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리아/도구

테라리아 관련 문서
파일:Terraria npc.png파일:Terraria biome.png파일:Terraria mob.png파일:Terraria boss.png파일:Attachment/Goblin Battle Standard.png파일:Terraria modifier.png파일:32px Campfire Buff.png파일:Terraria achievement.png파일:Terraria tutorial2.png파일:Terraria Update.png
NPC 지형 몬스터 보스 이벤트 수식어 상태 업적 공략 패치
파일:테라리아/장비/철 헬멧.png파일:32px Cobalt Shield.png파일:Terraria Iron Pickaxe.png파일:32px Iron Broadsword.png파일:32px Lesser Healing Potion.png파일:테라리아/가구/화로.png파일:Attachment/Wrench.png파일:Attachment/32px Stone Block.png파일:32px Gold Bar.png파일:Terraria Crafting.png
장비 장신구 도구 무기 소모품 가구 전기 블록 재료 조합

* 하드모드 전용 콘텐츠는 로 표시합니다.
* #(숫자)는 아이템 코드입니다.

1 개요

도구는 종류마다 기능성을 갖춘 아이템이다. 크게 곡괭이, 도끼, 망치로 나뉘며 곡괭이는 블록을, 도끼는 나무를, 망치는 벽면을 부수고 블록의 높낮이를 바꿀 때 사용한다. 그 외 많은 도구들은 각 문단별로 사용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구 자체에도 공격력이 있으며, 또한 모든 도구는 일반적인 무기와 달리 꾹 눌러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동급 기준으로 실제 무기로 쓰기에는 힘들지만, 따로 대항할 만한 무기가 없거나, 있더라도 무기로는 어떻게든 활용하기 힘들다면 무기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구의 중요한 순서는 곡괭이 > 도끼 > 망치이다. 상위의 광물을 이 순서대로 투자하자. PC 1.2 패치로 유리 블록을 포함하여 모든 집을 꾸미기 위한 가구 등을 부수는 역할을 곡괭이가 가지게 됨으로써 곡괭이가 더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망치는 이제 기존의 벽면 파괴를 포함하여 블록의 높낮이를 바꾸는 역할로 바뀌어, 대부분 집 꾸미기에만 쓰이게 되었다.

2 곡괭이와 드릴

도구 중 한 분류로 블록, 잔디나 허브, 심어진 묘목을 부술 수 있는 도구이다. 테라리아 맵의 대부분이 블록이라는 것을 알아둔다면,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도구이다.

2.1 곡괭이

게임 전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도구이다. 무기로서는 공격력도 초반 도구중 그나마 높고, 속도도 좋아 무기가 없을 경우 자주 활용되지만, 넉백이 작아 적을 밀어버릴 용도로는 쓰기 힘들다.
캐릭터를 새로 만들 경우 구리 곡괭이가 지급된다.

공격력속도넉백
4빠름매우 약함

가장 낮은 등급의 곡괭이이다.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 경우 새롭게 지급되는 도구. 모루에서 구리 12개, 나무 4개로 직접 제작하거나 상인에게 구입할 수도 있다. 채광 범위가 1칸 하향되어 양쪽 4블록, 상하 2블록으로만 채광이 가능하다.
초반에는, 낮에는 그저 땅 파고 돌 캐는 곡괭이이지만, 밤이 되면 강력한 무기가 된다. 단검보다 약한데 어떻게 무기냐고 한다면, 단검은 범위가 작으므로 제외하며, 도끼는 느리지만 곡괭이는 속도도, 넉백도 아주 좋아서 떼로 몰려오는 좀비들을 상대하기에도 의외로 좋은 무기이다. 물론 초반 이야기. 철 검 만드는 순간 구리 곡괭이는 그냥 하찮은 곡괭이가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5빠름매우 약함

모루에서 구리의 대체 광물인 주석 12개와 나무 4개로 제작한다. 여기서부터 양쪽 5블록, 상하 3블록의 채광 범위를 가진다.

공격력속도넉백
5매우 빠름매우 약함

구리/주석 곡괭이보다 높으며 은/텅스텐 곡괭이보다 낮은, 두 번째 등급의 곡괭이이다. 모루에서 철 12개,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구리 곡괭이로 금/백금까지 채광이 가능하므로 사실상 철 곡괭이를 만드는 경우는 적다. 뭣보다 철은 철 모루와 제재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하므로 구리에서 곧바로 은으로 갈아타는 경우가 많다.
여담으로 일반 광물 곡괭이 중 나무를 1개 덜 사용한다.

공격력속도넉백
6매우 빠름매우 약함

모루에서 철의 대체 광물인 납 12개와 나무 3개로 제작한다. 역시 철과 마찬가지로 일반 광물 곡괭이 중 나무를 1개 덜 사용한다.

공격력속도넉백
6매우 빠름매우 약함

철/납 곡괭이보다 높으며 금/백금 곡괭이보다 낮은, 세 번째 등급의 곡괭이이다. 모루에서 은 12개, 나무 4개로 제작한다. 성능 면에서 납 곡괭이와 동일하다.

공격력속도넉백
6빠름매우 약함

모루에서 은의 대체 광물인 텅스텐 12개와 나무 4개로 제작한다. 은 곡괭이보다 속도가 약간 느리지만, 운석(Meteorite)을 채굴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등급의 곡괭이이다.

공격력속도넉백
6매우 빠름매우 약함

은/텅스텐 곡괭이보다 높은, 네 번째 등급의 곡괭이이다. 모루에서 금 12개, 나무 4개로 제작한다. 운석과 데모나이트 광석을 채굴할 수 있는 곡괭이므로 철, 은 곡괭이는 안 만들어도 금과 백금 곡괭이는 무조건 만들게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7매우 빠름매우 약함

모루에서 금의 대체 광물인 백금 12개와 나무 4개로 제작한다. 일반 광물 곡괭이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지니고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5빠름매우 약함

사막에서 자라는 선인장 15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다만 구리 곡괭이보다 나은 점이라곤 범위와 공격력 1밖에 없으니 순수히 수집용이거나 좋은 수식어를 뽑아내기 위한 것이 아닌 이상 만들 필요는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8매우 빠름약함

동굴에서 낮은 확률로 스폰되는 언데드 광부에게서 1.33% 확률로 얻을 수 있는 곡괭이이다. 능력면에서는 텅스텐 곡괭이와 같아 운석을 채굴할 수 있으며 백금 곡괭이와 동일한 채굴 속도를 지닌다.

공격력속도넉백
7매우 빠름매우 약함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선물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곡괭이이다. 금 곡괭이와 성능이 동일하다.

공격력속도넉백
9매우 빠름약함

커럽션이 있는 월드에서 만들 수 있는 중급 곡괭이. 모루에서 데모나이트 12개, 세상을 먹는 자가 드롭하는 그림자 비늘 6개로 제작한다. 여기서부터 칠흑석과 흑요석, 지옥석, 그리고 던전 블록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2빠름약함

크림슨이 있는 월드에서 만들 수 있는 중급 곡괭이. 모루에서 크림테인 12개, 크툴루의 뇌가 드롭하는 조직 샘플 6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4빠름매우 약함

하드모드 이전에서 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곡괭이이다. 모루에서 지옥석 주괴 20개로 만든다. 휘두를 경우 붉은 빛을 내뿜으며[1] 가장 높은 곡괭이인 만큼 하드모드 이전의 모든 흙, 돌 종류의 블록은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무기로 사용할 경우, 10% 확률로 화상을 입힌다.
그러나, 속도는 구리 곡괭이보다도 느려 정글에서 채굴할 땐 많이 답답하다. 실질적으로는, 하드모드 이후의 코발트를 채광하기 위한 곡괭이이다.
(지금은 바뀌어서 흑요석을 1회 회전으로 캐고 사신의 곡괭이와 악몽의 곡괭이는 2회 회전으로 캔다. )

공격력속도넉백
16빠름매우 약함

바다에서 낚시하여 낮은 확률(황금 낚싯대 기준으로 1%)로 얻을 수 있는 물고기 도구. 근데 물고기 주제에 무려 몰튼 곡괭이와 동급에 속도는 더 빠르다! 확률이 낮다지만 이런 놈을 초반부에 얻을 수 있게 된다면 다 필요없고 지옥에 가서 지옥석 캐고 갑옷 맞추면 끝이니...

공격력속도넉백
10빠름보통

하드모드 곡괭이 중 첫 번째 곡괭이이다. 모루에서 코발트 15개로 제작한다. 미스릴과 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2빠름보통

모루에서 코발트의 대체 광물인 팔라듐 18개로 제작한다. 하드모드 대체 광물(팔라듐, 오리칼쿰, 티타늄)의 특성상 기존 광물보다 주괴를 더 많이 요구하니 주의. 미스릴과 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5빠름보통

하드모드 곡괭이 중 두 번째 곡괭이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 15개로 제작한다. 아다만타이트와 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7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의 대체 광물인 오리칼쿰 18개로 제작한다. 아다만타이트와 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20빠름보통

하드모드 곡괭이 중 세 번째 곡괭이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 18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7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의 대체 광물인 티타늄 2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40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18개로 제작한다. 범위가 한 칸 늘어나 양쪽 6블록, 상하 4블록의 채광 범위를 가진다.

공격력속도넉백
32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유령의 주괴 18개로 만들 수 있는 곡괭이이다. 범위가 무려 세 칸이나 늘어나 양쪽 8블록, 상하 6블록의 채광 범위를 가진다.

파일:Terraria nebulapickaxe.png 성운의 곡괭이(Nebula Pickaxe)
파일:Terraria vortexpickaxe.png 소용돌이의 곡괭이(Vortex Pickaxe)
파일:Terraria stardustpickaxe.png 소성단의 곡괭이(Stardust Pickaxe)
공격력속도넉백
80매우 빠름보통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미나이트 10개와 각 기둥의 파편 12개로 제작하는 가장 높은 등급의 곡괭이. 범위 4칸 증가 옵션이 있다.

2.2 드릴

하드모드 전용 도구이다. 곡괭이처럼 휘두르는 방식이 아닌 마우스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이다.[2] 곡괭이보다 공격 범위도 좁고 넉백도 약하고, 공격력도 같거나 약해서 채광 시에 다가오는 몹들을 처리하기가 힘들다. 게다가 묘하게 채굴 속도가 같은 등급의 곡괭이보다 느리다. 이쯤 되면 왜 쓰는지 의문이 든다.

하지만 블록을 향해 꾹 누르는 대신 매우 빠르게 클릭한다면 기존보다 현저한 속도로 광물이 채굴되는 점을 볼 수 있다. 드릴을 이용하는 플레이어라면 팁이라면 팁.

참고로, 데이터 상에 태양 플레어/성운/소용돌이/소성단의 드릴이 있지만 게임 내에서 정상적으로 얻을 방법이 전혀 없다.

여담으로 대체 광물로 제작하는 드릴이 팔레트 스왑 돌려 쓴 그냥 드릴보다 멋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0빠름없음

드릴 중 첫 번째 드릴이다. 모루에서 코발트 15개로 제작한다. 미스릴과 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2빠름없음

모루에서 코발트의 대체 광물인 팔라듐 18개로 제작한다. 미스릴과 오리칼쿰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5빠름없음

드릴 중 두 번째 드릴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 15개로 제작한다. 아다만타이트와 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7빠름없음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의 대체 광물인 오리칼쿰 18개로 제작한다. 아다만타이트와 티타늄을 채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20빠름없음

드릴 중 세 번째 드릴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 18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7빠름없음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의 대체 광물인 티타늄 2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5빠름극도로 약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18개로 제작한다. 곡괭이와 마찬가지로 양쪽 6블록, 상하 4블록의 채광 범위를 가진다.
넉백 수치가 없기 때문에 최고 수식어가 Demonic인 다른 드릴과 달리, 넉백이 미약하게나마 존재하므로 최고 수식어는 Godly이다.

