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리아/재료

테라리아 관련 문서
파일:Terraria npc.png파일:Terraria biome.png파일:Terraria mob.png파일:Terraria boss.png파일:Attachment/Goblin Battle Standard.png파일:Terraria modifier.png파일:32px Campfire Buff.png파일:Terraria achievement.png파일:Terraria tutorial2.png파일:Terraria Update.png
NPC 지형 몬스터 보스 이벤트 수식어 상태 업적 공략 패치
파일:테라리아/장비/철 헬멧.png파일:32px Cobalt Shield.png파일:Terraria Iron Pickaxe.png파일:32px Iron Broadsword.png파일:32px Lesser Healing Potion.png파일:테라리아/가구/화로.png파일:Attachment/Wrench.png파일:Attachment/32px Stone Block.png파일:32px Gold Bar.png파일:Terraria Crafting.png
장비 장신구 도구 무기 소모품 가구 전기 블록 재료 조합

* 하드모드 전용 콘텐츠는 로 표시합니다.
* #(숫자)는 아이템 코드입니다.

1 개요

테라리아의 아이템 중에서, 조합에 사용되는 아이템들이다. 그 자체로서는 아무 의미 없고, 팔거나 조합을 해야 한다. 광물들이나 보석, 영혼들이 여기에 속한다. 각자의 사용처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조합 문서에서 F3를 누르고 해당 재료의 이름을 적어서 찾아보자. 단순한 장식용 기구면서 재료로 사용되는 아이템들도 여기에 서술되어 있다.

나무, 돌, 발광 버섯 등 게임 내에서 주요한 재료로 사용되는 아이템들이 블록 문서에 서술되어 있으므로 해당 문서 또한 참조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 외에 재료로 자주 사용되는 아이템은 무기 문서의 뼈다귀(Bone), 소모품 문서의 버섯(Mushroom) 등이 있다.

2 광물

테라리아에서 장비, 무기, 도구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아이템이다. 지하에서 곡괭이로 채굴해 얻은 광석들을 일정 개수를 화로에서 녹여서 하나의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이 제련된 주괴로 각종 방어구와 무기를 모루에서 만들게 된다. 비제련 상태의 광석들은 벽돌이나 포션 등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납이나 백금 등의 대체 광물은 PC 1.2 버전에서 추가된 것으로, 한 월드에 비슷한 기능을 가진 광물 두 가지 중 하나만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예: 금 대신 백금이 생성됨). 대체로 대체 광물이 기존 광물보다 좋은 편이다. 하지만 운석과 지옥석은 대체 광물이 없다.
1.3 버전 패치로 주괴들의 스프라이트가 변경되었다.
모든 광석과 루미나이트 주괴는 999까지, 루미나이트 주괴를 제외한 주괴는 99개까지 스택할 수 있다. 또한 지옥석을 제외한, 주괴와 같은 비율의 광석은 가격이 같다.

주괴광석 및 재료광석 채굴 도구
파일:Terraria copperbar.png 구리 주괴파일:Terraria copperore.png 구리 광석 (3)25px
파일:Terraria tinbar.png 주석 주괴파일:Tin Ore.png 주석 광석 (3)25px
파일:Terraria ironbar.png 철 주괴파일:Terraria ironore.png 철 광석 (3)25px
파일:Terraria leadbar.png 납 주괴파일:Lead Ore.png 납 광석 (3)25px
파일:Terraria silverbar.png 은 주괴파일:Attachment/Silver Ore.png 은 광석 (4)25px
파일:Terraria tungstenbar.png 텅스텐 주괴파일:Terraria tungstenore.png 텅스텐 광석 (4)25px
파일:Terraria goldbar.png 금 주괴파일:Terraria goldore.png 금 광석 (4)25px
파일:Terraria platinumbar.png 백금 주괴파일:Terraria platinumore.png 백금 광석 (4)25px
파일:Terraria demonitebar.png 데모나이트 주괴파일:Attachment/Demonite Ore.png 데모나이트 광석 (3)25px 25px
파일:Terraria crimtanebar.png 크림테인 주괴파일:Attachment/Crimtane Ore.png 크림테인 광석 (3)25px 25px
파일:Terraria meteoritebar.png 운석 주괴파일:Meteorite.png 운석 (3)25px 25px 25px
파일:Terraria hellstonebar.png 지옥석 주괴파일:Hellstone.png 지옥석 (3)
파일:Attachment/Obsidian.png 흑요석
25px 25px
파일:Terraria cobaltbar.png 코발트 주괴파일:Attachment/Cobalt Ore.png 코발트 광석 (3)25px 25px
파일:Terraria palladiumbar.png 팔라듐 주괴파일:Terraria palladium.png 팔라듐 광석 (3)25px 25px
파일:Terraria mythrilbar.png 미스릴 주괴파일:Mythril Ore.png 미스릴 광석 (4)25px 28px 25px 28px
파일:Terraria orichalcumbar.png 오리칼쿰 주괴파일:Orichalcum Ore.png 오리칼쿰 광석 (4)25px 28px 25px 28px
파일:Terraria adamantitebar.png 아다만타이트 주괴파일:Terraria adamantiteore.png 아다만타이트 광석 (5)25px 28px 25px 28px
파일:Terraria titaniumbar.png 티타늄 주괴파일:Titanium Ore.png 티타늄 광석 (5)25px 28px 25px 28px
파일:Terraria hallowedbar.png 신성한 주괴없음 (쌍둥이, 파괴자,
스켈레트론 프라임 파괴)
없음
파일:Terraria chlorophytebar.png 클로로파이트 주괴파일:Terraria chlorophyteore.png 클로로파이트 광석 (6)25px 28px
파일:Terraria spectrebar.png 유령의 주괴 (2)파일:Terraria chlorophytebar.png 클로로파이트 주괴 (2)
파일:Terraria Ectoplasm.png 엑토플라즘
없음
파일:Terraria shroomitebar.png 쉬루마이트 주괴파일:Terraria chlorophytebar.png 클로로파이트 주괴
파일:Glowing Mushroom.png 발광 버섯 (15)
없음
파일:Terraria luminitebar.png 루미나이트 주괴파일:Terraria luminite.png 루미나이트 (4)없음

2.1 일반 광물

지하 광맥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광석. 모든 곡괭이로 캐진다. 철이나 납까지는 지상에도 많이 분포한다.

파일:Terraria copperbar.png 구리 주괴(Copper Bar)
가장 가치가 낮은 광물로, 그만큼 쉽게 보이며 많이 뭉쳐있다. 화로에서 광석 3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후반에는 은, 금 장비 도구 맞추고 나면 썩어 남아도는 수준으로 많아진다.
하드모드 이후엔 쓰임이 전혀 없어서[1] 대부분 창고나 상점행이다.
파일:Terraria tinbar.png 주석 주괴(Tin Bar)
구리의 대체 광물이다. 화로에서 광석 3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일부 무기나 도구의 성능이 구리보다 약간 앞서는 특징을 보이나 어차피 후반엔 버려진다.
파일:Terraria ironbar.png 주괴(Iron Bar)
구리와 주석 다음으로 가치가 있는 광물. 화로에서 광석 3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집의 가구를 만드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라 집 꾸미고 있다면 남아도는게 없다. 하드모드에서는 기계 보스 소환 아이템을 만들 수 있으므로 하드모드 보스를 잡을 생각이라면 모아두도록 하자.
광석은 철피부 포션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므로 광석으로도 모아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구리, 은, 금처럼 광석 벽돌 블록은 만들 수 없다.
파일:Terraria leadbar.png 주괴(Lead Bar)
철의 대체 광물이다. 화로에서 광석 3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일부 무기나 도구의 성능이 철보다 약간 앞서는 특징을 보인다.
역시나 광석은 철피부 포션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므로 광석으로도 모아둘 필요가 있다.
파일:Terraria silverbar.png 주괴(Silver Bar)
철과 납 다음으로 가치가 있는 광물. 화로에서 광석 4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초반 장비와 도구 제작으로 수요는 많으나, 하드모드가 되면 급격히 수요량이 낮아져 대부분 버려지거나 상점에 판다. 여담으로 원래 구리보다 못한 잉여 취급받는 광물이었으나 1.2 버전 패치로 은제 총알 조합법이 추가되면서 쓰임새가 약간 좋아진 편이다.
파일:Terraria tungstenbar.png 텅스텐 주괴(Tungsten Bar)
은의 대체 광물이다. 화로에서 광석 4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일부 무기나 도구의 성능이 은보다 약간 앞서는 특징을 보인다. 은 주괴와 머스킷 총알로 만들 수 있는 은제 총알은 이 텅스텐 주괴로는 못 만든다. 예전에는 이걸로 도구를 만들면 금과 같은 성능이기에 텅스텐과 금이 동시에 있으면 취향, 내지는 개수에 따라 갈리게 되었으나 이제는 도루묵. 그래도 텅스텐 곡괭이로 운석을 캘 수는 있다.
파일:Terraria goldbar.png 주괴(Gold Bar)
은과 텅스텐 다음으로 가치가 있는 광물. 화로에서 광석 4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일반 광물 중 최고로 높은 등급으로 금 장비까지 맞췄다면 지상에서 동굴까지의 몹은 물론 크툴루의 눈과 세상을 먹는 자도 그다지 두려운 존재가 되지 않는다. 왕 슬라임을 소환하기 위한 금 왕관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며, 양초와 촛대, 왕좌를 만들 수 있어서 철과 함께 집의 가구 만드는 데 많이 사용된다.
광석은 동굴 탐험가의 포션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므로 광석으로도 모아둘 필요가 있다.
파일:Terraria platinumbar.png 백금 주괴(Platinum Bar)
금의 대체 광물이다. 화로에서 광석 4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일부 무기나 도구의 성능이 금보다 약간 앞서는 특징을 보인다. 일반 광물 중에서 가장 가치가 비싸고, 구하기가 어렵다. 월드 내에 은과 백금이 같이 생성된다면 구분하기 어려운 감이 없잖아 있다.
역시나 광석은 동굴 탐험가의 포션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므로 광석으로도 모아둘 필요가 있다.

