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리아/무기

테라리아 관련 문서
파일:Terraria npc.png파일:Terraria biome.png파일:Terraria mob.png파일:Terraria boss.png파일:Attachment/Goblin Battle Standard.png파일:Terraria modifier.png파일:32px Campfire Buff.png파일:Terraria achievement.png파일:Terraria tutorial2.png파일:Terraria Update.png
NPC 지형 몬스터 보스 이벤트 수식어 상태 업적 공략 패치
파일:테라리아/장비/철 헬멧.png파일:32px Cobalt Shield.png파일:Terraria Iron Pickaxe.png파일:32px Iron Broadsword.png파일:32px Lesser Healing Potion.png파일:테라리아/가구/화로.png파일:Attachment/Wrench.png파일:Attachment/32px Stone Block.png파일:32px Gold Bar.png파일:Terraria Crafting.png
장비 장신구 도구 무기 소모품 가구 전기 블록 재료 조합

* 하드모드 전용 콘텐츠는 로 표시합니다.
* #(숫자)는 아이템 코드입니다.

1 개요

무기는 기본적으로 전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적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대부분의 무기는 작업대, 모루 등 직접 제작으로 인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일부 무기는 NPC몬스터에게 얻을 수 있거나 혹은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하드모드 후반부로 갈수록 보스 사냥으로 얻는 무기의 비율이 많아지게 된다.

각 무기는 "Damage" 앞에 붙은 수식어에 따라 크게 근접(Melee), 원거리(Ranged), 마법(Magic), 소환(Summon), 투척(Thrown)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투척 계열을 제외한 나머지 계열은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뚜렷하고, 작중 최후반부에는 균등한 갑옷과 장신구를 제공하므로 무기별로 클래스를 다음 4가지로 대략 나눌 수 있다.

초중반에는 단순히 무기만으로 플레이어의 전투 클래스가 나뉘지만 하드모드 이후에는 갑옷과 장신구로 인해 클래스가 결정되게 된다. 직접적인 전직 시스템이 있는 것은 아니고, 갑옷과 장신구 개별마다 특수 계열의 공격력이나 치명타율을 높이는 능력만 제공하여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식. 자원이 한정돼서 갑옷까지 클래스가 고정되면 바꾸기가 어렵다 보니 모든 것이 만능인 올라운드 플레이어의 수는 적은 편.[2]RPG처럼 생각하면 안되는 게 소서러라도 근접에 강하기도 하고 워리어라고 원거리를 대처 못하는 것은 아니다. 워리어라도 무기 중에 빔을 쏠 수 있는 무기가 있고, 소서러라도 근접에서 강력한 무기가 많기 때문.

테라리아의 모든 무기에는 치명타(Critical hit)라는 효과가 존재하며, 해당 효과가 발생할 시 평상시보다 피해량 2배, 넉백 1.4배가 상승한다. 일부 무기들을 제외한 거의 대다수의 무기들이 기본 치명타율 4%로 설정되어 있으며, 무기 자체의 수식어장비, 장신구를 통해 해당 확률을 올릴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기본 값 4%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무기 15종만 표에 따로 명시해두었다.

본 문서에서 꾹 눌러 자동 연속 공격이 가능한 무기는 ☆로 표시한다.

2 근접 무기

무기의 설명란에 'melee damage'가 나타나 있는 무기. 거북 갑옷이나 전사의 휘장 등 근접 관련 장비나 장신구를 통해 근접 무기를 강하게 만들 수 있다. 공격 방식에 따라 크게 7가지로 나뉠 수 있다.

분류도 외형이 아니라 공격 방식을 따라가니 유의할 것. 예를 들어, 근접 무기 중 사이코 칼(Psycho Knife)은 단검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공격 방식이 찌르기가 아닌 휘두르기[3]이므로 '단검'이 아닌 '검'으로 분류되고, 여명(Daybreak)은 적을 향해 창을 찌르는 것이 아닌 직접 날리는 투창 방식이므로 '창'이 아닌 '투척'으로 분류된다.

이외에도 곡괭이, 드릴, 도끼, 전기톱, 망치는 전부 근접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니 도구 문서도 참조하면 좋다. 밤의 전투도끼나 도살자의 전기톱 등 도구용으로만 사용하기엔 아까운 것들이 종종 있다.

2.1

하드모드 이전 초반부터 중반까지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무기이며 하드모드 이후에도 보스나 웬만한 강력한 몬스터를 제외한다면 여전히 가장 많이 애용되고 있는 근접 무기 중 한 분류이다. 공통적으로 범위가 좁지만 거의 모든 방향을 커버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일부는 마법 무기들처럼 발사체나 투사체를 날려 추가 피해를 줄 수 있다. 검류 무기의 최고 수식어는 Legendary이다.
꼭 검의 모양새를 갖추지 않더라도 공격 방식이 기본적으로 휘두르는 방식이거나 최고 수식어가 Legendary라면 여기로 분류된다.

공격력속도넉백
7빠름약함

검 중 가장 최하위의 검. 작업대에서 나무 7개로 제작한다. 구리 단검이 워낙에 시원찮은지라 극초반에는 꼭 하나 만들어두는 무기. 좀비들을 저지하기 편하다. 모바일 1.2.10333부터 캐릭터 생성 시 구리 단검 대신에 이 검을 준다.

파일:Attachment/Rich Mahogany Sword.png 마호가니 검(Rich Mahogany Sword) #656
파일:Attachment/테라리아/무기/Palm Wood Sword.png 야자나무 검(Palm Wood Sword) #2517
공격력속도넉백
8빠름보통

설원이나 정글, 바닷가에서 자라는 나무 7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파일:Attachment/Shadewood Sword.png 그늘나무 검(Shadewood Sword) #921
공격력속도넉백
10빠름보통

커럽션/크림슨에서 자라는 나무 7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커럽션/크림슨 근처에 가서 재빨리 나무 한두 그루만 캐면 손쉽게 만들 수 있다. 공격력도 철 검에 뒤지지 않아서 극초반에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검.

공격력속도넉백
11빠름보통

할로우에서 자라는 나무 7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목검 중에서는 가장 강하지만 하드모드에서 이걸 어디에 쓸까?

공격력속도넉백
9빠름보통

사막에서 자라는 선인장 10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목검류 검과 마찬가지로 게임 내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검으로, 범위가 커서 수식어만 잘 뽑아낸다면 쓸만하다.

공격력속도넉백
12매우 빠름보통

좀비가 희귀하게 떨어뜨리는 근접 무기(...)이다. 텅스텐 검과 성능이 비슷하지만 공격 범위가 좁은 게 단점.

공격력속도넉백
8빠름보통

목검보다 강하며 주석 검보다 약한 검. 모루에서 구리 주괴 8개로 제작한다. 위를 보면 알겠지만 칠흑나무 검보다 성능이 떨어져 만들 필요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9빠름보통

구리 검보다 강하며 철 검보다 약한 검. 모루에서 주석 주괴 8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0빠름보통

주석 검보다 강하며 납 검보다 약한 검. 모루에서 철 주괴 8개로 제작한다. 칠흑나무 검과 성능이 같다.

공격력속도넉백
11빠름보통

철 검보다 강하며 은 검보다 약한 검. 모루에서 납 주괴 8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1빠름보통

납 검보다 강하며 텅스텐 검보다 약한 검. 모루에서 은 주괴 8개로 제작한다. 납 검과 성능이 거의 같으므로 월드 내에서 납과 은이 같이 존재한다면 만들 필요는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12매우 빠름보통

은 검보다 강하며 금 검보다 약한 검. 모루에서 텅스텐 주괴 8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3매우 빠름보통

텅스텐 검보다 강하며 백금 검보다 약한 검. 모루에서 금 주괴 8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5매우 빠름보통

검류 무기 중 일반 광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최상위의 검. 모루에서 백금 주괴 8개로 제작한다. 이 시점까지 왔다면 동굴까지의 몬스터들은 그다지 무섭지가 않다.

공격력속도넉백
7빠름매우 약함

할로윈 이벤트 기간에 상인에게 금화 1닢으로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이걸 가지고 잔디의 잡초를 베면 건초를 얻을 수 있다.
PC 1.3 버전 이후로는 건초가 과녁 모형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므로, 상인이 할로윈 기간과 관계없이 항시 판매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4매우 빠름매우 약함

사막 지하의 개미귀신 돌격병이 2% 확률로 떨어뜨리는 근접 무기이다.

공격력속도넉백
16보통보통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선물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근접 무기. 뼈다귀 검과 비슷한 스펙이라 일단 얻어두면 하드모드 전까진 버리지 않아도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16빠름보통

지하의 스켈레톤이 0.5% 확률로 희귀하게 떨어뜨리는 검. 게임 초반부에 얻을 수 있는 강한 무기로 운 좋게 획득한다면 금 검이나 백금 검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16빠름약함19%

떠돌이 상인이 랜덤으로 판매하는 검으로, 금화 4닢을 주고 살 수 있다. 속도는 빠르고 대미지 또한 16으로 초반 파밍으로 유용하다. 자동 공격이 되고 치명타 확률이 높아 무라마사 전까지는 좋지만 대부분은 스켈레트론을 일찍 쓰러트린 뒤 금방 무라마사 찾아먹는다.

공격력속도넉백
17매우 빠름보통

설원 지하의 얼음 상자에서 랜덤으로 발견할 수 있는 검. 사용 시 얼음 조각을 발사한다. 얼음 조각은 이동 중이나 벽에 부딪힐 때 빛을 내는데 이 덕분에 지하 탐사에 큰 도움이 된다.
PC 1.3 패치로 공격력이 13에서 17로 증가하고 자동 공격 기능이 추가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
20매우 빠름보통

근접 무기이며 염료상이 죽으면 12.5% 확률로 떨어뜨린다.

공격력속도넉백
16빠름약함

근접 무기이며 세무사가 죽으면 12.5% 확률로 떨어뜨린다. 하드모드에서 얻을 수 있다만 진주나무 검만큼이나 쓸모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14매우 빠름보통

근접 무기이며 스타일리스트가 죽으면 12.5% 확률로 떨어뜨린다.
참고로 게임 내 내부 소스 코드 이름이 'StylistKilLaKillScissorsIWish'이다.

공격력속도넉백
17매우 빠름보통

모루에서 데모나이트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밤의 칼날의 재료로 사용된다. 크기가 작아서 단검처럼 보이겠지만 엄연히 휘두르는 검에 속한다. 공격 시 보라색 빛을 내뿜으며 데모나이트로 만들 수 있는 무기 중 그림자 비늘 없이 만들 수 있는 무기이다. 효과가 확 좋다할 정도는 아니지만 여러 희소성 있는 무기들 중 제일 쉽게 얻을 수 있는 무기다. 1.2 패치 이후 크기가 좀 커졌지만 여전히 밤의 칼날 재료 신세는 벗어나지 못했다.

공격력속도넉백
22빠름보통

모루에서 크림테인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빛의 파멸 대신 밤의 칼날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빛의 파멸을 대신하는 무기이지만 크기도 피해량도 빛의 파멸에 비해 강하다.

공격력속도넉백
24느림강함

커럽션에서 낚시하면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물고기 무기. 속도가 느린 대신 자동 공격이 존재하고, 넉백이 꽤 강하다.

공격력속도넉백
19매우 빠름극도로 약함

던전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검. 밤의 칼날의 재료로 사용되며, 공격 시 푸른 빛을 내뿜는다. 공격력은 18이며 공격 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한 자동 공격이 가능하여 근접전에서 높은 피해량을 줄 수 있는 좋은 무기. 넉백이 매우 약해 저지력이 딸리는 단점이 있지만, 매우 빠른 공격 속도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다. 그림자 갑옷 세트와 야수의 발톱을 장착하고 Legendry 수식어를 붙이면 하드모드 이전 최고의 DPS를 찍는 검을 만들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21빠름매우 약함

일명 광선검. 모루에서 운석 주괴 20개와 보석 10개로 제작할 수 있으며 하드모드 검류 무기인 페이즈세이버의 재료로 사용된다. 만들 때 각 보석에 따라 보라색,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하얀색으로 나뉘어지며 성능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휘두르면 색상에 따른 빛을 내뿜으나, 빛이 꽤 약하다. 다이아몬드가 귀했던 1.2 이전에는 하얀색을 만들기는 꽤 어려웠지만 1.2 이후부터 동굴에 랜덤으로 등장하는 보석 동굴 지형은 높은 확률로 다이아몬드를 20~30개씩 포함하고 있으니 만들기도 용이해진 편. 결정적으로 예쁘다.

공격력속도넉백
22빠름보통

하늘섬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으며 마우스의 방향으로 향하여 별을 떨어뜨리는 검이다. 별은 44 공격력에 2회 관통 효과를 갖고 있으며 당연히 무기 자체에도 근접 공격 판정이 존재한다. 초반에 중력의 포션을 운 좋게 얻고 하피들의 공격을 피해 얻을 수 있다면 하드모드 이전 근접 무기는 더 이상 특별히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한 가지 문제는 별을 맞추기가 힘들다는 것. 여담으로 1.2 버전 패치 전에는 마법 무기였다.
전문가 모드에서도 꽤나 효율이 좋다. 체력이 높은 동굴 몬스터를 상대로 높은 딜량을 뽑아내고 별이 나오는 특수 효과를 통해 숨겨진 동굴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일단 일반 모드에 비해 전문가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동굴에서 유적이 자주 발견되므로 황금 상자에서 중력 포션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점도 한몫 한다. 여왕벌을 잡고 양봉가+벌꿀 가방을 얻기 전까지 플레이어의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는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24매우 빠름보통

파일:Attachment/Echanted Sword Hilt.png
미니 바이옴인 마법의 검 성지나 지하의 모든 바이옴에서 위와 같이 생긴 유물을 채굴하면 획득할 수 있다. 동굴에서 발견되는 위 유물과 비슷하게 생긴 철 검과 유사한 손잡이가 박힌 돌무더기와 해골에 박힌 검은 부숴도 아무것도 주지 않으니 주의. 공격력이 상당히 강하고 휘두를 때마다 빔 형태의 검기를 발사하므로, 초반부에 정말 운 좋게 얻었다면 대부분의 몬스터가 밥으로 전락하게 된다. 사이즈 관계없이 모든 맵에 마법의 검 성지가 생기니 잘 찾아보자. 1.3 버전 이후로 자동 공격이 추가되고 공격력이 증가하였다. 이로써 최소 지옥 직전까지의 테크는 사용이 용이해졌다. 물론 얻었다는 가정 하에 얘기...

공격력속도넉백
20빠름약함


마법의 검 유물을 부수면 1/10 확률로 마법의 검을 대체해서 나온다. 공격 방식이 좀 특이한데, 검의 모습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빨리 내리쳐서 적을 벤다. 꾹 누르고 있는 동안에도 360도 자유자재로 방향 변환이 가능하다. 크기나 공격 속도를 올릴 수 없기 때문에 최고 수식어는 'Godly'이다.
아크할리스는 Re-Logic의 개발자 중 1명인 Arkhalis의 이름을 본딴 것으로 실제로 Arkhalis는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에 나오는 발만웨라는 무기를 개인적으로 좋아했다고 밝혔다.[4] 발만웨의 공격 모습과 테라리아 내 아크할리스의 공격 모습은 상당히 비슷하다.
운 좋게 얻어두면 하드모드 초반까지는 꽤 도움이 된다. 왜 월하의 야상곡에서 발만웨가 사기인지를 알 수 있다. 커틀러스를 얻기 전까지는 이 녀석으로 버텨도 어느정도 괜찮을 정도.

공격력속도넉백
30매우 빠름보통

낚시로 얻는 철 상자에서 가끔 얻을 수 있다. 리치가 매우 짧지만 빠른 속도와 1.3 이후 추가된 자동 공격 덕에 초반에는 그럭저럭 쓸만하다.
참고로 같은 Re-Logic이 만든 픽셀 해적 게임에 나오는 무기를 가져온 것이다 일종의 크로스 프로모션.

공격력속도넉백
12미친 듯이 빠름약함

할로윈 이벤트 기간에 방어력 20 미만, 공격력 40 미만, 떨어뜨리는 동전의 양이 은화 5닢 미만인 모든 적들이 1/2000의 극강의 확률로 떨어뜨리는 아이템으로, 근접 무기 중 범위가 가장 작은 대신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공격력도 14로 금 검 이상의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넉백을 무시하는 보스 같은 상대에겐 그야말로 지옥을 보여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28보통매우 약함

모루에서 정글 포자 12개와 독침 12개로 제작되는 검. 밤의 칼날의 재료로 사용된다. 공격 시 25% 확률로 독을 건다. 초반에도 원거리 마법 무기를 만들 수 있는 1.2부터는 빠르게 정글을 돌아서 재빨리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1.2 버전 이전에는 도 모양이었으나 대검으로 바뀌었다.

