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프 스틸웰

2WWstilwell.JPG

1942_Chiang_Soong_Stilwell_in_Burma.jpg
세상에서 제일 어색한 사진[1]

"만일 스틸웰이 중국 장군이었다면 추호의 의심도 없이 총살 집행대에서 끝장냈을 터였다."

- 클레어 리 셰놀트(Claire Lee Chennault)

중일전쟁 최대의 내부의 적

1 개요

미국육군 장성으로 최종 계급은 대장. 중일전쟁 당시 보여준 미칠 듯한 무능함으로 똥별이란 칭호가 전혀 아깝지 않은 인물이다.

2 생애

1883년 플로리다에서 출생했다. 1904년 미국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으며 이때의 화약고 폭발 사고로 눈에 큰 상처를 입었다.[2] 그 이후 톈진 조계지 주둔 미 육군 지휘관, 주중대사관 국방무관 등으로 중국에서 10여년을 복무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터졌을 때는 육군 중장 계급에 있었으며, 퇴역을 앞두고 있었으나 전쟁이 발생하면서 북아프리카 전선에 파견될 예정이었다. 그런데 장제스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중미관계의 친선을 위해 미국인 참모장을 보내 줄 것을 요구하면서 중국어에 능통한 그가 중국에 파견되었다. 그러나 버마 전역에서 패배하는 등 대규모 부대를 다루는 경험 부족과 무모한 공세 성향으로 인해 전과가 좋지 않았고 중국은 물론 영국 및 같은 미국인들과의 마찰도 극심했다. 적을 너무 얕잡아보는 성향이 강하여 창더 전투, 대륙타통작전의 파멸적 피해를 야기한 바가 있다.

1943년 인도에서 육성한 중국 육군 정예군인 X군과 영국군, 미 육군 메릴 부대, Y군과 연합, 버마를 탈환함으로 그나마 설욕을 했지만 중국군 지휘권을 가지려는 욕심을 부리다가 분노한 장제스에 의해 해고당했다. 이후 1944년 8월에 육군 대장으로 진급, 미 육군 지상군 사령관, 미 육군 10군 사령관 등을 거치다가 1946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3 평가

스틸웰의 영웅적 지위를 논하자면 그의 용기와 중국 문제에 관한 식견은 절대로 부인할 수 없다. (...) 타임의 시어도어 화이트는 뒤이어 스틸웰의 일기를 출판함으로 성인화 운동을 추진했다. 이 운동은 1970년 바바라 터크만이 스틸웰 전기를 출판해 퓰리처상을 수상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하지만 스틸웰의 전장 성과에 대한 기록으로는 그를 위대한 사령관으로 나타내기 어려웠다. 동시에 군사 정치 측면에서 그는 수행해야 할 사명을 완수하는 데 실패했고, 그가 장제스에게 제안한 것들은 더 큰 변화를 가져올 수도 없었다. (...) 근본적으로 말해 스틸웰이 이루고자 했던 목적과 그가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던 방식은 불가능했다.

- 조너선 펜비의 장제스 평전 532~533페이지
그(스틸웰)은 능력 있고 훌륭한 지휘관이었다. 취하 병사들을 거의 극한까지 내모는 일도 있었지만 그들로부터 많은 존경을 받았다. 그는 속이고 술수를 쓰고 무능한 것을 절대 참지 못하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또한 공격적이고 조심성이 없으며 고집스럽고 냉정한 판단을 하지 못하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를 싫어했다. 결론적으로 그는 중국에서 임무를 수행하기에 적당한 사람이 아니었다. 그 일을 하는데는 편견이 더 적고 외교적 수완이 더 많이 필요했다.

-리처드 번스타인, 1945 중국, 미국의 치명적 선택

직무에는 성실하였고 부하 장병들과의 연대심도 확실하였으나 기본적으로 군인이면서 정치에 너무 관여하였고 실전 경험이나 대규모 부대를 지휘하는 경험이 떨어져 중국에 재앙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언론플레이의 능력은 확실하여 1942년 버마에서 참패했을 때는 참패해서 걸어서 달아나는 주제에 동행한 기자들에게 불굴의 장군이라는 영예를 얻었으며(!?) 전후에 시어도어 화이트 등을 비롯하여 서구권 기자들은 스틸웰 장군은 유능하고 강직한데 무능하고 부패한 장제스와 중국 국민당이 모든 걸 망쳤다는 모함을 해 댔고 라이프 2차세계대전사 등 서구권의 중일전쟁을 다룬 저서나 매체들도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였었다.