2.2 중상급 광물

지하 광맥에서 채굴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구할 수 없는 광석. 대부분 보스를 사냥하거나 특정 이벤트가 나타나야 얻을 수 있으며, 일정 등급 이상의 곡괭이로만 캐진다. 여기서부터 광석에 희소성이 붙기 시작한다.

파일:Terraria demonitebar.png 데모나이트 주괴(Demonite Bar)
커럽션이 있는 세계에서 크툴루의 눈이나 세상을 먹는 자를 잡으면 나오는 광물. 한번에 아주 많이 드롭하는 광물로 주로 노멀모드에서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된다.
지하에서도 아주 희귀하게 찾을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약한 푸른 빛을 내뿜어내므로 그 빛이 나는 광석을 찾아 데모나이트를 채굴할 수 있다. 다만, 한 덩어리에 3~5개가량 되므로 공급량은 그리 많지 않다. 게다가 지하에서 매우 희귀하게 발견할 수 있고, 채굴할 수 있는 도구가 하필 동굴층에 도달해서야 겨우 자주 찾아볼 수 있는 금이나 백금으로 만들어진 곡괭이에다가, 주괴가 광석을 3개 요구하므로 구하기도 까다로운데 비해 장비 제작하는 데에는 더더욱 까다롭다. 그나마 커럽션 지하에는 좀 많이 뭉쳐있는 편이다.
화로에서 광석 3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악마의 활(활), 밤의 전투도끼(도끼), 빛의 파멸(검)은 데모나이트 주괴 자체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나, 곡괭이와 망치 그리고 그림자 갑옷 세트는 세상을 먹는 자가 드롭하는 그림자 비늘이 있어야 한다.
파일:Terraria crimtanebar.png 크림테인 주괴(Crimtane Bar)
크림슨이 있는 세계에서 크툴루의 눈이나 크툴루의 뇌를 잡으면 나오는 광물. 데모나이트 광석과 마찬가지로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고, 지하에서 약한 붉은 빛을 내뿜어내는 크림테인 광석을 희귀하게 소량을 찾을 수 있다. 데모나이트 광석과 달리 크림슨 지하에선 발견하기 힘들다.
화로에서 광석 3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힘줄의 활(활), 욕망의 핏덩어리(도끼), 피의 도살자(검)는 크림테인 주괴 자체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나, 곡괭이와 망치 그리고 크림슨 갑옷 세트는 크툴루의 뇌가 드롭하는 조직 샘플이 있어야 한다.
파일:Terraria meteoritebar.png 운석 주괴(Meteorite Bar)
데모나이트와 크림테인보다 높은 등급의 광물. 운석을 얻으려면 커럽션의 그림자 구체나 크림슨의 진홍빛 심장을 부순 뒤, 매일 밤 12시마다 50% 확률로 "운석이 떨어졌다!"라는 문구와 함께 운석이 랜덤한 지형에 생긴다.(전문가 모드에선 2개를 부숴야지만 운석이 등장한다.) 이곳을 운석 추락 지점이라 하며, 이곳에는 운석 머리라는 몬스터가 스폰되며 2% 확률로 운석을 드롭한다. 물 양초와 전투 포션을 동원해서 운석 머리를 수없이 많게 스폰시켜서 사냥하는 것으로도 운석을 모을 수도 있지만 드랍 확률이 매우 낮은지라 그런 식으로 구하는 것은 그냥 포기하자. 운석을 다시 생성하려면 운석 추락 지점의 운석이 일정 개수[2] 이하여야 한다.
참고로 주의할 점이 있는데 운석 위에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피해를 받는다. 게다가 피해량 표시조차 안되기 때문에 뭣모르고 곡괭이질 하다가 갑자기 묘비가 생길 수 있으니, 흑요석 두개골 같은 흑요석 장신구를 착용한 후 안전하게 캘 것을 추천한다.
화로에서 광석 3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얻는 조건도 있어서 얻기가 힘들지만, 그래도 한번 얻으면 가치가 있다. 보석과 조합하여 페이즈블레이드를 만들 수 있으며, 우주 총, 유성 대포를 만들 수도 있으며 도끼와 망치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운석 햄액스도 만들 수 있다.
물과 용암이 만나면 만들어지는 광석. 물이야 지상이든지 지하든지 흔하지만 용암은 동굴의 심층까지 내려가야만 보이니 중반에야 구할 수 있다. 화로에서 20개로 흑요석 두개골이라는 장신구를 제작 가능하며, 지옥석 주괴를 만드는 데에도 1개가 필요하다.
여담으로, 화염초와 함께 희소성이 파랑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용암에 녹지 않는 아이템이다.

흑요석 생산기를 직접 만들어 흑요석을 구하는 방법이 있다. 원리는 양동이를 이용하여 물과 용암이 증식되는 꼼수를 이용한 것이다.
1.1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펌프 및 전기기구가 추가됨에 따라 물과 용암을 증식하는 방법이 매우 쉬워졌다.
파일:Terraria hellstonebar.png 지옥석 주괴(Hellstone Bar)
이름처럼 지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광물이자, 하드모드 돌입 전까지 구할 수 있는 최고 등급의 광물. 악몽의/사신의 곡괭이 이상 등급의 곡괭이로만 캐진다. 다만 지옥의 몬스터들이 방해하는데다가 캐면 캔 자리에서 용암이 생성되기 때문에[3] 채굴 작업이 힘들다. 따라서 흑요석 피부 포션을 사용하거나 용암의 부적을 착용한 후 캐는 것이 좋다.
지옥화로에서 지옥석 3개, 흑요석 1개로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지옥석을 얻었다면 최강의 광물을 얻은 것을 축하하며, 지옥석으로 장비와 도구를 모두 갖췄다면 당신은 하드모드 돌입 전의 테라리아 세계를 정복한 셈이므로 다시 한번 축하한다. 물론, 그 말은 하드모드 돌입하면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는 셈이다. 누릴 수 있는 권한은 충분히 누리도록 하자.
지옥석으로 만든 도구와 무기는 공격시 33.3% 확률로 화상 추가 피해를 준다. 또한 몰튼 퓨리로 발사하는 모든 화살은 불화살이 되며, 화상 추가 피해 확률은 똑같이 33.3%이다.