공격력속도넉백
26빠름보통

정글 안에 있는 벌집의 보스 여왕벌이 떨어뜨리는 검이다. 적을 공격하면 주변에 벌들이 소환되어 추가 피해량을 입히고, 10% 확률로 적에게 혼란을 걸어 도망가게 한다.[6] 벌들의 대미지는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작으나, 혼란이 벌들의 공격에도 적용되므로 이것만 한 자루 가지고 있으면 적들에게 대미지 입을 확률이 확 준다.
언제부터인가 누르고 있을 경우 자동 공격이 가능해졌지만 누르고 있는 도중엔 공격 방향 전환이 안 된다. 1.3 패치로 공격력이 22에서 26으로 증가되었다. 공격 속도도 빠른 편이므로 하드모드 이전에 사용하기에 좋아졌으며, 방어 관통 옵션이 붙은 악세사리나 버프가 벌의 공격에도 영향을 주므로 하드모드 이전 무기 중에서 매우 큰 딜링을 기대할 수도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36느림강함

모루에서 지옥석 주괴 20개로 제작되는 검. 밤의 칼날의 재료로 사용된다. 공격 시 붉은 빛을 내뿜으며 50% 확률로 화상을 건다. 하드모드 이전 무기 중 가장 큰 검이었으나 1.2 이후 초목의 검의 스프라이트 변경으로 가장 큰 검의 자리는 내주게 되었다. 어쨌든 여전히 공격 속도는 굉장히 느리다. 밤의 칼날의 마지막 재료이고 이걸 제작할 즈음에는 나머지 검들도 만들어져 있을 것이기 때문에 몇 번 휘둘러보고 바로 밤의 칼날의 재료로 쓰이게 될 것이다.
이전 버전의 스프라이트를 보면 칼날 부분이 좀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42보통보통

악마의/크림슨 제단에서 빛의 파멸과 피의 도살자 중 한 가지와 무라마사, 초목의 검, 불타는 대검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는 검으로 하드모드 이전 검류 무기 중 가장 강력한 무기이다. 하드모드에서는 진정한 밤의 칼날의 재료로 사용된다. 조언을 하자면 하드모드 돌입 전에 만들어 놓는 게 좋은데 극후반 테라리아 무기 중 가장 다용면으로 사용 가능한 테라 블레이드를 제작하는데 들어가고 자체 성능도 하드모드 초반에 쓰이기에 적당하기에 재료를 구하는 데 약간 시간이 걸리긴 하지만 미리 만들어 놓는 게 여러모로 편하다. 재료인 무라마사를 구하기 위해 황금 상자를 다 열어봐도 찾지 못하면 아예 월드를 새로 만들어서 던전을 다시 탐험하면 된다. Legendary 수식어가 붙으면 아무것도 안 붙은 엑스칼리버보다 DPS가 높아진다. 공격 시 푸른 빛을 내뿜는다.

공격력속도넉백
39보통매우 강함

하드모드 초반의 검으로 지옥 보스 월 오브 플레시에게서 얻을 수 있다. 엄청나게 크고 아름다운 무기로 넉백이 심각하게 높다. 이걸로 넉백을 심각하게 받는 핑키나 스노 플링스에게 공격하면 장외홈런을 날릴 수 있다(!). 앞에 톱 모양만 빼면 거의 버스터 소드 + 클라우드의 검(...).

공격력속도넉백
35빠름상식을 벗어남

하드모드에서 블러드 문이 진행되고 있을 때 지하의 해골 상인이 판매한다. 공격력은 하드모드 초반 무기 수준이지만 특이하게도 넉백이 가장 높은 등급인 'Insane'으로 유일한 무기. 사실 바로 아래 단계인 극도로 강함도 파쇄자의 검 같은 넉백이 강한 무기에 수식어가 추가로 붙거나 넉백 장갑을 껴야 겨우 뜰 정도이다. 그야말로 넉백에 특화된 무기로, 완전히 넉백을 무시하는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몬스터들을 핑키 수준으로 강하게 밀어낼 수 있다. 핑키에게 사용하면 FHD 화면 기준 밖을 뛰쳐나가고도 남는다(...).

공격력속도넉백
41빠름매우 약함

페이즈블레이드의 강화형 무기. 제작 방법은 미스릴 모루에서 페이즈블레이드 1개, 할로우 지하에서 채취할 수 있는 수정 파편 50개를 조합하면 된다. 페이즈블레이드와의 차이는 당연히 공격력 증가, 속도 향상, 넉백 감소, 그리고 연속 공격을 할 수 있다. 1.2 이전에는 수식어만 잘 붙으면 한때 최강의 검류 무기인 엑스칼리버에 비등할 정도였지만, 지금은 하드모드 초반에 밤의 칼날을 미리 만들어 놓지 않았다면 대신 쓸만한 무기로 위치가 내려갔다. 휘두르면 빛을 내뿜는 것, 색상은 그대로 이어받는다. 하드모드에 돌입했는데 쓸만한 근접 무기가 없다면 할로우 지하로 내려가 수정을 재빨리 수집해서 이 검을 만들어두면 코발트 채광이나 기타 아이템 수집에 큰 도움이 된다. 특이하게도 페이즈블레이드와 판매가(제련가)가 같다. 이제 광선총을 만들고 운석 갑옷만 입으면 제다이
원래 페이즈블레이드와 동일한 스프라이트를 공유했으나 1.3.1 패치로 광선 부분의 명도가 증가하고 칼자루의 모습이 미세하게 변경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
39빠름약함

모루에서 코발트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넉백이 적고 속도도 빠르고 연속 공격이 가능하다. 그렇게까지 약한 것은 아니지만 하드모드에서 쓰기에는 공격력이 약간 부족한 감도 있고 페이즈세이버같은 검류도 많이 있으므로 잘 안 쓰인다. 거기에다가 모바일에서는 하드모드 이전에도 페이즈세이버를 만들 수 있으므로... 코발트의 주제가 일본풍이여서 하드모드 이전 무기인 무라마사와 유사하게 생겼다. 색상도 푸른 색이고, 손잡이도 그대로 따왔다.

공격력속도넉백
41빠름보통

모루에서 팔라듐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코발트 검과 마찬가지로 연속 공격이 가능하다.

공격력속도넉백
44보통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코발트/팔라듐 검과는 달리 공격력이 높지만 넉백이 높고 속도가 느리다. 미스릴의 주제가 중세풍이여서 그런지 중세 시대의 느낌이 난다.

공격력속도넉백
47보통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오리칼쿰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50보통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아다만타이트의 주제가 미래적인 느낌이여서 버튼을 누르면 트랜스포머로 변신할 것 같은 기계 검처럼 보인다.

공격력속도넉백
52보통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티타늄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57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하드모드 기계 보스를 잡으면 획득할 수 있는 신성한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PC 버전 1.2 패치 이전에는 가장 최상위에 속했던 무기이다. 연속 공격이 가능하며 공격 시 밝은 빛을 내뿜는다. 부서진 영웅의 검과 조합하여 진정한 엑스칼리버를 만들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48매우 빠름약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휘두를 때마다 지형을 관통하는 녹색 포자 구름을 남긴다. 포자 구름은 벽을 관통하고 아주 약하게 빛을 낸다.
PC 1.3 패치로 공격력이 43에서 48로 증가하였지만, 속도가 16에서 15로 감소하였다. 그래도 매우 빠름이다.

공격력속도넉백
75보통보통

기병도와 마찬가지로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휘두를 때마다 중력에 영향을 받는 구체를 발사한다. 구체는 벽을 관통하지 않으니 주의.

공격력속도넉백
40빠름보통

하드모드의 설원 지하에서 나타나는 아이스 엘리멘탈, 얼어붙은 수인, 무장 바이킹을 잡으면 0.56%의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는 검. 휘두를 때마다 얼음 낫을 발사한다. 얼음 낫은 적을 4회 공격하면 사라진다.

공격력속도넉백
49빠름보통

하드모드의 설원 지하에서 낮은 확률로 나타나는 얼음 미믹을 잡으면 떨어뜨리는 검. 얼음 칼날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휘두를 때마다 얼음 조각을 발사한다. 아쉬우면 아래 빔 소드 대신 쓰자.

공격력속도넉백
50빠름보통

PC 1.3 패치 이후 플랜테라가 드롭하는 무기. 검을 휘두르면 씨 폭탄이 나온다. 씨 폭탄이 터지고 난 뒤 나오는 파편에도 대미지가 들어간다. 씨 폭탄 또한 근접 공격에 들어가는지라 버프의 수혜를 받을수 있으며, 파편 개수도 많아 적들을 명중하기 쉽다.
버그인 건지 정글에서 낚시로 얻을 수 있었으나, 1.3.0.5 패치로 파편이 근접 피해 증가와 플라스크 효과를 받는 것이 수정됨과 동시에 더 이상 낚시로 얻을 수 없게 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
49매우 빠름약함

해적 침략 이벤트 몬스터들이 떨어뜨린다. 해적 침략 이벤트 한 판에 얻을 확률은 60% 정도이니 하드모드 초반에 쉽게 입수할 수 있다. 자동 공격 기능이 있다. 하드모드 초반에 적절하게 쓸 수 있는 무기...라고만 보기엔 사실 이 아래의 템들을 보면 자동 공격도 없는 빔 소드나, 언제 올지 모르는 일식 아이템과 펌킨/프로스트 문 아이템들만 있다. 사실상 하드모드 중후반까지는 써야 할 아이템.
1.3.0.1 패치로 공격력이 51에서 49로 근소하게 하향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
52매우 빠름강함

동굴의 무장 스켈레톤이 0.64%의 낮은 확률로 떨어뜨린다. 말 그대로 휘두를 때마다 빔 형태의 검기를 발사한다. 다만 사거리가 짧은 편에 속하니 몬스터에게 초근접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다.

공격력속도넉백
55보통강함

크림슨에서 낚시로 얻을 수 있다. 검이 적을 때리면 이코르가 한 줄기 뿜어져 나온다. 이코르 줄기에 맞은 대상은 이코르 디버프에 걸린다.

공격력속도넉백
70빠름보통

플랜테라를 처치한 뒤 던전에 스폰하는 하드모드 몬스터를 잡으면 0.33%의 낮은 확률로 떨어뜨린다. 모양이나 이름으로 보아서 키블레이드의 패러디인 듯.
PC 1.3 패치에 버프를 받은 무기중 하나이다. 자동 공격이 가능해졌으며 공격력이 70으로 상승하고 치명타 확률도 17%로 대폭 상승했다. 공격 속도와 넉백 수치도 미약하게 올라갔다.

공격력속도넉백
56빠름보통

콘솔 및 모바일 전용 아이템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엑스칼리버 1개, 재앙의 영혼 15개, 아다만타이트 주괴 15개로 제작. 한때 콘솔 최강의 검이었지만 공격력이 높고 특수 효과까지 붙어있는 검들이 대거 추가된 지금은 뒷전에 밀려 찬밥 신세. 신성한 주괴가 넘쳐나더라도 그놈의 아다만타이트와 오크람이 발목을 잡으므로... 또한 대체 광물인 티타늄 주괴로는 제작이 불가능한 버그가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70미친 듯이 빠름매우 강함

하드모드 크림슨에서 소환되는 크림슨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쉬루마이트 땅파기 손톱, 칼날 장갑과 같은 방식으로 공격한다, 단, 공격 속도는 땅파기 손톱보다 월등히 빠르며 공격력도 더 높고, 넉백도 더 크다. 하지만 사거리가 매우 짧아 수식어를 Legendary로 만든다고 해도 철 검과 비슷한 사거리밖에 되지 않는다. 넉백이 엄청 커서 그런지 넉백을 무효화하는 보스를 제외한 일반 몬스터에게는 다소 약한 모습을 보인다.
이 무기를 사용하여 익스퍼트 플랜테라를 순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7] 또, 이 무기로 던전 가디언을 잡기도 한다!#

공격력속도넉백
57빠름강함

일식 이벤트 몬스터 중 하나인 리퍼가 0.4%의 낮은 확률로 떨어뜨린다. 휘두를 때마다 죽음의 낫을 발사한다. 발사체는 적을 6회 공격하면 사라진다. 발사체는 벽 관통이 되며 사거리가 긴 편이고 자동 공격도 가능하기 때문에 워리어 유저들이 애용한다. 자체도 스펙이 좋거니와 작물 거두어들이기 등 잡일하기에 좋다.

공격력속도넉백
70매우 빠름약함

하드모드 일식 이벤트의 사이코가 떨어뜨리는 근접 무기. 공격력과 속도가 빨라 우수한 DPS를 지닌다. 사거리는 상당히 짧지만, 이 무기를 들고 멈춰 있을 시엔 투명 상태가 된다. 투명 상태가 될 경우엔 공격력 300%, 치명타 확률 30%, 넉백 100% 증가하며, 이동 속도가 느려지고 공격 시 풀린다. 참고로 태양 플레어 갑옷의 돌진 공격력이 근접 무기의 공격력이기 때문에, 투명 상태일 때 돌진하면 환상적인 피해량을 자랑한다. 날개는 수직 이동은 느려지지 않지만 수평 이동은 느려진다. 탈것은 이동 속도 저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투명 상태의 버프로 다른 근접 무기의 능력이 상승하는 것도 볼 수 있지만 무기를 바꿔들면 버프가 풀린다. 솔라 플레어 갑옷과 크툴루의 방패 대쉬 공격은 버프를 받아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다. 게다가 투명이 풀리지도 않는다. 다른 플레이어가 사이코 칼을 들고 투명 상태에서 체력을 잃으면 머리 위에 체력 막대가 보인다.

공격력속도넉백
66매우 빠름보통

엑스칼리버의 상위 버전 무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엑스칼리버 1개와 부서진 영웅의 검 1개를 조합하면 된다. 테라 블레이드의 재료가 된다. 검기를 발사할 수 있어서 장거리 공격이 가능해졌고 여러 부분에서 업그레이드되었지만 연속 공격 기능이 삭제된 게 흠이라면 흠. 검기는 5번 적을 관통하면 사라지고, 벽을 뚫지 못한다.

공격력속도넉백
90빠름보통

밤의 칼날의 상위 버전 무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밤의 칼날 1개와 부서진 영웅의 검 1개를 조합하면 된다. 테라 블레이드의 재료가 된다. 범위가 넓은 검기를 발사하며 엑스칼리버에 비하면 뒷전이었던 밤의 칼날와 달리 진정한 엑스칼리버보다 더 강한 공격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검기가 진정한 엑스칼리버와는 달리 넓기 때문에 벽에 부딪히기 일쑤고, 관통이 되지 않는다.

공격력속도넉백
86빠름강함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에버스크림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검. 휘두를 때마다 중력에 영향을 받는 크리스마스 방울 장식을 날린다.
공격력도 그냥저냥이고 자동 공격도 안 되는 데다가 이펙트도 가장 볼품없어 웨이브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무기들 중 취급이 가장 좋지 않다. 무기 랙에 걸어 장식용으로 쓰거나 상점에 팔아 골드를 챙기는 게 대부분. 크리스마스 방울이 중력의 영향을 받긴 해도 꽤 멀리 날아가기 때문에 PvP에서 워리어들이 종종 사용할... 수도 있었겠으나, 1.2.3에서 상향으로 강력해진 테라 블레이드에 밀려 쩌리 신세를 면치 못했다.

공격력속도넉백
75보통매우 강함

펌킨 문 이벤트의 펌킹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검. 자동 공격 시 방향 전환을 해도 같은 방향으로 칼질을 한다. 적을 공격할 경우 주위에 지형 무시에다 유도성을 가진 호박 머리가 나타나서 추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다관절 몬스터들이나 다단히트하는 적을 상대할 때 적합하다. 맞는 관절마다 호박 머리를 발생시켜서 보통 적보다 큰 대미지를 입기 때문.
몬스터 사냥용으로 좋지만, 보스나 펌킨 문, 프로스트 문 등의 이벤트를 상대할 때 석상을 이용한 꼼수를 이용해서 쉽게 깰 수 있다. 공격성을 띄는 몬스터를 소환하는 석상 여러 개를 1초 타이머로 이어서 작동시킨 뒤에 가만히 휘두르기만 해도 호박 머리가 미친듯이 생성되어 프로스트 문이건 최종 보스건 순식간에 녹여버린다. 이코르 플라스트와 같이 사용하면 금상첨화. 1.3 이후 소소하게 변화가 있었는지 말뚝 딜은 가능하지만 절반 이상의 호박 머리가 소환된 몬스터에 들이박기 때문에 이전과 같은 화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모바일은 중립 몹을 때려도 유도체가 나온다는 정보가 있다.
여담으로 이터 오브 월드를 잡을 때는 비효율적인데, 기수의 검으로 한두 방만 그어줘도 이터 오브 월드가 순식간에 조각나는 데다가 호박 머리가 이터 오브 월드의 몸뚱이에 몇 방 박아버리면 그대로 분쇄되어 땅속에서 죽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트로피를 노리는 사람이라면 주의하자.