3 도끼와 전기톱

도구 중 한 분류로 나무를 부술 수 있는 도구이다. 게임 초중반에 나무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일부 도끼와 전기톱은 전투용으로도 쓸 수 있다.

3.1 도끼

게임 초중반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테라리아 내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가 곡괭이이지만, 나무를 얻기 위해서는 도끼가 필수적이다.
캐릭터를 새로 만들 경우 구리 도끼가 지급된다.

공격력속도넉백
3보통보통

가장 낮은 등급의 도끼이다.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 경우 새롭게 지급되는 도구. 모루에서 구리 9개, 나무 3개로 직접 제작하거나 상인에게 구입할 수도 있다. 여타 다른 구리 도구와 마찬가지로 범위가 1칸 하향되었으나 어차피 벌목할 때에만 쓰여서 크게 상관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4보통보통

모루에서 구리의 대체 광물인 주석 9개와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5보통보통

구리/주석 도끼보다 높으며, 은/텅스텐 도끼보다 낮은 등급의 도끼. 모루에서 철 9개,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6보통보통

모루에서 철의 대체 광물인 납 9개와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6보통보통

철/납 도끼보다 높으며, 금/백금 도끼보다 낮은 등급의 도끼. 모루에서 은 9개,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7보통보통

모루에서 은의 대체 광물인 텅스텐 9개와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금 도끼와 성능이 동일하므로 텅스텐과 금이 같이 존재하는 월드에선 금 도끼를 안 만들어도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7보통보통

은/텅스텐 도끼보다 높은 등급의 도끼. 모루에서 금 9개,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8보통보통

모루에서 금의 대체 광물인 백금 9개와 나무 3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0보통보통

금/백금 도끼보다 높은, 다섯 번째 등급의 도끼이다. 모루에서 데모나이트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과 넉백이 좋아서 데모나이트 무기인 빛의 파멸 대신 쓰이기도 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2느림보통

모루에서 데모나이트의 대체 광물인 크림테인 10개로 제작한다. 역시 밤의 전투도끼와 마찬가지로 대미지와 넉백이 좋고, 누르고 있으면 계속 공격이 나오므로 수식어가 좋은 것이 나오면 이것을 쓰기도 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3느림보통

하드모드 도끼 중 첫 번째 도끼이다. 모루에서 코발트 10개로 제작한다. 1.3.1 이후 스프라이트가 업데이트 된 듯 하다

공격력속도넉백
36느림보통

코발트의 대체 광물인 팔라듐으로 만들 수 있는 도끼이다. 모루에서 팔라듐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9느림보통

하드모드 도끼 중 두 번째 도끼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41느림강함

미스릴의 대체 광물인 오리칼쿰으로 만들 수 있는 도끼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오리칼쿰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43느림강함

하드모드 도끼 중 세 번째 도끼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 12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44느림강함

아다만타이트의 대체 광물인 티타늄으로 만들 수 있는 도끼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티타늄 12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70보통강함

하드모드 도끼 중 네 번째 도끼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18개로 제작한다.

3.2 전기톱

하드모드 전용 훌륭한 대화수단도구이다. 도끼처럼 휘두르는 방식이 아닌 마우스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이다. 전투도끼보다 공격력이 약한 대신 속도가 빠르다. 좀비나 고기벽을 갈면서 쾌감을 느끼는 부가 기능도 있다.
참고로, 데이터 상에 태양 플레어/성운/소용돌이/소성단의 전기톱이 있지만 게임 내에서 얻을 방법이 전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13빠름매우 약함

바다에서 낚시하여 얻을 수 있는 물고기 도구. 전기톱 중(?) 유일하게 하드모드 이전에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능력 면에선 코발트 전투도끼와 동일하다.

공격력속도넉백
23빠름매우 약함

전기톱 중 첫 번째 전기톱이다. 모루에서 코발트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6빠름매우 약함

코발트의 대체 광물인 팔라듐으로 만들 수 있는 전기톱이다. 모루에서 팔라듐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9빠름매우 약함

전기톱 중 두 번째 전기톱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1빠름약함

미스릴의 대체 광물인 오리칼쿰으로 만들 수 있는 전기톱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오리칼쿰 10개로 제작한다. 캐릭터를 보라색으로 깔맞춤하고 이걸 들면 유즈키 유카리가 된다 카더라.

공격력속도넉백
33빠름보통

전기톱 중 세 번째 전기톱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 12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4빠름보통

아다만타이트의 대체 광물인 티타늄으로 만들 수 있는 전기톱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티타늄 12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50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18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20빠름아주 강함

하드모드 일식 이벤트의 도살자가 2.5% 확률로 떨어뜨리는 근접 무기. 전기톱의 기능을 가지므로 나무를 벨 수 있다. 공격 시 스파크가 튀면서 뒤에 있는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화상을 건다. 사거리는 역시 짧지만 사이코 칼도 씹어먹을 공격력을 갖고 있다. 넉백이 강해서 넉백 저항이 없는 일반 몹들로부터는 피격을 잘 허용하지 않는다. 소서로 피흡 장비를 끼고 사용하면 파편이 튀기며 체력이 차는 신기한 광경을 목격 할 수 있다. 모티브는 당연히 텍사스 전기톱 학살.

4 망치와 착암기

도구 중 한 분류로 벽면을 부수고 블록을 반 블록이나 경사면으로 만들 때 사용한다.
생존이 목적인 초반에는 크게 필요가 없는 도구이다. 커럽션이나 크림슨의 나무로 만들어서 하드모드 이전까지 가도 충분하다. 하드모드에선 악마의/크림슨 제단을 완승의 망치(Pwnhammer)로 부수어 하드모드 광물을 생성하는 데 쓰인다.
참고로, 데이터 상에 태양 플레어/성운/소용돌이/소성단의 망치가 있지만 게임 내에서 얻을 방법이 전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2매우 느림보통

작업대에서 나무 8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초반에는 망치가 별 쓸모가 없으므로 폰해머 얻을때까진 그냥 이걸 쭉 써도 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Rich Mahogany Hammer.png 마호가니 망치(Rich Mahogany Hammer)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alm Wood Hammer.png.png 야자나무 망치(Palm Wood Hammer)
공격력속도넉백
4느림보통

작업대에서 아한대나무/진한 마호가니/야자나무 8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hadewood Hammer.png 그늘나무 망치(Shadewood Hammer)
공격력속도넉백
7보통보통

작업대에서 칠흑나무/그늘나무 8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9보통보통

작업대에서 진주나무 8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4느림보통

모루에서 구리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6느림보통

모루에서 주석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7보통보통

모루에서 철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8보통보통

모루에서 납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9보통보통

모루에서 은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9보통보통

모루에서 텅스텐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금 망치와 성능이 동일하므로 텅스텐과 금이 같이 존재하는 월드에선 금 망치를 안 만들어도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9보통보통

모루에서 금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10보통보통

모루에서 백금 10개와 나무 3개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망치이다.

공격력속도넉백
24매우 느림보통

모루에서 데모나이트 10개와 그림자 비늘 5개로 제작. 그림자 비늘이 포함되므로 세상을 먹는 자를 잡아야 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3매우 느림보통

모루에서 크림테인 10개와 조직 샘플 5개로 제작. 조직 샘플이 포함되므로 크툴루의 뇌를 잡아야 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4빠름보통

언더그라운드 이하 깊이의 지역에서 낚시하여 얻을 수 있는 물고기 도구.

공격력속도넉백
26보통매우 강함

폰해머라고도 불린다. 보스 월 오브 플레시에게서 획득할 수 있다. 효율이 꽤 좋고, 하드모드에서 악마의/크림슨 제단을 부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
월 오브 플레시가 100% 확률로 드롭하니, 실수로 팔아버렸거나 날려먹었으면 다시 잡아서 얻으면 된다.
손잡이가 픽액스 액스와 똑같고 색도 똑같은 것을 보면 원래는 모루에서 만드는 도구로 설정하려고 한 듯하다.

공격력속도넉백
26보통매우 강함

기계 보스를 하나라도 잡은 다음 트러플에게 금화 40닢을 주고 입수 가능. 버섯 창과 비슷하게 휘두르면 버섯 잔상을 남겨 벽을 관통하는 피해를 준다. Pwnhammer와 성능도 동일하고 이걸 주 무기로 쓸 것도 아니니 굳이 살 필요는 없다. 망치를 뜻하는 Hammer와 버섯을 뜻하는 Mushroom의 합성어이다.

공격력속도넉백
80느림매우 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18개로 제작하는 망치. 공격력과 넉백이 매우 강해서 같은 클로로파이트로 만드는 클레이모어나 기병도 대신 쓰이기도 한다. 단, 속도는 그만큼 느리니 주의.

공격력속도넉백
45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18개로 제작하는 착암기. 착암기는 이게 유일하다. 속도와 성능이 디 액스에게 완전히 밀려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5 이중 도구

두 가지의 능력이 합쳐진 도구이다.

5.1 곡괭이+도끼

곡괭이와 도끼 능력이 합쳐진 도구. 신성한 주괴로 만드는 도구와 골렘이 드롭하는 픽소우가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35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신성한 주괴 18개와 하드모드 기계 보스(쌍둥이, 파괴자, 스켈레트론 프라임)들이 각각 드롭하는 영혼 1개로 제작. 하드모드에 처음 진입한 유저가 클로로파이트를 채굴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이름은 곡괭이를 뜻하는 'Pickaxe'와 도끼를 뜻하는 'Axe'를 섞어놓은 말장난인데 직역하면 '곡괭이 도끼'가 된다(...). 제작자가 이름 짓기 어지간히 귀찮았나 보다.

공격력속도넉백
35빠름보통

픽액스 액스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조합해서 얻을 수 있는 이중 도구로, 드릴처럼 마우스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이다. 픽액스 액스와 마찬가지로 클로로파이트를 채굴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드릴의 특성상 채광 속도가 느리므로 빠른 채광을 원한다면 픽액스 액스를 만드는 것이 좋다.
버전 1.2 패치 이전 당시에는 곡괭이, 도끼, 망치 세 개의 모든 기능을 다 갖고 있어서 햄드랙스 (Hamdrax, Hammer + Drill + Axe)라는 이름이였고 때문에 당시 최고의 도구여서인지 그만큼 드랙스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우선 그 조합법이 현 버전 (1.3 이후) 테라리아에서는 보기가 힘든, '굉장히 많은 아이템'을 요구하는 조합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은 코발트 드릴 + 코발트 전기톱 + 미스릴 드릴 + 미스릴 전기톱 + 아다만타이트 드릴 + 아다만타이트 전기톱 + 힘의 영혼 1개 + 시야의 영혼 1개 + 공포의 영혼 1개. 즉 당시에는 드랙스를 만들기 위해 코발트 광석 75개, 미스릴 광석 100개, 아다만타이트 150개를 캐내야 한다. 1.2 패치 이후 망치의 새로운 기능인 블록 다듬기가 추가되었는데 더 이상 블록을 다듬는 망치와 블록을 부수는 곡괭이의 기능이 함께 어우러질 수가 없게 되어 드랙스 (Drax, Drill + Axe)로 변경되고 당연히 망치 기능도 사라졌다. 그리고 이제 대체광물인 팔라듐, 오리칼쿰, 티타늄이 추가되어 이 대체 광물로 만든 도구까지 조합법에 넣기가 어려운 모양인지[4] 기계 보스 처치 시 신성한 주괴가 나오도록 하였고, 그 신성한 주괴 18개로 만들 수 있게 조합법이 이전에 비해 엄청 단순하게 바뀌었다. 하지만 드랙스는 발전에 필요한 녹조류를 캘 수 있는 첫 도구이기에 얻는 방법을 어렵게 하기 위함인지 1.2.3 패치로 삭제된 영혼이 다시 추가되어 현재와 같은 조합법이 되었다.
어째서인지, 안드로이드 모바일 테라리아에선 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 희귀하게 발견 가능하다. 모바일 한정으로 하드모드 이전에는 구할 수 있는 도구. 선물 상자 개봉 시에도 나온다.