2.3 하드모드 광물

하드모드에서만 생겨나는 광물이다. 악마의/크림슨 제단을 완승의 망치(Pwnhammer) 이상 등급의 망치로 부수면 지하 광맥 사이에 생긴다.
제련된 주괴로 제작한 도구는 곡괭이와 드릴, 도끼와 전기톱으로 나눠진다. 또한 모자 부분 장비는 총 3가지로 나뉘어져 입맛에 맞게 바꿀 수 있다.
코발트와 팔라듐은 커럽션의 터널부터, 미스릴과 오리칼쿰은 동굴 깊이부터, 아다만타이트와 티타늄은 용암이 나타나는 깊이부터 생성된다. 간혹 하드모드에 진입한 초심자들이 하드모드 광물을 폭탄으로 부수려고 시도하기도 하는데 절대 부수어지지 않으니 주의.
신성한 주괴 장비까지 맞췄다면 그 전에 얻는 주괴들은 팔아버리는게 좋다. 모든 하드모드 광물 주괴 하나값이 다이아몬드보다 비싸지만 다이아몬드보단 매우 흔하다.

파일:Terraria cobaltbar.png 코발트 주괴(Cobalt Bar)
하드모드의 첫 번째 광물. 월 오브 플레시를 죽인 뒤에 얻은 완승의 망치로 제단을 부술 경우 1-4-7-10-... '3의 배수-2' 번째마다 화면 밖에 랜덤하게 생겨난다. 색상은 푸른색. 몰튼 곡괭이로 채굴할 수 있다.
코발트 광석 3개를 화로에서 가공하여 주괴를 만들 수 있다. 무기 검과 창에 왜색이 깃들어있다. 창의 이름도 헤이안 시대장대무기나기나타.
파일:Terraria palladiumbar.png 팔라듐 주괴(Palladium Bar)
코발트의 대체 광물. 월 오브 플레시를 죽인 뒤에 얻은 완승의 망치로 제단을 부술 경우 1-4-7-10-... '3의 배수-2' 번째마다 화면 밖에 랜덤하게 생겨난다. 몰튼 곡괭이로 채굴할 수 있다.
팔라듐 광석 3개를 화로에서 가공하여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일부 무기나 도구의 성능이 코발트보다 약간 앞서는 특징을 보인다.
파일:Terraria mythrilbar.png 미스릴 주괴(Mythril Bar)
하드모드의 두 번째 광물. 월 오브 플레시를 죽인 뒤에 얻은 완승의 망치로 제단을 부술 경우 2-5-8-11-... '3의 배수-1' 번째마다 화면 밖에 랜덤하게 생겨난다. 색상은 초록색. 코발트/팔라듐 곡괭이와 드릴로 채굴할 수 있다.
미스릴 광석 4개를 화로에서 가공하여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코발트가 일본풍이면, 미스릴은 중세풍이 느껴진다. 창의 이름도 중세시대 폴암 미늘창.
파일:Terraria orichalcumbar.png 오리칼쿰 주괴(Orichalcum Bar)
미스릴의 대체 광물. 월 오브 플레시를 죽인 뒤에 얻은 완승의 망치로 제단을 부술 경우 2-5-8-11-... '3의 배수-1' 번째마다 화면 밖에 랜덤하게 생겨난다. 코발트/팔라듐 곡괭이와 드릴로 채굴할 수 있다.
오리칼쿰 광석 4개를 화로에서 가공하여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일부 무기나 도구의 성능이 미스릴보다 약간 앞서는 특징을 보인다. 특이한 점은, 무기나 장비를 제작할 때 미스릴보다 주괴 2~3개를 더 요구한다.
파일:Terraria adamantitebar.png 아다만타이트 주괴(Adamantite Bar)
하드모드의 세 번째 광물. 월 오브 플레시를 죽인 뒤에 얻은 완승의 망치로 제단을 부술 경우 3-6-9-12-... '3의 배수' 번째마다 화면 밖에 랜덤하게 생겨난다. 색상은 빨간색. 미스릴/오리칼쿰 곡괭이와 드릴로 채굴할 수 있다. 이 광석을 주괴로 만들기 위해서는 아다만타이트/티타늄 화로라는 특별한 스테이션이 필요하다.
아다만타이트 광석 5개를 아다만타이트/티타늄 화로에서 가공하여 주괴를 만들 수 있다. 미스릴과는 달리 뭔가 미래적인 느낌이 든다.
파일:Terraria titaniumbar.png 티타늄 주괴(Titanium Bar)
아다만타이트의 대체 광물. 월 오브 플레시를 죽인 뒤에 얻은 완승의 망치로 제단을 부술 경우 3-6-9-12-... '3의 배수' 번째마다 화면 밖에 랜덤하게 생겨난다. 색깔이 돌과 구분하기 힘든 편이다. 미스릴/오리칼쿰 곡괭이와 드릴로 채굴할 수 있다. 이 광석을 주괴로 만들기 위해서는 아다만타이트/티타늄 화로라는 특별한 스테이션이 필요하다.
티타늄 광석 5개를 아다만타이트/티타늄 화로에서 가공하여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일부 무기나 도구의 성능이 아다만타이트보다 약간 앞서는 특징을 보인다.
하드모드의 기계화 보스인 쌍둥이, 파괴자, 스켈레트론 프라임을 잡으면 나오는 광물. 주괴 중 유일하게 보스가 드롭하는 아이템이다.
이전에는 신성한 장비와 도구를 만들기 위해선 영혼과 각각의 코발트, 미스릴, 아다만타이트 장비가 필요했으나 1.2 버전 패치로 신성한 주괴가 추가되면서 만드는 방법이 한층 쉬워졌다.
PC 1.3 버전 패치로 스프라이트가 변경되었는데, 오히려 주석 주괴와 분간하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여기까지 오면 주석 주괴는 쓰레기라 죄다 상점행이지
파일:Terraria chlorophytebar.png 클로로파이트 주괴(Chlorophyte Bar)
하드모드의 정글 500피트 아래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하고 자라나는(!)[4] 광물. 한국에서는 녹조류 광석이라고도 불린다.[5] 픽액스 액스와 드랙스로 채굴할 수 있다. 다른 하드모드 광물들이 제단을 부숴야 증식하는 반면 클로로파이트는 자체적으로 증식하기 때문에 정글 지하에서 광석 1개를 진흙 블록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광석을 양식할 수 있다.
위의 특성을 이용하여 클로로파이트 농장(?)을 만들 수 있다. 클로로파이트 농장은 진흙만 배치한다면 정글이 아니여도 지하 어느 곳에서나 만들 수 있으며, 특히 지하층보다 더 깊숙한 곳에 있는 동굴층에서 더 많이 양식이 가능하다. 모바일에서는 동굴층을 기준으로 클로로파이트는 76칸 안에 최대 24개까지 생성되기 때문에 진흙으로 만든 5x5 정사각형 중앙에 클로로파이트를 심어두고 이 정사각형을 서로 38칸 떨어지게 하여 여러 개 만들면 된다. 1.3 버전이 패치된 PC판은 기준이 좀 더 여유로워서 6*7의 직사각형 진흙 타일을 38타일 떨어트리면 되며, 상위 아이템이 대거 추가되었으므로 굳이 농사를 만들 필요 없이 정글에서 채굴해도 물량이 충분히 수급된다.
클로로파이트 광석 6개를 아다만타이트/티타늄 화로에서 가공하면 주괴가 제작된다. 주괴는 하드모드 중반부에서 갑옷을 제작할 때 거의 빠지지 않고 들어가므로,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플랜테라 격파 이후 NPC 트러플이 판매하는 자동망치(Autohammer)에서 클로로파이트 주괴 1개와 발광 버섯 15개를 가공하면 얻을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버섯을 뜻하는 Mushroom과 광물을 뜻하는 -ite의 합성어.
날개 중 상위 아이템에 속하는 호버보드와 레인저 전용 장비인 쉬루마이트 갑옷을 만들 때 사용된다. 쉬루마이트 땅파기 손톱이라는 전용 도구가 있다.
유령의 갑옷의 재료로 들어가며 아다만타이트/티타늄 화로에서 클로로파이트 주괴 2개와 엑토플라즘 1개로 2개씩 제작된다.
파일:Terraria luminitebar.png 루미나이트 주괴 (Luminite Bar)
PC 1.3 버전 패치로 추가된, 가장 가치가 높은 광물. 달의 군주(Moon Lord)를 처치할 시 광석을 70~90개 드롭하며,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광석 4개를 조합해 루미나이트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최종 등급의 갑옷과 무기 제작에 사용된다. 유일하게 소지량이 999개인 광물이다.