공격력속도넉백
95매우 빠름강함

TerraBladeAttack.gif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진정한 엑스칼리버와 진정한 밤의 칼날을 조합하면 얻을 수 있는 검. 공격 시 마우스가 있던 방향으로 검 형태의 원거리 공격을 추가로 발사한다. 해당 공격은 적을 3번 관통한다. 휘두를 때 소리가 굉장히 시원하다.
예전에는 벽을 관통하고 다단 히트까지 하는 같은 공격력의 버섯 창에 밀리고, 팔라딘의 망치와 흡혈귀의 칼이랑은 비교하기도 부끄러운 정도의 성능을 보여줘서 영 좋지 않은 우주 쓰레기였으나, 1.2.3 하드모드 밸런스 패치로 공격력과 발사체 개수가 상향되면서 팔라딘의 망치와 엇비슷한 DPS를 뽑아낼 수 있는 무기가 되었다. 또한 1.2.4 패치로 자동 공격이 가능해져서 사냥용으로 써도 손색없다. 한 가지 팁으로, 꾹 누르고 있는 것보다 리듬에 맞춰서 테라 블레이드의 공격 속도보다 살짝 빠르게 누르면 검기가 자동 공격보다 2배 정도 더 많이 나간다.
기수의 검과 비교하자면 기수의 검은 근접하기 쉽거나, 다관절이거나, 많은 적들을 상대하기에 좋고 테라 블레이드는 근접하기 어렵거나 적은 적들을 상대하는데 좋다. 사실 근접보다는 원거리 공격을 더 많이 쓰는 것 같다.
PC 1.3 이후 많은 무기가 추가되어 테라 블레이드라는 간지나는 이름을 가지고도 묻혔다(...). 그래도 이걸 조합하면 성취할 수 있는 관련 도전 과제가 있으니 한 번쯤은 만들게 될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110매우 빠름보통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휘두를 때마다 선택한 지점을 향해 푸른 발사체가 날아간다. 발사체가 적에 맞으면 2차적으로 주변 적들을 향해 추가타를 날린다. 2차 피해는 좌, 우 1번씩 X자를 그리며 타격을 하는데 적 관통 효과도 있다. 넉백을 제외하곤 테라 블레이드의 완벽한 상위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110매우 빠름매우 강함


최종 보스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워리어 무장. 소서러의 블리자드 스태프와 별의 격노와 같은 형식으로, 마우스 커서에 위치한 곳에 별이 한 번에 3개씩 연이어 떨어진다. 별의 공격력은 검의 공격력의 2배인 220. 블리자드 스태프의 노 마나, 강화 버전이자 테라리안과 더불어 워리어의 딜을 책임져주는 명실상부 워리어 최강 아이템이다. 마나 소모 없이 상당한 위력을 가진 별들이 지상 폭격을 하며, 1칸의 블록을 관통하기 때문에 블리자드 스태프보다 훨씬 좋다. 무엇보다 몬스터를 관통하기 때문에 블리자드 스태프와 비교된다. 별 폭격은 아무리 공격 속도를 올려도 초당 4~5회(12~15개)정도가 최대이므로 이를 유의하자.

공격력속도넉백
200매우 빠름매우 강함

MeowmereGIFsmaller.gif
최종 보스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워리어 무장. 그 고생을 하고 얻은 무기답지 않게 영 간지는 안 나지만 엄청난 공격력이 특징이다. 휘두를 때마다 무지개를 그리며 날아가는 고양이를 발사한다. 그러나 대미지만 높고 생각보다 고양이의 명중률은 높지않아 좁은 구간에서만 사용되는 무기. 평지에서도 강한 면모를 보여준다. 미야우(meow)는 고양이의 울음소리를 뜻하며, 발사체의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듯이 Nyan Cat의 오마주. 고양이는 지형에 부딪힐 때마다 고양이 울음소리를 내고, 지형에 4번 부딪히면 사라진다. 이름은 토르의 묠니르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크리스마스 트리 검의 완벽한 상위 호환. 위의 별의 진노가 보스 및 이벤트 전용이라면 이 무기는 주로 지하 탐형용으로 사용된다.

2.2 단검

검 분류의 하위 분류로 작고 약하지만 대신 찌르기로 공격하며 빠른 속도가 특징이다. 공격 방식이 찌르기이고 이름처럼 작은 크기의 검이라 범위가 매우 작아 그다지 인기 없는 무기군이다.
다만, 일반 검보다 단검이 다수 공격에 탁월하므로 빛의 파멸 전까지는 어느 정도 효율이 있긴 하다. 손이 잘 안 가고 넉백이 약한 무기지만 단검의 특징인 '빠른 공격'이 가능해 약한 넉백을 커버할 수 있다. 주로 몹들을 구석으로 몰아넣을 때 사용되는 무기이다.

공격력속도넉백
5매우 빠름약함

새로 만든 캐릭터에게 기본으로 지급되는 무기로 가장 약한 단검. 모루에서 구리 주괴 7개로 제작한다.
어느 게임이나 막장 플레이가 있듯이, 이걸로 보스를 때려잡는 신사적인 플레이를 강행하는 유저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노가다적인 영상을 소개해보자면, 40분동안 플랜테라를 구리 단검만으로 찍어서 죽인, 그것도 Broken 수식어가 붙은 단검으로(...) 사냥한 영상이다. 흠좀무. 왠지 플라스크로 도핑한 것 같지만 무시하도록 하자

공격력속도넉백
7매우 빠름약함

구리 단검보다 강하며 철 단검보다 약한 단검. 모루에서 주석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8매우 빠름약함

주석 단검보다 강하며 납 단검보다 약한 단검. 모루에서 철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9매우 빠름약함

철 단검보다 강하며 은 단검보다 약한 단검. 모루에서 납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9매우 빠름약함

납 단검보다 강하며 텅스텐 단검보다 약한 단검. 모루에서 은 주괴 6개로 제작한다. 다른 단검들과 달리 주괴를 1개 덜 사용한다. 납 단검과 성능 차이가 별로 없으므로 월드 내에서 납과 은이 같이 존재한다면 굳이 만들 필요는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10매우 빠름약함

은 단검보다 강하며 금 단검보다 약한 단검. 은 단검과 마찬가지로 모루에서 텅스텐 주괴 6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1매우 빠름약함

텅스텐 단검보다 강하며 백금 단검보다 약한 단검. 모루에서 금 주괴 7개로 제작한다. 1.2 패치 전에는 가장 상위에 자리잡았던 단검이였다.

공격력속도넉백
13매우 빠름약함

가장 상위의 단검으로, 단검은 여기서 끝난다. 모루에서 백금 주괴 7개로 제작한다.

2.3

창은 철퇴 다음으로 가장 긴 사정거리를 가진 무기로 공격 방식이 찌르는 방식이다. 창 앞부분에 공격 판정이 있으므로 너무 앞에서 공격하면 제대로 피해를 줄 수 없다.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 한 번의 공격으로 여러 번 공격을 가할 수 있어 타당 공격력은 낮지만 최대 공격력은 검을 넘나드는 무기이다.
찌르는 방식 덕에 다관절 몬스터 중 하나인 세상을 먹는 자, 파괴자에게 아주 좋은 무기이다.

공격력속도넉백
8느림강함

지상의 나무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 창류 무기 중 가장 약한 그냥 창이다. 하지만 초반에 이 창을 얻었다면 꽤나 운이 좋은 것이다. 최소한 은 무기까지는 받쳐주며, 창을 다루는 실력이 어느 정도 된다면 금 무기까지 버틸 수가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1느림보통

맵 끝의 바다나 동굴 등의 물속에서 발견되는 물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창. 초반에 얻었다면 광물 검 따위는 쳐다보지 않아도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14느림보통

크림슨의 진홍빛 심장을 부술 경우 20%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창. 크툴루의 뇌를 잡을 때 유용하다.

공격력속도넉백
16매우 빠름보통

하드모드 이전 중간 등급 정도의 창. 바다에서 낚시하면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당신의 월드가 커럽션이고 일반 창도 못 찾고 운이 영 좋지 않아 바다 상자에서도 얻지 못했을 때 구세주마냥 나타나는 창. 그렇다고 센 건 아니다. 이점이라면 초반에도 빠르게 얻을 수 있다는 것. 삼지창은 상어 때문에... 황당한 건 분명 Sword(검) + Fish(물고기)인데 창이다?

공격력속도넉백
29빠름약함

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하드모드 이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창류 무기이다. 공격 시 보라색 빛을 내뿜으며 발광한다. 무기로서도 나쁘지 않지만 빛을 내고 길이가 길다는 걸 이용해서 던전 탐험할 때 이리저리 휘둘러서 가야할 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물 탐사를 할 때에도 쓰인다.

공격력속도넉백
29보통약함

모루에서 코발트 주괴 10개로 만들 수 있는 창. 모양은 일본 헤이안 시대장대 무기나기나타.

공격력속도넉백
32보통보통

모루에서 팔라듐 주괴 12개로 만들 수 있는 창.

공격력속도넉백
35보통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 주괴 10개로 만들 수 있는 창. 모양은 중세 시대의 폴암 무기인 할버드.

공격력속도넉백
36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오리칼쿰 주괴 12개로 만들 수 있는 창. 모양은 미스릴 미늘창과 마찬가지로 할버드가 모티브.

공격력속도넉백
38빠름보통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 주괴 12개로 만들 수 있는 창. 모양은 폴암 계열 무기 글레이브.

공격력속도넉백
40빠름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티타늄 주괴 13개로 만들 수 있는 창.

공격력속도넉백
42빠름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신성한 주괴 12개로 만들 수 있는 창. 어마어마한 크기와 나무 부메랑을 상회하는 사정거리 덕분에 아주 강력한 무기이다. 다만 연속 공격이 불가능하다. 공격 시 빛을 낸다.
1.2 패치 이전엔 테라리아에서 가장 강력했던 창이다. 1.2 이후에는 버섯 창 덕분에 만들지 않아도 된다.
일단 빛이 나고 사거리도 넓기 때문에 다크 랜스와 같이 탐사용으로 사용되었고, 또한 1.2.3 이전에 판매가가 무려 금화 30닢이나 했었다. 그래서 1.2 이후에 여러 좋은 성능을 가진 창이 생겨나 "신의 탐사용 지팡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또한 1.2 이전에는 뮤직박스 버그를 이용하여 캐릭터가 굳게 하는 버그를 이용하여 창이 날라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창류는 발사체가 발생되는 무기이기에 전방으로 이동하는 궁니르의 발사체가 굳혀질 때 다시 돌아오지 않고 전방 방향으로 그대로 가는 현상이다. 실제로 궁니르가 투창(던지는 창)임을 감안하면 참으로 재밌는 버그.

공격력속도넉백
49빠름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주괴 12개로 만들 수 있는 창. 공격 시 지형을 관통하는 녹색 포자 구름을 남긴다. 벽을 넘어서 공격할 수 있지만 버섯 창이 훨씬 좋은 관계로 제작이 꺼려진다. 클로로파이트 광석이 여기저기 널려 있다는 점이 위안이 될 뿐.

공격력속도넉백
53매우 빠름강함

콘솔 및 모바일 전용 아이템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궁니르 1개, 재앙의 영혼 15개, 아다만타이트 주괴 15개로 제작. 톤보기리(とんぼきり)는 청령절(蜻蛉切)이라고도 불리는 일본의 창이다. 한때 모바일 최강의 탐사용/공격력을 가진 창이었지만 1.2 이식 이후로는...

공격력속도넉백
60매우 느림강함

하드모드 기계 보스(쌍둥이, 파괴자, 스켈레트론 프라임)를 적어도 1마리 이상 잡은 이후 트러플에게 금화 70닢을 주고 살 수 있는 창. 공격 시 버섯 잔상을 남기는데 공격 판정과 시야를 제공한다. 버섯 잔상은 벽을 관통하여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해적 침략이나 일식 같은 이벤트에서 좋다. 지형 관통이 되는 창의 특성과 맞물려 채광, 탐험에도 유용하다. 1.2 초기에는 기계 보스를 잡지 않아도 트러플만 있으면 살 수 있었기 때문에 하드모드 진입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었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70매우 빠름강함24%

핫라인 낚싯대로 용암에서 낚시하면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물고기 창. 창 중 2번째로 강하지만 특수 공격이 없어 실질적으론 버섯 창과 비등하다. 또한 핫라인 낚싯대 때문에 노스 폴보다 입수 시기가 늦어질 수도 있다. 이래저래 차이면서 안습을 면치 못하는 무기. 한 가지 특이점이라면 치명타 확률이 저격소총 다음으로 높은 무기이다.

공격력속도넉백
73빠름강함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얼음 여왕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로, 얼음 창을 날려 한 번에 약 수십개의 눈송이를 생성시키는데 이 눈송이는 지상으로 가속되면서 우수수 떨어진다. 눈송이 하나하나가 대미지 73임을 감안하면 실로 엄청난 양. 창이 지나가는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마치 융단 폭격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폴격기 머리 위로 쏘면 엄청난 양의 눈송이가 발밑으로 집중사격을, 낮은 각으로 쏘면 먼 장소까지 커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걸 들면 펌킨 문은 애들 장난으로 보일 정도로 쉬워진다. 다만 이 최강의 무기도 단점은 있는데, 지형에 발사체가 부딪히면 그만큼 눈송이가 적어지므로 복잡한 지형에서는 제 성능을 보기가 매우 힘들다. 또, 지상엔 날마다 보이진 않지만 바람이 부는데, 이 눈송이가 그 바람에 영향을 받아서 옆으로 움직인다. 이 때문에 바람의 세기에 따라 단일 대상 DPS가 다소 차이 날 수 있다. 보스는 날 따라 오는데 눈송이는 옆으로 미끄러지므로 명중률이 떨어지기 때문.
보면 알겠지만 펌킨 문이나 프로스트 문 외에는 쓸 일이 별로 많지는 않다. 그래도 플레이론 다음으로 강력한 무기. 1.2.3 패치로 눈송이 개수에 제한이 생겼으나, 여전히 강력한 건 마찬가지다. 눈송이의 정확한 피해량은 실제 창 피해량의 80%이다.

2.4 부메랑

부메랑은 던진 후 다시 돌아오는 무기로 근접 무기 중 철퇴와 함께 가장 긴 사정거리를 가졌다. 나아갈 때는 벽이나 적에게 부딪힐 경우 다시 돌아오며 돌아올 때는 벽을 뚫고 돌아온다. 부메랑에 닿은 적은 나아갈 때나 돌아올 때나 상관없이 피격한다. 적에게 닿으면 다시 돌아오므로 이로인해 적에게 가까이 다가가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다. 공격속도에 따라 비행 거리가 결정되고 돌아올 때는 모든 적을 관통한다.
1.1 이전에는 공격 형태가 근접 공격이 아닌 원거리 공격이였다.
겹치기가 가능한 빛의 원반과 바나나랑을 제외한 모든 부메랑은 Godly가 최대 수식어이다.

공격력속도넉백
8매우 빠름보통

지상의 나무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부메랑. 가장 약한 단순한 부메랑이다.
이걸 얻었다면 활은 안 만들어도 되지만 활에 비해 넉백이 심각할 정도로 높다. 얻게 되면 대부분은 첫날 밤 악마의 눈이나 다수로 겹쳐서 오는 좀비들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재료 아이템으로도 활용이 없으므로 마법의 부메랑을 얻으면 버려진다. 여담으로 캐릭터 생성 30분만에 호잇(hoik)이라는 기술을 사용해서 이 무기로 던전 가디언을 잡는 영상이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3매우 빠름매우 강함

지하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부메랑. 나무 부메랑보다 더욱 긴 사정거리를 가졌으며 던지면 푸른 빛을 낸다. 이 덕분에 탐험 시 횃불을 들고 다니는 대신 이걸 던지면서 다니는 플레이어도 종종 나온다. 플라메랑의 재료가 된다.
넉백이 나무 부메랑만 해도 큰데 마법의 부메랑의 넉백은 무식할 정도로 어마어마한 넉백을 가졌다. 웬만한 몹은 그냥 밀어버리는 수준. 불청객에게 딱 좋다.

공격력속도넉백
16매우 빠름매우 강함

설원 지하의 얼음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부메랑. 능력치를 보면 어쩐지 마법의 부메랑의 강화형으로 보인다.

공격력속도넉백
14매우 빠름매우 강함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선물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부메랑으로, 블록에 반사되지 않는다. 가시 차크람의 다운그레이드판.

공격력속도넉백
15매우 빠름매우 강함

할로윈 기간 동안에 모든 몬스터가 매우 낮은 확률로 떨어뜨리는 무기로, 다른 부메랑과는 달리 중력의 영향으로 땅에 떨어진 후 다시 돌아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25매우 빠름매우 강함

모루에서 정글 포자 6개와 독침 15개로 제작한다. 다른 부메랑과는 달리 블록에 부딪힐 경우 각도에 따라 반사된다. 적을 타격할 경우 20% 확률로 7초간 독을 건다.
하드모드 이전 부메랑 중 플라메랑과 함께 제작으로 얻을 수 있는 부메랑. 블록에 부딪히면 꺾여 나아가므로 일직선상으로 공격이 불가능해도 수학적으로 계산을 함으로써 적을 타격할 수 있다. 물론 유지 시간이 다할 경우 블록을 무시하고 돌아온다.

공격력속도넉백
32매우 빠름매우 강함

화염 부메랑이라고도 불리는 무기로 하드모드 이전 부메랑 중 가장 강력한 부메랑이다. 모루에서 마법의 부메랑 1개와 지옥석 주괴 10개로 제작할 수 있다. 던질 경우 붉은 빛이 나며 피격 대상은 20% 확률로 3초간 화상에 걸린다.
하드모드 이전 부메랑 중 가장 강력하며 하드모드의 부메랑인 빛의 원반을 얻기 전까지는 계속 사용하게 될 부메랑이다.