공격력속도넉백
45매우 빠름보통

쉬루마이트로 제작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쉬루마이트 주괴 18개로 제작한다. 픽소우보단 빠른 채광 속도를 가지고 있으나, 범위가 -1칸으로 구리 곡괭이와 동일한 채광 범위를 가지고 있다.
스마트 커서를 사용 시 빠른 땅파기에 매우 적합하다. 터널 뚫을 일이 많을 때 하나라도 만들어두자.

공격력속도넉백
34매우 빠름강함

정글의 리자드 사원의 골렘에게서 획득할 수 있는 이중 도구. 리자드 사원의 벽돌을 채굴할 수 있으며, 채광 범위가 1칸 향상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Pickaxe(곡괭이) + Saw(톱)의 합성어. 1.3 패치 이전 디 액스와 함께 가장 최상위의 도구였고 속도도 빠른게 특징. PC 1.3 이후에는 루나 이벤트의 재료로 만드는 루나 곡괭이들보다 범위가 좁고 성능이 약간 낮지만, 그 쪽은 우선 달의 군주를 최소 1번 이상 처치해야 얻을 수 있는 반면 픽소우는 골렘을 주구장창 잡기만 하면 얻을 수 있고 화성의 광기에서 얻을 수 있는 레이저 드릴은 범위가 넓지만 드릴의 특성이 있어서 채광 속도가 느리다. 이 때문에 한 번 픽소우를 얻어둔다면 거의 평생을 쓴다.

공격력속도넉백
35빠름없음

PC 1.3에 나온 이중 도구이며 화성 이벤트의 보스인 화성인 우주선 (Martian Saucer)에게서 얻을 수 있다. 픽소우보다 곡괭이 파워와 도끼 파워가 높고[5] 리자드 벽돌을 포함한 모든 블록을 캘 수 있고 채광 범위가 최대 10블록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기계 도구에 속하기 때문에 그 특성상 채굴 속도는 굉장히 느리다. 장거리 채광이라는 특징이 있으므로 굳이 가지 않고도 블록이나 가구를 파괴 및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 건축의 용도로 자주 활용된다.
참고로 공격 판정이 있는 부분은 레이저 기둥이 아닌, 블록을 캐낼 수 있는 앞 부분이다. 근접 무기의 형태이므로 블록으로 막혀있다면 공격을 가할 수 없다.

5.2 도끼+망치

망치와 도끼 능력이 합쳐진 도구. 햄액스(Hammer+Axe) 종류와 플랜테라가 드롭하는 디 액스가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20보통강함

도끼와 망치의 기능이 들어가 있는 햄액스 도구. 모루에서 운석 주괴 2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20보통강함

모루에서 지옥석 주괴 15개로 제작한다. 적을 공격 시 10% 확률로 불이 붙는다.

공격력속도넉백
60보통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유령의 주괴 18개로 제작한다. 역시나 다른 유령 도구와 마찬가지로 범위 3칸 증가 옵션이 있다.

파일:Y7IZsiY.png 성운의 햄액스(Nebula Hamaxe)
파일:CJq3DAA.png 소용돌이의 햄액스(Vortex Hamaxe)
파일:PsmCht9.png 소성단의 햄액스(Stardust Hamaxe)
공격력속도넉백
60보통강함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미나이트 12개와 각 기둥의 파편 14개로 제작하는 높은 등급의 도끼이자 망치. 범위 4칸 증가 옵션이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72빠름강함

플랜테라에게서 2% 확률로 획득할 수 있는 이중 도구. 사용할 때마다 특유의 기타음이 난다. 일단 범위 옵션이 +1밖에 안 되는 대신 속도와 성능이 루나 이벤트의 햄액스보다 좋아서 1.3 이후 한물 간 픽소우와 달리 여전히 최상위 등급의 도구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드롭률이 드롭률이다보니 기타 소리 때문에 시끄러운게 단점이라면 단점.
테라리아 제작진도 얻기 힘든 걸 아는지 1.3 업데이트 이후 드롭률이 0.5% → 2%가 되었다.

6 탐사 및 이동용 도구

기구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주로 물속의 항아리나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획득하며, 상인이나 해골 상인이 판매하기도 한다. 또한 해파리를 죽여도 얻을 수 있다.
광원 아이템으로, 횃불과 달리 물속에서도 쓸 수 있고 좌클릭을 하면 투척이 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형광봉을 다시 회수할 수 있으며, 맵을 나갔다가 들어오면 사라진다.
손에서 형광봉 5개와 젤 1개로 제작. 형광봉 표면에 끈적이는 젤을 발라 블록에도 쩍 달라붙는다. 이때, 붙어있는 블록이 파괴될 경우 그대로 떨어진다.
손에서 형광봉 5개와 분홍 젤 1개로 제작. 형광봉의 효과를 내면서 지형에 퉁퉁 튀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지하에서 나오는 해골 상인에게 살 수 있는 광원 아이템으로, 들고 있거나 던질 경우 주변의 광물, 보석, 상자가 빛이 난다. 동굴 탐험가의 포션의 마이너 버전.
지하 및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는 무기로, 상인에게서 구매할 수 있는 조명탄, 푸른 조명탄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피해량이 매우 약해 전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적에게 맞추면 불이 붙는다. 발사된 조명탄은 접촉한 블록에 달라붙어 임시로 횃불 역할을 한다. 물속에서도 사용가능. 이 조명탄은 월드를 나가기 전이나 추가로 50개 이상을 박아놓지 않는 한 기존 자리에서 사라지지 않고 붙어 있는다. 사용 속도는 매우 빠름 정도이고, 수식어를 아예 붙일 수가 없다.
공격력넉백
1극도로 약함
조명탄 발사기와 함께 사용되는 탄약. 적을 관통하고 화상을 입힌다. 조명탄 발사기를 인벤토리에 소지한 뒤 상인에게 구입하거나 지하의 상자에서 조명탄 발사기와 함께 발견된다.
파란 조명탄은 상인에게 구입해서 얻을 수 있다. 능력은 일반 조명탄과 동일하다.
주로 항아리나 지상의 나무 상자에서 획득하며, 상인이나 해골 상인이 판매하기도 한다. 상하 방향키로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다. 횃불과 함께 초반 동굴 탐사의 필수 아이템. 가만히 앉아서 클릭만 해도 저절로 내려가므로 상당히 편리하고, 위쪽으로 설치해나가면서 올라가는 것도 가능하다. 헬레베이터, 하늘섬 찾기, 동굴 탐사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아이템. 그리고 누구나 날개나 비행형 탈것을 가지게 있는 극후반에 가면 보기 흉해서 치우게 된다. 그야말로 초반용 아이템. 물론 인테리어의 목적으로 설치해둘 수도 있다.
밧줄 10개로 제작. 플레이어가 직접 원하는 위치에 투척할 수 있다. 그 이외엔 밧줄 10개를 늘어뜨린 것과 별다른 게 없다. 어차피 중력의 법칙을 무시하면서 밧줄을 머리 위로 설치하면서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초반에 호기심에 한두개 만들어서 던져보고 버리게 된다. 커럽션의 협곡 같은 곳을 건널 때 사용해도 되겠지만 차라리 나무 플랫폼을 설치하는 것이 훨씬 낫다. 묘하게 던졌을 때 설치되는 밧줄이 10개보다 적을 때가 많다.
악세사리인 식물 줄기 밧줄 가이드(Guide to Plant Fiber Cordage)를 착용했을 때, 덩굴을 자름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정글의 덩굴도 가능하므로 덩굴이 아주 잘 자라는 정글을 갈 때 많이 베어가면 순식간에 밧줄 한 묶음을 구할 수 있다.
덩굴 밧줄 10개로 제작.
손에서 거미줄 1개로 3개를 제작. 동굴 안에서 밧줄이 떨어졌을 때 임시방편으로 거미줄로 급조해서 사용할 수 있다.
거미줄 밧줄 10개로 제작.
베틀에서 비단 1개로 30개를 제작. 비단은 거미줄 7개로 만들며, 그 7개로 밧줄 70개를 만들 수 있음을 생각해보면 비단으로 만드는 것이 손해이지만, 거미줄이 무한히 생성되는, 특히 큰 크기의 거미굴을 발견했다면 큰 의미는 없다. 물론 거미줄이 원할 때 즉각 나오는건 아니지만 게임 상 하루정도 지나면 100개 정도는 모아갈 수는 있다.
비단 밧줄 10개로 제작.
PC 1.3.2 버전에서 추가된 밧줄의 바리에이션 아이템으로, 파티가 진행 중일 때 파티 걸에게 동화 50닢을 주고 살 수 있다.
동굴/지옥의 항아리, 지하의 황금 상자, 그리고 폭탄 동상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폭파 전문가가 개당 은화 3닢에 판매하기도 한다. 이 폭탄은 땅을 파내어 광산을 만드는 데에 아주 좋으며 던진 뒤 3초 후 폭발한다. 폭탄으로 피해를 입을 경우 플레이어에게는 200만큼의 피해량을 받으므로 주의하도록 하자. 적에게도 피해를 입힌다. 폭탄을 포함한 대부분의 폭발물들은 던전 벽돌, 리자드 벽돌, 하드모드 광석, 하드모드 이전의 지옥석, 악마의/크림슨 제단, 상자형 아이템은 부술 수 없다. 하드모드 이후에는 지옥석도 폭발물에 파괴된다.
손에서 폭탄 1개와 젤 1개로 제작. 폭탄 표면에 끈적이는 젤을 발라 블록에도 쩍 달라붙는다. 이때, 붙어있는 블록이 파괴될 경우 접착식 폭탄은 그대로 떨어진다.
주로 천장이나 옆으로 길을 뚫기 위해 사용된다. 던전에서 가시 정리 용도로 사용해도 좋다.
손에서 폭탄 1개와 분홍 젤 1개로 제작. 마구 튄 다음에 폭발한다.
낚시로 얻을 수 있다. 접착식 폭탄과 비슷하다. 여담으로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에 동명의 적이 있다.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으며, 폭파 전문가가 개당 은화 20닢에 판매하기도 한다. 던지는 폭발물 중 가장 위력이 강력한 폭발물로 5초 후 자동으로 폭발한다. 폭발 범위는 반경 14피트(7블록)이며 피해는 적한테 250, 아군한테 500의 피해를 주므로 잘못하면 황천길 가게 되므로 주의하도록 하자.
손에서 젤 1개와 다이너마이트 1개로 제작. 다른 접착식 폭발물과 마찬가지로 블록에 달라붙는다.
손에서 분홍 젤 1개와 다이너마이트 1개로 제작. 던지면 터지기 전까지 마구 튀는데 방향을 잘 맞추면 튀지 않고 굴러가서 더 멀리 가기도 한다. 마구 튀는 특성이 있으므로 잘못해서 터지는 타이밍에 다시 자신에게 돌아올 수 있으므로 멀리 피해야 한다. 대충 이런 꼴.
모바일에서만 등장. 작업대에서 다이너마이트 5개, 물병 1개로 제작한다. 폭발하면 "할렐루야!"라는 효과음과 함께 다이너마이트의 2배 반경 범위를 날려버린다. 공격력은 가장 높은 600. 모티브는 몬티 파이튼의 성배[6]에서 등장하는 안티오크의 성스러운 수류탄. 최근에 재료에서 금괴가 사라지면서 만들기도 용이해진 편. 그래서 극초반에 만들어서 놀다가 폰 던지는 경우도 많아졌다.
파일:1RyNfzr.png 얼음 거울(Ice Mirror)
일종의 포탈. 마법 거울은 지하 및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얼음 거울은 설원 지하의 얼음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사용하면 지정된 스폰 장소(침대)로 이동한다.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들이 설원 지하의 얼음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보다 구리지만 이 아이템 하나 때문에 강제로 동굴을 탐색하게 된다(...). 참고로 얼음 거울은 1.3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PDA와 합쳐서 후술할 휴대전화를 제작할 수 있다.
PDA와 마법 거울 또는 얼음 거울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다. 시간, 높이, 좌표, 날씨, 낚시 파워, 달의 모양, 속도, DPS, 보물 탐지, 적의 수, 희귀 생물체 감지, 죽인 몹 수 총 열 두가지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지정된 최초 스폰 장소나 지정된 침대로 텔레포트를 할 수 있다. 재료 아이템들을 보면 알겠지만 상당히 얻기가 힘든 아이템이다. 게임을 빠르게 진행하다 보면 여행상의 물건이나 낚시 퀘스트 장신구 한두 개가 부족한 경우가 생기니, 평소에 잘 얻어두는 것이 중요하다. 낚시꾼의 좋은 아이템 보상은 5회 단위로 지급되며 다른 세계에서 퀘스트를 해도 퀘스트 정보는 캐릭터 정보에 저장되므로 하루 기다리는 게 귀찮다면 새로 맵을 파서 하는 것을 이용해 보다 빠르게 얻을 수 있다. 만들고 난 후에는 휴대폰 하나로 실시간으로 12개의 정보가 뜬다는 점과 거울 기능인 집으로 돌아가는 점 덕분에 매우 편하다.
할로우 지하의 카오스 엘리멘탈이 0.2%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사용시 마우스 커서가 있는 곳으로 화면 내 어디든지 막힌 곳만 아니라면 순간 이동을 한다. 소환사의 경우, 이거 하나만 있으면 어지간해서 보스전 때 맞아죽는 일은 없어진다. 마나를 소모하지 않는 대신, 카오스 상태라는 디버프가 6초 동안 걸리며, 이 디버프가 걸려 있을 동안에 또 사용하면 방어력을 무시하고 체력이 1/7(모바일 및 콘솔은 1/6) 깎인다. 마구잡이로 쓰다가는 죽을 수가 있으며 위기 상황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머리와 다리가 바뀌는 환상적인 마술을 보여드리죠![7] 그래도 쿨타임 6초짜리 점멸이 생기는 셈이라 뜨기만 한다면 무척이나 유용하다. 뜨기만 한다면...
달의 군주를 처치시 100%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인벤토리 내에 같은 포탈건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중복 획득이 불가능하다.
게임 포탈의 주인공이 들고 실험실을 통과하는 데에 사용되었던 그 포탈건이다. 왼쪽 마우스를 눌러서 오렌지 포탈을,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블루 포탈을 생성한다.[8] 멀티의 경우, 색상이 랜덤하게 결정된다. 기본적으로 캐릭터의 키가 3블록이므로 이와 같이 3블록의 평평한 블록이 있어야 하며, 이것은 망치를 통해 경사면으로 다듬어진 블록 면에도 포탈을 형성할 수 있다. 탈것을 타고있는 상태에서는 포탈을 이용할수없으며 NPC들도 포탈이용이 가능하다. 포탈건을 든 상태이거나, 포탈을 한번이라도 들락날락하였다면 테라리아 특유의 붕 뜨는 물리가 아닌, 보다 현실적이며 운동력이 보존되는 물리시스템이 작용되어 정확히 말하자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 최대 낙하 속도가 3.5배 (51mph에서 179mph)만큼 늘어난다.
  • 체공 중 여러 수단을 통한 수평 이동 운동량과 관성이 유지된다.
낙하 속도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지므로 지상에서 지옥까지의 헬레베이터를 만들어두었다면 지옥까지 단 수 초만에 도달할 수 있으며, 체공 상태에서는 속력이 유지되므로 그것을 이용해 높은 속력을 유지하면서 천천히 떨어지지 않게 날갯짓하면서 어마어마하게 먼 거리를 순식간에 횡단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방해받지 않는 한 이동속도가 절대불변하는 얼어붙은 슬라임 블록을 배치하고 최대 낙하 속도까지 끌어올리면 179mph라는 어마어마하게 빠른 속도로 추가적인 수단 없이 횡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만들어진 포탈로부터 1600피트(800블록) 정도 멀어지면 그 포탈은 사라져버리므로 각 맵의 끝 바다와 바다를 서로 이을 수는 없다.
일단 포탈건이라는 소재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소재인지라 이 포탈건을 이용한 전용 테스트 맵이 존재한다.[9] 또한 친구와의 끈끈한 우정과 협동심을 실험할 수 있는 코옵 테스트 맵도 있다.[10] 물론 포탈 2의 코옵에서도 그랬듯이 잘못하면 우정이 파괴될 수 있다.

