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발전기

마인크래프트 주요 문서
게임 진행
관련 문서
명령어마법부여
아이템회로업적
바이옴구조물차원
진행 외
주요 문서
모드리소스팩
멀티플레이플러그인서버 구동
출시된
에디션
포켓에디션콘솔에디션
스토리 모드에듀케이션 에디션
관련 문서튜토리얼여담
커뮤니티닉네임 스킨
개발 관련기초모드
플러그인ModPE
업데이트PC 업데이트 내역PE 업데이트 내역

1 개요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의 각종 기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Generator) 아이템에 관해 다루는 항목.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단위로는 전기(Electric Unit, EU), 열(Heat Unit, HU), 키네틱 유닛(Kinetic Unit, KU)이 있으며, 본 항목에서는 에너지를 새롭게 생성하는 장치와 함께 한 에너지를 다른 체계의 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2 전기 발전기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서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인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 장치. 전선이나 충전지 등을 통해 장거리 운송이 가능한 유일한 에너지 체계이다. 전기 에너지의 단위는 EU(Energy Unit)이다.

  • 발전기(Generator)

파일:/20151230 263/y207702 1451471876738mqiWS PNG/2015-12-30 19.36.01.png
파일:/20151230 21/y207702 1451470716032gugtd PNG/2015-12-30 19.17.06.png
연료를 태우는 것으로 발전하는 화력발전기이다. 기본적으로 화로에 사용할 수 있는 연료는 전부 사용이 가능하나 용암은 사용할 수 없다. 다른 발전기를 만들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이고[1] 만들기 쉽고 연료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초반에 많이 쓰인다. 출력은 10EU/t[2]이고 자체 저장량은 4000 EU이다.

  • 지열 발전기(Geothermal Generator)

파일:/20151230 262/y207702 1451471876910SYryi PNG/2015-12-30 19.37.24.png
파일:/20151230 233/y207702 14514707161710aM0p PNG/2015-12-30 19.17.58.png
용암을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기. 만드는 것도 비교적 쉽고, 출력도 준수하며, 연료 구하기도 어렵지 않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핵발전 시설 등이 갖춰지기 전의 초중반까지 요긴하게 쓰인다. 자체적으로 8000 mB 용량의 탱크를 가지고 있으며[3] 출력은 20 EU/t, 자체 에너지 저장량은 24000 EU이다. 양동이로 하나씩 넣어줄 수도 있지만, 통합 유동체 셀을 이용하면 한번에 편하게 넣을 수 있다.

파일:/20151230 37/y207702 1451471680100Rj8zi PNG/2015-12-30 19.33.35.png
이미지에서 가까이 있는 것이 물레방아, 뒤에 있는 것이 풍차이다. 옆면의 텍스처가 약간 다르다.
파일:/20151230 11/y207702 1451471472154aWxYE PNG/2015-12-30 19.29.56.png
2.2.750 버전 이후로 조합법이 사라졌다. 과거에 각각 수력 발전기, 풍력 발전기로 불렸지만, 키네틱 발전기 시스템이 도입되고 나서는 서바이벌에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없게 되었다. 아직 데이터는 남아있으니 서술한다.

물레방아의 경우 물을 통해서 발전하며 내부에 4000 mB의 탱크를 가지고 있다. 지열 발전기처럼 내부에 물을 부어주어 소모해 발전하는 식으로도 쓸 수 있고, 물레방아 주위에 인접한 위치에[4] 물(근원은 물론 흐르는 물도 가능)이 존재하는 경우 인접한 물 블록의 갯수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주위에 넘쳐나다시피하는 물로 발전하는 만큼 연료 문제가 없지만, 물을 소모하는 경우 1EU/t, 자동생산의 경우 물 블록 하나당 0.01EU/t(..)[5]라는 진짜 쥐꼬리만한 출력이 문제. 그래도 레서피 하나로 2개씩 나오는 등 생산이 워낙에 쉬워서 어느정도 모아서 돌리면 꽤 안정적인 에너지원이 되기도 했다.
풍차의 경우 공기 중에 있으면 전기를 생산한다. 풍력이 셀수록 발전량이 많아지며, 풍력은 풍력계를 사용하여 알아낼 수 있다. 풍차가 위치하는 고도나 주위에 존재하는 블록의 갯수 등에서도 영향을 받는다. 일단 출력이 0~11 EU/t로 상당히 불안정한데다가, 높은 출력을 위해선 대체로 y=100을 넘겨야 해서 번거로움에 비해 발전량이 영 좋지 않다. 밀집해서 설치하면 또 발전량이 줄기 때문에(..) 태양 전지판처럼 대규모 친환경 영구 발전소를 만드는 것은 좀 더 힘들다.