공격력속도넉백
40매우 빠름보통

하드모드 할로우에서 소환되는 신성한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부메랑처럼 한 번 누르면 돌아오는 형식이지만 매직 미사일처럼 꾸욱 누르고 있으면 커서를 중심으로 대각선을 그리며 왔다 갔다 하며 적을 공격한다. 처음 파괴자 격파에 도전하기에 좋은 무기이다.

공격력속도넉백
63매우 빠름매우 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신성한 주괴 4개, 빛의 영혼 5개, 힘의 영혼 5개로 제작한다. 총 5개 소지가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신성한 주괴 20개, 빛의 영혼 25개, 힘의 영혼 25개가 필요하다. 벽에 부딪힐 경우 반사한다.
한 슬롯에 최대 5개까지 겹쳐 소지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며 현재 가지고 있는 개수만큼 던질 수가 있다. 즉, 3개를 갖고 있다면 최대 3개까지 던질 수 있다는 것.

공격력속도넉백
55미친 듯이 빠름매우 강함

광대에게서 3.33%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여러모로 빛의 원반의 상위 부메랑 무기지만 벽에 부딪혔을 때 반사되는 기능은 사라졌다! 로 최대 가짓수 10개인 2배 더 소지가 가능하며 속도도 2배 더 빠르다. 1.3 패치로 자동 공격 기능이 추가되었다.[8]

공격력속도넉백
80매우 빠름보통

리자드 사원의 보스 골렘에게서 12.5%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팔라딘의 망치와 비슷하지만 무려 자동 유도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적을 관통하지 못하고 속도가 느린 관계로 전체적인 성능은 별로 좋지 않지만, 유도 기능을 갖춘 관계로 잡몹을 잡을 땐 편리하며, 유도 기능이 발휘되어 몹을 추적할 때는 사거리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골렘이 다소 약한 관계로 잘 스폰되지 않는 팔라딘을 잡아서 망치를 얻는 것보다 빨리 얻을 수 있다.
1.3 업데이트 이후 상당한 능력치를 가진 무기가 되었다. 여러모로 빛의 원반, 바나나랑의 완벽한 상위 무기가 되었는데, 우선 최대 던질 수 있는 개수가 제한이 없으며 이전에는 없었던 자동 공격 기능까지 추가 되었다. 유도 능력 등의 기타 기능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잡몹 처리 및 단일 보스전에 상당히 능한 무기가 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
90매우 빠름매우 강함

하드모드 던전 몬스터 팔라딘에게서 6.67%(1/15)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위의 손도끼와 달리 보스에게서 얻는 것이 아닌 몬스터에게서 획득하는 무기 주제에 무려 90이라는 높은 공격력을 자랑한다. 적을 관통하는 데다가 투사체의 돌아오는 속도도 빨라서 방향만 잘 잡으면 파괴자를 그냥 파괴할 수 있다. 다만 밸런스를 위해서인지 사거리가 짧은 편이고 자동 공격 기능이 없다.

2.5 철퇴

철퇴는 제한된 사정거리까지 철퇴를 던져 먼 거리에 있는 적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이지만 근접 공격 방식을 갖고있다. 철퇴는 무기와 플레이어 사이에 사슬로 이어져있으며 철퇴를 던진 뒤 다시 플레이어에게 돌아온다. 공격 버튼을 어느 정도 누르느냐에 따라 던지는 거리가 달라진다.
철퇴는 다른 일반 무기와는 달리 공격 판정이 사슬이 아닌 둥근 철퇴 부분에 있지만 창처럼 거리를 유지하면서 공격할 필요는 없다.

2.5.1 던지는 철퇴

공격 방식이 근접 공격인 철퇴류 무기로 사슬이 이어진 형태를 하고 있다. 클릭하면 마우스가 있는 쪽으로 철퇴를 던질 수 있으며, 꾹 누르는 동안 철퇴를 떨어뜨려 놓을 수 있다. 이 상태로 캐릭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땔 경우 철퇴는 다시 캐릭터에게 돌아온다.

공격력속도넉백
15매우 느림강함

철퇴 중 가장 약한 무기로 커럽션의 그림자 구체를 망치로 부술 경우 20% 확률로 얻을 수 있다. 던질 경우 커럽션과 비슷하게 보라색 작은 입자를 방출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6매우 느림강함

철퇴 중 유일하게 광물로 제작 가능한 무기로, 모루에서 크림테인 주괴 10개와 조직 샘플 5개로 제작한다. 볼 오 허트의 크림슨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23매우 느림강함

던전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철퇴로 사용 시 푸른 빛을 내뿜는다.

공격력속도넉백
36매우 느림강함

지하세계(=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철퇴로 하드모드 이전에서 얻을 수 있는 철퇴 중 가장 강력하다. 공격 시 붉은 빛을 방출하며 적에게 화상을 입힌다.

공격력속도넉백
63매우 느림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어둠의 조각 1개, 빛의 조각 1개[9], 빛의 영혼 7개, 밤의 영혼 7개로 제작할 수 있다. 공격 시 적에게 혼란을 걸며 몬스터의 경우 플레이어에게서 멀어지게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65매우 느림매우 강함

하드모드 정글 보스 플랜테라에게서 획득할 수 있는 무기. 철퇴의 중앙에서 꽃잎이 적을 향해 발사된다.

2.5.2 발사식 철퇴

일반적인 철퇴와는 다르게 총처럼 무기를 발사하여 맞춘 뒤 다시 돌아오는 무기이다. 부메랑과 마찬가지로 적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공격하면 더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1매우 빠름약함

지하의 박쥐와 스켈레톤이 0.2% 확률로 떨어뜨리는 아이템이다. 작살과 다르게, 누른 방향으로 짧은 거리를 일직선으로 공격한다. 초반에 이걸 얻었다면 매우 유용하다.

공격력속도넉백
30보통보통

낚시해서 얻는 소모품 아이템인 나무 상자를 까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사거리가 꽤 길고 투사 속도가 빠르지만, 일반적인 하드모드 무기에 비하면 대미지가 많이 낮은 편이라 쓰기에 적합하지 않다.

공격력속도넉백
40보통강함

권투 글러브를 전방으로 던지는 식의 무기. 블러드 문(Blood Moon) 동안 등장하는 모든 몬스터에게서 0.1%의 확률로 얻을 수 있다. 공격 방식은 작살이 아니라 쇠사슬 단검의 방식을 따르니 주의.

공격력속도넉백
43매우 빠름약함

하드모드 커럽션에서 소환되는 오염된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공격 방식은 듀얼 훅을 연속으로 사용하는 느낌으로 작살, 골렘 주먹과는 사뭇 다르게 나간다. 무엇보다, 벽에 부딪히더라도 공격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고정된 공격 속도를 가지고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76보통매우 강함

리자드 사원의 보스 골렘을 잡으면 얻을 수 있는 무기. 공격력과 넉백이 강하고 사거리도 길어서 주로 하드모드 던전에 처음 입성할 때 사용한다.

공격력속도넉백
66매우 빠름보통

하드모드 보스 피시론 공작을 잡으면 얻을 수 있는 무기. 사용하면 철퇴 주변에 유도가 되는 방울 십수 개가 생긴다. 이 방울들은 유도가 되는데다 지속되는 시간도 꽤나 길고, 공격력도 철퇴 본체와 같으므로 근접 무기 중 DPS는 사실상 엄청나다. 방울은 근접 공격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코르 플라스크의 수혜를 받을수는 없으나 철퇴를 1번만 맞히면 되니 상관없다. 말만 발사식 철퇴지 스커지 오브 더 커럽터에 더 유사한 형태. 쓰는 팁은 일부러 철퇴를 빗나가게 해서 방울을 더 많이 생기게 하거나 뒤로 가면서 씀으로써 방울이 더 많이 나오게 하는 것이다. 1.3 패치 이후로 생겨나는 방울의 수가 조금 적어지는 하향을 먹고 달의 군주에서 드롭되는 아이템이 워낙 사기템이라 묻혀지지만, 아직도 강력하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워리어의 중반 무기로는 제격이다.

공격력속도넉백
105매우 빠름매우 약함

워리어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붉은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태양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길고 뾰족한 화염 막대가 약 34블록으로 뻗쳐나가 닿은 적에게 폭발 스플래시 및 화상을 일으킨다. 화상 대미지는 여명(Daybreak)과 같이 25. 이 화상은 NPC에게도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근처에 NPC가 있다면 주의해야 했으나, 1.3.0.4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지형 관통 무기라서 안에서 농성하는 적이나 플레이어를 공격하기도 좋고, DPS도 괜찮은 편인 데다가 사용 시 사용 궤도에 불빛이 나기 때문에 탐사용에도 아주 좋다. 게다가 길이도 아주 길어서 여러 파츠를 가진 화성 UFO를 상대하기 충분하고 기둥이나 파괴자 같은 경우는 그냥 초살시킬 수 있다.

2.6 투척

기존의 근접 무기들과 다르게 휘두르는 방식이 아닌 투사체를 날리는 방식이다. 섀도플레임 단검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공격 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대신 투척 거리만 길어지기 때문에 Violent가 붙은 장신구나 근접 속도 옵션만 있는 수식어는 의미가 없다. 투척류 근접 무기의 최고 수식어는 Godly이다.

공격력속도넉백
38매우 빠름보통


하드모드 고블린 부대의 고블린 소환사가 드롭하는 무기. 적에게 맞추면 최대 2회까지 튕겨 나간다. 적을 맞추면 섀도플레임 디버프를 건다. 대충 골렘까지는 사용하기 무난한 무기. 섀도플레임이 광원 역할을 해주므로, 던전 탐사에도 유용하다.

공격력속도넉백
64매우 빠름보통

오염된 열쇠를 사용해서 던전에 있는 오염된 상자를 열면 입수 가능. 블록이나 적에 부딪힐 경우 유도성이 있는 2~4개의 작은 이터로 분해된다. 이 작은 이터들의 피해량은 창의 공격력의 70%다. 특정한 방향으로 휘두르면 이터들이 벽을 뚫고 나가는 버그가 있다. DPS는 다른 무기에 비해 낮지만 잡몹 분쇄에는 탁월하다. 화염의 건틀릿과 같이 사용해, 동굴에서 빛+잡몹 처리의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으므로 탐험용으로도 적당하다.

공격력속도넉백
29매우 빠름매우 약함

진홍색 열쇠를 사용해서 던전에 있는 진홍색 상자를 열면 입수 가능. 한 번에 4~8개의 흡혈성 단검을 투척하여 입힌 피해의 7.5%를 체력으로 전환한다. 이걸 얻고 세팅을 맞추면 대다수의 보스전을 그냥 서서 클릭만 해도 이길 수 있다.
워리어들이 자주 쓰는 근접 무기이지만 의외로 레인저들도 사용하는데, 이유인즉슨 레인저는 전용 회복 장비나 무기가 없기 때문. 특히 펌킨 문 같은 웨이브 형식의 이벤트는 트랩 등의 작업장을 설치해놓지 않는다면 울며 겨자 먹기로 쓰게 된다. 그 강력한 유틸성 덕분에 통한의 너프를 몇 번씩이나 맞았지만 여전히 필수 무기로 고려되는 편이다.
빛이 나갈 것 같지만 의외로 아무런 광원 효과가 없다.

여담으로 마그마의 돌 등 화염이펙트 장신구 등을 장착하고 공격하면 이펙트가 화려하다.

공격력속도넉백
150매우 빠름강함

워리어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붉은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태양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스커지 오브 더 커럽터와 유사한 투창 형식으로, 발사된 창은 적에게 박혀있으면서 지속적으로 화염 피해를 입힌다. 박힌 창 1개당 25의 추가 피해를 주며 최대 8개를 박으면 200의 지속적인 대미지를 준다.

2.7 요요

기존의 던지는 철퇴와 비슷한 형식의 무기. 왼쪽 마우스 클릭 후 누르고 있으면 공중에서 체공이 가능하며 커서가 움직이는 데로 따라간다. 원거리에서 자유 자재로 투사체를 컨트롤할 수 있으며 전기톱 수준의 연사력과 강한 공격력을 가지지만 마우스로 정조준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적, 특히 잘 모이지 않으면서 잘 흩어지는 적을 상대로는 불리하다. 지형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강력한 딜링, 원거리 공격 그리고 쉬운 입수 난이도가 어우러져 초중반에 쓰는 무기 중에는 독보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무기의 성능이 출중하다. 하드모드 이전에 쓰이는 용맹과 아마존, 하드모드 초반에 쓰이는 아마록, 하드모드 중반에 쓰는 옐레츠, 달의 군주를 잡기 전까지 쓸 수 있는 크툴루의 눈, 달의 군주에게 얻을 수 있는 테라리안까지 꾸준히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무기군이다. 제작, 드롭, 구매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1.3.0.7 기준 20종의 요요가 존재한다. 요요 무기의 최고 수식어는 Godly이다.

세 가지의 요요 전용 장신구가 있다. 흰 실(White String)은 요요의 사거리를 늘려준다. 평형추(Counterweight)는 요요로 타격 시 플레이어 주변에 추가 나와서 플레이어를 보호해준다. 그리고 요요 장갑(Yoyo Glovee)은 적 타격 시 하나의 동일한 요요가 나와서 추가적인 피해를 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세 장신구는 능력을 모두 합친 요요 가방(Yoyo Bag)을 합성하는 데에 쓰인다. 요요를 제대로 쓰려면 이 장신구들이 필요하지만, 일단 장비를 갖춰 놓으면 요요는 비슷한 티어의 무기들과 비교해도 공격력, 편의성 측면에서 우위를 점할 만큼 성능이 좋다. 요요의 사거리는 공격 속도에 의해 늘어나고, 요요 자체의 공격 속도를 바꿀 방법은 없다.

일부 요요는 One Drop Yoyo라는 요요 제작 회사에서 유래했고, 이 요요들은 툴팁에 회사 로고가 나온다. 또한 One Drop Yoyo 회사에서 만든 요요의 이름처럼 짧고 간결한 이름을 본딴 것인지 테라리아 내에서 직접 만든 요요의 이름들도 꽤나 짧고 간결하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9빠름매우 약함9타일3초x

요요 무기 중 가장 하급 요요. 작업대에서 나무 10개와 거미줄 20개로 제작할 수 있다. 단순한 요요인만큼 가장 약하고, 가장 짧고, 가장 오래 유지 못하는 요요. 하드모드 이후 소녀 요요의 재료이므로 요요 수집가이거나, 바로 하드모드 가서 유용한 요요 얻을 생각이라면 하나라도 만들어두자.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14빠름약함10타일5초o

지하에서 나타나는 가재(Crawdad)와 거대 조가비(Giant Shelly), 도롱뇽(Salamander)이 3.9%의 확률로 드롭한다. 앞서 서술한 세 적들은 꽤나 귀한 듯 귀한 게 아닌 귀한 것 같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확률도 3.9%로 낮아서 얻기가 힘들다. 그래도 얻어둔다면 초기에 꽤나 유용하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17빠름약함12타일7초x

철/납 모루에서 데모나이트 주괴 12개로 제작할 수 있다. 거리는 동맥보다 0.5타일(1피트) 정도 짧지만 체공 시간이 1초 정도 길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17빠름약함12.5타일6초x

철/납 모루에서 크림테인 주괴 12개로 제작할 수 있다. 체공 시간은 고충보다 1초 정도 짧지만 거리가 0.5타일(1피트) 정도 길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20빠름약함13타일8초x

철/납 모루에서 덩굴 1개, 벌침 2개, 정글 포자 3개, 마호가니 나무 8개로 제작할 수 있다. 초기에 만들어둔다면 웬만한 적들은 다 상대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21빠름약함13.5타일9초o

크툴루의 눈을 처치한 이후 떠돌이 상인이 랜덤으로 판매하는 요요로, 금화 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22빠름약함14타일11초o

던전의 황금 상자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27빠름보통15.5타일16초o

스켈레트론을 물리치고 나면, 지옥의 몬스터들이 1/400(0.25%) 확률로 드롭한다. 계속 누르고 있으면 회전하면서 빛을 낸다. 하드모드 이전에서 얻을 수 있는 요요중 가장 높은 수준의 요요이며, 하드모드 이후로 확장해도 체공시간이 무한인 요요들을 제외하고 소녀와 함께 가장 높은 16초의 체공 시간을 지녔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29빠름약함15.5타일8초o

달이 없거나 오른쪽 모양일 때 하드모드에서 해골 상인에게 25골드에 구매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34빠름약함15.5타일10초o

달이 보름달이거나 왼쪽 모양일 때 하드모드에서 해골 상인에게 25골드에 구매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40빠름약함17타일16초o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나무 요요 1개, 수정 파편 15개, 빛의 영혼 10개로 제작할 수 있다. 체공 시간이 무한인 요요들을 제외하고 폭포와 함께 가장 높은 16초의 체공 시간을 지녔다.
소녀라는 이름답게 분홍색이다. 실제로 One Drop Yoyos에서 판매하는 소녀!(Chik!)는 분홍색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색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는 파란색으로 소개되고 있다. 게임 내에서 '분홍색'의 빛의 영혼을 쓴다는 것 때문에 분홍색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여타 원드랍 요요들 또한 게임 내 도색과 실제 제품의 도색이 다른 경우가 많다...라기보다는 도색 과정의 특성상 도색이 같은 게 없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41빠름보통17타일12초x