7 보조 장비

장비 슬롯 위의 쇠사슬 아이콘을 눌러 전환한 뒤 해당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도구들이다. 전문가 모드에서 보스에게 얻을 수 있는 아이템들은 보스 문서에 기재되어 있다.

7.1

펫은 상자나 몬스터, 하드모드의 NPC에게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으로, 마우스로 클릭시 펫을 소환하고, 펫 전용 슬롯에 장착하면 장착해제하기 전까지 영구히 소환된다. 스스로 발광하는 이상한 발광 버섯과 저주받은 묘목 이외에는 실질적인 기능성은 없다. 만약 플레이어가 죽으면 같이 소멸되지만, 다시 소환할 수 있다.

이름설명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Carrot.png
당근(Carrot)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unny Pet.png콜렉터즈 에디션(콘솔판)을 구매하면 PC 버전에서 새로운 캐릭터 시작 시 자동으로 지급된다. 휘두르면 토끼 펫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Amber Mosquito.png
모기 호박(Amber Mosquito)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Dinosaur.png실트/진창눈/사막 화석 블록을 추출기에 사용하여 매우 낮은 확률(0.02%)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새끼 공룡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Fish (item).png
생선(Fish)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Penguin.png설원 지하의 얼음 상자에서 4% 확률로 발견된다. 휘두르면 새끼 펭귄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eaweed.png
해초(Seaweed)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et Turtle.png정글 지하의 넝쿨 상자에서 2% 확률로 발견된다. 휘두르면 거북이 펫을 소환한다. 낚시해서 얻는 쓰레기 해초랑은 색깔이 다르니 낚아놓고 좋아하지 말자.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Eaters Bone.png
이터의 뼈(Eater's Bone)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Eater(1).png커럽션의 보스인 세상을 먹는 자를 잡으면 5%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새끼 이터를 소환한다.
파일:YhlemTG.png
뼈 딸랑이(Bone Rattle)
파일:S6d0YyS.png크림슨의 보스인 크툴루의 뇌를 잡으면 5%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새끼 얼굴 몬스터를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Nectar.png
꽃꿀(Nectar)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Hornet.png정글 지하에서 발견되는 벌집의 보스인 여왕벌을 잡으면 5%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새끼 말벌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Zephyr Fish.png
산들바람 물고기(Zephyr Fish)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Zephyr Fish Movement.gif낚시하면 매우 낮은 확률(1/800)로 낚을 수 있는 물고기이다. 휘두르면 산들바람 물고기를 소환한다.
다른 펫들과 달리 특이하게도 이 녀석은 텔레포트를 하지 않는다. 마법 거울을 사용하거나 텔레포터로 순간 이동을 하면 긴 시간이 걸리더라도 날아서 온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Tartar Sauce.png
타르타르 소스(Tartar Sauce)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Mini Minotaur.png낚시로 가끔 건져올려지는 철 크레이트에서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미니 미노타우로스를 소환한다(유튜버 Tobuscus의 미니 미노타우르스 노래에서 유래한 듯).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Magical Pumpkin Seed.png
마법의 호박 씨앗(Magical Pumpkin Seed)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quashling.png호박을 채취하면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스쿼실링를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Unlucky Yarn.png
불행한 실(Unlucky Yarn)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lack Cat.png할로윈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할로윈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할로윈 선물주머니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검은 고양이를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Dog Whistle.png
개 호루라기(Dog Whistle)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uppy.png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선물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강아지를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one Key.png
뼈다귀 열쇠(Bone Key)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Skeletron Head.png스켈레트론을 잡지 않고 던전으로 들어가면 나오는 몬스터인 던전 가디언에게서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 획득 방법이 획득 방법이다 보니 하드모드 캐릭터로 맵을 새로 판 뒤, 메가샤크나 체인건 등 연사력이 좋은 총+수정 총알 조합으로 중력 포션을 사용해서 죽여야 한다. 물론 신컨이라면 하드모드 이전에 미니샤크로도 격파할 수 있다. 휘두르면 새끼 스켈레트톤 머리를 소환한다.
hoik이라는 방법을 사용해 시작 2번째 밤에 얻는 방법도 있었으나 1.3 버전 업데이트 이후로 귀환 사용 시 던전 가디언이 플레이어를 쫓아오지 않고 증발해버리기 때문에 위의 영상 같은 방법으로는 던전 가디언을 잡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다만 악몽의 곡괭이 이상 곡괭이 입수 이후 던전 가디언이 등장하는 위치 근처에 hoik를 설치하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던전 가디언을 잡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모바일 한정으로 자신의 컨트롤이 영 좋지 못하다면 발렌타인 전후로 날짜를 이동시킨 후 하트 화살을 900발 정도 구매한 후 티키셋+피그미 지팡이를 이용해 자신은 하트 화살로 던전 가디언을 기절시키고 소환수로 처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정 잡기 힘들다면 공중에 텔레포트 장치를 1초 타이머로 연결해서 자신은 텔레포트하며 자동 회피하고 소환수 물량으로 잡을 수도 있다.
사실 영상처럼 hoik을 저 위치에 만든후에 2인 이상이서 한명은 hoik을 타려고 대기중이고, 한명은 던전가디언을 기다리는 사람 시야에 던전가디언이 들어오게하고 죽은다음, 기다리는 사람이 hoik을 시작하면 매우 쉬워진다.
만일, UFO탈것이 있다면, 그걸 타고 하늘을 빙빙 돌면서 뒤로 테라리안을 뿌리며 가거나 소환수를 이용해서 잡을 수도 있다. UFO 탈것과 속도가 같다. 대각선 이동 시엔 UFO가 더 빠르기 때문에 거리 조절도 가능하다.
파일:Companion Cube.png
동행 큐브(Companion Cube)
파일:Companion Cube (pet).png
PC 1.3.1 버전에 추가된 게임 '포탈'의 2번째 패러디 아이템. 떠돌이 상인에게 백금화 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휘두르면 동행 큐브를 소환한다.
특이하게도 발사체에만 반응하는 암록색 압력판을 작동시켜 전기를 내보낼 수 있으며, 실제로 1.3.1 버전 업데이트로 같이 공개된 '테일즈 오브 더 테라리안' 맵에서 해당 펫의 특성을 이용해서 푸는 퍼즐이 나오기도 했다.
패러디 아이템답게 여러 가지 이스터에그도 곳곳에 숨겨져 있는데, 예를 들어 어두운 곳에 오래 있으면 주인인 플레이어를 찔러 소량의 피해를 입힌다. 또한 용암에 빠지면 큰 피해를 입고 괴랄한 비명소리를 내며 죽으며, 죽은 후에는 바로 다시 나타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trange Glowing Mushroom.png
이상한 발광 버섯(Strange Glowing Mushroom)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Truffle.png트러플에게 금화 4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휘두르면 새끼 트러플을 소환한다. 버섯 지대에서 볼 수 있는 약한 푸른빛을 낸다. 스스로 빛을 내므로 동굴을 탐험할 때 조금은 도움이 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Tiki Totem.png
티키 토템(Tiki Totem)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Tiki Spirit.png하드모드 이후 정글의 집에 거주하는 주술사에게 백금화 2닢을 주고 살 수 있다. 휘두르면 티키 스피릿을 소환한다.
Parrot_Cracker.png
앵무새 크래커(Parrot Cracker)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arrot.png하드모드 이후 바다의 집에 거주하는 해적에게 백금화 3닢과 금화 7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NPC가 판매하는 아이템들을 통틀어서 가격이 두번째로 비싸다. 휘두르면 앵무새 펫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eedling.png
묘목(Seedling)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et Sapling.png하드모드 정글의 보스인 플랜테라를 잡으면 5%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묘목 펫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Lizard Egg.png
도마뱀 알(Lizard Egg)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et Lizard.png리자드 사원의 리자드와 날아다니는 뱀이 0.1% 확률로 드롭한다. 휘두르면 도마뱀 펫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Toy Sled.png
장난감 썰매(Toy Sled)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Snowman.png설원 지하의 얼음 미믹이 5% 확률로 드롭한다. 휘두르면 새끼 눈사람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Eye Spring.png
눈 용수철(Eye Spring)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Eyeball Spring Pet.png일식 이벤트의 아이저가 6.67%(전문가 10%) 확률로 드롭한다. 휘두르면 눈알 용수철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Cursed Sapling.png
저주받은 묘목(Cursed Sapling)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Cursed Sapling (pet).png할로윈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펌킨 문 이벤트의 탄식하는 나무를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휘두르면 탄식하는 나무의 미니 버전인 저주받은 묘목을 소환한다. 플레이어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면 날기 시작하며, 플레이어 주변으로 원형으로 돌면서 빛을 밝힌다. 날고 있을 동안에는 지형을 무시하므로, 동굴 속에서 매우 유용한 펫이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pider Egg.png
거미 알(Spider Egg)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et Spider.png할로윈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펌킨 문 이벤트의 펌킹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휘두르면 거미 펫을 소환한다. 다른 펫들과 달리 벽면에 붙을 수 있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Grinch Mischiefs Whistle.png
아기 그린치의 짓궂은 호루라기(Baby Grinch's Mischief Whistle)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aby Grinch.png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얼음 여왕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휘두르면 새끼 그린치를 소환한다.

