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행정

철원군
철원읍김화읍갈말읍동송읍
서면근남면근북면근동면
원동면원남면임남면

4읍 7면이다. 김화읍을 제외한 읍 지역은 모두 과거 철원군, 면 지역은 모두 과거 김화군이었다(물론 김화읍은 과거 김화군). 취소선을 그은 면은 일반 주민이 거주할 수 없는 구역인데, 옛 철원군 지역의 휴전선 인근 면들이 인근 읍에 병합된 것과는 달리 옛 김화군 지역에 속한 땅이라 부를 만한 곳도 없는 이들 면들은 통일을 대비해 면 행정단위 자체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봉인을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통일뿐.

1945년 기준으로는 철원군이 1읍 9면, 김화군이 1읍 11면이었다. 6.25전쟁 전에는 전지역이 북한지역이었으나, 1953년 휴전협정 체결로

  • 철원군은 북한이 마장면, 내문면, 북면의 3면 전지역, 인목면의 6개리 중 5개리, 묘장면의 4개리 중 2개리와 어운면의 북쪽 변두리를 가져간 대신, 인목면의 1개리와 철원읍을 포함한 나머지 1읍 5면은 남한에 있었다(1963년에 남쪽 인목면 절반과 신서면은 연천군 신서면으로 갔다). 묘장면과 어운면은 대부분이 남한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행정구역을 더 두기 귀찮다는 이유로 각각 철원읍과 동송읍에 편입되어, 지방의회 선거구를 읍면마다 1개씩 뽑던 당시 부활운동이 벌어지기도 하였다.[1]
  • 김화군의 경우 김화읍을 포함한 1읍 2면을 남한이, 나머지 4면을 북한이 가져갔다. 5면은 남한과 북한으로 갈라져 있고 비무장지대에 들어가 있는 곳도 있다.

1 구 철원군 지역

마장면, 내문면, 북면, 인목면은 전지역 혹은 거의 대부분이 북한지역이며, 묘장면과 어운면은 전술한 대로 상당 지역이 남한지역이지만 묻혔다. 묘장면 혹은 무장면은 없어진지 50년이 되었는데 이태준의 출생지여서 그 이름(畝의 한자 독음)이 어디가 맞는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진다. #

1.1 수복지역

1.1.1 철원읍

구철원이라고 불린다. 원래 읍소재지는 대략 중간인 관전리에 있었으나, 한국전쟁 때 공중분해 되고 흔적만 남은 채 사라진데다가 민통선으로 묶여 버리는 바람에, 현재 읍소재지이자 읍내의 유일한 시가지는 동송읍과 접경한 최남단인 화지리[1]에 꾸려져 있으며, 이 일대의 시가지는 철원읍 화지리와 동송읍 이평리에 걸쳐 연담되어 있다. 이후 휴전선 이남에 잔류한 묘장면(무장면) 지역이 철원읍 관할로 되었다(이 중에서 대마리는 민간인거주지역이다). 대마리에는 경원선 백마고지역이, 관전리에는 노동당사가 있다. 산명리에는 백마고지 전적비가 있다. 민통선 안으로 들어가면 외촌리에 철원역, 산명리에 산명호(저수지), 홍원리에는 월정리역과 전망대가 있다.

구 철원읍 지역 : 관전리·내포리·사요리·외촌리·월하리·율이리·중리·화지리
구 내문면 지역 : 독검리
구 묘장면 지역 : 가단리·대마리·산명리·중세리
구 북면 지역 : 유정리·홍원리

1.1.2 동송읍

원래는 동송면이었다. 1980년 12월 1일 동송면이 동송읍으로 승격하면서 지금과 같은 행정구역이 되었다. 읍소재지는 이평리. 시가지는 철원읍 화지리 일대와 연담되어 있다. 철원에서 가장 상업이 발달한 번화가인 동시에 철원 평야의 상당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곳이다. 동송시외버스터미널도 읍내에 위치한다. 김화 지역의 부대를 제외하면(거리가 멀기 때문) 철원평야 인근에 주둔한 부대 장병들은 외출, 외박시 대부분 이곳으로 나오는 편이다. 읍내에서 조금 벗어나면 오덕리가 있는데, 오덕초등학교도 있다(…)오덕교회도 있다. '메뚜기교'라는 희한한 이름의 다리가 TV를 탄 적도 있다. 구 동송면과 어운면 대부분. 철원에 있다는 파파이스 매장은 이평리에 있다.[2] 이길리 북쪽에 제2땅굴이 있다.

관광지로 도피안사라는 이 있다. 이외에는 담터계곡, 고석정, 직탕폭포, 학저수지, 토교저수지, 동송저수지가 있다.