하드모드 이후 동굴, 지옥 몬스터가 떨어뜨린다. 몬스터를 타격하면 피해를 1씩 주는 불이야! 디버프를 걸어준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43빠름매우 약함16.5타일15초x

하드모드 이후 설원에서 죽은 모든 적들이 1/80 확률로 드롭한다.[11] 몬스터를 타격하면 확률적으로 피해를 2씩 주는 서리불 디버프를 걸어준다. 이름인 Amarok은 이누이트 신화에 등장하는 거대한 회색 늑대. 고블린 침략처럼 적이 물량으로 쏟아져나오는 이벤트를 설원에서 하게 된다면 여러 개를 입수 가능하다. 실상 하드모드 이후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요요.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47빠름약함18타일무제한o

기계 보스를 하나 처치한 이후 떠돌이 상인이 랜덤으로 판매하는 요요로, 금화 2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체공 시간이 무제한인 것이 특징.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60빠름약함18타일14초o

하드모드의 기계 보스를 잡고난 후 정글 지하의 몬스터들이 드롭한다. 여담으로, 옐레츠는 러시아 서부 리페츠크주에 있는 도시이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70빠름보통23타일무제한x

개발자 전용 무기. 원래는 더미 데이터로만 있었으며 당시 공격력은 테라리안보다 10 낮은 180이였으나, 1.3.0.4 버전 업데이트에서 공격력이 낮아지고, 전문가 모드의 하드모드 이후 보스가 떨어뜨리는 보물 가방(Treasure Bag)에서 5%의 확률로 나오는, 개발자 아이템 중 하나인 Red 세트가 나왔을 경우 이것도 같이 지급된다. 수집가라면 하드모드 보스를 마구 잡아서 수집해보자.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70빠름보통23타일무제한x

개발자 전용 무기. 레드의 요요와 마찬가지로 이쪽도 보물 가방에서 개발자 아이템 중 하나인 Lazure 세트가 나왔을 경우 이것도 같이 지급된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90빠름보통21타일무제한x

플랜테라를 잡은 후 나타나는 하드모드 던전 몬스터에게서 1/200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요요 중 몇 안되는 잔상이 남는 요요.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One Drop
150빠름약함23타일무제한x

플랜테라를 잡고 나서 일식 이벤트에서 등장하는 미니 보스격 몬스터인 모스론을 잡으면 25% 확률로 얻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사거리체공 시간치명타율One Drop
190빠름강함25타일무제한14%o

달의 군주를 처치해서 얻을 수 있다. 요요 중 공격력이 가장 높으며 넉백 또한 강한 것이 특징. 체공 시간이 무제한이며, 요요 주변에서 몬스터에게 유도되는 투사체가 퍼져 나온다. 투사체의 공격력은 근접 공격력에 비례하지만 사거리가 짧아 요요를 몬스터에게 접근해주는 것이 좋다. 유일하게 치명타율이 14%인 요요이다. 테라리안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요는 치명타율이 4%이며, 이는 일부 제외하고 모든 무기의 기본 치명타율이다.
주 무대인 근거리에서는 그 어떤 워리어 무기보다도 준수한 딜량을 내뿜을 수 있으며 보스, 이벤트, 일반 몹전까지 그 어떤 전투에서도 요긴하게 쓸 수 있어 유틸성도 가히 테라리아에서 최고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근접전에 치중된 무기인 만큼 거리가 멀어지면 딜이 안 박힌다는 결점도 있긴 하다.
테라리안은 원래 테라리아 내에서 직접 만든 요요이나, One Drop Yoyos 회사에서 기념으로 직접 만들어줌으로 One Drop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7월 21일(한국 시간 7월 22일 즈음)에 테라리안 요요가 만들어졌다. 공격력 190

3 원거리 무기

무기의 설명란에 'ranged damage'가 나타나 있는 무기로 대부분 탄약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3.1 활과 리피터

원거리 무기 중 한 분류로 활과 리피터는 화살을 사용하며 공격력과 넉백은 사용하는 활+사용하는 화살로 정해진다.
총에 비하면 속도가 느리며 발사 시 화살이 포물선을 그리며 나아가기 때문에 활을 다루는 실력이 안된다면 적을 제대로 맞추기가 힘들다. 하지만 활 자체의 공격력도 강하고 화살의 공격력도 만만찮아 한 발 한 발의 공격력은 매우 강력하다. 활과 리피터의 최고 수식어는 Unreal이다.

공격력속도넉백
4보통없음

작업대에서 나무 10개로 만들 수 있는 활로 가장 약한 활이다. 초심자 유저는 대부분 첫날 밤 악마의 눈을 간단하게 처치하기 위해 만든다.

파일:Attachment/Rich Mahogany Bow.png 마호가니 활(Rich Mahogany Bow)
파일:Attachment/Palm Wood Bow.png 야자나무 활(Palm Wood Bow)
공격력속도넉백
6보통없음

설원이나 정글, 바닷가에서 자라는 나무 10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파일:Attachment/Shadewood Bow.png 그늘나무 활(Shadewood Bow)
공격력속도넉백
8보통없음

커럽션/크림슨에서 자라는 나무 10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목검과 마찬가지로 커럽션/크림슨 근처에 가서 재빨리 나무 한두 그루만 캐면 손쉽게 만들 수 있고 작정하고 캐서 좋은 수식어가 나올 때까지 만들 수도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9보통없음

할로우에서 자라는 나무 10개를 작업대에서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활이다. 나무로 만든 활 중에선 가장 강하지만, 공격력 9로 어디 하드모드 이후 몬스터를 제대로 잡을 수나 있기나 할까?

공격력속도넉백
6보통없음

나무 활보다 강하며 주석 활보다 약한 활. 모루에서 구리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7보통없음

구리 활보다 강하며 철 활보다 약한 활. 모루에서 주석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8보통없음

주석 활보다 강하며 납 활보다 약한 활. 모루에서 철 주괴 7개로 제작한다. 칠흑나무 활 덕에 만들 가치는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9보통없음

철 활보다 강하며 은 활보다 약한 활. 모루에서 납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9보통없음

납 활보다 강하며 텅스텐 활보다 약한 활. 모루에서 은 주괴 7개로 제작한다. 항상 그렇듯이 납 활과 별반 성능 차이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10보통없음

은 활보다 강하며 금 활보다 약한 활. 모루에서 텅스텐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1보통없음

텅스텐 활보다 강하며 백금 활보다 약한 활. 모루에서 금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3빠름없음

활류 무기 중 일반 광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최상위의 활. 모루에서 백금 주괴 7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14빠름극도로 약함

모루에서 데모나이트 주괴 8개로 만들 수 있는 활.

공격력속도넉백
19보통극도로 약함

모루에서 크림테인 주괴 8개로 만들 수 있는 활.

공격력속도넉백
26빠름약함

PC 1.3 패치 이후 여왕벌이 드롭하는 원거리 무기. 특수 효과로 나무 화살 발사 시에 나무 화살 대신 벌 6마리가 나란히 한 줄이 되어 날아간다. 쓰나미처럼 동시에 발사되는 것이 아닌, 벌 6마리가 연달아 점사되는 방식으로 발사된다. 나무 화살 외에 다른 화살은 변동 없음. 물속에서는 벌이 사라져 버리므로 주의. 이것은 소환 무기를 제외한 벌 컨셉의 모든 무기에 해당된다.

공격력속도넉백
20매우 빠름강함

PC 1.3 패치 이후 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 나온다. 나무 화살을 불타는 박쥐로 변환시켜서 발사한다. 불타는 박쥐는 무한 관통이 되고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신 원하는 방향으로 발사되지 않는 등 명중률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나무 화살을 제외한 다른 화살은 불타는 박쥐로 변환되지 않는다. 여담으로 아무런 수식어가 붙지 않은 지옥날개 활을 리포징을 할 때 필요한 금액은 6골드 66실버 66코퍼이다. 지옥날개 활이란 이름에서 봤을때 666의 패러디인 듯하다.
하드모드 무기를 구하고 나면 사방팔방으로 튀는 탄 때문에 전혀 쓸 일이 없는 무기이다. 그렇지만 이 무기의 진가는 월 오브 플래시를 잡을 때 드러난다. DPS가 동급 무기에 비해 매우 강하고, 유일한 단점인 탄 퍼짐도 맵의 절반을 차지하는 월 오브 플래시에게는 풀 히트가 가능하기 때문.

공격력속도넉백
31빠름매우 약함

모루에서 지옥석 주괴 15개로 만들 수 있으며 하드모드 이전 가장 강력한 활이다. 몰튼 퓨리로 발사한 화살은 불화살이 되며 이때 3분의 1의 확률로 화상에 걸린다. 참고로 서리불 화살과 같이 쓰면 화상과 서리불 효과가 동시에 걸린다.

공격력속도넉백
35매우 빠름매우 약함

콘솔 및 모바일 전용 아이템이다. 철/납 모루에서 몰튼 퓨리 2개와 지옥석 주괴 10개로 제작. 필요한 지옥석 주괴는 모두 40개다. 이 활에서 발사한 화살은 나무 화살이든 클로로파이트 화살이든간에 모두 스펙트럼 화살이라는 화살로 변환되어 날아간다. 성능이 가장 낮은 나무 화살을 주 탄약으로 사용하는 것이 다른 화살 절약에 도움이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32빠름극도로 약함

첫 번째 등급의 리피터. 모루에서 코발트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4빠름매우 약함

첫 번째 등급의 리피터. 모루에서 팔라듐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6빠름매우 약함

두 번째 등급의 리피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미스릴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38빠름매우 약함

두 번째 등급의 리피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오리칼쿰 주괴 10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40매우 빠름매우 약함

세 번째 등급의 리피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아다만타이트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41매우 빠름매우 약함

세 번째 등급의 리피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티타늄 주괴 13개로 제작한다.

공격력속도넉백
43매우 빠름매우 약함

PC 1.2 패치 이전 하드모드 리피터중 가장 최상위에 있었던 리피터류 원거리 무기. 패치 이후 신성한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1초에 3발 이상을 쏠 수 있는 엄청난 연사 속도를 자랑했지만, 티타늄 리피터도 수식어만 잘 나오면 신성한 리피터를 뛰어넘을 수 있는 무기이기 때문에 뭔가 1.1.2 버전에서도, 1.2 버전에서도 별로 만들 필요가 없다고 느낄 수가 있다. 대신 크림슨에서 골든 샤워를 만들고 나면 파괴자는 그냥 잡게 되므로 쉽게 만들 수 있다. 아다만타이트나 티타늄 공급률이 너무 낮다 싶으면 이게 더 나을 수가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34매우 빠름매우 약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클로로파이트 주괴 12개로 제작한다. 대미지는 미스릴 리피터와 동급이지만 저지력이 좋고 화살 하나를 소모해 3발을 발사한다. 관통 효과를 가진 화살들은 처음 맞는 한 발만 적용된다. 폭발하는 화살과 궁합이 좋은 편. 이름의 유래는 샷건+보우. 신성한 화살을 사용하면 화면에 별 폭풍이 이는 걸 볼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56매우 빠름매우 약함

콘솔 및 모바일 전용 아이템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신성한 리피터 1개, 재앙의 영혼 15개, 아다만타이트 주괴 20개로 제작. 모든 종류의 화살을 Vulcan Bolt라는 지옥불 화살의 강화판 화살로 바꿔서 발사한다. 폭발하는 화살답게 자가 피해가 있으니 주의할 것.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40매우 빠름보통9%

하드모드 동굴 몬스터 스켈레톤 궁수(Skeleton Archer)에게서 0.5%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이름이 골수인 것도 처치한 몬스터가 스켈레톤이라는 것의 조크. 공격력이 높고 발사체 속도도 빨라 중력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대신 화살의 특수 효과를 싸그리 무시한다는 게 단점. 사용하려면 나무 화살로나 쓰자.

공격력속도넉백
46빠름보통

하드모드의 설원 지하에서 낮은 확률로 나타나는 얼음 미믹을 잡으면 떨어뜨리는 활. 매로우의 강화판이라고 볼 수 있다. 화살의 특수 효과를 싸그리 무시한다는 것도 가져왔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47매우 빠름보통7%

하드모드 고블린 부대의 고블린 소환사가 드롭하는 무기. 모든 화살을 섀도플레임 화살로 바꿔서 발사한다. 이 화살은 관통 성능이 있고 적에게 맞으면 섀도플레임 디버프를 건다.

공격력속도넉백
43매우 빠름매우 약함

하드모드 할로우에서 소환되는 신성한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활을 쏘면 화살이 활에서 나가지 않고 커서가 있는 곳으로 화살이 2~4발씩 떨어진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효과는 모든 화살에 적용되며 떨어진 화살은 회수가 불가능하다. 눈보라 지팡이의 활 버전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신성한 화살의 경우 화살에 더해 2차적으로 별이 우수수 쏟아지므로 상성이 꽤 좋다.
하지만 떨어지면서 블록을 통과하지 못해 동굴 등 지하를 탐험할 때는 매우 불리하므로, 만약 앞서 언급한 곳을 탐험하러 갈 때는 인벤토리에서 빼 두고 가는 것이 좋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65빠름매우 약함11%

플랜테라를 처치한 이후 떠돌이 상인이 랜덤으로 판매하는 활로, 금화 4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화살의 종류와 관계없이 파동 줄기를 발사하며 6회 반사된다.
속도도 그럭저럭이고 대상을 명중하는 데에도 썩 좋은 편은 아니지만, 이 활의 진가는 던전에서 최대한 많은 화살을 가지고 가서 마우스로 꾹 눌러 난사하는데 있다. 평범한 지형에서는 그저 공격력이 쓸만한 무기였지만 좁디좁고 어두운 데다 몬스터가 우글거리는 던전에서는 최강의 무기가 된다. 플레이어에게 불리한 좁은 지형이 오히려 파동의 활에게는 이득이기에 다른 무기론 처치하기 곤란한 벽돌 비스듬히 뒤에 있는 적도 순식간에 썰려나가며 활을 난사하며 좁은 공간을 종횡무진하는 수많은 화살들은 준수한 DPS와 더불어 던전 안의 모든 적을 학살한다. 지형의 혜택으로 최강의 무기이자 공격이 튕기면서 플레이어 주변을 돌아다니기 때문에 최강의 방패가 된다. 그야말로 던전 진압용 무기인 셈이다. 이펙트도 레이저 같아서 마치 전함을 데리고 가서 포격을 가하는 착각을 준다. 1.3 패치 이후 무한 화살을 얻을 수 있으므로 나무 화살이 특수 효과가 없어서 껄끄럽다면 이쪽과 쓰는 것도 좋다.
색깔의 조합으로 봐서는 슈루마이트 세트와 같이 나올 예정이었던 것 같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75보통강함14%

펌킨 문 이벤트의 탄식하는 나무를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말뚝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강한 넉백과 빠른 발사체 속도, 저렴한 탄약과 연속 공격 기능을 갖춘 무기로 쉬루마이트 궁수 세트 사용자에겐 필수 아이템이다. 마법의 화살통 등과 조합하면 파괴자는 5초면 파괴된다.
여담으로, 일식 이벤트가 발생할시 나오는 뱀파이어에게 발사하면 1천 이상의 대미지를 입히며 즉사시킨다. 아마도 뱀파이어 심장에 말뚝을 꽂으면 죽는다는 속설 때문인 듯하다. 그런데 늑대인간은 은 총알로 쏴도 즉사를 안 한다. 그야 그렇게 되면 PVP에서 늑대인간 상태의 플레이어를 쏴 즉사시켜서 밸붕이 되니...

공격력속도넉백
60빠름매우 약함

하드모드 바다 보스인 피시론 공작이 드롭하는 활. 화살 1발을 소모하여 한 번에 5발의 화살을 날린다. 클로로파이트 샷보우처럼 화살들이 무작위 편차를 가지는 것도 아니고 세로로 나란히 정렬돼서 한꺼번에 발사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몬스터를 저격하기 쉬워진다. 1.3 업데이트 이후로 자동 공격 기능(!)이 생겼다.
단, 관통되는 화살(부정, 광대, 클로로파이트)과 지옥불 화살은 화살 1개분의 피해만 들어가니 주의. 모든 몹은 관통 타입 공격의 대미지를 1/6초마다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첫 화살에 관통형 대미지를 받고 1/6초 동안 관통형 대미지 저항 상태가 되어 그 다음 4개의 화살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보스처럼 몸뚱이가 크면 2~3대 정도 맞긴 하겠지만 이 화살들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하도록 하자.
신성한 화살(Holy Arrow)과의 궁합이 매우 좋다. 발사 1발당 별 폭풍이 약 10개가 이는데 실로 무시무시할 정도. 초당 DPS가 기본 2000(!)을 뽑아낸다. 그리고 이 별 폭풍이 시야를 밝혀줘서 화살만 많으면 지하로 내려갈수록 써도 쓸만하다. 별 폭풍이 지하에서도 써지기 때문. 별 폭풍을 사방으로 난사하다보면 2D 게임이지만 괜찮은 장관을 볼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50매우 빠름매우 약함

레인저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청록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소용돌이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화살을 66%의 확률로 소모하지 않으며, 쓰나미와 비슷한 공격 방식으로 편차와 속도가 제각기 다른 4발의 화살을 한꺼번에 발사한다. 화살이 적에게 맞으면 푸른 빛이 나는 유도성 화살 여러 개가 추가로 발사된다. 마우스를 누르고 있으면, 쓰나미와 비슷하거나 좀 더 빠른 정도로, 연사력이 점점 증가한다. 쉬루마이트, 볼텍스 세트로 은신하고 신성한 화살이나 맹독 화살을 쏘면 초당 DPS가 최종 보스의 무기와 비등할 정도로 강력한 위력을 지닌 활.
1.3.0.4에서 2차적으로 발사되는 화살이 반 토막 수준으로 하향되었다. 1.3.0.5에서는 공격력이 한차례 더 감소(60->50)했으나 Vortex 제작 무기가 원거리 피해와 넉백 효과를 받지 못하던 부분도 함께 수정되어 사실상 버프를 받았다. 패치 전에는 극딜 최종템이었다면 이제는 S.D.M.G.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수준. 하지만 최종 보스를 잡기 전까지는 달의 파편으로 제작하는 다른 무기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여전히 강력한 무기로, 전문가 모드에서도 달의 군주의 체력을 무시무시한 속도로 깎아내릴 수 있다. 또한 레인저로 플레이할 경우 극후반 컨텐츠를 다단계 건너뛰게 해주는 무기이기도 하다. 피시론 공작이나 프로스트 문에 도전할 필요 없이 플랜테라와 골렘을 잡은 스펙으로 어찌어찌 소용돌이의 기둥[13]을 잡아서 재빨리 제작한다면... 사족으로 루미나이트 화살과 합쳐서 사용하면 진정한 테라리아판 신기전을 볼 수가 있다. 진짜 화살이 폭풍처럼 쏟아진다!!