파일:/20151230 252/y207702 1451472074144wdXeP PNG/2015-12-30 19.40.33.png
파일:/20151230 295/y207702 1451472074020Pzqy9 PNG/2015-12-30 19.40.00.png

일명 태양광 발전기로 햇빛을 받으면 전기를 생성한다. 당연하지만 낮에만 발전할 수 있으며, 눈이나 비가 오는 날씨에도 발전하지 않는다[6]. 태양 전지판과 같은 x, z 좌표에, 더 높은 y 좌표를 갖는 블록이 있으면 발전하지 않는다. 즉, 위가 비어있어야 한다. 출력은 1 EU/t이며 마인크래프트 기준으로 하루 동안에 생성 가능한 EU는 1만 EU를 조금 넘는 정도. 대량으로 만들어서 발전소를 만들면 꽤 많은 전력을 얻을 수 있으며,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이 틀리지 않는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 다만 생각보다 그렇게 값싼 발전기는 아니라서[7] 가성비 면에서는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며, 중반 이후 증가하는 전력 소모를 태양 전지판만으로 충당하기는 힘들다.
  • 반유동체 발전기(Semifluid Generator)

파일:/20151230 229/y207702 1451474385715aGtma PNG/2015-12-30 20.18.05.png
파일:/20151230 204/y207702 1451474385861EOz9n PNG/2015-12-30 20.19.12.png

바이오 가스나 다른 모드들의 액체 연료들을 태울 수 있는 발전기. 출력은 8~32 EU/t(연료 종류에 따라 다르다)이며, 자체 전력 용량은 32000 EU이다. 내부에 10000 mB 용량의 연료 탱크를 지니고 있다.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 존재하는 연료인 바이오 가스는 여러가지 식물들을 분쇄기로 갈아 만든(..) 바이오 채프를 주입기로 물과 섞어서 바이오매스로 만들고, 이를 발효기에서 발효시켜서 만든다. 초반에는 연료를 구하기가 어려워서 쓰기 어렵지만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도 농사를 제대로 지으면 생산량이 엄청난지라 중후반에는 꽤 쓸만한 수준. 다만 현 시점에서는 분쇄기-발효기에서 소모되는 EU 소모량을 제하면 같은 자원이면 차라리 화력발전기를 돌리는 게 더 효과적이라 주력으로 돌리기는 좀 그렇다.

빌드크래프트와 같은 연료로 쓸수있는 액체가 추가되는 모드가 같이 있다면 아주 효율적인 발전기가 되는데, 특히 빌드크래프트의 정제유(Fuel)를 넣으면 발전기의 EU 최대배출량보다 발전량이 많아 내부에 EU가 쌓이는 상황을 볼수 있다. (버켓 당 128000 EU) 그 외에도 포레스트리의 바이오매스나 에탄올도 넣을 수 있다.