똥송 한 곳이 아니다

1.1.3 갈말읍

읍소재지는 지포리. 신철원이라고 불리며[3], 김화와 구철원의 중간 지점에 자리잡고 있어, 현재 철원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옛 평강군 지역 중 유일한 수복지역인 정연리가 이 곳에 편입되어 있다. 군탄리에 여명 808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 한탄강을 끼고 있기 때문에 래프팅이나 번지점프 등의 레저 산업도 활발한 편이다. 명성산, 삼부연폭포, 순담계곡이 있다.

말갈과는 상관없다 근데 가끔씩 이렇게 쓰는 사람이 꼭 있다

1.1.4 묘장면

과거 면소재지는 중세리이며, 가단리·대마리·산명리를 관할한다. 거의 대부분의 지역이 수복되어 철원읍에 편입되었다. 대마리를 제외한 나머지는 민통선 내에 있다.

1.1.5 어운면

과거 면소재지는 하갈리이며, 강산리·양지리·이길리·중강리를 관할한다. 전 지역이 수복되었으나 휴전선 이남 민통선 내에 있는 관계로 동송읍에 편입되었다.

1.2 부분 수복지역

1.2.1 내문면

과거 면소재지는 창동리이며, 내문리·독검리·마방리·반석리·오동리를 관할한다. 1914년 철원군에 부분흡수된 경기도 삭녕군에 해당한다. 독검리만 수복되어 철원읍에 편입되었다.

1.2.2 북면

과거 면소재지는 회산리이며, 보막리·외학리·용학리·유정리·홍원리를 관할한다. 유정리와 홍원리가 수복되어 철원읍에 편입되었다.

1.2.3 인목면

과거 면소재지는 도밀리이며, 갈현리·검사리·덕산리·승양리·신현리를 관할한다. 검사리와 승양리를 제외한 나머지는 부분 수복되었다. 원래 인목면은 1914년 삭녕군이 폐지되면서 철원군에 편입되었으나, 1954년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따라 신서면에 흡수되었다. 1963년 신서면이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면서 같이 넘어가 버렸다(…). 어찌보면 좀 기구한 면. 덕산리에 열쇠전망대가 있다.

1.3 미수복지역

1.3.1 마장면

과거 면소재지는 장포리이며, 남원리·대전리·밀암리·왕피리·입석리를 관할한다. 1914년 철원군에 부분흡수된 경기도 삭녕군에 해당한다.

2 구 김화군/금성군 지역

2.1 완전 수복지역

2.1.1 김화읍

원래 김화군 소재지였으나, 전쟁으로 인해 군청은 아예 사라졌고(…) 읍사무소를 읍 최남단인 학사리[4]로 이전하였으며, 읍내의 기능은 읍사무소 바로 아랫마을인 서면 와수리에 완전히 넘어가버린 상태. 지금도 구읍의 중심지는 민통선 이북, 그 중 일부 지역은 비무장지대다. 남대천을 따라 들어선 도창리, 청양리와, 아직도 민북마을인 생창리가 있다. 원래 철원군과 다른지역이었다는 역사적 배경도 있겠지만 이곳 주민들은 타읍 철원주민들과 정서자체가 확연히 다르며 상당히 폐쇄적이고 보수적이다. 가끔씩 김화군 부활운동이 벌어지기도 한다. 김화에서는 철원의 경기도 편입도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으며, 철원이 경기도 편입열망이 번번히 막히는것도 김화권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가 한몫했다. 다시 말해 철원에 병합된 것도 억울(…)한데 왜 철원을 따라 경기도까지 같이 따라가야 하냐는 것. 물론 당사자인 경기도도 반응이 시큰둥하지만... 인구비율로는 동송 & 갈말권에 밀리면서도 군의회나 철원지역의 요직에서는 상당한 파워그룹을 형성하는 탓도 크다. 2007년 이후엔 조금 역전된거 같긴 하지만... 남쪽 어느 동네랑 정반대의 기믹

2.1.2 서면

서면인데 서쪽에 있지 않은 이유는 과거에 김화군 서면이었던 것이 이름이 그대로 남았기 때문이다. 김화 지역 최대의 번화가인 와수베가스와수리가 이 면 최북단에 있다. 면소재지는 자등리. (통칭 신술리 일대) 상해계곡이 있다. 47번 국도를 통해 포천시 이동면과 접한다. 그리고 제3보병사단의 사령부가 이곳에 있다.

2.1.3 근남면

면소재지는 육단리. 수피령을 통해 화천군(다목리, 사창리 방향)과 연결된다. 복주산, 잠곡저수지, 매월대가 있다.