3.2

총은 원거리 무장 중 한 분류로 대부분 총알을 사용하며 일부 총기는 총탄이 아닌 독자적인 탄환을 사용하거나 아예 탄환을 사용하지 않는다. 취관, 유성 대포, 레이저 소총 등은 총포상을 부르기 위한 '총을 가지고 있다'에 만족하지 못한다. 일부 무기를 제외한 총의 최고 수식어는 Unreal이다.

공격력속도넉백
10매우 빠름없음

총포상에게 금화 5닢을 주고 구매하여 얻을 수 있는 총이다. 총기 아이템의 첫걸음. 이름은 플린트락이지만 재장전에 진짜 1분씩 소비해야 하는 건 아니고(...) 이 게임에는 밸런스 문제로 재장전의 개념이 아예 없어 빠른 속도로 발사할 수 있다. 다만 공격력도 낮고 넉백도 없어서 전투에는 적합하지 않다. 잡몹도 8발은 쏴야 돼서 너무 안 좋다. 원래 우주 총(Space Gun)의 재료였지만 1.2 패치 이후 더 이상 재료가 되지 않는다. 덕분에 전혀 쓸모가 없게 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
20매우 느림약함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선물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총. 레버액션 라이플이라 그런지 머스킷보다 공격 속도는 빨라졌지만 공격력은 낮아져서 좋지 않은 DPS를 보여준다.

공격력속도넉백
31매우 느림보통

총포상을 불러올 수 있는 정식 총포로써 커럽션의 그림자 구체를 부술 경우 머스킷 총알과 함께 20%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총이다. 플린트락과 함께 총기 아이템의 첫걸음. 자동 사격이 가능한 초기 총기로서 취관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그래도 느린 편에 속한다. 그래도 운좋게 Godly나 그 주변의 수식어가 붙어 나오면 WoF(Wall of Flesh)전까지는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5빠름없음

크림슨의 진홍빛 심장을 부술 경우 머스킷 총알과 함께 20%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총이다. 머스킷보다 속도가 빠른 대신 넉백이 없다.누가 장의사좀 불러.

공격력속도넉백
14매우 느림보통

붐스틱이라는 이름은 굳이 직역하면 "뻥소리내는 막대기" 정도로, B급 호러 영화 이블 데드 시리즈의 3편 "어둠의 군대"에서 주인공 애쉬가 고대인들에게 소드 오프 샷건소개하는 내용의 오마주다.
산탄총 무장의 첫걸음으로, 정글 지하의 넝쿨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하드모드의 산탄총에서 성능이 하향된 무기로, 탄 하나를 소모하여 4개의 총알을 분산시켜 발사하는 방식이며 근, 중거리에서 강력하다. 하지만 공격 속도가 느리고 탄 퍼짐이 크기 때문에 원거리 전투에는 적합하지 않다. 운석 총알을 사용하면 여러 발을 명중시켜도 한 발의 피해만 적용되기 때문에 다른 총탄을 쓰는 것이 좋다. Godly나 Unreal이 붙은 녀석을 발견한다면 WoF도 쉽게 때려잡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20빠름약함

그림자 구체나 진홍빛 심장을 하나라도 파괴한 이후 떠돌이 상인이 랜덤으로 판매하는 총으로, 금화 10닢을 주고 살 수 있다. 대부분의 휴대 무장보다 훨씬 공격력이 높아 사냥용, 전투용 모두 쓸 수 있는 올라운더에다가 공격 속도도 그럭저럭 빠른 편인 은근히 고성능 무장이다. 엔간한 잡몹들은 한발로 처리되어서 보스를 잡을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 하드모드 이후에도 쓸만한데, 고속 탄환까지 장착하면 발당 공격력이 60이 넘는 흉악한 무장으로 돌변한다. 모티브가 된 무기는 콜트 1851 네이비 권총이라 크기가 매우 작다.

공격력속도넉백
17매우 빠름매우 약함

던전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피닉스 블래스터의 재료가 된다. 상당히 빠른 연사 속도, 준수한 피해량 덕에 하드모드 이전에는 쓸만하다. 1.2.1.2 버전 기준으로 사격 시 효과음이 달라진다. 처음부터 거대했는데 텍스쳐를 바꾸니 더욱 더 거대해졌다(...). 아마 모델이 데저트 이글이라 그런 듯.

공격력속도넉백
6미친 듯이 빠름없음

미니샤크는 하드모드 이전 가장 빠른 공격 속도를 갖춘 총이다. 총포상에게 금화 35닢을 주고 구입할 수 있다. 33%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메가샤크, 유성 대포의 재료가 된다. 자체 공격력이 6밖에 안되니 탄약은 좋은 것으로 들고 다니지 않으면 보스 상대 시 DPS가 매우 낮아지고 하드모드에 진입하자마자 봉인해야 한다.
스팀 트레이딩 카드에서 미니샤크의 자세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어 입에서 미니건 총신이 튀어나와 있는 모습이다. 미니건이라서 미니샤크였던 모양(…). 메가샤크는 아이콘 외형으로 볼 때 미니건은 아닌 모양.

공격력속도넉백
24매우 빠름매우 약함

권총의 상위 등급 무기. 만들려면 모루에서 지옥석 주괴 10개, 권총 1개를 조합하면 된다. 클릭을 계속 해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지속적인 클릭을 할 근성이 있는 이상 하드모드 이전 총기류 중 가장 높은 DPS를 뽑아낼 수 있다. Unreal이 붙는다면 메가샤크를 제외하고 가장 강력한 원거리 무기였으나... 1.2 버전에서는 메가샤크도 쌈싸먹는 총들이 많이 생긴 탓에 그냥저냥 하드모드 초중반까지 사용할 정도의 총이 되고 말았다. 그래도 Unreal을 붙여두면 하드모드 광석을 캐러 돌아다닐 때 꽤 든든하다. 나중에 우지나 비너스 매그넘을 구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쉬루마이트 갑옷+어벤저 또는 디스트로이어 엠블럼으로 은신 상태에 돌입하면 50~70 대미지로 뛰니 보스전에도 써먹을 수 있다.
권총과 마찬가지로 이쪽도 1.2 패치로 텍스처가 바뀌면서 원래 비대했던 게 더 비대해진 편.

공격력속도넉백
19매우 빠름없음

탕탕탕! 탕탕탕! 탕탕탕!
월 오브 플레시가 드롭하는 총. 탄약 1발당 3점사 1회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미니샤크의 33% 탄약 미소비 효과보다 효율이 높다. 여기에 기본적으로 탄약 관련 버프가 많이 붙은 레인저용 장비들을 얻기 시작하면 경제성은 더욱 좋아져 장기 원정을 뛰는 경우에 특히 빛을 발한다. 처음으로 기계 보스에 도전할 때 많이 사용하는 무기이며, 스팀펑커 NPC가 사용하는 총이기도 하다. 시계태엽이 박혀있는 외형에서 스팀펑크의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관통 효과가 있는 운석 탄환을 발사할 시에는 3발 다 타격 처리가 되는 것이 아닌, 한 발만 타격 처리가 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니 주의할 것. 현재 모바일에서는 미니건 수준의 연사 속도를 지니고 있다. 메가샤크보다 더 좋은 연사 속도를 가지고 있기에 수식어만 잘 붙이면 메가샤크보다 더 좋다.

공격력속도넉백
21미친 듯이 빠름극도로 약함

하드모드에서 떠돌이 상인이 랜덤으로 판매하는 총으로, 금화 35닢을 주고 살 수 있다. 이름과 외형을 보아 개틀링+악어(Alligator)의 조합인 듯하다. 속도가 매우 빠르고 50%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 옵션이 붙어있으나, 원래 속도가 빠른 이유로 여전히 탄약 소모 속도는 흉악하다.
탄 퍼짐이 매우 심해, 근거리가 아닌 이상 명중률이 시궁창인 단점이 있다. 원거리라도 닥치고 연사하면 되겠지만... 보스전과 사냥용 가릴 것 없이 유용한 무기이다.

공격력속도넉백
24매우 느림강함

하드모드 진입 이후 총포상에게 금화 25닢을 주고 얻을 수 있는 비싼 총. 말 그대로 산탄총으로, 총알 하나를 소모하여 총 4개의 총알을 분산시켜 발사한다.
사정거리가 짧고 속도가 느려서 근거리 아니면 쓰기가 힘들다. 느리고 한 번에 발사하는 특징 덕에 연속 사격이 아닌 순간 화력을 믿고 쓰는 총이다. 고속탄으로 느린 탄속을 커버할 수도 있고, 특히 수정 총알을 사용하면 4개의 수정탄이 각 3개씩 분리되어 무려 12개의 파편이 튄다. 클로로파이트 총알과의 상성이 좋다.
발사음이 샷건답게 호쾌하고 넉백도 세서 모든 탄을 때려박을 때의 쾌감이 상당하다. 1.3.3 업데이트로 오닉스 블래스터의 재료로 들어간다.

공격력속도넉백
25미친 듯이 빠름극도로 약함

"미니샤크의 큰 형님"이라는 설명 그대로 미니샤크의 강화형. 재료가 상당히 많은데 힘의 영혼 20개, 상어 지느러미 5개 그리고 총포상에게 구입할 수 있는 불법 총기 부품 1개와 미니샤크 1개(총 55개의 금화)를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조합하면 된다. 미니샤크의 옵션을 계승해서 무려 50%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옵션이 존재한다. 이 메가샤크는 트윈즈와 스켈레트론 프라임에게 아주 유용한 대항 무기가 될 수 있다. 이상하게도 불법 총기 부품을 쓴 상위 무기인데도 판매가가 미니샤크보다 더 싸다.

공격력속도넉백
30매우 빠름약함

하드모드 정글에서 등장하는 앵그리 트래퍼에게서 1%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판타지 무기가 난무하는 테라리아에서 몇 안 되는 실존 현대식 무기. 여러모로 메가샤크보다 낫지만 드롭률이 낮고[15] 하드모드 정글에는 이끼 벌, 나방, 거북이 따위만 스폰되고 앵그리 트래퍼가 영 스폰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얻기가 힘들다. 메가샤크와 달리 탄약 소비를 줄여주는 옵션이 없어서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그냥 총알을 많이 들고 다니거나, 1.3 업데이트로 추가된 끝없는 머스킷 주머니를 사용하면 된다. 참고로 그냥 머스킷 총알과 은제 총알은 고속탄으로 변해서 발사된다. 참고로 고속탄으로 변한 총알도 대미지는 기존 총알 그대로라서 별 소용이 없을 것 같지만 탄속이 엄청 빨라지므로 결과적으로 같은 시간에 많은 총알을 적중시킬 수 있고, 1:1에서 거의 무한 경직을 줄 수 있어서 팔라딘이나 아이스 골렘은 열 걸음 정도 움찔거리며 걷다가 비명횡사하는 걸 볼 수 있다. 플랜테라 보스전이 어렵다면 미리 얻어두자. 수정 총알과 날개, 그리고 비교적 널찍한 열린 공간만 있다면 정말 쉽게 처리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38미친 듯이 빠름약함

하드모드 정글 보스 플랜테라에게서 얻을 수 있다. 우지보다 속도가 빠르지만 연속 공격이 불가능해서 사용하다 보면 손가락이 아프다. 이 총도 마찬가지로 머스킷 총알과 은제 총알을 고속탄으로 변해서 발사한다. 다만 아무리 손가락이 빠르더라도 체인건 같은 무기를 따라오기는 힘들어서 명확히 한계가 보인다.

공격력속도넉백
29느림강함

산탄총의 강화형. 드럼 탄창을 물린 전자동 산탄총이라 연사가 가능하다. 하드모드 던전의 밀덕 몬스터(...) 전술 스켈레톤(Tactical Skeleton)을 잡으면 약 7% 확률로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산탄총에 비해 범용성도 높은 강력한 총기. 다른 산탄총류 무기와 달리 기본 29 공격력은 산탄 하나마다 적용되니 6발을 다 맞춘다면 엄청난 대미지를 입힐 수 있고, 팔라딘이나 아이스 골렘같은 귀찮은 미니 보스나 기존에 어렵게 잡았던 다른 보스들도 적은 총알 소모로 쉽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걸 얻을 쯤이면 남은 보스는 피시론 공작이나 골렘 하나뿐일 것이다...
수정 총알을 사용해 풀 히트를 내면 원래 탄의 6발 피해량+수정 파편 18개의 피해량이 나서 최소 400 이상의 피해량을 줄 수 있다! 클로로파이트 총알과의 상성이 좋다. 다만, 운석 총알을 한 타겟에게 쏠 경우, 6개의 탄 중 하나만 타격 판정이 난다.

공격력속도넉백
28아주 느림강함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산탄총 1개, 어둠의 조각 2개, 밤의 영혼 10개로 제작하는 원거리 무기로, 산탄총류 무기만 놓고 보자면 전술 산탄총에 이어 두 번째로 성능이 좋다. 기계 보스 격퇴 이전에도 제작할 수 있으며,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무기로 다오 오브 파우, 하늘의 균열이 있다. 단, 빛의 영혼이 16개가 들어가는 하늘의 균열과 달리 이쪽은 밤의 영혼이 10개만 들어간다.
탄환 1발을 소비해서 4개의 분산된 탄환을 발사하는 것까진 산탄총과 동일하나, 일직선으로 나아가는 크고 검은 에너지형 발사체를 추가로 발사하는 능력이 있다. 이 에너지 발사체는 적이나 블록에 닿으면 폭발한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185극도로 느림매우 강함29%

테라리아 내에서 공격력이 가장 높은 원거리 무기. 이상하게도 실 저격소총보다 훨씬 느리다. 하드모드 던전의 스켈레톤 저격수(Skeleton Sniper)를 잡으면 약 6%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저격소총이라는 이름 그대로 한 발 한 발 공격력이 강한 대신 발사 속도가 느리다. 오른쪽 클릭으로 먼 곳에 있는 적을 조준할 수 있다. 참고로 조준한 곳에 버프 효과를 제공하는 가구가 있으면 그 효과를 받는다. (예: 조준해서 하트 램프를 보면 재생력 버프가 생김)
1.3에서 공격 속도, 치명타율, 공격력 모두 샹향을 받아서 DPS가 구린 PvP 전용 총의 누명을 벗고 진짜 1방 무기가 되었다. 덩달아 쉬루마이트 장비의 공격력 상승 효과가 상향되면서 좋은 수식어와 함께 극딜템을 맞추면 피해량이 1000이 넘어가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쯤 되면 적의 방어력이 의미가 없어지는 수준(...). 던전 가디언을 제외하고 가장 방어력이 높은 게 해골선인데, 이 녀석도 1방이면 훅 간다. 깡대미지로 승부할 거면 최고의 수식어는 공격력을 18% 올려주는 Ruthless이다. 넉백이 줄어들지만, 어차피 그 대미지면 넉백을 받기도 전에 죽는다(...). 치명타율을 올리는 접두사와 볼텍스 세트의 효과를 함께 적용시키면 치명타율이 101% 로 쏘는 족족 1000을 넘기는 대미지가 나오는 괴랄한 장면도 나온다.

공격력속도넉백
31미친 듯이 빠름매우 약함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Santa-NK1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 메가샤크를 포함한 거의 모든 총기의 연사력 따윈 우스울 정도로 빠른 연사력을 지니고 있고 보스전에서 괴수 같은 화력을 보여준다. 50%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 기능이 존재한다.
개틀리게이터보다는 낫지만 여전히 원거리로 가면 탄알 분무기가 되는지라 적이 잘 맞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으나 이 점은 클로로파이트 총알로 상쇄할 수 있다. 최고 수식어는 Rapid 또는 Godly으로, 다른 공격 속도 상승 수식어는 붙일 수 없다. Rapid 수식어가 붙으면 연사 속도가 15%가 아니고 무려 25%로 증가한다. 그만큼 연사력이 매우 빨라 총기에 기본으로 붙은 50% 확률도 의미 없을 정도로 소모량이 증가하니 희소성이 높은 탄약은 아껴서 쓰거나 탄약 상자에서 탄약 소모 감소 효과를 미리 받아놓는 것이 좋다.참고로 Unreal는 안붙는다.