7.1.1 모바일

등재되지 않은 아이템은 확인 후 추가 바람.

이름설명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hiny Black Slab(1).png
빛나는 검은색 조각(Shiny Black Slab)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et Android(1).png안드로이드 전용 아이템으로, 지하와 동굴 그리고 바닷속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안드로이드를 소환한다.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아이템 코드가 옮겨지면서 기존에 있던 아이템은 사라지게 되었으나, 습득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빛나는 검은색 조각은 스마트폰인 듯.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Holiday Bauble.png
홀리데이 방울(Holiday Bauble)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Elfa Pet(1).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숲의 나무를 도끼로 벌목하면 획득할 수 있다. 휘두르면 엘파를 소환한다. 몬스터를 공격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Brain.png
뇌(Brain)
파일:UC4wKGM.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지하와 동굴 그리고 지옥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좀비를 죽이면 극한의 확률로 나온다.[(추가바람)%]휘두르면 좀비 펫을 소환한다. 몬스터를 공격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Petri Dish.png
페트리 접시(Petri Dish)
파일:B8lnzCu.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지상과 지하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슬라임종류의 몬스터에게 극악의 확률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슬라임 펫을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Cabbage.png
양배추(Cabbage)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Guinea Pig.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지상과 지하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기니피그를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Vial of Blood.png
피의 유리병(Vial of Blood)
파일:Ourmy3W.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지하와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박쥐 펫을 소환한다. 몬스터를 공격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Honeycomb.png
벌집(Honeycomb)
파일:AHg3aVc.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지하와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티피아를 소환한다. 몬스터를 공격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Wolf Fang.png
늑대의 송곳니(Wolf Fang)
파일:KPUPL5f.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지하와 동굴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휘두르면 늑대 인간 펫을 소환한다. 몬스터를 공격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Old Walking Stick.png
오래된 지팡이(Old Walking Stick)
파일:H3PCql8.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옷상인에게서 백금화 1닢으로 구매 가능하다. 휘두르면 노파를 소환한다.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Suspicious Looking Apple.png
수상해 보이는 사과(Suspicious Looking Apple)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Worm Pet.png안드로이드와 iOS 전용 아이템으로, 디바우러, 거대 지렁이 등 벌레류 몬스터가 드롭한다. 휘두르면 웜을 소환하는데 웜즈 패러디인 듯하다. 여담으로 이걸 휘둘러 웜을 소환한 상태로 죽게 되면 묘비의 모습도 바뀐다.

7.2 광원 펫

위의 펫과 다른 전용 슬롯에 착용된다.

커럽션의 그림자 구체를 부술 경우 20%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사용 시 그림자 구체가 캐릭터 뒤를 느리게 따라다닌다. 캐릭터와 너무 멀어지면 캐릭터의 위치로 텔레포트한다. 구체는 방향키로 살짝 이동시킬 수 있다. 1.0.6 버전 패치로 빛의 범위나 세기가 심각하게 너프되어서 현재는 쓰레기 아이템으로 전락.
이전의 1.1.2 버전에서는 빛의 구체(Orb of Light)라는 이름을 가졌으나 패치되면서 그림자 구체(Shadow Orb)로 변경되었다.
크림슨의 진홍빛 심장을 부술 경우 20%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림자 구체의 대체품이니만큼 좋은 성능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여담으로 심장답게 플레이어가 움직일 때마다 날아오지 않고 마구 튀겨 다니거나 피를 역분사하면서 쫒아온다.
보름달이 뜨는 밤일 때 해골 상인에게 금화 10닢을 주고 살 수 있다. 사용 시 마법 랜턴이 나와 주위의 보물(광석, 상자, 항아리 등)을 반짝이게 한다. 정확히는 밝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반짝이는 이펙트만 주는 것이므로 어두운 동굴에서는 광석의 위치는 알 수 있으나 어떤 광물인지는 알 수 없다. 광원 그 자체로서의 성능은 그림자 구체만 못하지만 동굴에서 광석을 채굴하는 데에는 유용하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종 1개, 요정 가루 25개, 빛의 영혼 8개, 시야의 영혼 10개로 제작한다. 사용 시 요정이 소환되어 캐릭터를 따라다닌다. 그림자 구체와 특성이 동일하지만 더 빠르고 더 밝다. 소환할 때마다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 중 랜덤으로 색상이 바뀐다.
하드모드 던전의 파란 무장 해골, 녹슨 무장 해골, 지옥 무장 해골이 0.25% 확률로 드롭한다. 사용 시 빛을 내는 위습이 머리 위에 소환된다. 이 위습은 이동 키로 조종이 가능하며, 위의 두 광원들과 달리 유니콘 탑승 시를 제외하면 플레이어의 속도를 못 따라갈 일이 없어서 여러모로 편리한 아이템이다. 물론 블록 관통도 가능해서 광석을 찾을 때는 매우 유용한 아이템이 된다. 특히 상술한 펫인 저주받은 묘목과 같이 사용하는 것을 추천. 여담으로 속도가 어느 정도 빨라지면 달리는 방향으로 공처럼 빙글빙글 돌면서 앞서가는데 꽤 귀엽다.

7.3 광산 수레

전용 슬롯에 착용할 수 있는 수레는 광산 수레, 기계 수레(전문가 모드) 2종류가 존재하며, 슬롯에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선 성능이 가장 낮은 낡은 수레를 타고 다닌다. (선로는 기구 문서로 옮겨졌다.)

모루에서 철괴 또는 납괴 15개와 나무 10개로 제작한다. 착용하면 선로 위에서의 속도가 증가한다.

광산 수레의 강화형 아이템인 기계 수레와 재료는 보스 - 전문가 모드 전리품 문단을 참조 바람.

7.4 탈것

사용할 시 탑승물이 소환되며, 전용 슬롯에 착용할 수 있다. 마우스로 직접 눌러서 쓰거나 단축키 R로 탑승할 수 있다.
1.3 버전 업데이트 이후엔 탑승 후에도 아이템 사용을 포함한 여러가지 일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갈고리를 쓰면 즉시 내린다. 또한 중력 포션을 먹은 상태에서는 달콤한 고글이나 비늘 송로버섯 등으로 비행이 불가능하다.

