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군/행정

인제군
인제읍
남면북면기린면서화면상남면

1 개관

인제군은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굉장히 큰 면적에 비해 읍면의 수가 적은 편이라 읍과 면의 면적이 하나같이 큼직큼직하다.

2 각 읍면 소개

2.1 인제읍

읍내 주변에 합강정, 인제향교, 인제시외버스터미널, 인제군청, 인제 산촌민속박물관, 박인환 문학관, 인제 밀리터리테마파크가 있다. 기린면 방향으로 소양강을 따라 내려가면 피아시계곡, 하추리계곡이 있다. 동부에 있는 귀둔리에는 필례약수가 있으며, 여기서 한계령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은 작은한계령, 필례령 등으로 불렸으나, 이순원소설 "은비령"의 배경으로 유명해진 후 은비령으로 불리기도 한다.

2.2 남면

흔히 신남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신남은 남면의 한 리(里)에 지나지 않지만 인제군 남면이라고 하면 못 알아들어도 신남이라고 하면 다 알아듣는다. 왜냐하면 분단 이후 한국 전쟁 전까지 신남면으로 개명되어 홍천군에 편입된 적도 있기 때문이다. 소양강 댐 건설 이후 상당수의 면적이 수몰되었으나, 현재는 소양호 선착장 및 빙어 축제로 많은 관광객들을 끌고 있다. 38대교라는 크고 아름다운 다리가 있는데, 일부 언론에서는 단지 강 건너 관대리 주민 40여 명만을 위한 혈세 낭비라고 대차게 깠으나(기사), 인제군 남면과 양구군 남면을 잇는 46번 국도 구간 양구대교가 유사시 기능을 못할 때 대체 도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관광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기에 아주 조금은 위안이 되고 있다. 관대리 쪽 38대교 입구에는 팔각정과 운동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관대리 부녀회에서 운영하는 간이 휴게소가 위치해 있다. 38대교는 인제 빙어 축제가 열리는 곳과 서로 잘 보이며, 그래서인지 다리 곳곳에 빙어 모양 조각물들이 붙어 있다. 남전계곡, 도수암계곡, 갑둔리 오층석탑이 있다. 어론리에서 446번 지방도를 이용하면 상남면으로 갈 수 있다.

홍천군 두촌면과의 경계에 KCTC가 있다.

2.3 북면

면사무소 소재지인 원통리라는 네임드 리(里)가 있다. 원통버스터미널도 있고, 심지어 원통면이나 원통읍으로 잘못 불리는 경우도 흔하다. 이 지역이 네임드인 이유는 원통해서 못 살겠네 군부대가 많기 때문이다. 용대리 일대에 설악산국립공원과 백담사가 있다. 설악산 국립공원과 그 주변에 계곡 및 폭포들도 많으며 백담사 만해마을, 용대리 황태마을도 있다. 한계령을 통해 양양군으로, 미시령을 통해 속초시로, 진부령을 통해 고성군으로 갈 수 있다. 2006년 7월에는 한계령으로 가는 길목인 한계리에서 수해가 발생해 큰 피해를 입은 곳이다. 가 보면 알겠지만 한계리에 민박집이 꽤 있는 편인데, 수해 때문에 제대로 직격탄을 맞았다....

~북면 한계리부터 포켓몬 GO 사냥 가능 시점 시작이다.~

2.4 서화면

북면의 위쪽 지역이다. 서화면 북쪽의 서희리, 장승리, 이포리는 대한민국이 수복하지 못한 북한 지역으로 강원도(북한)금강군에 편입되어 있다.(단 서희리와 장승리는 부분 수복되어 있음.) 양구군 해안면도 한때 서화면 관할이었으나 1973년 다시 양구군으로 넘어갔다. 대암산 용늪이 유명하다.

~북면 한계리와 더불어 포켓몬 GO 플레이 가능한 지역이다.~

2.5 기린면

인제군의 인(麟) 자가 기린 린 자다! 면소재지인 현리는 원통리와 같은 이유로 네임드 리(里)이며 현리버스터미널이 있다. 31번 국도를 통해 인제읍과 상남면으로 이어지고, 418번 지방도(조침령)를 통해 양양군 서면과 이어진다.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지나갈 계획이다.
또한 전설의 흑역사 현리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방태산, 점봉산, 방동계곡, 방동약수가 있으며 주변에 휴양림들이 많다.
참고로 조선시대에는 춘천도호부월경지였는데, 1914년 조선 총독부가 주도한 부군면 통폐합때 인제군에 편입되었다.

인제스피디움이 이곳 북리에 있다.

2.6 상남면

원래 기린면과 남면의 일부였다가 1983년에 면으로 독립하였다. 내린천이 관광 자원이며 미산계곡이 대표적인 계곡이다. 서울양양고속도로 가 지나가며 하남리에 지어질 내린천휴게소 상에 인제IC가 생길 예정이다.
또한 451번 지방도를 통해 홍천군 내촌면, 444번 지방도를 통해 홍천군 서석면, 31번 국도, 446번 지방도를 통해 홍천군 내면으로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