  • 스털링 발전기(Stirling Generator)

파일:/20151230 109/y207702 1451477219145FxQT4 PNG/2015-12-30 20.29.42.png
파일:/20151230 36/y207702 1451477200945fqR6n PNG/2015-12-30 21.05.48.png

열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열 2 HU를 소모해 전기 1 EU를 생성하며, 출력은 최대 50EU/t(한면에 전송할수있는 HU의 최대값이 100HU/t이다.) 자체 EU 저장량은 30000EU이다. '열'은 열 발생 장치를 통해 만들 수 있으며, 사진의 네모난 주황색 점이 열을 주고 받는 부분이다. 점끼리 닿아 있지 않다면 열은 전달되지 않는다.
  • 키네틱 발전기(Kinetic Generator)

파일:/20151230 90/y207702 1451478822912DCqSj PNG/2015-12-30 21.18.17.png
파일:/20151230 282/y207702 1451478823149qHvD1 PNG/2015-12-30 21.33.00.png

키네틱 유닛(운동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이다. 동력 4KU를 소모해 1EU를 생성하며, 출력은 최대 512 EU/t, 자체 저장량은 200000EU이다. 설치시 사진처럼 점이 있는 부분이 플레이어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생기는데, 이 부분이 KU를 받는 부분이다. KU는 다양한 키네틱 발전기를 통해 생산 할 수 있고, 출력 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후반의 주력 발전기이다.

파일:/20151231 146/y207702 1451541709331Ya0pa PNG/2015-12-31 14.58.30.png
파일:/20151231 52/y207702 14515417099797OWOe PNG/2015-12-31 14.58.52.png

RTG는 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 방사성동위원소 열전발전기의 줄임말이며 흔히 원자력 전지라고도 부른다. 내부에 RTG 연료 알갱이(Pellets of RTG Fuel)를 집어 넣는 것으로 발전하며, 출력은 연료 알갱이가 하나일 때 1EU/t에서 시작해 연료 알갱이의 개수가 하나씩 늘어날 수록 2배씩 증가한다. 연료 알갱이는 6개까지 넣을 수 있으며, 최대 발전량은 32 EU/t. 자체 에너지 저장량은 20000 EU이다. 출력 자체는 별거 아니게 보이지만, 중요한 점은 이 연료 알갱이가 절대로 소모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영구기관인 셈.
단점은 RTG 연료 알갱이의 재료인 플루토늄을 얻는것이 꽤 어렵다는 것이다. 플루토늄은 핵발전기에서 소모된 열화우라늄이나 열화 MOX를 원심분리하는 것으로 작은 조각(Small Pile of Plutonium)을 하나씩 얻을 수 있고, 이것을 9개를 모아야 간신히 플루토늄 하나를 얻을 수 있다. 결국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핵발전기를 대량으로 돌리는 수밖에 없다. 현실에서의 원자력 전지에 관해서는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3 열 발생 장치

을 매개로 하는 에너지 체계. 게임 내에서 이 에너지 체계를 사용하는 기계들은 증기 발생 장치, 용광로, 발효기 등 대체로 열을 사용하는 기계들이다. 에너지 단위는 HU(Heat Unit). 열 발생 장치 설치 시 플레이어를 바라보는 주황색 점이 열을 내보내는 부분이고, 여기에 열을 받는 기계의 에너지 접속 부위가 맞닿게 해야 한다. 잘못 연결해도 큰 문제는 없지만 다시 설치하거나 렌치로 돌려야 한다.

  • 고체 열 발생 장치(Solid Heat Generator)

파일:/20151230 191/y207702 1451481454467yivE5 PNG/2015-12-30 21.48.57.png
파일:/20151230 266/y207702 1451481455531qeInO PNG/2015-12-30 21.51.40.png

(화력)발전기처럼 연료를 태워 열을 생성한다. 최대 출력량은 20 HU/t이다.
반유동체 발전기처럼 바이오 가스를 비롯한 연료를 소모해 열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모드의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 출력량은 16~64 HU/t이다.
  • RT 열 발생 장치(Radioisotope Heat Generator)

파일:/20151230 36/y207702 1451481454836TaAiG PNG/2015-12-30 21.49.23.png
파일:/20151230 91/y207702 14514814552528EMId PNG/2015-12-30 21.50.27.png