3 보석

보석은 지하의 돌 블록 사이에 끼여있거나 돌 블록에 붙어있는 상태로 발견되며, 채집 시 보석을 떨어뜨린다.

공동적으로는 주로 페이즈블레이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횃불과 조합하여 색상을 가진 횃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보석 15개를 조합하여 대형 보석을 제작할 수 있다.
1.2 버전 업데이트로 보석의 쓰임새가 다양해졌다. 보석을 이용해 마법 무기인 지팡이를 만들거나, 일반 갈고리보다 길이가 긴 보석 갈고리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보석 갈고리의 길이는 보석의 희귀도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치장 아이템인 로브와 보석 10개를 조합하면 마법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장비가 된다. 갈고리를 만들 때, 몬스터들에게 얻는 훅(Hook)이 필요없어 빨리 갈고리를 만들 수 있으므로 처음 테라리아를 시작했으면 보석을 열심히 모아보자.

보석은 깊이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즉, 지하로 들어가자마자 다이아몬드를 채취할 수도 있으며, 계속 땅을 파도 겨우 자수정만 나올 수 있다. 물론 깊이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더욱 많은 보석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지옥 구간부터는 보석을 찾을 수 없다. 가끔 한 종류부터 여러 가지 종류까지 대량의 보석이 붙어있는 보석 광맥을 발견할 수 있다. 잘만 해서 초보자 때 다이아몬드 광맥을 발견하면 일확천금을 하는 셈.

파일:ZYmLWxG.png파일:KwFj6VX.png파일:BNxjW5b.png파일:RZZsIQL.png파일:Jyjk9Wz.png파일:FTK0KbL.png
다이아몬드 블록루비 블록에메랄드 블록사파이어 블록토파즈 블록자수정 블록

희귀도와 가치


아래는 각 보석의 가격. 가격이 비싸면 비쌀수록 그 보석은 매우 희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석가격
파일:EWFHzOG.png 호박30 파일:WwHiwft.png
파일:QoQ0HGx.png 다이아몬드30 파일:WwHiwft.png
파일:Wx2HpQe.png 루비22 파일:WwHiwft.png 50 파일:QASBy4E.png
파일:RjjvvKf.png 에메랄드15 파일:WwHiwft.png
파일:C2xMClp.png 사파이어11 파일:WwHiwft.png 25 파일:QASBy4E.png
파일:0flYCKK.png 토파즈7 파일:WwHiwft.png 50 파일:QASBy4E.png
파일:OHmJwwa.png 자수정3 파일:WwHiwft.png 75 파일:QASBy4E.png

목록


보라색 보석. 가치가 가장 낮으며, 블록 모양은 보라색 돌이 끼여있다.
노란색 보석. 두 번째로 가치가 낮으며, 토파즈로 모래총을 만들 수 있어 총을 모으려는 사람에겐 더욱 귀중한 보석이다. 블록 모양은 노란색 돌이 끼여있다.
파란색 보석. 세 번째로 가치가 낮으며, 블록 모양은 파란색 돌이 끼여있다.
초록색 보석. 세 번째로 가치가 높으며, 블록 모양은 초록색 돌이 끼여있다.
빨간색 보석. 두 번째로 가치가 높으며, 다른 보석과는 달리 왕관 제작으로 쓰임새가 많다. 블록 모양은 빨간색 돌이 끼여있다.
밝은 파란색 보석. 가장 가치가 높은 보석이다. 블록 모양은 하늘색 돌이 끼여있다. 돌에 박힌 스프라이트와 블록에 붙어 있는 스프라이트의 색이 다르다.
주황색 보석. 지하에서 채굴할 수 없으며 추출기에서만 획득할 수 있다. 1.2 버전에 새로 추가돼서 쓰임새가 다른 보석들보다 별로 없는 편이었으나, 1.3 버전에서 지팡이를 만드는 재료로 들어간다. 또한 상자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4 전리품