이후 바바라 터크먼이 스틸웰 전기를 출판함으로 스틸웰 장군은 장제스에게 희생된 명장으로 알려졌고 중일전쟁 담론이 재평가되기 이전에는 이에 낚인 사람들이 미국은 미개한 중국을 도우려 했는데 부패한 국민당과 무능한 장제스가 모든 걸 망쳤다~라는 식으로 중일전쟁을 이해하게 되면서 그의 과장되고 왜곡된 명성은 공고화되고 중국의 명예는 땅을 쳤다.[3] 그러나 이후 스틸웰 장군이 태평양 전쟁 중에 싸지른 거한 똥들이 발굴되면서 이제는 5열, X맨으로의 명성이 자자하다.

별개로 미국의 반중공 보수주의자들과 장제스 지지자들은 스틸웰 장군이 마오쩌둥의 집권을 도왔다고 주장하기도 했지만 스틸웰 장군이 공산당을 들먹이며 장제스를 길들이려고 한 것과 별개로 스틸웰 장군이 공산당에게 도움을 준 것은 없으니 스틸웰 장군이 공산당을 직접적으로 지원했다는 비판은 무리한 비판이 되겠다.[4] 하지만 결국 스틸웰 장군의 무능한 작전으로 국민당의 주력 부대들이 파멸적 타격을 입고 국민당의 국제적 입지가 좁아졌으며 미국에서 반중 감정이 심화되었음을 생각한다면 아주 관련이 없다고 하기도 뭣한 감이 있다.

스틸웰 장군이 욕을 먹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3.1 군사적 무능함

우선 스틸웰 장군은 군인이면서 전선에서 지극히 무능한 모습을 보였다. 스틸웰 장군은 대규모 군대를 야전에서 지휘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었는데 아시아 전선을 총괄하는 어마어마한 자리가 떡 하니 주어진 것이었다. 애초에 미국이 스틸웰 장군에게 원하던 것은 그가 아시아의 연합군을 지휘하여 뭐 대단한 일을 해 보라는 것이 아닌, 루스벨트 행정부가 아시아의 연합국인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스틸웰 장군은 생전 처음으로 대군을 지휘하게 되면서 능력 밖의 목표만을 세웠다.

그가 처음으로 친 사고는 1942년 버마 전투였는데 연합국 내부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대하려했던 장제스가 영국에 버마 방위를 돕겠다고 제안하자 자신이 버마 원정군 10만 명의 지휘관이 되어 버마로 달려가서 10만 명을 통째로 날려먹었다.[5] 이유는 중화기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고 지형도 잘 모르고 민심도 험악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입지가 확대되는 것을 우려한 영국이 지극히 비협조적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스틸웰 장군이 무리하게 공세 작전을 펼쳤다가 박살이 났기 때문이다.