RTG-원자력 전지와 같은 원리로 RTG 연료 알갱이를 집어넣어 열을 생성한다. 최대 출력량은 [math] 2^x [/math] HU/t, [math] x [/math] 는 RTG 연료 알갱이의 개수이다. 즉, 1개를 넣었을 때 2HU/t로 시작해 6개를 채우면 64HU/t가 된다. 연료가 소모되지 않지만, 재료 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후반이 아니면 아무래도 쓰기 힘들다.
  • 전기 열 발생 장치(Electric Heat Generator)

파일:/20151230 18/y207702 1451481455013sBpUr PNG/2015-12-30 21.49.29.png
파일:/20151230 113/y207702 14514814551357PbsT PNG/2015-12-30 21.50.09.png

전기(EU)를 소모하여 열을 생성한다. 내부에 부품으로 코일을 하나 이상 넣어주어야 에너지 전환이 일어나며, 코일 하나당 10EU/t를 소모하여 10HU/t를 생성한다. 코일은 최대 10개까지 들어갈 수 있으며, 최대 100 EU/t를 소모해 100HU/t를 얻을 수 있다.
  • 액상 열 교환기(Liquid Heat Exchanger)
용암이나 핵발전기의 유동체 냉각 모드에서 만들어지는 가열된 냉각수(Hot Coolant)를 각각 파호이호이 용암((Pahoehoe lava)이나 냉각수(Coolant)로 전환하고, 그 과정에서 HU를 얻는 열 발생 장치. GUI 상에서 입·출력에 각각 2000mB씩의 내부 액체 탱크를 지니며, 가운데의 슬롯에 열 전도기(Heat Conductor)를 최소 2개 이상 넣어주어야 작동하게 된다. 열 전도기 하나당 10HU/t 씩을 생산하며, 최대 10개까지 넣어줄 수 있다. 여기에서 열 전도기를 몇 개를 넣든 간에 넣어준 액체가 소모되는 속도는 똑같기 때문에 이용하려 한다면 가급적 열 전도기를 10개 다 채우고 쓰는 게 좋다.
참고로 액상 열 교환기를 쓰는 것이 파호이호이 용암을 얻거나, 가열된 냉각수를 냉각수로 식히는 게임 내 유일한 방법이다.

4 키네틱 발전기

물리적인 회전력을 매개로 하는 키네틱 유닛을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단위는 키네틱 유닛의 단위는 kU(Kinetic unit)이다. 현 시점에서는 선삭용 선반 외에는 키네틱 발전기 전도 밖에 쓸 곳이 없으나 추후에 추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키네틱 발전기에 있는 흰색 점이 출력 부분으로 열 발생 장치와 마찬가지로 키네틱 유닛을 사용하는 기계의 입력 부위를 맞붙여 놓아야 한다.

파일:/20151230 268/y207702 1451485097069Vwehw PNG/2015-12-30 23.09.06.png
설치시 보이는 모습
파일:/20151230 74/y207702 1451485097344XwueM PNG/2015-12-30 23.09.17.png
뒷면, kU의 출력부 파일:/20151230 242/y207702 14514851700509VKfz PNG/2015-12-30 23.18.44.png 로터 장착시 파일:Mc-kineticgene ing.png

풍력을 키네팃 유닛으로 바꿔주는 장치. 여러 조건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며, 최대 한도는 설정되어있지 않다. 풍력 키네틱 발전기를 설치하고 키네틱 유닛 출력부에 키네틱 발전기를 붙여주면 전기가 생산된다. 풍력을 키네틱 유닛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풍력 키네틱 발전기에 로터를 달아줘야 하는데, 로터에는 각각 나무, 철, 연철[8], 탄소 재질의 로터가 있다. 로터 등급이 올라갈수록 발전에 필요한 최소 풍력 요구량이 올라가지만, 최대 풍력 허용량과 내구도[9]도 올라가기 때문에 현재 문명 발전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 사용하면 된다.
풍력은 일반적으로 y 좌표가 높아질수록 커지지만, 일정 구간부터는 다시 감소한다. 풍력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장소를 찾는 것이 관건. 날씨에 따라 영향을 받고, 풍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생산량의 변동이 심한 편이다. 탄소 로터의 경우 폭풍우 치는 날에는 어마어마한 양의 발전을 하지만, 날씨가 맑은 어느 날은 아예 발전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로터를 달면 사진처럼 로터 그래픽이 생기는데, 돌아가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주변을 비워줘야 한다. 쾌적한 발전을 위해, 주변 블럭을 최소화해야한다. 풍력이 블럭에 의해 줄어들기 때문.

