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왕후

조선의 역대 왕비
성종
폐 제헌왕후 
성종
정현왕후
연산군
거창군부인
조선의 역대 왕대비
성종
인수왕대비
인혜왕대비
연산군
~중종
자순왕대비
인종
성렬왕대비
정현왕후(貞顯王后)
시호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
(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
출생지신창(新昌) 관아(官衙)
사망지경복궁 동궁 정침
본관파평(坡平)
배우자성종(成宗)
아버지영원부원군 윤호
어머니연안부부인 전씨
생몰
기간
음력1462년 6월 25일 ~ 1530년 8월 22일
양력1462년 7월 21일 ~ 1530년 9월 13일(향년 69세, 만 68세)
재위
기간
1473년 ~ 1480년(숙의)
1480년 ~ 1495년(왕비)
1495년 ~ 1506년(왕대비)[1]
1506년 ~ 1530년(왕대비)[2]

1 소개

조선 최초, 그리고 유일한 후궁 출신 왕대비[3][4]

조선 제 9대 국왕 성종의 3번째 왕비이자, 조선 제 11대 국왕 중종의 모후다.

2 숙의 시절

처음에는 간택후궁으로 뽑혀 입궁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전 윤씨가 폐서인 되어 1480년에 새 중전으로 책봉되었다. 이때 정현왕후의 나이, 19살이었다.

3 왕비 시절

새 중전이 되어 연산군을 돌보고 있던 와중인 1488년에 중종을 낳았다. 연산군에게는 거의 친어머니나 다름이 없었다. 어릴 적에 죽은 폐비 윤씨보다는 길러준 정현왕후에게 정을 느낀 듯 하다. 그녀도 나름 연산군에게 잘 해줬다고는 하나, 친자식을 낳음으로써 연산군에게 진성대군보다는 소홀히 했다고 추측된다. 그래도 연산군에게 잘 해줬다. 연산군을 즉위시키는 데에 가장 큰 공을 세웠다.

4 왕대비 시절

그러나 연산군이 갑자사화 당시 거의 미치광이로 돌변하면서 길러준 양어머니도 몰라보고 정현왕후의 침전 앞에서 정현왕후에게 침전 밖으로 나오라고 칼을 들고 소리를 질러댔고 정현왕후는 두려워 밖에 나가지 않고 방에만 있었다. 연산군은 정현왕후를 폐비 사건의 동조자로 본 것이다. 정현왕후가 숙의였을 당시 폐비와 사이가 좋은건 아니었지만 폐비과 사이가 좋지 않은 것도 아니었다. 또한 폐비 사사 당시 겨우 19살이었기 때문에 영향력도 없었을 것이다. 연산군의 오해로 정현왕후도 패륜을 당하고 말았다. 다행히 중전 신씨가 나와 이게 무슨 짓이냐며 말려서 연산군이 물러났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아들 중종이 옹립되자 진성이 아직 어려 부족한 점이 많은데 어찌 나라를 이끌 수 있겠소라며 체면상 한번 튕겼다가 경들의 뜻이 그러하다면 내 따르리다[5]라며 마지못해 승인하는 것처럼 어보를 찍었다.

새 임금이 왕위에 올랐지만 대왕대비로 승격되지 않고 그대로 왕대비였다. 정현왕후가 중종의 할머니가 아닌 어머니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당시 연산군이 폐위되면서 연산군의 비였던 신씨도 폐위되어 왕대비 자리에 새로 오를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며느리 문정왕후는 아들 명종이 보위에 올랐을 때 인종의 비인 인성왕후가 왕대비가 되어 문정왕후는 명종의 모후임에도 불구하고 대왕대비로 승격되었다.

1530년 69세를 일기로 경복궁 동궁 정침에서 사망하였다.

5 사후

사후 남편 성종이 묻혀있는 선릉에 동원이강릉 형식으로 묻혔다. 그런데 지금 정현왕후의 시신은 선릉에 없다. 임진왜란 당시 선정릉이 모두 파헤쳐졌는데 성종과 정현왕후의 능침에서는 잿더미만이 나왔다고 한다. 현재 선정릉에는 새로 지어올린 의복만이 묻혀있다.

6 사극

정현왕후가 살아온 시대는 조선왕실사의 격동기 중 하나였다. 시어머니가 인수대비, 의붓아들이 연산군, 며느리가 문정왕후니 말 다했다. 그래서 주연으로는 안 나오더라도 조연으로는 꾸준히 나온다. 특이한 점은, 사극에서는 한번도 젊은 시절과 노년 시절이 같이 나온 적이 없단 거다. 연산군대와 중종대가 분위기상 하도 따로 노는 시대라 정현왕후의 삶은 항상 반토막으로 나온다. 성종~연산대 사극을 보다가 중종대 사극을 보면 저 사람이 저 사람이야?라고 생각될 정도. 앞서 말했듯이 젊은 시절에는 후궁이었고 노년 시절에는 왕대비였기 때문에 동일 인물이라고 생각하기가 더욱 어렵다.