슬라임이 드롭하는 아이템. 초반에 횃불을 만드는 재료이며 게임 전반에 걸쳐서도 중요해 자주 사용되는 아이템이다. 횃불 외에도 폭발물이나 형광봉과 조합하여 블록에 쩍 달라붙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연금술 작업대에서 버섯과 유리병과 조합하여 소형 치유 포션을, 응고기에서 슬라임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왕 슬라임 소환 아이템인 슬라임 왕관의 재료로도 쓰인다.
하드모드에서는 혼합기에서 돌 블록 2개과 조합하여 아스팔트 블록을 제작할 수 있으며, 화염방사기와 엘프 멜터의 탄약으로 사용된다.
버전 1.3 업데이트로, 나오는 젤의 색이 각 슬라임의 색에 맞추어서 바뀌게 되었다. 그래도 얻으면 파란색으로 똑같다.
PC 1.3 버전에서 추가된 아이템. 레어 몬스터인 핑키만이 드롭하는 고유 아이템으로, 한 번에 25~50개를 떨어뜨린다. 평화 양초의 재료가 되는 분홍빛 횃불을 만들 수 있으며, 폭발물이나 형광봉과 조합하여 지면에 통통 튀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연금술 작업대에서 버섯과 유리병과 조합하여 복합 포션을, 응고기에서 핑크 슬라임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합법이 달라진 몰로토프 칵테일, 분홍색 젤 염료의 재료로도 쓰인다. 하지만 막상 얻게 되면 아까워서 화염병 따위에 쓰질 못한다.
밤에 나타나는 악마의 눈과 방황하는 눈이 1/3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크툴루의 눈 소환 아이템인 수상해 보이는 눈을 악마의/크림슨 제단에서 만들 수 있으며, 2개를 조합하면 고글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궁수의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하드모드에서는 쌍둥이 소환 아이템인 기계화 눈의 재료로도 쓰인다.
밤에 나타나는 악마의 눈과 방황하는 눈이 매우 낮은 확률(1%)로 드롭하는 아이템. 2개로 선글라스를 만들 수 있으며, 1개가 눈의 지팡이의 재료로 들어간다.
스켈레톤, 언데드 광부, 장갑 보병, 언데드 바이킹이 4% 확률로, 피라냐가 3.3%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등반 갈고리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지만 효율성이 더 좋은 보석 갈고리가 있어서 얻으면 대부분 상점행.
지하의 거대 지렁이와 디거가 낮은 확률(2%)로 드롭하는 아이템. 사용하면 방귀 뀌는 것과 비슷한 효과음을 낸다. 이를 이용해 멀티플레이에서 상대방에게 짜증(...)을 유발하게 할 수 있다. 땜장이의 작업장에서 구름병과 합쳐 방귀병을 제작할 수 있다.
커럽션에서 볼 수 있는 영혼을 먹는 자, 디바우러, 커럽터가 1/3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세상을 먹는 자 소환 아이템인 벌레 먹이를 악마의/크림슨 제단에서 만들 수 있으며, 작업대에서 5개를 조합하면 가죽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전투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하드모드에서는 파괴자 소환 아이템인 기계화 벌레의 재료로도 쓰인다.
아이템 설명이 '맛있어 보인다!'(…)라고 적혀 있지만 식용 아이템은 아니다. 먹었다 무슨 꼴을 당하려고... 테라리아는 모 샌드박스 게임처럼 허기가 있는 것도 아니다.
크림슨에서 볼 수 있는 크리메라, 얼굴 몬스터, 블러드 크롤러, 플로티 그로스가 1/3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크툴루의 뇌 소환 아이템인 피투성이 등뼈를 악마의/크림슨 제단에서 만들 수 있으며, 기타 조합법은 가죽을 만들 수 없는 것빼고 위의 썩은 덩어리와 동일하다.
커럽션의 다관절 몬스터인 디바우러가 드롭하는 아이템. 주로 나무 화살을 부정한 화살로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커럽션의 보스인 세상을 먹는 자가 드롭하는 아이템. 데모나이트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데모나이트 도구와 그림자 갑옷 세트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크림슨의 보스인 크툴루의 뇌가 드롭하는 아이템. 크림테인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크림테인 도구 및 미트볼(철퇴)과 크림슨 갑옷 세트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하늘 높이 서식하는 하피가 드롭하는 아이템. 중력 포션과 가벼움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밖에 용도가 없으나, 하드모드 이후 악마의 날개와 천사의 날개를 만드는 데에도 쓰인다.
맵의 가장자리에서 가끔 나오는 고블린 정찰병이 드롭하는 아이템. 고블린 부대를 소환하는 고블린 전투 휘장을 만들 수 있다.
정글 지하의 말벌과 가시 박힌 정글 슬라임이 드롭하는 아이템. 각종 정글 무기들과 정글 셔츠, 그리고 탄약 아이템인 포이즌 다트의 제작에 사용된다.
정글 지하의 맨 이터가 50%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넝쿨 채찍(갈고리)과 아마존(요요), 정글 바지 제작에 사용된다.
사막과 사막 지하의 개미귀신이 1/7 확률로, 사막 지하의 개미귀신 날벌레와 개미귀신 돌격병이 1/3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모래총과 채광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바다의 상어가 드롭하는 아이템. 수상 보행 포션과 사냥꾼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하드모드에선 메가샤크의 제작 재료로 쓰인다. 커럽션이나 크림슨에 지배된 바다에선 상어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하드모드 이전에 많이 모아두자. 지하에서 상어 조각상을 입수했다면 상어 지느러미를 얻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버전 1.3.3 업데이트로, 하드모드 이후 사막에서 모래폭풍이 불면 등장하는 모든 모래 상어들이 12.5% 확률로 상어 지느러미를 드롭한다. 하드모드에서도 상어 지느러미가 필요하다면 노려보자. 참고로 나오는 상어 지느러미의 색은 각 상어의 색에 맞추어서 바뀌게 된다. 물론 서로 겹칠 수 있다.
정글의 보스인 여왕벌이 16~26개를 드롭하는 아이템. 버전 1.2.4에서 추가된 서머너용 장비인 꿀벌 갑옷 세트, 말벌 지팡이의 제작에 쓰인다. 이외에도 꿀벌탄의 제작에도 쓰인다.
할로우의 픽시가 1~3개를 드롭하는 아이템. 하드모드에서 대형 치유 포션, 성수, 신성한 화살, 요정의 종, 요정의 날개, 운석 지팡이, 무지개 지팡이의 재료로 사용된다.
할로우의 유니콘이 무조건 1개만 드롭하는 아이템. 하드모드에서 슈퍼 마나 포션, 신성한 화살, 무지개 지팡이의 재료로 사용된다.
커럽션 지하의 월드 피더와 클링거가 드롭하는 아이템. 커럽션에 지배당한 사막 지하의 불쾌한 구울도 이걸 드롭한다. 이 아이템으로 만든 횃불, 탄약, 무기는 물속에서도 불이 꺼지지 않는 특징을 보이며, 일정 시간 동안 화상보다 훨씬 강한 피해를 주는 저주불 디버프를 걸 수 있다.
크림슨 지하의 이코르 스티커가 드롭하는 아이템. 크림슨에 지배당한 사막 지하의 부패한 구울도 이걸 드롭한다. 이 아이템으로 만든 횃불, 탄약, 무기는 물속에서도 불이 꺼지지 않는 특징을 보이며, 방어력을 대폭 깎아먹는 이코르 디버프를 걸 수 있다. 이때 공격받은 몬스터는 노란색으로 물든다. 툴팁을 보면 '신의 피'라고 적혀있다. 왠지 모 FPS 게임모 클래스가 쓰는 무기가 생각난다면 기분 탓이다. 본격 신의 오줌
커럽션이나 크림슨에 지배당한 사막에서, 지상에 등장하는 어둠의 미라가 10% 확률로, 지하에 등장하는 불쾌한/부패한 구울이 6.67% 확률로, 모래폭풍이 불 때 등장하는 본 바이터/살덩이 약탈자가 4%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적에게 혼란을 거는 철퇴인 다오 오브 파우, 오닉스 블래스터의 재료로 사용된다.
할로우에 지배당한 사막에서, 지상에 등장하는 빛의 미라가 10% 확률로, 지하에 등장하는 몽상가 구울이 6.67% 확률로, 모래폭풍이 불 때 등장하는 수정 환도상어가 4%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적에게 혼란을 거는 철퇴인 다오 오브 파우, 하늘의 균열의 재료로 사용된다.
하드모드 사막 지하의 모든 구울들이 6.67% 확률로 1~3개를 드롭하는 아이템. 치장용 의복인 고대의 세트의 제작에 쓰인다.
커럽션이나 크림슨에 전염된 하드모드 사막 지하에서 나타나는 사막의 영혼(Desert Spirit)을 잡으면 2.5% 확률로 드롭한다. 마법 무기인 영혼의 불길의 재료로 쓰인다.
하드모드 설원에서 눈보라가 불 때 가끔 등장하는 얼음 골렘이 무조건 1개만 드롭하는 아이템. 워리어와 레인저의 공통 장비인 서리 갑옷 세트의 제작에 쓰인다.
하드모드 사막에서 모래폭풍이 불 때 가끔 등장하는 모래 정령이 무조건 1개만 드롭하는 아이템. 소서러와 서머너의 공통 장비인 금지된 갑옷 세트, 마법 무기인 영혼의 불길의 제작에 쓰인다.
하드모드 거미굴의 블랙 레크루즈가 75% 확률로 1~3개를 드롭하는 아이템. 버전 1.2.4에서 추가된 서머너용 장비인 거미 갑옷 세트, 거미 지팡이, 여왕 거미 지팡이의 제작에 쓰인다.
하드모드 정글의 거대 거북이가 5.88%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클로로파이트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워리어용 장비인 거북 갑옷 세트의 제작에 쓰인다.
리자드 사원의 보스인 골렘이 4~8개를 드롭하는 아이템. 거북 갑옷 세트와 같이 조합하여 워리어용 장비인 딱정벌레 갑옷 세트의 제작에 쓰이며, 딱정벌레 날개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하드모드 던전의 체력이 100 이상인 몬스터를 죽이면 6.67%의 확률로 나오는 던전 스피릿이 1~2개를 드롭하는 아이템. 클로로파이트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유령의 주괴로 만들어서, 소서러용 장비인 유령의 갑옷 세트와 범위가 세 칸 증가한 유령의 도구들을 제작할 수 있다. 한때 던전에서 조각상으로 던전 스피릿을 인위적으로 소환해 엑토플라즘 농장을 만들 수 있었으나 PC 1.3 버전 업데이트에서 막혔다.
일식 이벤트에서 기계 보스를 모두 잡으면 등장하는 모스론이 25%(전문가 30.94%) 확률로 드롭하는 아이템. 진정한 엑스칼리버와 진정한 밤의 칼날의 제작에 쓰이며, 줄여서 부영검으로 부르기도 한다. 테라 블레이드를 제작하려면 2개는 필수.
콘솔과 모바일에서는 프랑켄슈타인과 늪지대 괴물이 0.4% 확률로 드롭하며, 테라 블레이드를 제작하는 데에도 이 아이템 1개가 필요하다.
PC 1.3 버전에서 추가된 아이템. 리자드 사원의 리자드와 날아다니는 뱀이 14.29% 확률로 1~2개를 드롭한다. 또한 리자드 상자 안에 이것이 여러 개가 들어있기도 하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8개를 조합해 일식을 강제로 발생시키는 태양의 석판을 만들 수 있다. 만약 일식이 일어나지 않아서 뒷목을 잡을 지경이라면 이걸 모아서 일식을 시작하자.