2.2 부분 수복지역

2.2.1 근북면

과거 면소재지는 두촌리이며, 건천리·금곡리·백덕리·산현리·성암리·유곡리·율목리를 관할한다. 이 중에서 금곡리·백덕리·유곡리·율목리가 수복되었으며 민통선 내에 있다. 주민이 살 수 있는 곳은 유곡리 1곳뿐으로, 그나마 민통선 지역 안에 위치해 있어 통행이 자유롭지 않다. 행정업무는 김화읍사무소에서 대행하고 있다.

2.2.2 근동면

과거 면소재지는 교전리이며, 광삼리·방통리·수태리·아침리(…)·하소리를 관할한다. 이 중에서 광삼리와 방통리만 수복되었으며 민통선 내에 있다. 광삼리에 승리전망대가 있으며 금강산선이 휴전선을 넘어간다.

2.2.3 원남면

과거 면소재지는 개야리이며, 경상리·구룡리·남둔리·노동리·백양리·월봉리·주파리·죽대리·진현리·풍동리를 관할한다. 이 중에서 노동리·주파리·죽대리·진현리가 수복되었으며 민통선 내에 있다. 철원군에서 유일하게 화천군 농어촌버스가 다니는 지역. 주파령을 통해 화천군 상서면으로 빠진다. 당연히 민간인은 탑승 불가, 군 장병 휴가용 되시겠다. 칠성전망대가 주파리에 있으며, 방문을 원하는 민간인은 차량을 가지고 산양리에서 출입신청을 하면 방문 가능하다. 월요일은 휴무. 사실상 화천 생활권

2.2.4 원동면

과거 면소재지는 장연리이며, 등대리·방평리·세현리·송실리·용연리·율사리를 관할한다. 이 중에서 등대리와 세현리만 수복되었으며 민통선 내에 있다. 휴전선 밑에 아주 잠깐 걸쳐 땅이라 부를 만한 곳도 없다. 여기도 화천권.

2.2.5 임남면

과거 면소재지는 사천리이며, 과호리·노남리·달전리·두목리(…)·면천리·봉잔리·상판리·수동리·어운리·좌패리를 관할한다. 이 중에서 유일하게 수동리만 수복되었으며 민통선 내에 있다. 은근히 기온 관련 뉴스에 깨알같이 나오는 지역. 예를 들면 2010년 11월 9일 아침에는 영하 9도까지 떨어져 뉴스에 나왔다. 역시 철베리아 미수복된 북한 지역의 임남면에는 금강산댐으로 잘 알려져 있는 임남댐이 있다. 평화의 댐이 지어진 원인이 된 그 금강산댐 맞다. 여기도 화천권…일 뿐만 아니라, 원동면으로 넘어가려면 화천군으로 우회해야하는 실질 월경지이기도 하다.북한강 헤엄쳐서 건너다니면 되기는 된다 한편 구 면소재지를 비롯한 북한 지역 임남면 대부분은 금강산댐 수몰크리.

2.3 미수복지역

2.3.1 금성면

과거 면소재지는 방충리이며, 경파리·매회리·별양리·상리·어천리·초서리·탑거리·후천리를 관할한다. 1917년에 군내면(郡內面)에서 개칭되었다.

2.3.2 원북면

과거 면소재지는 추의리이며, 감천리·고대리·고직리·당현리·법수원리·탄감리를 관할한다.

2.3.3 창도면

과거 면소재지는 창도리이며, 기성리·득사리·방성리·성현리·유창리·태백리·학방리·회현리를 관할한다. 1914년에 기성면(岐城面)과 오산면(梧山面)이 합병되어 기오면(岐梧面)이 되었고, 1939년에 개칭되었다. 일부 지역은 금강산댐으로 수몰됨.

2.3.4 통구면

과거 면소재지는 현리이며, 당평리·도파리·보막리·북둔리·삼대리·장안리·통현리·화사리·화평리를 관할한다. 구 면소재지를 비롯한 대부분 지역은 금강산댐 수몰크리.

3 기타

근자와 원자가 붙은 이유는 1914년 일제가 김화군과 금성군을 병합하여 행정구역을 획정할때 김화쪽에 근(近), 금성쪽에 원(遠)을 붙여놓아서이다.
  1. 철원초중고가 같이 있다.
  2. 최근에는 맘스터치와 쥬시도생겼다.
  3. 시중의 각종 지도에서 갈말읍에 '갈말(신철원)'이라 표기한 것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4. 참고로 學士里가 아니라 鶴沙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