파일:/20151230 237/y207702 1451485097824buHEN PNG/2015-12-30 23.10.46.png
설치시 보이는 모습, kU의 출력부 파일:/20151230 294/y207702 1451485098119KeDcH PNG/2015-12-30 23.14.31.png

증기의 힘을 키네틱 유닛으로 바꿔주는 장치이다. 출력은 0~4000 kU/t. 증기의 힘(산업모드자체적인 스팀은 200Ku/t가 최대치이다.슈퍼히티드스팀은 400Ku/t가 최대치)을 이용하기 때문에 증기 발생 장치 바로 옆[10]에 붙어있어야 한다. 내부에 증기 터빈(Steam Terbine)이 장착되어있어야 작동한다. 키네틱 유닛을 생산하기 시작하면 증기가 응결되어 증류수(Distilled water)가 터빈 내부에 쌓이고, 점점 키네틱 유닛 생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빼내주어야 한다. 유동체 이젝터 업그레이드를 통해 빼주거나 수동으로 통합 유동체 셀에 담으면 된다. 실수로 증기가 아닌 물을 넣을 경우[11] 터빈이 막히기 때문에 조심하자.
  • 전기 키네틱 발전기(Electric Kinetic Generator)

파일:/20151231 119/y207702 1451493695860cEoUm PNG/2015-12-31 01.39.40.png
설치 시 보이는 모습, kU의 출력부
파일:/20151231 284/y207702 1451493695690IzQq0 PNG/2015-12-31 01.39.18.png

전기 에너지를 소모해 키네틱 유닛으로 생산하는 생성장치이다. 내부에 모터를 하나 이상 부품으로 넣어주어야 전환이 일어나며, 모터 하나당 50EU/t를 소모해 100KU/t를 생성한다. 모터는 최대 10개까지 넣을 수 있다. 현재로서는 선삭용 선반을 편하게 가동시키는 것 외에 이점이 없는 기계이다. 후에 키네틱 유닛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기계들이 추가되면 사용이 늘 것으로 보인다.
  • 수동 키네틱 발전기(Manual Kinetic Generator)

파일:/20151231 88/y207702 1451494007324N9mLR PNG/2015-12-31 01.45.34.png

말 그대로 수동으로 키네틱 유닛을 생성하는 장치. 블록을 설치하고 오른 클릭을 해주면 최대 400 kU의 키네틱 유닛이 생산된다. 이걸 돌리고 있으면 배고픔이 엄청나게 빨리 소모되기 때문에 본격적인 발전에 쓰기엔 부적절하고 선삭용 선반의 가동에 쓰인다. 둘이 같이 업데이트 되었으니 아마 그게 본래 용도일 것이다.

설치 시 보이는 모습
파일:/20151230 163/y207702 1451485096933V9FmL PNG/2015-12-30 23.08.15.png
뒷면, kU의 출력부
파일:/20151230 203/y207702 14514850966427QiL9 PNG/2015-12-30 23.07.49.png
로터 장착시 파일:/20151230 240/y207702 1451485097651yX6im PNG/2015-12-30 23.10.20.png

수력을 키네틱 유닛으로 바꿔주는 장치이다. 강과 바다 바이옴에서만 작동하며, 물 속에 있어야 한다. 풍력 키네틱 발전기와 마찬가지로 로터가 장착되어야 하며, 주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발전량이 줄어든다. 그리고 해류[12]의 움직임에 따라서 발전량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며,[13] 그리고 로터가 물 속에 완전히 잠겨있지 않을 경우 로터 공간 없음이라고 표시되며 작동하지 않는다. 다른 바이옴과의 거리가 멀 수록, 바이옴이 심해(Deep Sea)인 경우, 심해 바이옴의 정 가운데 부분일수록 발전량이 증가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추가 바람.