스틸웰 장군의 명령은 정상적인데 중국군이 무능해서 진 것이라는 개드립도 나오지만 우선 스틸웰 장군이 지휘하던 10만 명의 중국 육군은 장제스도 아끼던 정예병으로, 특히 쑨리런 휘하의 38사단은 대단한 전과를 올리기도 하여 영국 육군들은 중국 육군을 노련한 베테랑이라 칭송했다. 게다가 이 10만 명은 중국 전선에서 4년 간이나 일본과 싸워오며 많은 전과를 올린 부대인데도 스틸웰 장군의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그리고 스틸웰 장군의 패배 책임을 전가하기 위해서 무능한 군대로 매도당했다. 게다가 다 양보해서 중국군이 오합지졸들이라 해도 자신이 지휘하던 병력들의 상태도 점검하지 않고 지극히 불리한 상황에서 다짜고짜 공세를 명령한 스틸웰 장군의 작전이 근본적 문제인 것이지 중국군들에게 책임이 돌아가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 외에도 중일전쟁의 양상에 대한 이해도 없이 장제스와 국민당이 지형을 이용한 방어전 위주의 전략과 지연전, 소모전을 채택했다고 싸울 의지가 없는 무능하고 소극적인 자들이라고 일단 비웃고 봤다. 이러한 소모전 위주 전략은 경험을 통해 얻어낸 전략으로 일본 육군의 진격을 저지한, 매우 유효한 작전이었는데도 말이다. 이러한 점은 비단 스틸웰 장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미 육군 참모들도 답습한 무지한 오류였다. 그래 놓고 자신은 일본 육군을 얕잡아보고 공세를 지시했다가 버마에서 박살났다. 게다가 적을 근거 없이 깔보곤 했는데 그는 버마에 일본 육군 10개 사단이 주둔하고 있었음에도 5개 사단밖에 없다고 주장하며 마구잡이로 병력을 돌진시켰다가 크게 고생을 했다. 그리고 대륙타통작전 직전에도 장제스가 일본 육군의 대규모 공세를 예고하자 50만이나 되는 일본 육군이 집결하는데도 장제스의 엄살이라 주장하며 장제스의 유일한 예비대인 Y군을 버마로 보내 버리는 희대의 자폭 행위를 저질렀다. 그리고 자신의 무능함이나 실수에 대해 죽어도 인정할 생각을 하지 않고 무조건 남 탓만 하며 발악했다. 그런 주제에 야망은 커서 버마 탈환, 중국군 지휘권 박탈 등을 노리며 끈질기게 장제스를 괴롭혔고 심지어 장제스 암살 작전을 기도하기도 하였다.

3.2 정치적 무능함

(스틸웰의) 방식은 미국인이 선언한 민주주의와 민족 자결의 약속을 단지 조롱거리로 만들 뿐인 신식민주의를 중국에 강요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 조너선 펜비

그런가 하면 자신이 기본적으로 동맹국에 파견된 일개 장군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않고 난폭하고 일방적인 행동만 일삼았다. 장제스는 스틸웰 장군의 해임을 요구하면서 스틸웰 장군이 동맹간에 보여할 기본적인 상호 존중과 배려를 전혀 보이지 않은 사람이라 비난했다. 스틸웰 장군은 자신의 일기장에 장제스를 땅콩, 독사라고 비난하며 욕을 퍼부었고 인종차별주의와 편견으로 똘똘 뭉쳐서 중국을 조금도 이해하려 하지 않았다. 게다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는 인정하지 않고 자신의 야망을 달성하기 위해 동맹국인 중국을 폄하, 모함하는 것을 서슴지 않았으니 장제스와의 마찰은 극도로 심화되었다. 먼저 파견되었던 소련이나 독일 고문들, 하다 못해 다른 미국인 고문인 미 육군 항공 준장 클레어 셔놀트 장군이 장제스와 잘 지낸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었다. 스틸웰 장군은 장제스가 준 10만의 정예병을 말아먹고도 미안한 줄 몰랐으며 대륙타통작전 직전의 장제스를 무시해 놓고 중국군 50만 명의 목숨을 날렸을 때는 장제스는 당해야 정신을 차린다고 고소해하며 아마 장제스가 미국의 원조를 얻기 위해 일부러 져준 것이라는 음모론을 떠들고 다녔다. 그리고 장제스를 압박하기 위해 장제스에게 주어야 할 원조를 착복하며 장제스를 위협했고 공산당을 찬양하는 한편 본국에 장제스가 얼마나 한심하고 무능하고 망상에 찬 인간인지 헐뜯는 보고를 끊임없이 올림으로 미국의 대중 여론까지 망쳐놨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스틸웰 장군이 중미관계조율해야 했던 사람이라는 점에서 더욱 막장성이 두드러진다.