4.1 영혼

영혼은 하드모드에서 갑옷과 장비를 제작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재료로 사용되는 아이템이다. 하드모드 몬스터와 보스를 사냥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 내에서 천체의 파편과 함께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아이템이므로, 몬스터가 죽은 지점의 공중에서 드롭한다. 따라서 보스나 와이번이 땅속에서 잡혔을 땐 일일히 뚫고 들어가서 먹어줘야 하며, 오프 스크린 영역에서 잡혔을 땐 먹을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스를 처치하는 지점은 가능한 지상과 하늘섬의 사이인 것이 좋다.
각 영혼의 영문명은 모두 -ight로 끝나는 규칙이 있다.
모바일은 모든 영혼의 스프라이트가 색만 다르고 그냥 동그랗게 생겼다 제작자가 귀찮았나보다

하늘의 와이번이 드롭하는 영혼. 날개 종류 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다.
할로우 지하[6] 안의 몬스터가 드롭하는 영혼. 할로우 지하에서만 스폰되는 몬스터가 아니라 할로우 지하 안이면 모든 몬스터가 드롭한다. 무기, 날개, 기계 보스 소환 아이템 등 하드모드에서 광범위하게 재료로 쓰인다. 빛의 열쇠, 천사의 날개, 낮 센서, 다오 오브 파우(철퇴), 빛의 원반(부메랑), 소녀(요요), 요정의 종(광원), 무지개 지팡이(마법), 운석 지팡이(마법), 수정 폭풍(마법), 하늘의 균열(마법), 쌍둥이 소환 아이템인 기계화 눈, 스켈레트론 프라임 소환 아이템인 기계화 두개골의 재료로 쓰인다.
커럽션 혹은 크림슨 지하 안의 몬스터가 드롭하는 영혼. 빛의 영혼과 마찬가지로 커럽션·크림슨 지하 안이면 모든 몬스터가 드롭한다. 무기, 날개, 기계 보스 소환 아이템 등 하드모드에서 광범위하게 재료로 쓰인다. 밤의 열쇠, 악마의 날개, 밤 센서, 다오 오브 파우, 저주의 불길(마법), 골든 샤워(마법), 마법의 하프(마법), 영혼의 불길(마법), 오닉스 블래스터(총), 파괴자 소환 아이템인 기계화 벌레, 스켈레트론 프라임 소환 아이템인 기계화 두개골의 재료로 쓰인다.
하드모드 기계 보스인 쌍둥이가 드롭하는 영혼. 요정의 종(광원), 무지개 지팡이(마법), 마법의 하프(마법), 눈의 지팡이(소환), 복수자의 휘장(장신구), 플레이어 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픽액스 액스와 드랙스를 만드는 재료로 다른 기계 보스가 떨어뜨리는 영혼과 함께 각각 1개씩 들어간다. 아마 기계 보스를 첫 격파하자마자 클로로파이트를 채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인 듯.
하드모드 기계 보스인 파괴자가 드롭하는 영혼. 픽액스 액스와 드랙스를 만드는데 1개씩 들어가고, 메가샤크, 빛의 원반, 복수자의 휘장을 제작할 수 있다.
하드모드 기계 보스인 스켈레트론 프라임이 드롭하는 영혼. 픽액스 액스와 드랙스를 만드는데 1개씩 들어가고, 화염방사기, 복수자의 휘장, 프로스트 문 이벤트 발생 아이템인 장난스러운 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모바일, 콘솔판에서 오크람이 한 번에 20개 정도 드롭하는 영혼. 콘솔판 전용 무기인 티조나, 톤보기리, 드래곤 갑옷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4.2 파편

루나 이벤트때 각각의 기둥을 부수면 나오는 아이템으로, 고대의 머니퓰레이터(Ancient Manipulator)에서 조합해 강력한 무기를 만들거나 최종 보스가 떨어뜨리는 루미나이트와 합쳐 최종 갑옷과 도구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기둥 제거시 1-3개씩 흩어져서 공중에 떠있으며 한번에 20개~40개정도 나온다.

루나 이벤트에서 주홍색 탑인 태양의 기둥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는 아이템. 강력한 성능의 워리어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 속에 우주의 격노가 담겨 있다."라고 적혀있다.
루나 이벤트에서 분홍색 탑인 성운의 기둥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는 아이템. 강력한 성능의 소서러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 속에 은하의 힘이 머물고 있다."라고 적혀있다.
루나 이벤트에서 청록색 탑인 소용돌이의 기둥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는 아이템. 강력한 성능의 레인저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에서 소용돌이치는 에너지가 뿜어져 나온다."라고 적혀있다.
루나 이벤트에서 파란색 탑인 소성단의 기둥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는 아이템. 강력한 성능의 서머너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을 중심으로 황홀한 입자가 돌아가고 있다."라고 적혀있다.

5 구매품

옷장수가 판매하는 아이템. 작업대에서 에스키모 의상을 분홍색으로 바꿀 수 있다.
옷장수가 판매하는 아이템. 턱시도 제작 재료이다.
밤일 때 총포상에게 금화 25개로 구입할 수 있다. 모래총, 메가샤크, 화염방사기의 재료로 사용된다.
마법사에게 금화 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하드모드의 마법서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마법사에게 금화 1개로 구입할 수 있다. 요정의 종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마우스로 클릭하면 종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마법사에게 금화 1개로 구입할 수 있다. 마법의 하프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마우스로 클릭하면 소리가 난다. 거리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주가 가능하다.
마법사에게 은화 1닢으로 구입한다. 마법의 스포이드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월드가 하드모드가 될 경우 총포상이 판매한다. 다른 NPC들에게 구매할 수 있는 전용 재료와 함께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각각 특성이 다른 6가지의 총알을 만들 수 있다.
파티 걸이 개당 은화 1닢에 판매한다. 빈 총알과 조합하여 파티용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파티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운이 따라준다면 하드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파티 걸을 만나 구입할 수 있다.
플랜테라를 잡으면 오는 사이보그에게 개당 은화 10닢으로 구매할 수 있다. 빈 총알과 조합하여 나노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나나이트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월드가 하드모드가 될 경우 폭파 전문가가 개당 은화 12닢에 판매한다. 빈 총알과 조합하여 폭발형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다른 용도는 없다.
월드가 하드모드가 될 경우 상인이 개당 은화 17닢에 판매한다. 빈 총알과 조합하여 금빛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금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플랜테라를 격파 후, 주술사가 개당 은화 10닢에 판매한다. 맹독 총알/화살과 맹독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6 날개 제작 재료

장신구 종류 중 하나인 날개를 만들기 위한 재료이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비행의 영혼 20개와 합쳐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하늘섬의 하피가 0.5% 확률로 떨어뜨리는 재료. 하피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눈이 올 때(비 올 때) 하드모드 설원에서 나타는 아이스 골렘이 1/3 확률로 떨어뜨리는 재료. 얼어붙은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하드모드 지옥의 붉은 악마가 1.33% 확률로 떨어뜨리는 재료. 화염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하드모드 던전 몬스터가 0.22% 확률로 떨어뜨리는 재료. 뼈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하드모드 정글 지하의 이끼 말벌이 0.67% 확률로 떨어뜨리는 재료. 벌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하드모드 정글 지하의 레어 몬스터 나방이 절반의 확률로 떨어뜨리는 재료. 나비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일식 이벤트 몬스터 흡혈귀가 2.5% 확률로 떨어뜨리는 재료. 박쥐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펌킨 문 이벤트의 탄식하는 나무가 떨어뜨리는 재료. 으스스한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펌킨 문 이벤트의 펌킹이 떨어뜨리는 재료. 망가진 요정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7 염료 제작 재료

장비 아이템인 염료를 만들기 위한 재료이다. 염료장에서 각 색깔에 맞는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채집해 얻는 재료라면 다시 설치할 수도 있다.

동굴에서 가끔 나타나는 코치닐 딱정벌레에게서 획득할 수 있다. 빨간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4NrbSvY.png
지하의 흙 천장에 위의 사진처럼 붙어있는 식물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주황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UZ0gi7M.png
숲이나 할로우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꽃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노란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5k2PDhA.png
지하의 물속에서 자라나는 해초를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주로 설원 지하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일반 지하에서는 희귀하게 발견된다. 라임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AlwLRMV.png
동굴에서 발견되는 버섯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초록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MExVh43.png
지하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버섯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암록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설원 지하에서 가끔 나타나는 청록색 딱정벌레에게서 획득할 수 있다. 청록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JEVvFsX.png
정글과 정글 지하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꽃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하늘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KmQeC5q.png
숲과 정글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식물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파란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바다에서 가끔 나타나는 소라에게서 획득할 수 있다. 자주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정글 지하에서 가끔 나타나는 락 딱정벌레에게서 획득할 수 있다. 보라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파일:R7fb7zR.png
선인장의 윗부분에서 자라나는 식물이다. 분홍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말 그대로 먹물. 바다에서 가끔 나타나는 오징어에게서 획득할 수 있다. 검은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8 포션 제작 재료

손에서 마시멜로 1개, 나무 1개로 제작. 모닥불에 왼쪽 마우스로 올려놓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구워진 마시멜로를 획득할 수 있다.
설원의 집에 거주하는 상인에게 은화 1닢을 주고 살 수 있다. 마시멜로 꼬챙이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8.1 허브

허브는 다양한 효과를 가진 버프 포션을 만들기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월드 전역에 걸쳐서 발견되며 모든 무기도구로 휘두르면 쉽게 채취할 수 있다.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할 경우, 결과적으로 개화를 하며 이때 채취할 경우 1~3개의 허브 씨앗을 떨어뜨리며 이 씨앗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1.3 패치로 허브 가방이 새로 추가되어 힘들게 허브를 찾아다니는 일은 많이 줄었다. 테라리아에서는 총 7개의 허브가 있다.