5 핵발전기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발전기의 꽃. 워낙에 비중이 크고 관련된 부품이나 기계도 많아서 별도 문단으로 분류했다.

5.1 EU모드

파일:/20151231 219/y207702 1451544979543tMBMJ PNG/2015-12-31 15.51.35.png
파일:/20151231 134/y207702 1451543032644e1m92 PNG/2015-12-31 15.21.56.png
핵발전기를 운영할 경우 초반엔 EU모드를 경험하게 된다. 기존의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핵발전기는 이 모습이다. 원자로(Nuclear Reactor)와 반응로(Reactor Chamb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은 1~8196 EU/t이다.(물론 안정된 발전량은 이보다 훨씬 작다) 역시 핵발전기

5.1.1 구성 블록

파일:/20151231 273/y207702 14515430320405mi6A PNG/2015-12-31 15.19.39.png
원자로 자체가 핵발전기의 몸체이다. 하지만 원자로 하나만 설치할 경우 사진처럼 연료 배치에 큰 제한이 생긴다. 여기에 반응로를 부착하여 한 줄씩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가동을 위해서는 연료와 냉각 부품들을 배치하고 레드스톤 신호를 보내면 된다.

원자로 양 옆에 붙어있는 블록이다. 반응로는 단독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반드시 원자로에 붙어있어야 한다. 즉, 하나의 원자로 당 최대 반응로의 개수는 6개이다, 반응로 6개를 모두 설치하면 배치 제한이 모두 해제된다. 작동을 위한 레드스톤 신호는 반응로에 넣어줘도 된다.

5.2 유동체 냉각 모드

파일:/20151231 286/y207702 1451544979698FrqGd PNG/2015-12-31 15.53.48.png
내부에 EU모드의 핵 발전기가 들어간다. 파일:/20151231 165/y207702 1451544980200L4S5s PNG/2015-12-31 15.54.25.png
기본 배치 파일:/20151231 283/y207702 1451544980611aEUzN PNG/2015-12-31 15.54.36.png
EU모드의 핵발전기를 압력 용기로 5X5X5로 덮고 진입 해치와 레드스톤 포트, 유동체 포트를 달아주면 완성이다. EU모드와 다르게 생산하는 것은 EU가 아니라 열, 즉 Hu이다. 정확히는 고온 냉각수가 나오며, 이 고온 냉각수를 식히면서 Hu를 얻을 수 있다.

5.2.1 구성 블록

파일:/20151231 237/y207702 1451544149319KEs3f PNG/2015-12-31 15.40.57.png
왜 이렇게 심플해
Reactor Fluid Port, RFP는 유동체 냉각 모드의 핵발전기를 만들었을 때 냉각수가 들어가고 고온 냉각수가 빠져나오는 통로이다. 이를 위해서 저 심플한 칸에다가 유동체 이젝터 업그레이드또는 아이템 이젝터업그레이드를 놓으면 된다.

Reactor Access Hatch, RAH는 유동체 냉각 모드의 핵발전기의 내부에 진입 할 수 있는 통로. 완성된 상태의 원자로에 배치되어있다면 오른 클릭하여 내부의 연료와 부품의 배치를 조절하고, 냉각수의 상태와 출력량, 노심부에 쌓인 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용기의 모서리부분은 압력용기 이외의 기능블록을 배치하더라도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한다. 압력용기를 배치하도록 하자

5.3 핵발전기 연료 및 부품

5.3.1 연료

50x50px

5.3.2 열 교환기
5.3.3 열 통풍구

5.4 관련 용어

  • 열(Heat) :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열 관리는 원자력 발전소 설계시 빼놓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만약 열 관리를 실패한다면...
  • 냉각(Cooling) : 열을 식히는 것. 냉각셀, 통풍구, 응축기 등으로 냉각할 수 있다. 냉각량이 열 발생양과 같거나 많도록 하자.
  • 반응로 주기(Reactor Tick) : 발전소에서 에너지/열 생성과 냉각이 1회 이루어지는 주기로 1초다.
  • 효율(Efficiency) : 연료봉은 주위에 다른 연료봉이 있게 되면 에너지 생산량과 열 생산량이 증가합니다.