일개 장군이 무슨 중미관계를 조율해야 하냐는 반박도 있지만 당장 그의 직책 중 하나는 중미 사이의 연락관이었고 루스벨트의 대중 지원은 스틸웰 장군의 판단에 좌우되는 경우가 강했다. 만약 셔놀트 장군이 장제스가 직접 루스벨트에 연락을 넣어 스틸웰 장군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지 않았으면 중국이 받을 지원은 더욱 줄었을 것이다.

당장 스틸웰 장군의 해임만 해도 스틸웰 장군 자신이 자초한 것이었는데 스틸웰 장군은 장제스를 모욕하고 협박하면 장제스가 자신에게 지휘권을 바칠 것이라 확신했지만 실제로 장제스는 스틸웰 장군에게 지휘권을 주느니 그냥 미국과의 동맹을 끊겠다고 나왔고 잘린 것은 스틸웰 장군이었다. 바로 스틸웰 장군 옆에서 미국 특사 패트릭 헐리가 장제스를 자극해서 나올 것이 없다고 뜯어말린데도 날뛰다가 생긴 결과물이 자신의 해고였다.

3.3 성격적 결함

스틸웰 장군의 별명은 '삐딱한 조'였는데 그는 딱 자기 별명대로 굴었던 사람이었다. 조금이라도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태클을 걸고 보니 같은 미 육군 장교인 클레어 셔놀트 장군과의 사이도 심각하게 좋지 않았고 미 육군들인 메릴 부대조차도 스틸웰 장군의 지휘에 대해서 격렬히 반발할 정도였다. 그는 자신의 마음대로 상황이 돌아가지 않으면 무조건 남만 비난했는데 예컨대 그가 계획하던 버마 탈환 작전이 영미의 비협조로 순조롭지 않자 장제스도 미군의 도움 없이는 중국군을 제공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스틸웰 장군이 장제스 최정예 부대 10만명을 날려 버린 것을 생각하면 매우 당연한 것이었고[6] 그런 일이 없다고 해도 자기 나라 군대만 피 흘려야 하는 상황을 대뜸 받아들이는 지도자가 미친 거다. 그런데도 스틸웰 장군은 장제스가 정신 나간 미친놈이라고 욕을 퍼부으며 저주했다.

그리고 대륙타통작전으로 중국 전체가 박살이 나는 상황에서 장제스가 스틸웰 장군이 농간을 부려 뺏어간 Y군을 돌려 달라 하자 장제스를 잡놈이라 비난했다. 자신의 명예만 충족되면 그는 중국이 망하거나 말거나 신경도 쓰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장제스로부터 지휘권을 뺏을 수 있다면 '배가 침몰 직전까지 가도 상관없다'라고 할 정도로 그는 이기심에 쩔어 있었다. 이러하니 중일전쟁의 저자 권성욱 씨의 경우에는 스틸웰 장군이 불화만 불러오르는 사람이라 비판했고 장제스도 문제는 스틸웰 장군의 성격이라 지적한 바가 있다.

4 대중 매체

[[파일:/20160404_246/samka999_1459742955688csNHx_JPEG/%B5%B5%B8%C1%C3%C4.jpg]]
뒤에 있는 것에 신경 쓰면 지는 거다^

  • 영화 1941에서 주연급 인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
  1. 장제스, 쑹메이링, 스틸웰. 교과서나 역사책을 본 사람들은 한 번 쯤은 보았을 사진이다. 그러나 사진에선 웃고 있지만 실제로는 장제스와 스틸웰은 사이가 매우 나빴다.
  2. 왼쪽 눈은 완전히 실명했으며 오른쪽 눈은 두꺼운 안경이 필요했다.
  3. 당장 나무위키 장제스 항목의 로그를 보면 조지프 스틸웰 장군이 아이젠하워 급 명장(!)이라고 주장하는 양반이 등장한 바가 있으며 이 항목을 장제스는 문제 많은 사람이니 믿을 수 없다고 폄하하던 사람도 있었다.
  4. 무다구치 렌야가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라고 놀림받는 거하고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다. 사실 아군을 망쳐놓는 것은 간접적으로 적군에게 유리한 행동이기도 하고.
  5. 이 숫자는 당시 중국군의 전략예비대의 ⅓에 달하는 엄청난 수다.
  6. 원정군의 75%가 날라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