공격력속도넉백
45빠름약함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총알 하나를 소모하여 액체 방울 4~5개를 앞에 뿌리고 시간이 1초 정도 지나면 방울이 터지면서 총알 4~5개가 현재 마우스가 가리키고 있는 점을 초점으로 발사된다. 따라서, 대상에게 명중하기까지 약간의 시간 차가 존재하고 초점 뒤쪽으로는 탄이 퍼지게 된다. 다만 계속 피하면서 싸우는 상황에서는 거품이 발사된 자리에 남아있기 때문에 조준이 힘들다. 대신 장거리에서도 대신 샷건의 순간 화력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뽑아내기 때문에 마우스를 계속 적에게 맞춰 조준시킬 수만 있다면 강력한 위력을 낼 수 있다. 클로로파이트 총알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총. 수정 총알을 사용하는 경우 거품이 보스 몸 안에서 터지면 파편이 죄다 틀어박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50매우 빠름매우 약함

레인저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청록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소용돌이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체인건과 유사하나, 탄약을 무려 66% 확률로 소모하지 않고, 총알을 연사하는 도중 1초에 1번꼴로 푸른 발사체를 추가로 날린다. 발사체는 적에게 유도되어 날아가 폭발하고 플레이어에게 한해 대미지가 없다. 총알의 명중률은 게틀리게이터 정도로 낮은 수준. 최고의 성능을 내려면 클로로파이트 총알을 쓰는 것이 좋다.
1.3.0.5 패치로 공격력이 감소(70->50)했다. 하지만 Vortex 제작 무기가 원거리 피해와 넉백 효과를 받지 못하던 부분도 함께 수정되어 사실상 버프를 받았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77미친 듯이 빠름매우 약함14%

최종 보스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레인저 무장. 이름은 우주 돌고래 기관총(Space Dolphin Machine Gun)의 약자로, 이전 패치 때부터 아이템 코드가 있었으나, 1.3 패치 이후 공격력과 연사 속도가 최종 보스 아이템답게 능력치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나 정식으로 추가되었다. 체인건에 비해 사용 시간이 1만큼 느리지만 훨씬 높은 공격력과 명중률을 보장한다. 현재 레인저용 무장 중 최고의 단일 DPS를 자랑한다.
참고로 S.D.M.G.는 엣지 오브 스페이스와의 콜라보다. 엣지 오브 스페이스에서도 테라리아를 언급한다.

3.3 폭발물 발사기

탄약 중 한 분류인 로켓과 기타 폭발성 탄약 등을 전용으로 사용하는 총. 하드모드 후반에 구할 수 있다.
쉬루마이트 갑옷 장비에서 헬멧과 갑옷 세트를 장착하면 15% 로켓 공격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60보통약함

플랜테라를 처치하면 얻을 수 있는 원거리 무기. 처음 처치했을 땐 무조건 드롭한다. 로켓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중력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 총. 유탄을 적에게 바로 맞춘다면 즉시 폭발하지만 그렇지 않는다면 튕기거나 굴러다니다가 몇 초 지나서 폭발한다. 스플래쉬 대미지가 강하지만 플레이어도 휘말리기 쉬우니 주의. 사용이 까다로운 편. 적들이 무지무지 강해지는 하드모드 던전을 탐험할 때나 골렘 사냥을 편하게 하고 싶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무기. 솔라 세트와 같이 사용하면 데모맨이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80느림약함

사이보그에게 금화 35닢을 주고 구입할 수 있는 원거리 무기. 중력의 영향을 심하게 받으며 적에게 맞추지 않으면 폭발하지도 않고 그대로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나 지뢰처럼 존재한다. 그래서 웨이브 이벤트를 막을 때 미리 깔아둔다면 큰 도움이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50보통약함

하드모드 던전의 스켈레톤 특공대(Skeleton Commando)를 잡으면 약 5%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유탄 발사기와 달리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걸 들고 로켓 3, 4를 사용해서 근접해서 공격하면 플레이어 자신도 비명을 지를 만한 대미지를 같이 받으니 떨어져서 쓰자. 로켓 1을 써서 공격한다 해도 잘못하면 자폭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45빠름보통

리자드 사원의 골렘이 떨어뜨리는 원거리 무기. 스팅어 볼트를 탄약으로 사용한다. 발사된 총알은 5~8개의 작은 투사체로 분리되어 다시 폭발한다. 참고로 다른 폭발형 무기와 달리 스팅어 볼트의 폭발은 플레이어에게 대미지를 안 입히니 근접해서 마구 써도 된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65보통보통10%

펌킨 문 이벤트의 펌킹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지형에 튕기는 폭발성 잭오랜턴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아래 눈사람 대포에 묻혀 자주 쓰이는 일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
67매우 빠름약함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얼음 여왕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이자 지형 파괴가 가능한 로켓과 함께 사용하면 테라리아 최강의 굴착기. 발사 시 로켓이 눈사람으로 리스킨되며[16] 자동 유도 기능을 갖추게 된다. 이 무기는 전투용으로도 매우 좋지만, 그 진가는 채광용에서 드러난다. 발사 속도가 로켓 발사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며, 자신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따라서 눈사람 대포를 가지고 있다면 땅을 호버보드 호버링 속도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

공격력속도넉백
40매우 빠름매우 약함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로, 로켓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발사하면 클릭한 커서의 위치로 날아가 8초 동안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원형 전파를 생성한다. 단, 같은 곳에 여러 개 중복이 불가능하다. 퍼뜨려서 쏴야 되는 무기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65보통보통14%

최종 보스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레인저 무장. 로켓 2발을 한꺼번에 발사하고 적에게 명중 시 폭죽이 터져 엄청난 피해량을 선물해준다. 로켓 II, IV의 경우 지형이 폭파되지 않는다. 폭딜을 낼 수 있게 하지만 사거리가 제한되어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쓰려면 근접해서 쏘자. 로켓이 터지는 게 꽤나 현란한 편.

3.4 기타

전용 탄약을 사용하거나 탄약이 없는 총. 사용하는 탄약이 다르므로 각 총마다 그에 맞는 탄약을 준비해야 한다. 각 전용 탄약은 여기를 참조 바람.

공격력속도넉백
9매우 느림약함

가장 약한 총으로 탄약은 씨앗을 사용하며 지상의 나무 상자에서 얻을 수 있으며 총포상을 불러오는 조건에 만족하지 못한다. 이 취관을 갖고 있을 경우 숲의 잔디를 부수면 일정 확률로 씨앗을 얻을 수 있다. 이 씨앗은 탄약이므로 진짜 씨앗으로 쓰지를 못한다. 총에 비해 사격 속도와 총알의 속도도 끔찍하게 느리다. 정글의 말벌이 드롭하는 독침으로 만든 탄약으로도 사용 가능. 독침을 쏠 수 있다는 것도 그나마 위안.

공격력속도넉백
10매우 빠름보통

설원의 얼어붙은 상자 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 눈뭉치를 탄약으로 사용한다. 금화 2닢에 팔아먹을 수 있어서 재정에는 도움이 되나, 좋은 아이템들이 잔뜩 나오는 얼음 상자에서 이게 나오면 짜증을 유발하지만 초반에 얻을 수 있는 연사 가능한 원거리 무기이기 때문에 크툴루의 눈을 잡는 데까지는 쓸 수 있다. 본래 대미지에다 눈덩이의 대미지까지 더해지니까 사실상의 대미지는 수식어가 없을 때 18이다. 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어력이 낮은 상대에게는 상당한 대미지를 쥐어 박아 줄 수가 있다. 여담으로 프로스트 문에서 얻을 수 있는 눈사람 대포와 외형이 유사하지만, 엄연히 눈뭉치 대포와 눈사람 대포는 완전히 다른 무기이다.
PC 1.3 이전에는 눈뭉치 자체 공격력이 4로 낮았고, 대포의 공격력조차도 4라서 거의 장난감에 불과했었다. 현재 PC 1.3 이후에는 이러한 상향을 받아 초기에 얻어둔다면 수식어나 장비, 장신구 효과를 제외하고 18이라는 높은 공격력을 지니게 되어 초기에 버틸 수 있는 훌륭한 무기가 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12빠름극도로 약함11%

화가가 10% 확률로 해당 무기를 남기고 죽는다. 원거리 무기이며 아무 탄약도 소모하지 않는다. 사용하면 색상이 각기 다른 페인트볼 3개를 점사한다. 탄속은 느리나, 타이밍을 맞춰 연사한다면 초반에 꽤나 강력한 무기가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16느림매우 약함

부활절 업데이트 때 추가된 모바일 전용 아이템으로, 보스 레퍼스가 드롭한다. 대포라는 이름답지 않게 총알을 탄약으로 사용하며 발사할 땐 알로 자동 변환이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25보통보통

고블린 침공 이벤트의 고블린에게서 얻을 수 있는 무기로 공격 시 작살을 던지며 블록이나 적에게 닿으면 다시 되돌아온다. "적에게 닿으면 다시 되돌아온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초근거리에서는 메가샤크 수준의 DPS를 뽑아낼수도 있다. 발사 중 총신을 들고있는데 이 총신에도 대미지 판정이 있다. 여왕벌 이외의 대다수의 하드모드 이전 보스는 이거 한 자루면 전부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여담으로 근접 무기인 다른 철퇴들과 다르게 원거리 무기에 속한다. 만약 원거리 세팅으로 한다면 총알 낭비 없이 잡몹을 처리하는 무기가 된다.

공격력속도넉백
27느림약함

취관의 강화형 무기. 정글 보스 여왕벌을 잡은 이후 등장하는 NPC 주술사에게 금화 5닢을 주고 구매할 수 있다. 여왕벌은 변변한 원거리 무기 없이도 때려잡기 쉬우므로 괜찮은 총이 없다면 하나 구입해 두는 것도 좋다. 포이즌 다트 수급도 어렵지 않고 공격력도 준수한 편이라서 보조 무기로 쓰기 용이하다.

공격력속도넉백
29매우 빠름보통

화로에서 불법 총기 부품 1개, 개미귀신 아래턱 10개, 토파즈 5개로 만들 수 있는 무기로 모래, 칠흑모래, 심홍모래, 신성모래를 탄약으로 사용한다. 칠흑모래, 심홍모래, 신성모래의 경우 관통 효과가 있다. 사막에 나타나는 개미귀신처럼 모래를 던지며 던져진 모래는 실제 모래와 특성이 같다. 또한 탄약이 모래인 만큼 쏜 모래를 다시 주워서 무한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탄약 소모를 줄이는 옵션을 가진 갑옷과 함께 하면 무한으로 모래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기본 모래는 대미지가 -1이라 기본 모래를 탄약으로 쓰면 29 대미지가 나니 주의. 실컷 쏘고 나서 이곳저곳에 덕지덕지 붙은 모래를 보면 복잡한 감정이 된다는 성능 외의 단점이 있다.
여담으로 불법 총기 부품의 모양은 모래총의 부품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물론 불법 총기 부품은 메가샤크, 유성 대포, 화염방사기의 재료로 사용된다.

  • Star_Cannon.png 유성 대포(Star Cannon) ☆
공격력속도넉백
57매우 빠름없음

모루에서 미니샤크 1개, 운석 주괴 20개, 별똥별 5개로 만들 수 있는 무기. 별똥별을 탄약으로 사용하며 하드모드 이전 무기 중 1발당 공격력이 가장 강력한 무기이지만 탄약인 별똥별은 밤에만 나타나므로 대부분 성능 때문에 활용성이 없는 다른 총과는 달리 성능은 좋지만 탄약으로 쓰일 별똥별의 부족으로 활용성이 사라지는 무기이다. 써먹으려면 탄약 상자와 탄약 반환 포션까지 동원해야 한다. 별똥별의 특성을 이어받아 무한 관통이 적용된다.
1.2 버전 이전에는 공격력이 100을 넘길 경우 발사된 별똥별이 사라지지 않고 아이템이 되는 버그가 있었다.
여담으로 공격력이 자주 패치당한 무기인데 1.0.5에선 75에서 60으로 하향, 1.1.1에선 60에서 55로 다시 하향, 1.2에선 55에서 62로 상향, 1.2.4에선 57로 하향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병풍 취급받는 무기인 것도 서러운데 상향했다가 하향했다가 이게 뭐하는 짓이야!

공격력속도넉백
52매우 느림강함

하드모드 커럽션에서 소환되는 오염된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기존의 머스킷와 비슷하게 이쪽도 총신이 긴 장총으로, 공격력이 높은 대신 연사 속도가 느리다. 생김새만 보고 탄환을 사용하는 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름처럼 다트를 탄약으로 쓴다.

공격력속도넉백
28빠름약함

하드모드 크림슨에서 소환되는 크림슨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대미지가 높은 대신 연사 속도가 느린 커럽션 쪽의 다트 라이플과 달리 연사 속도가 높은 대신 공격력이 다소 약하다. 다트 라이플과 같이 다트를 탄약으로 쓴다.
연사가 빠르고, 이코르 다트의 가성비가 좋은데다 탄막이 넓게 퍼지므로 마구 뿌려서 이코르를 떡칠해줄 수 있다. 좋은 보조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43매우 빠름약함

하드모드 커럽션에서 고도 상관 없이 낚을 수 있는 희귀한 물고기로, 사용하면 지형 관통이 불가능한 초록색 비눗방울을 날린다. 비눗방울은 발사한 뒤 시간이 약간 지나면 위로 떠오른다. 맞은 적은 오랜 시간 동안 독 상태에 걸린다.

공격력속도넉백
27보통극도로 약함

이름 그대로 화염을 뿜어내는 방사기로 젤을 탄약으로 사용하며 화상을 일으키는 총이다.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철/납 주괴 20개, 공포의 영혼 20개, 불법 총기 부품 1개로 제작한다. 발사 시 5개의 화염 줄기를 발사하며 화상을 일으킨다. 불줄기는 닿는 모든 적을 관통하므로, 몰려오는 잡몹을 잡아내기에 매우 편하다. 화염 줄기가 밝은데다 흘러내리는 불똥이 땅 안쪽도 비춰주므로 탐험용으로도 유용하다. 하지만 화염 줄기는 물에 닿으면 끊어지며 물속이라면 사용할 수 없다. 총이지만 제한된 사정거리 때문에 굉장히 먼 거리에서 적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속도만 본다면 꽤나 느리지만, 최대 5줄을 연달아 발사하므로 체감상으로는 빠른 편.
젤 소모가 상당히 심한 편이라 슬라임 동상을 구해다가 젤 공장을 만들어 두는 것이 좋다.

공격력속도넉백
38보통극도로 약함

정글 열쇠를 사용해서 던전에 있는 정글 상자를 열면 획득할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피라냐처럼 생긴 발사체를 날리는데 그냥 누르면 안 되고 꾹 눌러서 사용해야 된다. 적에게 명중하면 들러붙어서 죽을 때까지 지속 대미지를 입히고 주변에 적들이 있다면 그 적들에게까지 유도해서 알아서 자동으로 공격한다.
보스도 예외가 아니라서 달라붙기만 하면 체력이 전부 닳을 때까지 공격하는데, 마우스만 꾹 눌러도 자동으로 공격해주니 회피에만 집중할 수 있다. 그 외 탄약을 사용하지 않는 점도 메리트로 볼 수 있겠다. 참고로 쉬루마이트 세트를 착용하고 세트 효과(가만히 있으면 공격력, 치명타율 증가)를 받은 상태에서 피라냐 건을 쏜 다음 움직여도 세트 효과는 유지되기 때문에 피시론 공작을 잡을 때 좋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44미친 듯이 빠름매우 약함10%

펌킨 문 이벤트의 펌킹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 캔디콘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초당 공격력은 약 400으로 우지나 메가샤크를 훨씬 상회하는 DPS를 보여준다. 탄약 자체에도 관통 효과가 있어 주로 펌킨 문에서 자주 몰려오는 잡몹을 때려잡기 용이한 편.

공격력속도넉백
40보통극도로 약함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Santa-NK1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 화염방사기의 강화형 무기로 공격력과 사거리가 늘어났다.

공격력속도넉백
85매우 빠름없음

일식 이벤트의 못대가리가 4%(전문가 8%) 확률로 떨어뜨리는 무기. 전용 탄약으로 못을 쓰며 못을 쏘면 적에게 박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폭발 피해를 준다. 못의 대미지는 보통이지만 폭발 대미지가 상당히 크다. 적에게 못이 많이 박혀있는 상태로 못이 폭발해서 적이 사망한다면 남아있는 못은 폭발에 영향을 받아 주변으로 퍼진다. 이후 적에게 못을 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어째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리벳 건과 외형이 비슷하게 생겼다.

