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인간

한자 : 剩餘人間
영어 : Deadbeat surplus man
러시아어 : Лишний человек

1 개요

파일:Attachment/ingyu.jpg
위키니트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

사회에서 어떤 역할도 맡지 못하고 누구도 필요로 하지 않는 남아있는 인간이라는 의미. 21세기 들어서 생긴 신조어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오랫동안 사용된 단어이다.

문학계에서 잉여인간이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사용된 건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이다. 하지만 오네긴은 사회적으로 아무런 긍정적 역할도 하지 않고 있지만 능력이 아니라 동기의 부재가 원인이라는 것이 차이점. 오네긴은 명망 높은 귀족으로서 당대의 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지만 그 자신은 어떤 일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한량으로 살아간다. 러시아 문학사에서 사회의 하층민인 작은 인간과 더불어 양대 인간상으로 꼽히며, 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에서 주인공 페초린 등으로 그 계보가 이어진다.

3번 항목에 있는 소설 〈잉여인간〉이 나온 연도가 이미 1958년이다. 단 그 때는 지금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았고, 문학도나 식자층이 쓰던 말에 가까웠다. 1980년대 나온 김철호 화백의 만화에도 주인공(고유성 화백을 모델로 한 고박사)이 아내에게 "나 같은 잉여인간과 결혼해줘서 고맙다"고 하는 장면이 나온다.

언제부터인가(보통 2008~9년에 들어서) 인터넷에서도 널리 쓰이게 되었다. 줄여서 잉여라고도 불린다. 대체적으로 니트채널러(의 2), 룸펜[1]의 대체어로 쓰이고 있다.[2]

2 여담

일본에서 흔히 쓰는 ダメ人間(다메닌겐), 영어의 루저 Loser를 번역한다면 가장 가까운 표현이기도 하다.

예) "너희 잉여들은 보아라."

잉여인간의 상태가 심화되면 '잉여킹(剩餘King)'이 된다고 한다.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쓰레기 포켓몬 잉어킹에 빗댄 표현이다. 다만 잉어킹은 진화하면 대박이지만... 이 경우는? 어떻게 되긴 컴퓨터와 물아일체하지

디시인사이드심리학 갤러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말이다. 한 때 심리학 갤러리의 채팅 스테이션 제목이기도 했다. 이름하여 '잉여인간의 서 XX부' 이유는 심리학 갤러리에 많은 사람들이 대인관계 문제로 자주 찾아오기 때문인 듯.

잉여잉여 열매를 먹어야 된다고도 하고 일단 되면 잉여력이라는 막강한 힘을 부여받는다고도 한다.

심슨 가족에서 심슨 집안에서는 남자들에게 잉여 유전자가 유전된다!!!! 그래도 호머 심슨은 평생 직장을 갖고 있긴 하지만. 대신 뛰어난 운동능력도 유전되는 건 다행.

은혼완폐아도 훌륭한(...) 잉여인간이다.

동방프로젝트어느 곳前 달나라 공주도 무려 1000년 동안이나 은둔을 하는 등 잉여끼가 충만하다.

왁스의 노래 중 '지하철을 타고'라는 곡의 2절 가사를 보면 그야말로 잉여인간의 심리가 절절하게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이분은 진정한 잉여인간이다.

토박이말로는 덤짜. 그저 으로 존재하는 인간이라는 뜻.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서도 언급된 말. 영화 후반부의 갈등이 고조되는 시점에서 등장하는 장면으로, 주인공인 현수(권상우 분)가 팝송 녹음 테잎과 기타 악보를 아버지(천호진 분)에게 들키면서 야단을 맞게 되는데 이 때, 훈계를 위한 어구로서 등장한다.


"너, 대학 못가면 뭔 줄 알아? 잉여인간이야!! 잉여인간!! 잉여인간알아? 인간떨거지 되는거야! 이 새끼야! 너 이렇게 속썩일려면 나가! 나가 뒤져! 이 새끼야!!"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하지만, 요즘은 태생이 무능하면 대학 나와도 떨거지다

영화 배경이 "대학 나오면 장땡"이었던 대학제일주의 시대였던지 이 영화를 안 본 사람들이 이 대사만 듣고 현수가 성적표에 성적이 영 좋지 않게 나와서 이렇게 된 줄 아는 사람들이 많은데, 틀린 이야기는 아니고 진짜로 성적이 안 좋게 나온 것을 지적하는 것도 사실이다. 위의 대사가 나오기 직전의 대사가, "너 이걸 성적이라고 받아온거야?"라고 했다.