허브를 키울 때 몇 가지의 주의사항이 있다.

  • 되도록이면 토분, 혹은 화분 상자 위에 재배할 것.
토분이 아닌 토양 위에서 재배할 경우, 도구로 휘둘러서 수확하려 하면 그 도구의 범위만큼 허브를 모두 제거해버린다. 그러므로 토양 위에서 재배할 경우 무기, 도구를 휘두르지 말고 개화한 허브에 그냥 씨앗을 얹혀놓아야 한다.
예외로, 재성장의 지팡이는 휘둘러도 허브를 캐내지 않으며, 또한 허브 채집 효과를 가졌으므로 토양 위에 허브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재성장의 지팡이를 들고 오는 것이 좋다.
토분에 재배할 경우 허공에 휘둘러도 캐지지가 않게 되며, 또한 토양의 조건도 모두 무시하게 되므로 점토가 남아돈다면 토분을 만들어 재배하는 것이 좋다. 토분에 있는 허브는 오로지 곡괭이로, 직접 갖다 대서 클릭해야 수확할 수 있다. 만일 정글에서 얻는 Staff of regrowth라는 근접전 무기가 있다면 곡괭이로 채취할 필요는 없다. 토분으로부터 완전히 꽃이 핀 허브만을 안전하게 채취할 수 있는 이 장비는 허브 농사에 있어서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으니 대미지가 적다고 버리거나 팔지말자.
PC 1.3 이후 드라이어드가 해당 허브를 심을 수 있는 화분 상자(Planter Box)를 개별로 판매한다. 용도는 토분과 동일하며, 플랫폼과 토분의 역할을 함께 한다.
  • 씨앗을 마구 심지 말 것.
씨앗 위에 또 씨앗을 심게 되면 아까 씨앗은 파괴되고 새로운 씨앗이 심어지게 된다. 이는 즉, 허브 하나를 날려먹는 셈이 된다. 그러므로 칸을 잘 보고 심어져있는지 확인하고 심어야 한다. 다만, 토분을 사용한다면 이 부분은 무시해도 된다.
  • 개화 조건을 지킬 것.
반짝이꽃 외에는 개화 조건이 있다. 이 조건을 잘 만족해야만 허브가 개화를 하여 수확 시 씨앗도 함께 얻을 수 있다. 개화 조건은 아래 목록 참고.
허브자라는 장소재배 가능 블록개화 조건
파일:OJbmppB.png 반짝이꽃지하흙, 진흙반짝일 때
파일:0b8FDhz.png 해맞이꽃지상잔디, 신성한 잔디아침에
파일:3CXArZg.png 사망초커럽션
크림슨
칠흑석, 오염된 잔디
심홍석, 크림슨 잔디
블러드 문이나 보름달일 때
파일:Y98QNU3.png 화염초지옥해질녘일 때
파일:Em4S0nJ.png 달맞이꽃정글, 정글 지하정글 잔디밤에
파일:Vs8o0Nf.png 물방울잎사막, 바다모래비가 올 때
파일:JKGflpC.png 서리가시꽃설원, 설원 지하눈, 얼음긴 성장 시간

목록


파일:JmkBJ2n.png 반짝이꽃 씨앗(Blinkroot Seeds)
회색의 줄기에 노란색 꽃을 피운 송이로, 지하의 잔디가 없는 흙 블록이나 진흙 블록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개화 조건은 언제든지 개화하며, 이때 노란 작은 꽃이 피어나 약한 빛과 함께 반짝인다. 개화한 반짝이꽃을 수확하면 반짝이꽃 1개와 반짝이꽃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허브 중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가져 많은 수확이 가능하다. 1.3 버전 업데이트 이후 웜홀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파일:APjSGOI.png 해맞이꽃 씨앗(Daybloom Seeds)
직선 줄기를 가진 작은 노란 꽃으로 나타나며, 지상의 잔디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개화 조건은 낮일 경우 개화하며, 이때 노란 꽃이 피어난다. 개화한 해맞이꽃을 수확하면 해맞이꽃 1개와 해맞이꽃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아침에만 성장을 하는 허브이므로 유리로 농장을 만들어주면 진짜 빛을 받아 피는 것처럼 보인다.[7]
파일:Ae28D6e.png 사망초 씨앗(Deathweed Seeds)
병약해보이는 보라색 줄기에 짧은 두 줄기로 나뉘어진 채 죽은 듯한 초록색 꽃이 피어있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커럽션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1.2 이후 크림슨에서도 자라나는데, 붉은색 계통의 크림슨 지형과 어울리지 않아서 조금 어색한 감이 있다.
개화 조건은 블러드 문일 경우 개화하며, 이때 죽은 듯한 초록색 꽃이 피어난다. 개화한 사망초를 수확하면 사망초 1개와 사망초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1.3 이후 보름달일 때에도 개화하므로 씨앗을 얻기가 좀 더 용이해진 편.
파일:B67INHA.png 화염초 씨앗(Fireblossom Seeds)
크기가 작고 용암의 색상의 꽃으로 나타나며, 지옥의 재 블록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개화 조건은 해가 떠 있는 오후 3:45~7:30에 개화하며, 이때 붉은 꽃이 피어난다. 개화한 화염초를 수확하면 화염초 1개와 화염초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1.3 이전엔 용암에 잠길 경우 개화했으나, 용도가 다른 허브에 비해 별로 많지 않은 데에 비해 조건과 수확이 매우 까다로워서 그런지 이후 수정되었다. 실제로 용암에 잘못 빠져 엄청난 피해와 화상을 입거나 용암 밑바닥을 잘못 건드려서 집 내부의 플랫폼과 가구를 태워먹는 일이 허다했다.
파일:JceMSBN.png 달맞이꽃 씨앗(Moonglow Seeds)
늘어져 구부러진 줄기에 끝에 하늘색의 꽃이 나있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정글의 정글 잔디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개화 조건은 밤일 경우 개화하며, 이때 하늘색 꽃망울이 피어난다. 개화한 달맞이꽃을 수확하면 달맞이꽃 1개와 달맞이꽃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해맞이꽃와는 반대의 특성을 지닌 허브이다. 성장 속도가 해맞이꽃보다 약간 느리다.
파일:L61tgXl.png 물방울잎 씨앗(Waterleaf Seeds)
아주 작고 아쿠아 색상의 새싹과 같이 나타나며, 모래·칠흑/심홍모래·진주모래[8]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개화 조건은 비가 올 때 개화하며[9], 이때 아쿠아색의 새싹이 피어난다. 개화한 물방울잎를 수확하면 물방울잎 1개와 물방울잎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하지만 비가 오는 것도 복불복이므로 비가 안 오기 시작하면 계속 안 온다(...).
파일:8FE1MB2.png 서리가시꽃 씨앗(Shiverthorn Seeds)
전체적으로 파란 모습에 하얀 가지와 같이 나타나며, 설원의 눈 블록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PC 1.2.4 버전에서 새로 추가되었다.
패치 초창기에는 눈보라가 불거나 설원 안에서만 개화한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허브들 중 개화하는데 가장 긴 시간이 필요하다. 다른 허브들은 2단계 성장 시 성장 조건을 맞춰주면 개화하나. 서리가시꽃은 시간이 곧 개화 조건이므로 2→3단계 성장 시간이 가장 길다. 하지만 1->2단계의 성장 시간은 반짝이꽃처럼은 빠르지 않으나 그렇게 느리지는 않으므로 참을성이 없다면 토분이 아닌 토양 위에 심은 뒤 재성장의 지팡이를 사용하면 된다.
개화한 서리가시꽃을 수확하면 허브 1개와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8.2 물고기

낚싯대로 낚시하여 얻을 수 있는 아이템들. 지형별로 낚이는 물고기 종류가 달라진다.