효율1 : 4heats/s, 5EU/t ->1단 연료봉의 효율
효율2 : 12heats/s, 10EU/t ->2단 연료봉의 효율
효율3 : 24heats/s, 15EU/t ->4단 연료봉의 효율
효율4 : 40heats/s, 20EU/t
효율5 : 60heats/s, 25EU/t
효율6 : 84heats/s, 30EU/t
효율7 : 112heats/s, 35EU/t
EU모드에서는 모든 연료봉의 효율을 계산하여 그 합만큼 EU를 생산하고 열을 방출한다. RPV모드에서는 열만 방출한다.
(1단 연료봉 기준) 1번 연료봉과 2번 연료봉이 인접해있고, 1번 연료봉과 3번 연료봉이 인접해 있는 경우 1번 연료봉의 효율은 3, 2/3번 연료봉의 효율은 2가 된다.

  • 전체 주기(Full Cycle) : 연료봉이 수명을 다하는 시간. 우라늄은 20000초, MOX는 10000초이다.
  • 발전소 등급(Reactor Class) : 추가 열 생산에 따른 안전성 등급인 Mark I~Mark V 까지 있으며(숫자가 크면 추가 열이 많음) 연료봉당 평균효율에 따른 등급인 EE~EA*[14] 이 있다.

Mark I = 총 발열량 ≤ 총 냉각량. 이 등급의 발전소는 아무리 돌려도 터질 일이 없다. 단, RPV 발전소를 돌린다면 연결된 스털링 발전기에 에너지가 가득 차게 될 경우 스털링 발전기가 멈춰서 냉각수 냉각이 중단된다. 주의할 것.
Mark II = 총 발열량 > 총 냉각량으로, 이 등급부터는 무한히 돌릴 수는 없다. 그래도 Mark II는 최소 1회 이상의 연료봉 수명동안 발전소 노심부 온도가 85% 이상으로 오르지 않는 설계이다. 이 때 85% 이하로 버틸 수 있는 최대 사이클 수를 뒤에 기재한다. 예컨대 Mark II-3, Mark II-12와 같이. 16 이상이면 Mark II-E로 따로 구분하며, 그냥 Mark I이랑 거의 다를 게 없다.
Mark III = 이 등급부터는 무진장 위험하다. Mark III~IV는 연료봉 수명의 10% 이상~100% 미만[15]을 버틸 수 있으며, 중간중간에 냉각이 필요하다. Mark III는 노심부 온도가 85%가 되기 전에 부품을 잃지 않는 설계에 해당한다. 효율성을 챙기는 발전소 설계를 하면 어쩔 수 없이 Mark III~IV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
Mark IV = Mark III과 비슷하나, 노심부 온도가 85%가 되기 전에 부품을 잃는 설계이다. Mark III과 비교도 되지 않게 위험할 수 있다. 부품이 하나라도 없어지면 열이 쌓이는 속도는 더 빨라질 테니...
Mark V = 극악의 설계로, 연료봉 수명의 10%도 버텨내지 못한다. 극한의 효율을 뽑아내고 싶다면 해 보자. 아니면 멀티플레이 서버에서 해 보자.