2.1 잉여인간들의 군집성

보통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잘 모이는 곳(주로 포털 사이트나 게시판 종류)[3]에서는 당연히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잉여인간의 %는 동일해도 사람이 많아서 절대치는 높을테니. 그리 흔하지는 않지만, 진짜로 답이 없는 잉여인간만 몰려있는 사이트도 없진 않다.

사실 원래 뜻은 욕이지만 농담조로 쓰는 사례도 흔하다. 몇몇 게시판 운영 사이트는 개인 창작 작품을 올리는 게시판이 있거나, 아예 사이트 자체가 그걸 전문적으로 게시하기 위해 나왔거나, 또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유행이라서 관련 활동이 성행하기도 하는데, 개중에서 상당히 공을 들인 걸 보면 '저럴 공을 들일 시간에 다른거 하면 얼마나 했겠냐'는 농담조로 잉여인간이라고 한다.

또는 중독성 높은 웹게임노예가 된 이용자들이 그들 스스로를 잉여인간으로 칭하기도 하며, 다른 이들에게 여기 빠지지 말라고 열변을 토하지만 글쎄올시다.

3 곡 제목

언더그라운드 레이블 소울컴퍼니의 래퍼인 화나(FANA)의 데뷔 EP인 Brainstroming에 6번 트랙으로 수록된 곡. 가사는 역시나 1의 의미가 가득 담긴 내용으로 직접 찾아서 보면 잉여인간이 어떻게 사는지를 잘 알 수 있다(...) 아래 가사는 반복되는 후렴부분.

모든 게 귀찮아. 전부 재미 하나
없는데 니가 봐도 시간낭비잖아.
일 안하고 씻잖아도(씻지 않아)
심장만뛰잖아.
진짜 난 비참한 인간야(인간이야).

실로 잉여인간의 현주소를 제대로 보여주는 암울한 가사라 하겠다. 그러나 화나는 이러한 가사마저 ㅣ→ㅏ→ㅏ 라임으로 도배를 했다. ㅎㄷㄷ... 굵은 글씨 참조. 추가로, ㅣㅏㅏ에 대응하지 않는 3개의 조각은 ㅓㅜㅔ라임, 즉 앞의 18자는 6음절 단위 라임이다. 밑줄 참조.

1년 후 싱글에서 또다시 리믹스해서 발표하기도 했다.

어떤 PC방 알바가 이 곡을 일주일동안 무한반복으로 틀어 놓았더니 손님이 반이상 줄었다는 일화가 있다. 손님들 게임하다가 피꺼솟

4 소설

400x400px

  • 책 표지

400x500px

  •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1964년 작) 포스터

손창섭이 지은 단편 소설. 1958년작.

손창섭의 소설 중에선 〈〉과 함께 그나마 긍정적인 에너지가 있는 소설이다. 능력 있는 치과의사 서만기, 입으로 사회를 비판하기만 하지 그 안에서 뭔가를 이뤄 낼 의욕 따윈 없는 '비분강개파' 채익준, 항상 무기력한 채로 있는 '실의의 인간' 천봉우를 주인공으로 한다. 사실 서만기를 제외하고 남은 두 사람은 손창섭의 소설에 즐겨 나오는 함량 미달의 인간이다. 손창섭의 소설에선 항상 이런 이들이 주인공으로 나오는데, 그것은 손창섭 스스로가 기구하고 불안하게 살아와서 이런 '잉여인간'의 삶 말고 다른 방식의 삶은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스스로 밝혔다.

이 작품에서 모든 면에서 긍정적이고, 완전무결하게 그려진다고 생각하기 쉬운 서만기도 그리 결백한 캐릭터는 아니다. 사실 작중에서 서만기의 행적을 잘 살펴보면 나름대로 먹고 살 만한 능력을 가진 그도 결국 자력으로 일을 해결한 적이 없다(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이 두 가지 제시되기는 하지만, 어느 쪽이라도 유부남인 그를 사모하는 여자의 손을 빌려야 한다. 그의 도덕성에 흠집을 내는 일이다). 자기 판단으로 일을 결정내린 적도 없다. 그 역시 오로지 상황에 따라 흘러가기만 한다는 점에서는 친구 두 명과 다르지 않다. 그는 현실 앞에서 무력한 지식인의 롤모델 격 캐릭터인 셈이다. 또한 소설 결말부쯤에 그가 도덕적으로 타락할 것이라는 암시를 남김으로써(그런 장면이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우의 처에게 마음이 흔들리는 묘사가 있다) 그 역시 현실을 이겨내지는 못하는 인간임을 알리고 있다.