8.2.1 일반

그냥 가치가 없는 일반 물고기들. 낚시할 때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많이 낚인다. 요리 냄비에서 20분 짜리(3분이었지만 1.3 버전 패치 이후 20분으로 늘어났다) 버프 아이템인 익힌 생선/새우를 만들 수 있으며 작업대에서 회로 뜰 수도 있다. 그 외의 용도는 없다.

가장 주옥같이 많이 낚이는 생선. 아무 곳에서나 흔하게 발견된다.
숲에서 발견되는 생선. 아이템 색깔은 파란색이지만 용도는 여타 다른 일반 물고기와 동일.
설원에서 발견되는 생선.
바다에서 흔히 발견되는 생선.
바다에서 발견되는 생선.
바다에서 발견되는 생선.
바다에서 발견되는 새우.

8.2.2 버프 포션용

지하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고약함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동굴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인내력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동굴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귀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1.3 버전 업데이트 이후 웜홀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커럽션 전역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격노(Wrath)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크림슨 전역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분노(Rage)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크림슨 전역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하트 범위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할로우 전역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사랑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할로우 전역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생명력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할로우 지하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순간 이동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설원 전역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따뜻함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정글 전역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탄약 비축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정글 지하에서 발견되는 생선이다. 소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일정 고도 이상에서 낚을 수 있는 생선. 건축물 대신 호수가 고여있는 유형의 하늘섬을 월드에서 적어도 1개를 발견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낚시하면 된다. 침착함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핫라인 낚싯대를 사용해서 용암에서 낚을 수 있는 생선. 흑요어와 함께 화염 고리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핫라인 낚싯대를 사용해서 용암에서 낚을 수 있는 생선. 화염지느러미 잉어와 함께 화염 고리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8.2.3 기타

여기 목록에도 없는 물고기는 퀘스트 전용 물고기이거나 도구무기(...)로 사용되는 희귀한 물고기이다.

정글에서 낚을 수 있는 물고기. 따로 용도는 없고 NPC에게 팔아 돈을 버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 마리당 은화 15닢.
지하에서 희귀하게 낚을 수 있는 물고기. 이걸 NPC에게 판매하면 금화 10닢을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용도는 없음. 드롭률 값을 못한다

9 기타 재료

동굴에 붙어있는 거미줄. 가까이 가면 속도가 느려진다. 잠시 후 부서지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안된다. 보통은 용암 함정 등으로 플레이어를 빠트릴때 천천히 지옥을 맛보게 하기 위해 쓰거나 수직 통로에서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쓴다. 아무 무기나 도구로 때려서 채집이 가능하며, 거미줄 7개로 비단 1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네크로 갑옷 세트와 위기 감지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주로 침대, 소파, 각종 치장용 의복에 사용되는 제작 재료. 베틀에서 거미줄 7개로 제작한다. 하드모드에선 프로스트 문 이벤트 발생 아이템인 장난스러운 선물의 재료로도 들어가므로 이걸 얻기 위해서 거미굴에 자주 들락거리게 된다.
작업대에서 썩은 덩어리 5개로 제작한다. 썩은 덩어리의 대체 아이템인 척추뼈로는 제작할 수 없다. 치장용 의복인 고고학자 세트의 재킷과 바지 제작에 쓰인다.
밤에만 필드에 떨어지는 아이템. 발광체라 찾기는 쉽다. 낮에는 사라진다. 맵의 맨 위쪽의 우주에서 스폰되고 나서 지상으로 빠르게 떨어지는데, 만약 몬스터에게 명중할 경우 1000이라는 무지막지한 대미지를 입힌다. 별똥별로 크툴루의 눈을 잡는 동영상.
3개를 조합해(모바일과 콘솔은 5개 필요) 마나 한도를 20 올려주는 마나 수정으로 만드는 데 주로 쓰인다. 멀티에서 처음으로 플레이 시작한 유저에게는 양보하자. 소서러 외에는 마나를 최대로 만들면 별로 쓸 용도가 없다. 지렁이와 합쳐 미끼를 강화시키거나, 유리병과 합쳐 병 안의 별을 만들어서 마나 회복하는 데에나 활용하자.
이외에도 유성 대포의 재료 또는 탄약으로도, 슈퍼 마나 포션, 마법 강화 포션, 마나 재생 포션 등의 재료로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모루에서 철괴 또는 납괴 1개로 10개를 제작한다. 시계, 샹들리에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또한 밧줄의 기능도 지닌다.
커럽션에서 자라는 버섯의 일종이다. 연금술 작업대에서 벌레 먹이와 독 바른 칼의 재료인 오염 가루를 만드는 데에만 사용된다.
크림슨에서 자라는 버섯의 일종이다. 연금술 작업대에서 피투성이 등뼈와 독 바른 칼의 재료인 지독한 가루를 만드는 데에만 사용된다.
사막 지하에서 악몽의/사신의 곡괭이 이상 등급의 곡괭이로 채굴할 수 있는 사막 화석 블록을 추출기에 넣으면 13.18%의 확률로 나온다. 모루에서 높은 공격력을 가진 투척용 무기류, 투척 계열 갑옷인 화석 갑옷 세트, 마법 무기인 호박 지팡이의 제작에 쓰인다.
정글 지하에서 발견되는 아이템이다. 정글 지하 곳곳에서 노랗게 빛나고 있어서 찾기 쉽다. 아무 무기나 도구로 때려서 채집할 수 있으며, 정글 갑옷 세트와 각종 정글 무기들의 제작에 쓰인다.
베틀에서 정글 잔디 씨앗 3개로 제작한다. 영웅의 옷 세트 제작에 쓰인다. 영웅의 옷 세트를 모두 만들려면 총 27개의 정글 잔디 씨앗이 필요하다.
  • Book.png 책(Book)
던전의 플랫폼 곳곳에 설치된 아이템이다. 곡괭이로 채집할 수 있다. 책장과 피아노 제작에 사용되며, 집을 꾸미는 인테리어로도 사용된다.
바다에서 발견되는 아이템이다. 곡괭이로 채집할 수 있다. 아가미 포션과 수중 탐지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아무 블록에다가 설치가 가능하나, 위와 양옆에 각각 1칸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할로우 지하에서 발견되는 아이템이다. 곡괭이로 채집할 수 있다. 스스로 파란색 혹은 빨간색의 빛을 내며 어두컴컴한 동굴에서 수정들이 반짝거리는 모습은 꽤나 장관. 대형 치유 포션, 슈퍼 마나 포션, 수정 총알, 수정 다트의 재료로 쓰이며, 수정 폭풍, 마법의 하프, 무지개 지팡이같은 몇몇 마법 무기의 재료로도 많이 사용된다. 또한 페이즈블레이드를 페이즈세이버로 강화할 때 뭉텅뭉텅 들어가니 꾸준히 모아둬서 나쁠 건 없다.
어째선지 모바일에서는 노멀모드의 우두머리 악마가 무조건 3~10개를 드롭한다.
진주석 블록이나 분홍 얼음 블록을 지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수정 파편 농장을 만들 수 있다. 할로우 지하가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1. 1.1.2 버전 이전에 기계 보스 소환 아이템의 재료로 쓰였던 시절도 있었다.
  2. 소형 400개, 중형 600개, 대형 800개.
  3. 다만, 지옥 이외의 장소에서 채굴할 경우 용암은 생성되지 않는다.
  4. 주변의 진흙 블록과 정글 잔디 블록으로 퍼진다. 타이베리움?
  5. Chlorophyte는 녹조류, 녹조식물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6. BGM이 지상일 때와 미묘하게 달라졌다면 지하 구역에 들어왔다는 뜻이다.
  7. 사실 허브는 폐쇄된 공간에서도 조건만 갖춰준다면 아주 잘 자란다. 지하에 키워도 허브는 잘 자란다는 것.
  8. 모래만 있으면 되는 조건이므로 지상, 지하 가리지 않고 자란다. 따라서 지옥에서도 인공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9. 모바일과 콘솔판에서는 물에 잠길 경우 개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