왕 슬라임이 25% 확률로 드롭한다. 사용하면 슬라임에 탑승한다. 탑승한 동안에는 높은 점프 높이와 빠른 이동 속도를 가진다. 슬라임의 특성답게 물 위에 뜨며, 탑승하는 동안에는 슈퍼 마리오처럼 점프로 밑에 있는 몬스터들을 밟아 공격할 수 있다.[11] 이동 속도는 20mph. 용암과 꿀에서도 떠오르지만, 용암에서는 닿는 즉시 피해를 받는다. 이 탈것의 진가는 헬레베이터에서 발휘된다. 기존의 이동시간에서 무려 반을 줄여준다! 낙하속도가 똑같이 51mph로 표시되지만 직접 낙하시간을 재보면 속도가 약 2배 정도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일:테라리아슬라임탈것.gif
여왕벌이 5% 확률로 드롭한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별도로 여왕벌 보물 가방에서 11%의 확률로 나오기도 한다. 얻을 확률이 꽤 높으므로 한번 도전해 보자. 사용하면 벌 위에 탑승한다. 높이 날아다닐 수 있으나 땅 위에선 느려진다. 날개를 만들기 이전에 얻어 두면 상당히 요긴하게 쓰인다. 비행 속도는 31mph, 땅에선 10mph.
낚시꾼의 퀘스트를 5번 완수할 시 습득 가능하다. 사용하면 토끼에 탑승한다. 탑승한 동안에는 이동 속도와 점프 높이가 증가한다. 속도가 빨라질수록 점프 높이는 비례해서 증가한다. 최대 가속 시 38mph.
낚시해서 가끔 습득되는 금 크레이트에서 1/10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사용하면 거북이에 탑승한다. 탑승한 동안에는 땅 위에서는 느려지고 장신구 착용에 관계 없이 추락 피해를 입지만, 물 속에서는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하드모드 사막 지하의 바실리스크가 2% 확률로 드롭한다. 사용하면 바실리스크에 탑승한다. 달릴 수록 점점 빨라지며 불꽃이 나온다. 또한 몬스터와 부딪히면 피해를 입힌다. 이동 속도는 41mph.
300px
커럽션, 크림슨, 할로우에 지배된 설원 동굴에서 낚시하면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사용하면 피그론에 탑승한다. 타고 있는 동안에는 이동 속도와 점프 높이가 증가한다. 또한 아래 키와 점프 키를 동시에 눌러서 호버링이 가능하다.
할로우의 모든 몬스터가 1/200(전문가 1/150) 확률로 드롭한다. 사용하면 유니콘에 탑승한다. 추가 점프가 가능해지고[12] 전진하는 동안 이동 속도가 증가하여 최대까지 올릴 시 공격 판정이 생겨 닿는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유니콘에 탄 채로 무지개 발사기를 쏘는 도전 과제도 있다. 블러드 문이 떠오를 때 물 양초를 가지고 할로우 지형에서 무쌍을 펼치면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다. 다만 몬스터들이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니 메가샤크 정도의 무장은 되야한다.
대시 기능이 있는 장신구를 장착하면 대시 후 바로 유니콘에 타는 방법을 통해 유니콘의 속도를 처음부터 최대로 높일 수 있다. 최대 속도는 61mph. 레일 위를 제외한 일반 탈것 아이템 중 거의 최고의 속도이다.
화성의 광기 이벤트의 스쿠트릭스 거너(Scutlix Gunner)가 1% 확률로 드롭한다. 사용하면 스쿠트릭스(Scutlix)에 탑승한다. 이동 속도와 점프 높이가 증가하고 눈에서 빔을 발사해 전방의 적들을 공격한다. 이동 속도는 41mph.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도구/Rideable Reindeer.png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얼음 여왕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사용하면 루돌프에 탑승한다. 승마한 동안에는 매우 빠른 속도와 점프 높이를 가진다.
화성의 광기 이벤트의 화성인 우주선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사용하면 무제한 비행하는 UFO에 탑승한다. 수중에서는 UFO가 자동으로 사라져 사용할 수 없다. 전문가 모드의 피시론 공작이 드롭하는 새우 송로버섯과 비교하자면, 기본 속도는 이쪽이 더 빠른 대신 체력이 낮을 시에는 큐트 피시론보다 뒤쳐지게 된다. 비행 속도는 41mph.
파일:1APH87B.png
테라리아 내에서 가장 빠른 채광 수단.[13]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운석 주괴, 지옥석 주괴, 클로로파이트 주괴, 쉬루마이트 주괴, 유령의 주괴, 루미나이트 주괴를 각각 40개씩[14] 조합해서 만들 수 있다. 사용하면 무제한으로 날아다니며 채광 레이저를 발사하는 채광 기계에 탑승한다. 이 채광 레이저는 리자드 벽돌과 악마의/크림슨 제단, 그림자 구체/진홍빛 심장을 포함한 부술 수 있는 모든 블록을 채광할 수 있으며 마우스 커서를 중심으로 4블록 정도의 범위에 레이저를 발사한다. 용도는 주로 대형 구조물이나 지형을 제거하는 정도. 무기 사용과 블록 배치 등 여러가지 일이 가능한 다른 탈것들과 달리 탑승 시 채굴 이외에는 어떤 일도 할 수 없으며, 마우스로 아이템을 들고 있어도 무조건 채광만을 한다. 수평 방향 비행 속도는 31mph, 수직 방향 비행 속도는 41mph, 대각선 방향 비행 속도는 51mph이다.
여담으로, 제단을 파괴하는 기능이 있는데 1.3.0.6 버전 패치 이전에는 하드모드 이전에도 제단을 파괴해버리는 버그가 있었다. 1.3.0.6 버전 이후에는 이제 하드모드 이전에 파괴하려고 하면 평상시와 같이 피해를 받는다. 물론 하드모드 이후라면 정상적으로 잘 파괴되고 광물도 생성된다.

7.5 갈고리

마우스가 향하는 방향으로 갈고리를 던져 플레이어의 이동을 도와주는 도구이다. E키로 던질 수 있다. 1.3 버전 이후에는 갈고리를 전용 슬롯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15] 모바일 버전에서는 플레이어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빠르게 드래그하면 드래그한 방향으로 갈고리가 나간다. 초중반 갈고리를 얻었을 때 꼭 알아두어야 할 필수 팁. 다만 다른 종류의 갈고리가 여러 개 있다면 가장 앞의 것이 나가므로 주의해야 한다.
갈고리를 블록에 박고 있을 때는 적의 공격에 의한 넉백을 무시하므로 초기에 코발트 방패를 얻지 못한 경우 이 갈고리를 이용할 수 있다. 갈고리가 블록에 닿는 순간 비행 시간이 리셋되므로, 갈고리가 벽에 닿을 때 점프를 해 갈고리를 해제하면 거의 무한대로 비행을 할 수 있다.

모루에서 철괴 또는 납괴로 제작하는 사슬 3개, 스켈레톤, 언데드 광부, 장갑 보병, 언데드 바이킹, 피라냐가 드롭하는 갈고리(Hook) 1개로 제작한다. 초반에 빠른 동굴 탈출을 위한 도구. 사용 시 갈고리가 사용 방향으로 쭉 뻗어가며 중간에 블록과 맞닿으면 캐릭터를 그 위치로 이동시킨다. 초기에 얻는다면 동굴 탐험이 굉장히 수월해지며 또한 갈고리가 당기는 속도도 수준급이므로 빠른 속도의 여행을 즐길 수 있게 해준다. 1.2 버전 패치 이후 보석 갈고리가 생겼으나, 동굴에 들어가지 않는 한 처음부터 보석을 가지는 건 힘든 일이다. 하지만 보석 갈고리는 제작에 갈고리가 필요없으므로 철/납을 구하는 동안 보석만 찾는다면 만들기 쉽다. 사정거리는 19타일.
모루에서 자수정 15개로 만들 수 있는 갈고리이다. 사정거리는 18타일로, 보석 갈고리 중 가장 짧으며 등반 갈고리만도 못하다.
모루에서 토파즈 15개로 만들 수 있는 갈고리로, 보석 갈고리 중 사거리가 두 번째로 짧다. 20타일.
모루에서 사파이어 15개로 만들 수 있는 갈고리로, 보석 갈고리 중 사거리가 세 번째로 짧다. 22타일.
모루에서 에메랄드 15개로 만들 수 있는 갈고리로, 보석 갈고리 중 사거리가 세 번째로 길다. 24타일.
모루에서 루비 15개로 만들 수 있는 갈고리로, 보석 갈고리 중 사거리가 두 번째로 길다. 26타일.
모루에서 다이아몬드 15개로 만들 수 있는 갈고리로, 보석 갈고리 중 사거리가 가장 길다. 28타일.
왕 슬라임이 1/3 확률로 드롭한다. 사파이어 갈고리와 비슷한 길이이며 총 3개의 줄을 발사할 수 있다. 20타일.
스켈레트론이 12.2% 확률로 드롭한다. 총 2개의 갈고리를 쏠 수 있다. 22타일.
낚시꾼의 퀘스트를 클리어 할 시 2% 확률로 습득 가능하다. 총 2개의 갈고리를 쏠 수 있다. 25타일.
동굴에서 찾을 수 있는 거미 굴의 거미줄로 덮힌 상자에서 100% 확률로 입수 가능. 최대 8개의 갈고리가 나가는 대신 모든 갈고리중 가장 짧은 사정거리를 지녔다. 16타일. 이름인 Web Slinger(거미줄 사용자)는 스파이더맨을 나타내는 듯하다.
등반 갈고리의 업그레이드 버전. 모루에서 정글 지하에서 발견되는 정글 포자 12개와 덩굴 3개로 제작한다. 사용법은 같으나 한 번에 3개까지 사용 가능해서 동시에 세 개의 벽돌에 붙어있을 수가 있다. 덕분에 위치 잡기가 더 쉽다. 25타일.
할로윈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할로윈 선물주머니에서 일정 확률로 나온다. 사거리는 이중 갈고리보다 넓은 대신 갈고리 개수가 하나이다. 32타일.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선물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나온다. 25타일.
미믹이 14.29% 확률로 드롭한다. 한 번 갈고리를 쏴고 블록에 붙기 전에 하나를 더 쏠 수 있다. 하나를 미리 붙힌 다음에 쓴다면 전에 붙었던 블록에서는 떨어지게 되지만, 이중이라는 이름답게 쏜 갈고리가 벽에 닿을 때까지는 떨어지지 않는다. 갈고리 수가 적어(1.5) 넝쿨 채찍(3)에 비해 안 좋아보이지만, 실제론 갈고리를 여러 개 쏠 일보다 멀리 쏠 일이 많으므로 이중 갈고리가 더 좋다고 볼 수 있다. 28타일.
스팀펑커에게 금화 50닢을 주고 살 수 있다. 블록에 갈고리가 발사되어 고정이 되어도 플레이어가 당겨지지 않으며, 방향키를 통해 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거리는 가장 높은 40타일으로, 건축과 아레나 고정 용도에 적합한 대신 일반 전투에는 적합하지 않다.
300px
위의 움짤과 같이 한 곳에 먼저 고정을 한 후, 쏜 방향으로 40타일 거리를 왔다갔다 할 수 있다.
할로우의 할로우 미믹이 드롭한다. 한번에 3개까지의 갈고리를 사용할 수 있다. 30타일.
커럽션의 오염된 미믹이 드롭한다. 한번에 3개까지의 갈고리를 사용할 수 있다. 30타일.
크림슨의 크림슨 미믹이 드롭한다. 한번에 3개까지의 갈고리를 사용할 수 있다. 31타일.
플랜테라가 10% 확률로 드롭한다. 한번에 3개까지의 갈고리를 사용할 수 있다. 31타일.
할로윈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펌킨 문 이벤트의 탄식하는 나무를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총 3개의 갈고리를 날릴 수 있다. 35타일.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에버스크림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갈고리 개수와 사거리는 으스스한 갈고리와 동일하다. 35타일.
화성의 광기 이벤트의 화성인 우주선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특이하게도 갈고리를 목표물에 쏜 뒤 그 위치에 붙는 것이 아니라 12타일 떨어진 공중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방향키를 이용해 갈고리를 축으로 해서 이동이 가능하다. 회전시에는 각 방향키에 대응하는 위치로 회전하므로 한바퀴 회전하기 위해서 각 방향키를 순서대로 눌러야 한다. 최대 3개의 갈고리를 발사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갈고리가 박혀있는 상태에서는 그것을 중심으로 이동이 가능하나, 항상 거리를 유지하려는 특성 때문에 두 개 이상 갈고리를 던진 상태에서는 완벽하게 회전하기가 힘들다. 갈고리에서 빛이 난다.
항상 12타일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빠른 이동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플랫폼을 일직선으로 길게 건설한 후 플랫폼에 매달려 플랫폼과 몸이 겹치게 한 후, 가려는 방향으로 마우스 커서를 두고 E를 마구 연타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짧은 거리라면 이동 속도 악세사리를 다 맞춘 유니콘보다도 빠르게 갈 수 있다. 31타일.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태양의 파편, 성운의 파편, 소용돌이의 파편, 소성단의 파편 각각 6개로 제작한다. 각각의 색으로 빛나는 4개의 갈고리를 날릴 수 있다. 먼저 날린 갈고리가 블록에 닿지 않아도 다른 갈고리를 던질 수 있다. 35타일.

