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통계

< 자살(자살률에서 넘어옴)

1 국가별 자살률

#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매년 국가별 자살률을 발표한다.

보통 자살률은 '10만명당 자살하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낸다.

아이러니하게도 전세계 어느 나라든 여성의 자살률보다 남성의 자살률이 압도적으로 많다.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몇 배 이상 높은 것과는 정 반대의 결과인 것이다. 한국의 경우도 남성의 자살률이 여성의 자살률보다 2배 더 높다. 보통 남성은 심리적 특성이나 성 역할상 괴로움을 자기 자신이 끌어안고 혼자 앓는 경우가 많지만 여성은 남들과 교감을 통해 해소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 남자가 무리하게 버티다 꺾어진다고 하면 여자는 그냥 휘어진다고 할 수 있다. 남성의 자살률이 높은 이유를 남성의 높은 자살 성공률에서 찾기도 한다. 남성이 여성보다 자살 성공률이 높은 이유는 남성이 자살을 각오하였을 때, 여성보다 죽을 확률이 높은 극단적인 자살 방법을 택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높을 경우 저해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지 않기 위해 취하는 방법이 있는데, 방송 보도에서 자살이란 문구를 순화한다거나 되도록 보내지 않는 것도 방송학에서는 하나의 방법으로 평가한다. 좋은 예는 아니지만 영화 타인의 삶에서는 구 동독에서 일부러 자살률을 조작하는 방법을 취했다는 묘사가 나온다.

2 대한민국의 자살률

한국의 자살률은 원래부터 매우 높은 편이었다는 잘못된 주장이 있다. 기사에 따르면 1965년에 29.81명, 1973년 27.61명, 1975년 31.87명 수준이었다고 경향신문은 이호영 교수팀의 논문을 인용하며 주장한다. 그러나 이 기사는 유의해서 봐야 한다. 연세의대 이호영 교수의 논문 자료는 통계청의 공식집계가 아니며 기사 에 따르면 1988년의 자살률이 10만 명 당 18명이라고 논문에서 말하는데 여기서는 기사 1987년 자살률은 10만명당 47명이라고 나온다.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집계한 1987년 자살률은 8.2명이며 88년의 자살률은 7.3명인데 이호영 교수의 논문에서 나오는 자살률은 실제와는 상당 부분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호영 교수의 팀에서 분석했다는 70년대의 높은 자살률이란 자료는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며 군사 정부가 의도적으로 자살률을 낮게 하기 위해 조작했다는 이의 제기를 할 수 있지만, 그 후에 민주 정권 하에 통계청의 자살률 집계에서도 기존 군사 정부의 자살률 추세가 유지되거나 거기서 조금씩 올라가는 것으로 보아 조작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다.

2.1 통계청 수치

통계청 성 및 연령집단별 자살률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집계한 1987년 자살률은 8.2명이며 88년의 자살률은 7.3명으로 굉장히 낮은 수치였지만 IMF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자살률이 크게 늘기 시작, 2000년대 중반쯤에는 현재와 같은 높은 자살률을 보이게 되었다.

대한민국의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1]
연도10만 명 당 자살률총 자살자 수정부비고
1983년8.7 명3,471 명12대 정부 (전두환 정부)
1984년8.7 명3,498 명
1985년9.3 명3,802 명
1986년8.6 명3,564 명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1987년8.2 명3,425 명
1988년7.3 명3,057 명13대 정부 (노태우 정부)1988 서울 올림픽
1989년7.4 명3,133 명
1990년7.6 명3,251 명
1991년7.3 명3,151 명
1992년8.3 명3,628 명
1993년9.4 명4,208 명문민 정부 (김영삼 정부)
1994년9.5 명4,277 명
1995년10.8 명4,930 명
1996년12.9 명5,959 명
1997년13.1 명6,068 명12월 3일 IMF 사태
1998년18.4 명8,622 명국민의 정부 (김대중 정부)IMF 사태[2]
1999년15.0 명7,056 명
2000년13.6 명6,444 명
2001년14.4 명6,911 명
2002년17.9 명8,612 명
2003년22.6 명10,898 명참여 정부 (노무현 정부)OECD 1위[3]
2004년23.7 명11,492 명
2005년24.7 명12,011 명
2006년21.8 명10,653 명
2007년23.7 명12,174 명
2008년26.0 명12,858 명17대 정부 (이명박 정부)2008년 9월 세계금융위기
2009년31.0 명15,413 명
2010년31.2 명15,566 명
2011년31.7 명15,906 명전세계 3위[4][5]
2012년28.1명14,160명
2013년28.5명14,427명18대 정부 (박근혜 정부)
2014년27.3명13,836명
2015년26.5명13,513명12년째 OECD 회원국 자살률 1위