왕대비 시절을 묘사하는 대중매체에서는 보통 정현왕후보다는 자순대비의 호칭으로 등장한다.[6]

1984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중 하나인 설중매에서 최명길이 맡았다. 여기서는 숙의 시절부터 인수대비의 사망(왕대비 시절)까지 나온다. 이듬해인 1985년에 설중매 다음 편으로 방영한 풍란에서는 중종반정 이후의 정현왕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배우는 전작에 이어서 최명길. 비록 두 시리즈에 걸쳤지만 정현왕후의 일생이 처음부터 끝까지 나온 유일한 작품. 배우도 같아서 앞서 말한 이미지 갭이 좀 떨어진다. 그런데 이 때 며느리 문정왕후김혜자가 연기했다. 뒤바뀐게 아니고? 최명길이 김혜자의 딸뻘[7]인데도 시어머니 역할을 한 것이다.

kq22.jpg
1998년 KBS 대하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배우 윤지숙이 맡았다. 연산군을 많이 위해주고 중종반정 후에도 연산군을 폐주가 아닌 선왕이라 부른다.

2007_02_08_13_14_02_171.jpg
2001년 SBS 여인천하에서는 배우 이보희가 맡았다. 기존 사극에서의 정현왕후는 착하고 조용하기만 한 이미지였으나 여기서는 자애롭고도 강단 있는 인물로 나온다.[8] 천하의 문정왕후도 극 초반부에는 정현왕후에게 크게 혼이 나기도 한다. 나중엔 문정왕후를 많이 도와주긴 하지만. 호랑이를 키우는구나

2003년 MBC 대장금에서 맛있구나왕의 어머니 배우 엄유신이 출연했다. 장금이 궁녀가 되기 위한 시험에서 진가루(밀가루)를 잃어버려[9] 숭(배추)으로 만두를 만드는데, 상궁들은 장금이 정해진 재료로 만두를 만들지 않았다며 탈락시키지만 숭채만두를 본 정현왕후가 장금을 선발하라고 명한다. 장금이 의녀가 되고 나서 마늘을 싫어하는 정현왕후에게 마늘로 만든 환을 올리는데 뒤에 그 사실을 알고 화를 내지만 장금의 깊은 뜻을 알고 신뢰하게 된다.

htm_200803171156330201000002010700108-001.jpg
2007년 SBS 왕과 나에서는 배우 이진이 맡았다. 숙의 시절부터 왕대비 시절(중종반정 전)까지 나온다. 역시 착한 역할이다. 연산군을 진심으로 사랑한다.

2012년 JTBC 인수대비에서 한보배가 숙의~중전 시절, 고정민이 왕대비 시절을 맡아 연기했다. 인수대비에 치우쳐져서 분량은 그닥.
  1. 연산군 시절
  2. 중종 시절. 연산군이 폐위 됨에 따라 중전 신씨도 대비가 되지 못하고 폐비가 됐기 때문에 자순대비가 그대로 왕대비직 승계.
  3. 전임자이자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가 폐서인이 되고 사약을 마시지 않았더라면 이 타이틀은 폐비 윤씨에게로 돌아갔을 것이다.
  4. 후궁 출신 세자빈이나 후궁 출신 왕비는 있었어도 후궁 출신 왕대비는 정현왕후가 유일하고 또 뒷날에도 후궁 출신 왕대비는 없다. 후궁 출신 왕비의 경우도 훗날 200여년 뒤인 숙종때 되어서야 장희빈이 등장하고 마지막 후궁출신 왕비가 된다.
  5. 여인천하에서 이 대사가 그대로 나왔다. 다만 여기서는 진심으로 연산의 폐위를 슬퍼하였다
  6. 하지만 자순대비는 원래 틀린 표현이고 자순왕대비가 올바른 표현이다. 현종의 왕비인 명성왕후의 명성대비나 헌렬대비의 예처럼 자주 틀리는 호칭.
  7. 최명길은 62년생, 김혜자는 41년생이다. ㅎㄷㄷ
  8. 이미지가 변한 가장 큰 이유는 이전 사극에서는 죄다 후궁~왕비시절이었지만 여인천하에서는 왕대비 시절이기 때문.
  9. 명나라 사신에게 겁탈당한 노상궁이 낳은 어린 궁녀가 노상궁이 연로하여 궁을 떠나게 되자 마지막으로 만둣국을 올리고 싶어서 장금의 진가루를 훔친 것. 장금은 이 사연을 알고 차마 진가루를 돌려달라고 말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