8 낚싯대

물 속에 미끼를 던져서 물고기, 쓰레기, 상자 등을 낚는 데 사용되는 도구. PC 1.2.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미끼와 함께 사용한다. 낚시찌에 낚였다는 신호(약 1초)가 오면 왼쪽 마우스를 누르면 된다.

괄호 안은 Fishing Power를 나타내며, 해당 수치가 높을수록 희소성이 높은 물고기나 상자를 낚을 확률이 높아지고 미끼가 소모될 확률도 낮아진다.

가장 낮은 등급의 낚싯대(5%). 작업대에서 나무 8개로 제작한다.
두 번째 등급의 낚싯대(15%). 모루에서 철괴 또는 납괴 8개로 제작한다.
보강된 낚싯대보다 높은 등급의 낚싯대(20%). 모루에서 데모나이트 주괴 8개로 제작한다.
영혼을 낚는 자보다 높은 등급의 낚싯대(22%). 모루에서 크림테인 주괴 8개로 제작한다.
살덩이포획꾼보다 높은 등급의 낚싯대(27%). 정글 지하의 넝쿨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유리섬유 낚싯대보다 높은 등급의 낚싯대(30%). 하드모드에서 낚시꾼이 거주하고 있을 경우, 그믐달이 뜨는 밤일 때 기계공에게 금화 20닢을 주고 살 수 있다.
기계공의 낚싯대보다 높은 등급의 낚싯대(40%). 떠돌이 상인에게 금화 3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시팅 덕의 낚싯대보다 높은 등급의 낚싯대(45%). 낚시꾼의 퀘스트를 25번 완수한 이후 하드모드에서 클리어 할 시 1% 확률로 습득 가능하다. 낚싯대 자체의 특성으로 용암에서만 사는 물고기를 낚을 수 있도록 해준다. 확률이 확률이라 아래의 황금 낚싯대보다 늦게 입수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용암에서 낚을 수 있는 물고기는 총 3종류인데, 먼저 화염지느러미 잉어와 흑요어는 화염 고리 포션의 재료로만 쓰인다. 게다가 포션 자체는 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도 얻을 수 있고, 피시론 공작 사냥 등 특수한 용도 외에는 실질적인 쓸모가 거의 없으니 재료를 얻어서 제작할 필요성이 떨어진다. 흑요석 황새치는 창 계열의 무기인데, 공격력이 준수하고 치명타율 24%이라는 막강한 능력치를 가지지만 그걸 낚아올릴 수 있는 낚싯대가 해당 무기를 쓰기 적당한 시기를 아득히 넘겨서 발견될 정도로 극악한 확률을 자랑하니, 능력치가 뒤지지 않으면서도 활용성은 더 넓은 사이코 칼이나 진정한 엑스칼리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장 높은 등급의 낚싯대(50%). 다만 핫라인 낚싯대와 달리 용암에서 낚시는 불가능하다. 낚시꾼의 퀘스트를 30번[16] 완수하거나, 75번 완수한 이후 0.4% 확률로 습득 가능하다. 보통 핫라인 낚싯대보다 이걸 먼저 입수하게 된다.

9 페인트 도구

블록가구, 벽면에 페인트를 칠하고 지우는 도구. 화가 NPC에게 페인트 도구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가에게 금화 1닢으로 구입.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블록과 가구의 색을 변경한다.
페인트붓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범위가 3만큼 증가하였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유령의 주괴 8개로 제작한다.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블록의 색을 변경한다.
화가에게 금화 1닢으로 구입.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벽면의 색을 변경한다.
페인트 롤러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범위가 3만큼 증가하였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유령의 주괴 8개로 제작한다.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벽면의 색을 변경한다.
화가에게 금화 1닢으로 구입. 페인트칠한 블록과 가구, 벽면을 지우는 데 사용한다.
페인트 긁개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범위가 3만큼 증가하였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유령의 주괴 8개로 제작한다. 페인트칠한 블록과 벽면을 지우는 데 사용한다.
페인트칠하는데 필요한 아이템으로, 화가에게 개당 동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또한 버전 1.2.3에서 새로 추가된 그림자 페인트(Shadow Paint)는 동화 50닢에, 네거티브 페인트는 동화 75닢에 구입 가능. 염료통에서 같은 페인트색 2개를 합치면 진한 페인트가 된다. 단 검정색, 회색, 흰색, 갈색, 그림자, 네거티브 제외.
페인트별로 칠해서 나오는 색상은 여기를 참조하도록 하자.
염료통에서 같은 페인트색 2개를 합쳐 만들 수 있는 페인트이다. 일반적인 페인트 색깔보다 진하다.

10 지형 관련

드라이어드에게 개당 동화 7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커럽션이나 크림슨에 사용하여 일반 지형으로 되돌린다. 초반에 그림자 구체나 진홍빛 심장를 캐기 위해 칠흑석이나 심홍석을 정화하는 용도로 쓰인다. 하드모드에서 세무사를 입주시키는 데에도 필요하다.
연금술 작업대에서 오염된 버섯으로 제작하거나, 커럽션이 있는 세계에서 블러드 문일 때 드라이어드에게 개당 은화 1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하드모드에선 할로우에 사용하여 일반 지형으로 되돌린다. 또한 세상을 먹는 자의 소환 아이템 재료로 30개가 들어간다.
연금술 작업대에서 지독한 버섯으로 제작하거나, 크림슨이 있는 세계에서 블러드 문일 때 드라이어드에게 개당 은화 1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1.3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성능과 용도는 오염 가루와 동일. 1.3.0.4 버전 이후에는 크툴루의 뇌의 소환 아이템 재료로 30개가 들어간다.
지형에 던져서 오염수가 깨져나간 부분을 커럽션으로 지배한다. 하드모드 이전에서도 구할 수 있으며, 손에서 물병 10개, 칠흑모래 1개, 오염된 씨앗 1개로 제작한다.
지형에 던져서 핏물이 깨져나간 부분을 크림슨으로 지배한다. 하드모드 이전에서도 구할 수 있으며, 손에서 물병 10개, 심홍모래 1개, 크림슨 씨앗 1개로 제작한다.
지형에 던져서 성수가 깨져나간 부분을 할로우로 지배한다. 손에서 물병 10개, 요정 가루 2개, 신성한 씨앗 1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7빠름매우 약함
정글 지하의 넝쿨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흙이 있는 곳에 휘두르면 잔디를 자라게 만든다. 별다른 특징이 없어서 장식용으로 쓰인다. 테라리아 1.0.6 패치 이전에는 이러한 성능을 가진 것 치곤 무려 20이라는 공격력을 가졌었다.
PC 1.3 버전 이후로는 허브를 채취할 때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최대 씨앗과 허브의 양이 증가하는 성능이 추가되었다. 크게 토분에서 재배한 3단계 허브의 경우와 자연 상태의 2~3단계 허브의 경우 2가지로 나뉘는데, 먼저 토분에서 완전히 성장한 3단계 허브의 경우에는 재성장의 지팡이로 채취 시 씨앗은 최대 5개, 허브는 최대 2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곡괭이와 달리 오로지 다 자라난 허브만 채집할 수 있기에 자라난 허브만을 골라 채집할 필요가 없다. 그 다음으로 자연에서 자라난 2~3단계의 허브의 경우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휘둘러도 허브 자체를 없애버리지 않으며 직접 마우스를 대서 채취하면 2단계 상태에서도 개화한 것과 똑같은 양의 씨앗과 허브를 얻을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씨앗 단계에서 개화 직전까지 성장은 빠르지만 거기서 개화까지 오래 걸리는 서리가시꽃, 비가 오는 날에만 개화하는 물방울잎을 수월하게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기에다가, 밤에 데이블룸을 채취할 수 있으며, 아침에 문글로우를 채취할 수 있으며, 적월이나 보름달이 뜨지 않더라도 데스위드를 채취할 수 있으며, 지정된 시간이 아니여도 파이어블로섬을 채취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물론 토분에 담겨있는 경우는 다 자라난 허브만 채취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채집법을 사용하려면 그 허브가 자라날 수 있는 블록, 혹은 씨앗이 심어져있어야 한다.
추가로 동시에 흙 블록에 잔디를 심는 것처럼 돌에 사용하면 이끼를 박을 수 있는데, 색상은 랜덤이나 주변에 이끼가 박혀있는 돌이 있다면 그 이끼의 색상을 따른다. 기준은 그 이끼가 박힌 돌로부터 약 50피트(25타일) 내에 캐릭터가 있을 경우로 그 범위 내에 돌이 있다 해도 캐릭터가 범위 밖에 있다면 이끼 색상은 랜덤으로 박힌다.
허브 채취에 대한 이점, 돌에 이끼를 박는 기능이 더해져 단순한 장식용에서 유용한 허브 농장의 주 도구가 되었다.
흔히 정화총이라고 불리는 아이템. 스팀펑커에게 백금화 2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솔루션을 탄약으로 사용해서 지형을 바꾼다. 솔루션으로는 초록색, 보라색, 빨간색, 파란색, 감청색 총 5개가 있다.
탄환으로 쓰이는 솔루션이 매우 비싸므로 쓰기 전에 미리 탄약 상자에서 보급을 받아두는 것이 좋다. 탄약 회수 옵션이 없다면 4번 뿌릴 때마다 금화가 하나씩 사라지는 꼴이다(...). 방어구 세트 효과 중 25% 확률로 탄약 소모를 무시하는 옵션까지 받으면 그럭저럭 저렴하게 쓸 수 있다. 탄약이 비싼 감이 있긴 하지만 가루로 깔짝대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지형 변환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정화 작업을 할 경우 가루질하는 것보다 오히려 싸게 먹힌다. 지형을 관통하는 매우 긴 사거리의 발사체가 지나가면서 발사체 반경 4타일 정도를 모두 바꿔버린다. 한번 찍 발사하는 것으로 가루 수십 개 분량의 정화가 가능하니 그야말로 정화/지형 변환 작업의 필수품. 또한 발사체가 지형을 관통하므로 지형 정찰도 덤으로 된다.
커럽션, 크림슨, 할로우에 사용하면 지배당하기 이전 지형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버섯 지형을 정글로 바꾼다. 다른 솔루션을 팔지 않을때 스팀펑커에게 은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지형을 커럽션으로 바꾼다. 커럽션이 있는 세계에서 블러드 문이나 일식일 때 스팀펑커에게 은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지형을 크림슨으로 바꾼다. 크림슨이 있는 세계에서 블러드 문이나 일식일 때 스팀펑커에게 은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지형을 할로우로 바꾼다. 할로우 내의 집에 거주하는 스팀펑커에게 은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정글을 버섯 지형으로 바꾼다. 트러플에게 은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정글에 막 뿌리다가 플랜테라가 깨어나자마자 폭주 상태로 쫓아올 수 있으니 주의.

