 해서 이를 공로로 취급했으나 세간에서는 등애가 억울하게 죽었다 해 위관을 비난하는 여론이 일어났다. 같이 종군한 두예는 '위관은 명사의 이름을 얻고 높은 관직에 있으면서도 그에 걸맞는 명성을 쌓지 못하고 부하를 제대로 다스리지도 않았으니 이는 소인이 군자의 겉치레를 하는 것이다. 필경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이다.' 라고 비난했는데, 이 말을 듣자 한걸음에 두예를 찾아가 직접 일의 전말을 해명했다고 한다.
277년에 탁발사막한을 보내 귀국하게 하면서 서쪽에서 세력을 떨치던 선비족의 탁발역미를 약화시키고자 선비족 대인(유력자)들에게 뇌물을 보내 탁발역미의 아들을 죽이게 만들고, 또 탁발역미에게 종속된 상태였던 오환왕 고현도 뇌물로 설득시켜 선비족 대인들에게 '탁발역미가 자기 아들이 대인들 때문에 죽었다고 보복으로 대인들의 자식들을 잡아죽이려 한다' 는 말을 퍼뜨리게 했다. 결국 대인들이 탁발역미를 떠나 세력이 미약해지고 탁발역미도 병사해 선비족의 위협이 약해졌으며, 이 공적으로 위관의 동생이 정후에 봉해졌다.
278년 10월에는 정북장군을 지내다가 상서령이 되었고 사마충의 우매함을 걱정해 사마염에게 태자를 폐하도록 우회적으로 간하기도 했다.[1] 태자비가 위관의 딸이었으면 저런 말을 하지 않았을지도 서진 성립 후에 282년에 상서령에서 사공으로 봉해졌으며, 284년에 사마량과 함께 진군이 제정한 구품관인법을 귀족 가문 일부가 관직을 독점하게 된다고 해서 제도의 폐지를 주장했다.
서진 건국의 일등공신인 가충과는 서로 적대적으로 경쟁하는 사이였는데, 사마염이 태자비를 간택할 때 가충의 딸인 가남풍과 위관의 딸 사이에서 망설이다 황후 양씨의 입김으로 가남풍을 낙점하자 그 골이 더 깊어졌다. 사마염이 죽기 전에 290년에 양준이 아들 위선을 헐뜯으면서 사마염에게 공주를 도로 빼앗아 오도록 권하자 부끄럽고 두려워 늙었다는 이유로 자리에 물러나겠다고 해 태보로 승진했다가 공작의 신분으로 집에 가도록 명령받았다.
사마충이 혜제로 등극한 후 신료들의 원로 위치로 혜제를 보좌했는데, 조정에서 양준 일파가 제거된 뒤로는 그 일에 앞장선 여남왕 사마량과 초왕 사마위(司馬瑋)의 입김이 세졌다. 사마위는 난폭하고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는 성격이라 이를 경계한 위관은 사마량과 의논해 사마위를 봉지로 돌려보내려 했고, 그 일환으로 사마위의 수하 공손굉을 잡아들이게 해 사마위는 위관을 미워하게 되었다.
공손굉이 적로장군 이조를 통해 위관과 사마량이 혜제의 폐립을 꾀한다고 가남풍에게 무고하자, 그렇지 않아도 태자비 간택건이나 사마염 생전에 태자 교체를 건의한 일 등으로 위관을 싫어하던 가남풍은 기회다 싶어 혜제더러 사마위에게 밀칙을 내리게 했고 이 밀칙을 받은 사마위는 지체없이 움직여 위관은 청하왕 사마하에게 체포된 다음 살해되었다. 향년 72세. 섬뜻한 얘기지만 등애를 죽일때 두예가 예견했던 일이 그대로 실현되었던 셈이다. 뭐 자연사는 아니지만 장수했으니 그나마 위안이려나...
그러자 가남풍은 사마위가 정식 칙명도 받지 않고 대신을 죽였다 해서 사마위까지 처형하고 본격적으로 전횡을 시작했다.