2.2 세계 상위권의 통계치

파일:Attachment/1309326suicide00.png
파일:Attachment/134741311622.jpg

한국은 OECD 국가 중 자살 사망률이 1위이며 타 국가에 비해 상당히 높다.[6] 특히 65세 이상의 노년층의 자살률이 (10만명당) 80명에 육박하고 75세 이상 자살률은 평균의 4배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두 번째 그래프를 보면 청소년 자살률은 러시아가 가장 높게 나오고 있으며 한국은 의외로 청소년 자살률이 낮은 편으로 나오고 있다.

자살자 수는 2006년 감소했다가 2007년 13.3%포인트, 2008년 5.6%포인트의 증가폭을 보였고, 경제위기가 닥친 17대 정부 2년째인 2009년 20%포인트 폭증했다. 2012년에는 한 영구 임대아파트에서 6명이 연속으로 자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7]

2014년 세계 보건 기구 보고서와 첨부된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자살 사망률은 2000년과 2012년을 비교할 때 109.4% 증가로 키프로스에 이어 세계 2위였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증가율만 본 것이고, 실제 자살 사망 횟수를 본다면 한국이 키프로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키프로스는 두 해 모두 (10만명당) 5명 이하 꼴로 실제 자살 사망률은 여전히 낮은 편이지만, 한국은 약 13명에서 30명 가까이 증가하였다.[8]

결론적으로, 한국의 자살 사망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고, IMF 이후 특히 많이 상승하였다. 다만 최근 6년간은 큰 변화가 없다.(31.0명->31.2명->31.7명->28.1명->28.5명->27.3명) 연령별로 비교하면 청소년과 청년층 자살률은 거의 변동이 없는데 비하여 노인 자살률은 4배 이상 상승했다. 이는 노인층들의 암울한 미래가 한몫한 것으로 추정된다….

2.3 통계청의 자살 통계 발표

2003년부터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사망원인 통계에 자살률을 포함하여 발표하고 있다. 즉, 자살률만 따로 발표하는 게 아니라 사망원인 통계에 자살률이 포함되어 있는 것. 보통 당해년도 통계가 이듬해 9월 말 경에 발표되고 있다. 때문에 다음해 3분기가 다되도록 2년 전 자료밖에 모르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즉 2015년 9월 중순인 현재까지도 <2013년 사망원인통계>가 최신 통계인 상황. 이듬해 년초나 1분기에는 발표할 수 있는 자료를 10개월이 다되어서 발표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정확한 설명은 드러나 있지 않다. [9]

3 관련 항목

  1. 통계청: 사망 원인
  2. 출처: (연합뉴스) 지난해 IMF 자살자 급증
  3. 이 해에 처음 1위를 기록한 이후 현재 2015년까지 12년 연속 OECD 가입국 중 자살률 1위를 기록중이다.여태까지 그래 와꼬 아패로도 개속
  4. [1]
  5. 단, 다른 국가 자료에 어느 정도 허수가 있거나, 연도가 다른 경우가 있으니 주의
  6. OECD 1위라고 막연하게만 보면 감이 안 오겠지만 이걸 수치 그대로 비유하자면 대충 한 달에 300세대 아파트 전 주민이 자살(1200명), 8개월이면 울릉도 전 주민이 자살(1만 명)할 정도로 많다는 것이다.
  7. 100일간 6명이…어느 영구 임대 아파트의 자살 행렬
  8. 오히려 북한은 2000년과 2012년을 비교할 때 자살 사망률이 18.6% 감소했다. 생계형 자살이 줄어서이겠지만 여전히 남한보다 매우 높다. 특히 여성 자살률은 세계 1위. 물론 북한 통계가 그렇듯이 추정이다. 북한 관련 통계치는 정보 수집이 힘들고, 해당국의 조작으로 오차가 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9. 일본에서는 법령이 근거하여 전월 자살률을 다음 달에 바로 발표한다고 한다. 이는 일본 자살예방종합대책센터장이 국내 학술대회에서 구두로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