11 기타

상인에게 은화 25닢으로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생물들을 직접 잡을 수 있다. 잡은 생물은 인벤토리에 아이템화되며, 화로에서 유리 16개로 제작하는 테라리움과 조합한 뒤 아무데나 설치해서 디스플레이로 전시할 수 있다.
낚시꾼의 퀘스트를 클리어 할 시 1%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잠자리채의 강화판으로, 휘두르는 속도가 빨라지고 크기가 커졌으며 풀을 벨 수 있다.
GoldenBugNetComp.gif
모루에서 철괴 또는 납괴 3개로 제작하는 아이템. 물과 용암, 꿀을 담을 수 있다. 사용 방법은 양동이를 들고 근처에 있는 액체에 좌클릭을 하면 되고, 뿌릴 때도 양동이를 들고 좌클릭을 하면 된다. 장비 슬롯의 헬멧 칸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는 방어력 1.
테라리아 초창기부터 내려온 유서 깊은 꼼수가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물을 뿌리고 다시 재빠르게 담아서 증식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물이나 용암, 꿀을 복제할 수 있어서 약간의 노가다를 하면 거의 무한정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낚시꾼의 퀘스트를 10번 완수한 이후 하드모드에서 클리어 할 시 1%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물 양동이의 무한 버전이며 무한정으로 물을 뿌릴 수 있다. 이것만 있으면 번거롭게 그냥 양동이로 조금씩 증식시킬 일이 없어진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낚시꾼의 퀘스트를 10번 완수한 이후 하드모드에서 클리어 할 시 1%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양동이와 정반대로 물을 무한정으로 흡수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강이나 대량의 물을 치워야 할 때 쓰인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지상의 나무 상자나 낚시로 얻을 수 있는 나무 크레이트에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손에 들고 있으면 낙하 속도를 줄여주면서 낙하 대미지를 없애 준다. 땅에 닿기 직전에 들면 낙하 대미지를 무효화 할 수 있어서 초반에는 매우 도움이 되나, 행운의 편자를 가지고 있거나 하드모드에서 만들 수 있는 날개를 가지고 있으면 버려지는 아이템. 하드모드에서는 그냥 장난감에 불과하게 된다.
맵 끝의 바다나 동굴 등의 물 속에서 발견되는 물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손에 들고 있을때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있게 해준다. 대롱의 끝 부분이 공기 중으로 나와 있어야 하며, 대롱의 전체가 물속에 잠긴다면 숨을 쉬지는 못하지만 숨의 소모 시간을 50% 느리게 해준다.
맵 끝의 바다나 동굴 등의 물 속에서 발견되는 물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사용하면 커다란 비치볼을 소환한다. 버전 1.3 이후로는 파티 걸이 항시 판매한다. 별다른 특징이 없지만, 가지고 통통 튀기면서 놀 수 있다. 단순하게 말하면 그냥 장난감이라고 보면 된다.
파일:Attachment/Slime Gun.png 슬라임 총(Slime Gun)
떠돌이 상인이 랜덤으로 판매하는 아이템으로, 금화 1.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공격력이나 탄약 소모는 없고 NPC나 적에게 뿌리면 물에 젖는다. 근데 그것뿐이다(...).
슬라임 총은 1.2.4 버전에서 추가된 아이템으로, 왕 슬라임이 2/3 확률로 드롭한다. 효과는 자동 공격이 생긴 것 이외에 물총과 별다른 게 없다. 사실 미끼용 날벌레나 새에게 뿌리면 느려지고 땅으로 조금씩 떨어지게 하기 위해 쓰는 건데 날개가 있다면...
파티 걸에게 은화 1닢으로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 소모품으로 색종이 조각을 휘날린다.
파티 걸에게 동화 20닢으로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 소모품으로 투척한 장소에 오랜 시간동안 연막을 피워서 시야를 가린다. 이 때 피해량은 없으며, 주로 멀티의 PvP에서 사용한다.
파티 걸에게 금화 5닢으로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 비눗방울을 날린다.
크툴루의 눈이 2.5%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마우스로 화면을 움직여 약간 더 멀리 볼 수 있다.
Flying_Piggy_Bank.png
블러드 문의 블러드 좀비와 드리플러가 0.5%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휘두르면 위처럼 생긴 날아다니는 돼지 저금통을 소환한다. 날아다니는 돼지 저금통은 소환된 위치에 고정되며, 돼지 저금통 아이템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일반 돼지 저금통과 달리 플랫폼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고 금고처럼 회수할 필요도 없어서 매우 편리하다.
할로우의 유니콘이 1%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숫자 키로 선택하거나 마우스로 들 경우 이걸 타면서 장난감처럼 가지고 논다.

11.1 블록 완드

특정 블록을 설치하거나 움직이는 데 필요하다.

드라이어드에게 금화 5닢으로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이걸 들고 흙에다가 클릭을 하면 흙을 마우스로 옮길 수 있다. 쓸모가 없어서 거의 사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급할 때 만드는 배리어 정도로는 쓸 수 있다.
거대 나무 밑에 있는 방 안에 있는 상자 안에서 얻을 수 있다. 나무를 써서 생나무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단순히 말해서 장식용 아이템.
거대 나무 밑에 있는 방 안에 있는 상자 안에서 얻을 수 있다. 나무를 써서 나뭇잎을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나중에 거대 나무를 직접 만들 생각이면 생나무 지팡이와 함께 필요한 아이템이기도 하다.
정글 지하의 거대 나무 안에 있는 상자 안에서 얻을 수 있다. 진한 마호가니를 써서 생 마호가니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정글 지하의 거대 나무 안에 있는 상자 안에서 얻을 수 있다. 진한 마호가니를 써서 마호가니 나뭇잎을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정글 지하에서 발견되는 벌집의 보스인 여왕벌을 잡으면 1/3의 확률로 얻을 수 있다. 벌집을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벌집을 설치했다가 제거하는 식으로 꿀을 어느 정도 생산할 수 있다.
일반적인 던전의 몬스터들에게서 0.4%의 확률로 얻을 수 있다. 뼈다귀를 써서 뼈다귀 블록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한 뼈다귀 블록은 다시 뼈다귀로 되돌릴 수 없다.

11.2 열쇠

상자나 문을 열거나, 미믹 소환에 필요하다.

던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열쇠이며, 던전 안에 잠겨져 있는 황금 상자를 열기 위해서 필요하다.[17] 1회성 소모품이며, 던전 안에 있는 모든 몬스터로부터 1.5% 확률로 얻을 수 있고 드물게 나오는 던전 슬라임을 죽일 경우에는 100% 확률로 금 열쇠를 얻을 수 있다.
던전 안에 있는 황금 상자 안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지옥에 있는 그림자 상자를 열기 위해서 필요하다. 그림자 열쇠는 다른 열쇠와 달리 무제한 사용이 가능한 열쇠이다.
하드모드 이후에 얻을 수 있는 열쇠이며, 던전 안에 있는 특별한 상자를 열기 위해 필요한 열쇠이다. 크림슨 열쇠, 정글 열쇠, 얼어붙은 열쇠, 신성한 열쇠, 오염의 열쇠로 총 5개로 구분되며, 각각의 열쇠는 그 지역의 모든 몬스터가 0.04% 확률로 떨어트린다. 플랜테라를 잡은 이후에만 상자를 열 수 있으며, 만약 플랜테라를 잡기 전이라면 열쇠의 툴팁에 "It has been cursed by a powerful Jungle creature(정글 안의 강력한 생물에 의해 저주가 서려 있다)."라고 적혀있으며, 상자를 열려고 해도 열리지 않는다.
PC 1.3 이전에는 열쇠가 아닌 열쇠 틀이 드롭되어서 틀, 사원 열쇠, 그리고 기계 보스 3종 영혼 5개를 조합해서 열쇠를 만들어야 했다.
파일:NC0mtCG.png 빛의 열쇠(Key of Light)
작업대에서 각각 밤의 영혼/빛의 영혼 15개로 제작 가능. 상자에 밤의 열쇠 하나만을 넣어두었을 때 상자를 희생해 오염된 미믹/크림슨 미믹[18]을, 빛의 열쇠 하나만을 넣어두었을 때 상자를 희생해 할로우 미믹을 소환한다.
골렘 사원에 들어가기 위해서 필요한 열쇠이며, 하드모드 정글 보스 플랜테라에게서 100%로 획득할 수 있다. 1.3 이전에는 던전 열쇠를 만들기 위해 쓰였지만 1.3부터는 잉여 아이템으로 전락...
  1. 이는 방어구를 제외한 모든 몰튼 장비가 휘두를 경우 빛을 내뿜는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이다.
  2. 이런 특징 덕에 드릴, 전기톱, 착암기, 드랙스 같은 돌아가는 식의 도구는 뒤돌아서 블록 채취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지옥에서 채굴할 때 문제가 생긴다. 임프의 화염구를 막지 못하기 때문. 하드모드에서 헬스톤을 어디에 쓰겠냐만 채굴 장비 라이딩 만들 때 필요하다
  3. Pwn은 인터넷 용어로 '~에 완승을 거두다'라는 뜻.
  4. 진짜로 팔라듐, 오리칼쿰, 티타늄 도구를 포함시키는 조합법까지 넣는다고 한다면, 광물이 기존 광물과 대체 광물이 서로 섞여서 나오므로 이를 가정한다면 드랙스 하나 만드는 데에 경우의 수가 무려 7가지로 늘어난다.
  5. 픽소우는 곡괭이 210%, 도끼 125%. 레이저 드릴은 곡괭이 230%, 도끼 150%.
  6. 비슷한 시기에 마인크래프트에서 1.8 업데이트를 진행했는 데, 당시에 같은 패러디로 살인마 토끼를 추가한 바 있다. 심지어 영화에서도 살인마 토끼를 신성한 수류탄으로 죽인다. 우연으로 넘기기엔 뭔가 있는 듯한 느낌이 나는 대목이다.
  7. 실제로 불화의 지팡이를 사용하여 죽으면 머리와 다리가 바뀌었다는 메시지가 띄워진다.
  8. 참고로 실제 포탈 내에서는 왼쪽 버튼이 블루 포탈이며 오른쪽 버튼이 오렌지 포탈이다. 테라리아 내에서는 그 반대 색상.
  9. 다만, 롱 폴 부츠처럼 낙하 피해를 막아줄 말굽은 주지 않으므로 알아서 낙사 피해에 주의해야 한다.
  10. 이 맵에서는 코옵 테스트 맵이여서 주변을 살피는 용도의 쌍안경과 상대에게 위치나 표시를 하기 위한 목적의 마법 미사일이 지급된다. 물론 마법 미사일은 벽에 툭 닿으면 사라지는지라 완전히 밀폐된 공간에서는 답답해질 수 있다.
  11. 몬스터를 밟고 튀어오르는 순간에 미묘한 무적 판정이 있다. 이를 이용해서 던전 가디언을 아주 쉽게 물리치는 방법이 있었으나 막혔다.
  12. 추가 점프를 제공하는 병, 풍선 장신구와 별개로 추가하는 형태이다. 이 때문에 풍선 다발을 갖고 있는 상태라면 기본 점프 포함 최대 다섯 번의 점프를 할 수 있다.
  13. 도구라는 범위를 벗어나 무기까지 포함시킨다면 로켓류, 그 중 눈사람 대포가 가장 빠르겠지만 로켓을 요구하므로 예외.
  14. 여기에 나오는 주괴들을 순수한 광석 및 재료만으로 따지자면 루미나이트 160개, 클로로파이트 광석 720개, 발광 버섯 600개, 엑토플라즘 20개, 운석과 지옥석 각각 120개, 흑요석 40개가 들어간다. 루미나이트의 경우는 전문가 모드이든 상관없이 무조건 적어도 두번 이상 잡아야 얻을 수 있는 양이다.
  15. 1.3 버전 이전에는 인벤토리 내에서 가장 위쪽 좌측에 있는 갈고리가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16. 이전엔 50번이였으나 1.3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횟수가 줄어들었다.
  17. 1.1.2 버전 때에는 하늘섬에 있는 황금 상자를 열기 위해서 필요했으나, 1.2 버전 이후에 만들어진 맵에서는 열쇠가 필요없게 되었다.
  18. 현재 월드에 따라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