손창섭은 항상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함량 미달인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웠기 때문에 평단에서 지나치게 음울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런 평단의 평가를 의식하고 쓴 작품인 〈잉여인간〉은 제 5회 동인 문학상의 영예를 손창섭에게 가져다 주었다. 하지만 손창섭은 이 작품 이후에 다시 원래의 음울하고 기괴한 작품 세계로 돌아갔다. 그래도 시대가 시대인지라 긍정적인 인물이 고군분투하는 작품인 〈길〉을 남겼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 문단 자체를 버렸다(...). 흠좀무.[4]

다만 이후 발표한 〈길〉에서는 상경한 시골 소년의 서울 정착기를 소재로 해서 성적인 타락[5]을 목도했지만 성실하게 일하는 주인공을 전면에 내세워 현시창[6]을 해쳐나가는 모습을 그렸다. 봉우의 처에 해당하는 캐릭터인 여관주인이나 채익준에 해당하는 캐릭터인 약국 아저씨가 나오지만 전반적으로 잉여력 음울한 부분은 많이 없어졌다. 결말도 원금을 돌려받고 얼마뒤 모친의 사망소식을 듣고 내려가서 동생들을 데리고 다시 서울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여간 이 〈잉여인간〉을 읽지도 않고 제목만 듣고 이야기를 꺼내는 사람들이 있다. 당연히 내용을 모른다.

2010년 8월 말, 손창섭이 6월달에 사망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기사화되었다. 이에 각종 잉여들이 몰려들어 "잉여력을 주신 것에 감사하며, 애도를 표하는" 댓글"당신의 소설 때문에 내가 잉여소리를 듣는다."며 원망하는 댓글을 달면서 병림픽을 벌였다.

참고로 작품이 발표된 1958년 당시 설립된 치과대학은 서울대 치과대학이 유일하다. 동네에 있는 치과의사 아저씨처럼 서술되지만 사실 서만기는 서울대 출신이다. 거기다 간호조무사, 부인, 처제, 건물주의 사랑을 받고 있기까지 하다. 치과의사 판타지

여담으로 이 중에선 채익준이 가장 비참한데 묘사로 볼 때 일하러 나갔다가 머리를 다쳐서 뇌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세상의 부조리에 맞선다고 하지만 그런 자들의 현실을 보여준다는 의미일지도.
  1. 룸펜프롤레타리아트, 자본주의 사회의 가장 하층인 빈민층. 최하층 프롤레타리아트로, 거의 일을 하지 않고 취업할 의사도 없으며, 일정한 거주지도 없이 쓰레기통을 뒤지거나 구걸·범죄·매춘 등으로 그날그날 먹고 사는 부류를 말한다. 룸펜이 우리말 놈팡이의 어원이라는 주장도 있다.
  2. 그 덕에 동쪽의 에덴 더빙판에서도 니트를 잉여인간으로 대체하였다.
  3. 예시를 열거하면 폭주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열거하지 말 것.
  4. 이 점은 일단 논란이 심하지만 10월 유신 체제와 곧이어 벌어진 광주 민주화 운동에 따른 회의라는 시각도 있고 그의 자전적 소설 주인공 이름이 대놓고 손창섭씨다에서 보듯이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서 간신히 자리를 잡고 살았지만 해방 공간에서 사기를 크게 당해서 극빈층으로 떨어지고 일본에서 오래 있어서 한국문단과 거리를 두었던 고립감이 원인이기도 하다.
  5. 그가 일하는 곳이 어르신들 애인 데리고 자주 찾는 여관(...)이다.
  6. 여관주인은 노골적으로 주인공을 유혹하고... 거기서 나온 다음 만나는 아가씨들은 창녀들... 여친은 딴 사람과 결혼하고 모아 놓은 돈은 누구 빌려줬다가 원금만 겨우 돌려받는다. 야 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