  • 냉각단계(Cooling Period) : Mark II 이상의 발전소가 추가 열이 심각 수준에 이르기 전에 발전소 가동을 잠시 중단하고 열을 일부 또는 식히는 단계이다.
  • 환경효과(Environmental Effect) : 노심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40%~ : 5X5X5 범위 내의 가연성 물질이 발화합니다.
50%~ : 5X5X5 범위 내의 물이 증발합니다.
70%~ : 7X7X7 범위 내의 모든 생물이 방사능 디버프를 받습니다.
85%~ : 5X5X5 범위 내의 블럭이 없어지거나 흐르는 용암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16]
100%~ : 매우 거대한 웅덩이가 발생...합니다. 즉 폭★8

5.5 운영법

5.5.1 EU모드

리엑터와 챔버만으로 설계하여 eu가 직접적으로 생산되는 모드이다.
EU모드로 운용시 발전량이 50%감소된다. 라고 되어있지만 사실 예전과 같은속도로 같은양을을 발전한다.
복잡한것을 좋아하지 않거나 eu의 생산량이 중요하다면 이상태로 쓰는게 좋다.

5.5.2 유동체 냉각 모드

현실의 원자로의 발전방식과 유사한 구성이다. 연료에서 생성된 열이 냉각수를 데워 배출된 고온 냉각수를 식힐 때 발생되는 hU를 EU로 변환한다.

여기서 스털링방식과 스팀방식둘로 나뉘는데,
스털링은 스털링 발전기를 이용하여 hU->EU로 바로 전환하며 2hU:1EU 변환비를 갖는다.
스팀방식은 증기 생성 장치로 hU를 사용하여 증기를 만든 뒤, 증기 키네틱 발전기로 kU를 생산한 뒤 키네틱 발전기로 kU->EU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최대 4hU:3EU 변환비를 갖는다.

효율이 높아질 수록 유동체 냉각 모드를 갖는 발전소의 생산량은 EU모드와 비교도 안 되게 높아진다. EU 출력량은 효율에 비례하지만, 열 생산량은 효율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효율 4.43, Mark I EA의 발전소 배치는 연료봉 14개로 EU모드 기준 310EU/t를 생산하나, RPV모드/스털링 방식을 채용하면 704EU/t로 두 배 이상 늘어난다.
  1. 다른 발전기들은 반드시 조합법에 이 발전기가 필요하다.어째선지 태양 전지판도 화력 발전기가 조합법에 들어간다.
  2. 여기서 t는 tick으로 20분의 1초.
  3. 양동이 8개, 즉 원천 블록 8개 해당한다.
  4. 물레방아를 중심으로 3×3×3 범위.
  5. 이론상 발전기 본체와 전선이 빠져나올 1칸을 제외한 주위를 전부 물로 채우면 최대 0.25EU/t까지 나올 수 있다.
  6. 참고로 사막이나 사바나처럼 비가 오지 않는 바이옴에서는 다른 바이옴에서 비가 오는 상황이더라도 발전할 수 있다.
  7. 하나 만드는데 전자 회로가 두 개 필요하다. 거기에 나름 쓸데가 많은 석탄가루를 3개씩 먹는 점도 의외로 문제.
  8. 단 아이템 이름은 강철 로터이다. 이건 영어판 이름부터가 Refined Iron이 아닌 Steel rotor로 되어있기 때문.
  9. 로터는 일정 기간 돌아가면 부서지는 소모품이며, 가장 값싼 나무 로터가 현실 시간 3시간, 가장 비싼 탄소 로터는 현실시간 7일 동안 돌아간다.
  10. 옆면에 있어야 증기가 이동한다.
  11. 증기 발생 장치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았을 때 밸브를 열면 물이 나온다.
  12. 말이 해류지 그냥 랜덤하게 발전량이 변한다.
  13. 측정이 불가능하다. 측정이 가능하다면 삭제.
  14. 연료봉의 효율 평균이 1이면 EE, 1.01~1.99=ED, 2.00~2.99=EC, ... , 6.00~6.99=EA++, 7이면 EA*.
  15. 우라늄 연료봉 기준 2000~20000초
  16. 진짜 노심융해다. 여기부터는 돌이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으니 이 사단이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