삼국지 팬덤 사이에서 평가는 등애 죽인 놈, 촉빠들의 원수로 인식한다. 서예가로서나, 삼국지 팬덤 외에서는 그나마 이름이나 알려지면 다행인 처지고, 서진의 원로 대신이지만 그보다는 강유, 종회, 등애를 모두 제거한 사람으로밖에는 잘 생각되지 않는 것이다.
초서에 능해 당대에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았으며, 아버지 위기와 아들 위항까지 3대가 모두 명필로 유명했다.
가남풍이 사마위를 제거하자 난릉군공으로 추봉되었고 시호는 성공(成公)이다.
3.1 미디어 믹스
삼국지 9,10,11 |
삼국지 12,13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등애의 보복이 두려워서 등애를 죽였다는 기록 때문에 매력이 매우 낮다. 지력, 정치는 훌륭한 편이나 통솔은 조금 어정쩡해서 전장에 내보내기엔 미묘.
삼국지 8부터 처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무 46/지 82/정 79/매 42 어중간한 인재이지만 교란3, 기습5, 낙석3, 공성3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교란과 기습은 가장 좋은 전법이고 범용성이 좋아 위관에게 적절하다. 더블어 등장시기가 늦지만 수명이 길어서 수련를 어느정도 할수가 있고 특기에 반계,혼란,정찰을 가지고 있다. 그야말로 장특과 함께 리즈시절이다. 기습 5가 된 이유는 등애와 종회, 강유을 진압한 부분으로 기습5으로 반영한 것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53/지력 81/정치력 79로 후반기치고 높게 나온다. 제사, 혼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45/지력 81/정치력 78/매력 37에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 통솔이 어정쩡한 69에 무력이 낮지만 지력이 80을 넘기때문에 전장에서 아예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다. 내정 특기로 농업이 있는데 정치가 78로 괜찮은 편이라 특기를 살릴 수도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오나라 진영인 반장, 마충을 제외한 포박 특기의 소유자로 등장. 능력치는 69/46/79/78/28에 병종 적성(노병, 병기 A)도 등장 시기를 감안하면 야전용으로 쓰기에 그리 나쁘지 않다. 포박이 워낙 사기인데다 가뜩이나 장수가 없는 후기 삼국지에서 그나마 있는 장수들까지 강탈해가는 사기성 짙은 장수지만 너무 후반에 나오기 때문에 마충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다.
삼국지 12에서 영 좋치 않은 궁공격강화이라서 시장의 가증해결원로 쓰이게 되었다. 능력치도 11시절이고, 게다가 일러스트도 11까지는 제법 멋있는데 12편에서 완전히 추남이 되었다.[2] 일러스트는 등애를 죽이라고 명령을 내린 모습이다.
84부작 삼국지에서는 마지막회에서 강유와 종회의 난을 진압하는 역할로, 강유가 눈을 부릅뜨고 자결하자 그 앞에서 '촉의 멸망은 장군의 역량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천명이었을 따름이오' 라고 말하며 연의에서와 달리 그 시신을 잘 묻어주라 명한다. 근데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본인도 강유처럼 똑같이 천명으로 인해....
삼국전투기에서는 호오즈키로 패러디되었다. 다만 원본과는 달리 뿔은 없다. 캐릭터 소개에 의하면 '상당히 냉철한 인물'이라 호오즈키로 패러디되었다고.- ↑ 일화에 따르면, 연회중 위관이 취한 체하고 사마염이 앉은 용상에 다가와 그 팔걸이를 만지며 '이 자리가 실로 아깝사옵니다' 라고 말하자 사마염은 '경이 정말 취했구려' 라고 받아넘기면서도 내심 사마충 대신 동생 사마유에게 자리를 물려줄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낌새를 눈치챈 가남풍은 곧 사마염이 사마충에게 국정에 관한 글을 지어올리라 명을 내리자 뛰어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글을 사마충이 쓴 것처럼 꾸며 올리게 했고, 이 때문에 사마염은 태자를 폐할 생각을 접었다고 한다.
- ↑ 근데 몇몇 유저들은 진짜 중국인스럽게 나왔다고 한다. 사실 현실적인 일러스트로 보면 저게 어울리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