공격력속도넉백
파일:QASBy4E.png 동화 - 25
파일:WwHiwft.png 은화 - 50
파일:0PtuUYH.png 금화 - 100
파일:IypDUZa.png 백금화 - 200
미친 듯이 빠름매우 약함

해적 침략 이벤트 몬스터에게서 0.0125%라는 극악의 확률로 얻을 수 있다. 동전을 탄약으로 사용하며, 공격력은 사용하는 동전에 따라 달라진다.
펌킨 문으로 백금화 몇십 세트를 쌓아놓지 않는 이상 백금화를 쓰는 일은 거의 없고, 대부분 은화나 금화를 쓰게 된다. 총 자체의 연사 속도가 빨라 적절한 DPS가 뒷받쳐줘서 은화만 쓰더라도 대부분의 몬스터나 보스는 무리없이 잡을 수 있다. 실제로 상위 주화 1개로 하위 주화 100개를 만들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가격 대 성능비(?)에서는 은화가 가장 좋은 편.
물론 백금화를 쌓아두고 쓴다면 최강의 무기다. 만병지왕이다. 에디터로 백금화를 대량 생산한 뒤 PvP전을 휩쓸고 개박살내는 악성 유저들이 꼭 한둘씩 있어서 일부 티쇽 서버에서는 이 무기를 아예 사용 자체를 불가하게 하기도 한다. 다만 1.3 이후로 루미나이트와 천체 파편으로 제작하는 무기들에 밀려 사용률이건 PvP이건 보기가 뜸해진 편.

4 마법 무기

무기의 설명란에 'magic damage'가 나타나 있는 무기. 화려하고 멋있는 마법 효과를 가졌으며, 화면 우측 상단에 나타나는 마나를 사용하고 요구 마나보다 현재 마나가 적을 경우 사용할 수 없다. 다만 마나 물약은 연속해서 마실 경우 공격력 감소의 제약을 받는 대신 기본적으로 쿨타임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탄창처럼 계속 재장전해주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편하다. '마나 플라워' 장신구는 마나가 0이 되면 자동으로 마나 물약을 복용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마나 물약만 인벤토리에 충분히 들고 있으면 지속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마법 무기는 공격 방식이 다양하다. 기본적으로 주문 방식에서, 총처럼 발사하는 마법 무기(레이저 소총)도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각각의 마법 무기는 전혀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다. 모바일에서 보석 지팡이류를 사용하면 화면 전체가 밝아지는 버그가 있었지만 패치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8보통없음2

지상에 있는 나무 상자로부터 얻을 수 있다. 누르면 말 그대로 작은 반짝이 같은 발사체가 나가며, 사거리는 매우 짧다. 맞은 대상은 일정 확률로 화상에 걸린다. 아무래도 초반에 마나가 20이라 그런지 마나도 빨리 다는 느낌이다. 초반에 잠깐 쓰고 버려지는 무기.
발사체의 크기가 작고 속도가 느린 탓에 날아다니는 몬스터를 맞추기가 상당히 힘들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4매우 느림약함3

모루에서 구리 주괴 10개, 자수정 8개로 제작하는 보석 지팡이. 일직선으로 볼트 형태의 발사체를 날린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5매우 느림약함4

모루에서 주석 주괴 10개, 토파즈 8개로 제작하는 보석 지팡이.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7느림약함5

모루에서 은 주괴 10개, 사파이어 8개로 제작하는 보석 지팡이.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9느림보통6

모루에서 텅스텐 주괴 10개, 에메랄드 8개로 제작하는 보석 지팡이. 관통 성능과 자동 공격 기능이 추가된다.

공격력속도속도마나 소모량
20보통보통7

모루에서 튼튼한 화석(Sturdy Fossil) 15개와 호박 8개로 제작한다. 튼튼한 화석은 사막 지하에서 발견되는 사막 화석을 악몽의 곡괭이로 캔 뒤에 추출기에 분해해서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당히 중반에 가서 얻게 되는데 정작 성능은 초반에도 얻을 수 있는 루비 지팡이와 동일하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1보통보통7

모루에서 금 주괴 10개, 루비 8개로 제작하는 보석 지팡이.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3보통보통8

모루에서 백금 주괴 10개, 다이아몬드 8개로 제작하는 보석 지팡이. 적 한 명을 관통한다. 자수정 지팡이와 비교해본다면 공격력, 발사체 속도 면에서 확실히 높아졌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0매우 빠름보통5

추수감사절 업데이트 때 추가된 모바일 전용 아이템으로, 크리스마스 기간일 때 폭파 전문가에게 금화 5닢으로 구입할 수 있다. 폭죽 형태의 발사체가 날라가 세 조각으로 2번 연속 분해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0보통극도로 약함10

커럽션의 그림자 구체를 부술 경우 20%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마법 무기. 사용 시 마우스의 방향으로 가시가 뻗어 나아가여 적을 공격한다. 이 가시는 하나하나 공격력은 낮지만 연속 타격을 주고 블록을 관통할 수 있다. 이터 오브 월드 상대로 꽤 쓸만한 무기. 크툴루의 뇌 전에서 크리퍼들 상대로도 좋긴 하지만, 거기선 얻을 수가 없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2빠름없음10

크림슨의 진홍빛 심장을 부술 경우 20%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마법 무기. 사용 시 마우스가 있는 곳에 비를 내려 적에게 대미지를 주는 붉은 구름을 생성한다. 구름은 동시에 하나만 생성 가능하다. 다만 공격력이 적은 데다가 구름이 움직이지 않고 비 내리는 것 외에 공격 요소가 없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는 적에게 큰 피해량을 주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공격 속도가 빨라서 공격력이 낮아보여도 수직 통로 등을 이용해 적들의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다면 쓸만한 편. 주력으로 쓰긴 힘들지만 보조로 뿌려주면 꽤 편리하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9매우 빠름극도로 약함7

모루에서 운석 주괴 20개와 별똥별 2개로 제작한다. 아주 빠른 초록색 레이저를 발사하는 총이자 마법 무기로 연속 발사가 가능하다. 레이저는 초록색 빛을 내뿜어내 어둠에서도 활용성이 있다.
운석 갑옷 세트를 착용할 경우 세트 보너스 효과로 마나 소모 없이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 또, 마나 포션 사용 디버프가 걸리지 않으므로 꾸준한 딜을 계속 넣어줄 수 있는 것이 메리트. 보스와 싸우지 않고도 얻을 수 있다는 점치고는 효율이 높은 편. 운석 갑옷과 함께 액세서리만 대충 맞춰준다면 WoF까지는 편하게 갈 수 있다.
1.3 버전부터는 들어가는 운석 주괴가 30개에서 20개로 줄어들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9매우 빠름없음5

정글 지하 벌집의 보스 여왕벌에게서 얻을 수 있는 마법 무기로 벽에 반사되고 유도성이 있는 벌들을 발사한다. 얻어두면 동굴 탐험이 굉장히 편해진다. 다만 물에 닿으면 벌이 사라지니 주의. 공격 횟수가 많고 지속 시간이 오래 가는 대신 공격력이 매우 낮다. 여왕벌에게서 얻을 수 있는 벌 가방을 착용하면 벌의 공격력이 15% 증가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8보통약함18

던전 보스 스켈레트론을 잡을 경우 획득할 수 있는 마법서. 유도가 되는 강력한 해골을 발사한다. 유난히 마나 소모량이 높은 무기이다. 얻을 확률도 적고, 입수 시기에 비해 효율도 별로라 잘 쓰이지 않는다. 참고로 공격 이팩트가 전문가 모드의 가디언 패턴 중 하나와 유사하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9매우 빠름보통10
던전의 책 중에 위의 파란색 책 모양처럼 숨겨져 있는 무기.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마우스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는 여러 적을 관통하며, 지형에 부딪히면 반사된다. 최대 30초 가량 유지되며 그 시간동안 적을 10번 타격하거나 벽에 5번 부딪히면 사라진다. 관통+반사+긴 지속 시간의 시너지가 합쳐져서 입수 난이도에 비해 성능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스켈레트론을 처치하지 않은 극초반에도 대략 높이 0 이상까지는 던전을 기웃거릴 수 있는데, 이때 이 책을 운 좋게 얻게 된다면 하드모드 진입 전까지는 주력 무기로 사용할 수 있어 편한 진행이 가능해진다. 지형에 부딪히면 반사하는 특성을 이용해, 하늘을 향해 쏘아 다시 땅에 되돌아오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하늘섬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하늘섬에서는 스타퓨리,풍선과 말발굽 같은 아주 유용한 장신구들이 있으므로 초반 플레이 시 매우 큰 도움이 된다. 딜링 측면에서나 유틸성 측면에서나 매우 뛰어난 마법 무기.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6매우 빠름보통6

던전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마법 무기이다. 공격 시 7블록 사정거리를 가진 푸른 빛의 물줄기를 발사한다. 물줄기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포물선형으로 휜다. 크툴루의 뇌 상대 시 크리퍼를 학살하는 데에 아주 좋다. 관통 무기인 만큼 밀집하거나 길다란 적을 상대하는 데 좋은 무기.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7매우 빠름매우 강함10

던전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마법 무기로 사용할 경우 미사일이 전방으로 나아가여 마우스를 꾹 눌러 직접 미사일을 조종할 수 있다. 조종하는 동안에는 움직일 수 있으나 마나는 회복되지 않는다.
조종이 가능한 마법 무기라는 점덕에 이를 이용하여 마우스 피하기 등의 게임도 만들 수 있다. 횃불이 없을 때 캐릭터 주변에 마우스 올려놓고 횃불 대용으로 써도 되고, 나무 플랫폼을 통과하니 문을 플랫폼으로 대체한 집에서는 외부 방어도 가능한 다재다능 무기. 다만 초당 공격력이 약하다는 점이 흠이면 흠이다. 여담으로 모바일에서는 충전 사용이 가능하여 미친 피해량을 뽑아낼 수 있었지만 이제는 막혔다.
1.3.3 업데이트로 하드모드 마법 무기인 하늘의 균열(sky fracture)의 재료로 들어간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0매우 빠름강함12

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사용 시 붉은 빛을 내뿜는 화염의 공을 발사한다. 마우스로 직접 조종이 가능한 무기이다. 하지만 물에 들어가면 사라지니 조심.
광원으로서는 레인보우 로드보다 좋은데, 그 이유는 투사체에서 떨어지는 불꽃 입자가 아래에 있는 블록을 뚫고 밝혀주기 때문.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8매우 빠름보통15

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 얻을 수 있으며 중력에 영향을 받는 불꽃을 발사하며 이 불꽃은 블록에 튕겨지고 불에 맞은 적은 50% 확률로 화상을 입는다. 물에 닿을 경우 사라져버린다.
슈퍼 마리오에 나오는 불꽃을 쏠 수 있는 그 꽃이 맞다. 외형이 정글 장미와 아주 비슷하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35매우 빠름보통10

지옥의 악마에게서 2% 확률로 얻을 수 있는 하드모드 이전 최강의 마법 무기. 관통 효과를 가진 원형 칼날을 발사하여 이 원형 칼날은 보라색 빛을 내뿜으며 느리다가 서서히 빨라진다.
느리다가 서서히 빨라지므로 원거리에서는 잘 사용하지 못하지만 근거리에서는 아주 유용해진다. 엄청나게 느리다가 점차 빨라지므로 근거리에서 연속 공격을 줄 수 있다. 또한, 공격 시 없앨 수 있는 투사체도 쉽게 없앨 수 있어 이런 적에게는 공방이 동시에 될 수 있다. 다단히트로 넉백이 준수해, 하드모드 초반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9매우 빠름매우 약함8

월 오브 플레시가 떨어뜨리는 하드모드의 마법 무기. 보라색 빛을 내뿜으며 관통 효과를 가진 레이저를 발사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8미칠 듯이 빠름없음7

하드모드 마법 무기로 마법사에게서 얻을 수 있다. 사용 시 마우스 커서를 향하여 빛나는 얼음을 던지며 마우스가 있는 곳에는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1x1 크기의 얼음 블록이 생긴다. 얼음 블록을 만들기 위해서는, 플레이어와 마우스 커서의 일직선상 방해되는 것들은 없어야 한다. 이미 생성한 얼음 블록은 통과할 수 있다.
가격은 백금화 1닢으로 꽤나 비싼 무기였으나 1.3 업데이트 이후로 금화 50닢으로 반토막났다. 기본적 성능 때문에 무기로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얼음 블록을 만들어 발판으로 삼거나, 자로 길이를 재고 그곳에 표식을 남기는 등, 아무것도 없는 공중에 건축물을 지을 때 유용해서 도구로서의 기능이 강조되는 아이템. 1.3 패치 이후로 블록의 지속 시간이 대폭 증가했다.
문 로드의 데스레이 패턴을 이걸로 간단히 막을 수 있다! 이마의 눈이 열리면 적당히 얼음을 뿌려 막으면 된다. 이마의 눈을 공격하기 어렵다는 게 단점.
광물을 채굴할 때 얼음 지팡이를 이용하면 걸리적거리는 몬스터를 차단하면서 광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0미친 듯이 빠름약함6

하드모드 마법 무기로 미믹에게서 얻을 수 있다. 사용 시 빛을 내뿜는 마법의 단검을 던진다. 마치 겉만 번지르르하고 던지면 끝나는 1회용 투척용 무기처럼 보이지만 사실 강한 투척 무기이자 마법 무기이다. 소지하고 있기만 해도 마나만 충분하다면 마음껏 던질 수 있다. 공격 속도가 매우 빠르고 관통형이지만 자동 발사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 무기로 쓰려면 마우스를 미친 듯이 클릭해야 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3빠름극도로 강함40

하드모드 커럽션에서 소환되는 오염된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공격 방식은 저주받은 불꽃을 넓이 1칸, 높이 5칸으로 벽을 만들며, 지속 시간은 10초, 혹은 10~15회 타격까지 유지한다. 이 점은 파괴자에게 효과적이다. 벽은 적을 막는 기능은 없으나 대신 넉백 효과가 존재하므로 사실상 넉백 저항이나 플레이어가 아니라면 못 지나간다. 또한 통과를 시도하는 적에게 피해를 입히며 저주불 디버프를 건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30매우 빠름매우 약함10

하드모드 크림슨에서 소환되는 크림슨 미믹이 떨어뜨리는 무기. 허공에 공격 시엔 공격 이펙트가 없다. 적에게 대고 공격을 하면 붉고 작은 연어알 같은 알갱이가 캐릭터 쪽으로 날아온다. 흡혈귀의 칼이나 유령 갑옷 세트의 흡혈 효과 같이 수치가 올라가는 것이 아닌 회복 속도를 올려준다. 연사가 빠르고 벽 관통이 가능한데다 마우스 주변 범위 내의 모든 적을 타격할 수 있고 공격 중 5의 지속적인 피해 효과도 있어서 얻는다면 재미로 사용해봐도 좋은 무기가 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9느림약함13

하드모드 할로우에서 소환되는 할로우 미믹이 떨어뜨리는 바일쏜의 강화형 무기. 바일쏜처럼 크리스탈 형태의 발사체가 나가는 방식. 바일쏜보다 조금 더 길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50매우 빠름보통13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운석 주괴 20개, 요정 가루 10개, 빛의 영혼 10개로 제작. 마우스를 클릭한 곳에 폭발성이 있는 운석 1개가 내리꽂힌다. 공격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고 자동 공격이 가능하므로 마구 난사하다가는 마나가 빠르게 소진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커서의 위치에 따라 벽을 어느 정도 관통하며 운석이 빛을 내고 운석의 폭발 파티클 또한 빛을 내기 때문에 탐사용으로도 쓸만하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5미친 듯이 빠름보통4

나무 20개와 책 10개로 만드는 책장에서 주문 마법서 1개, 수정 파편 20개, 빛의 영혼 15개를 조합하면 만들 수 있는 하드모드의 마법 무기. 엄청난 속도로 수정을 발사하는 마법 무기로 약간 퍼져나가는 특성이 있으며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블록에 닿을 경우 반사되며 시간이 지나면 점점 작아지고 느려지며 발사 3초 후에 사라진다.
참고로 모바일 버전에선 악마 우두머리를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36매우 빠름강함12

책장에서 주문 마법서 1개, 저주받은 불꽃 20개, 밤의 영혼 15개를 조합하면 만들 수 있는 하드모드의 마법 무기. 중력에 영향을 받는 빠르게 이동하는 녹색의 불꽃을 발사하며 이 불에 닿은 적은 저주불 디버프에 걸리고 적을 5체 관통한다. 이 저주불은 물에서도 사라지지 않는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1매우 빠름약함7

책장에서 주문 마법서 1개, 이코르 20개, 밤의 영혼 15개를 조합하면 만들 수 있는 하드모드의 마법 무기. 노란색의 오줌이코르 줄기를 발사하며 이 불에 닿은 적은 이코르 효과에 걸리며 최대 5명까지 관통할 수 있다. 입수 난이도에 비해 효율이 좋은 편이다. 또한 다른 직업도 스위칭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워리어는 플라스크로 대체할 수 있지만 레인저는 총알 스위칭이 없으니 그냥 이코르 총알만 쓰던가 이 무기를 스위칭해야 한다. 소서러 플레이 시 디스트로이어를 잡을 때 유용하다.

공격력속도넉백소모 마나량
38매우 빠름보통14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매직 미사일 1개, 빛의 조각 2개, 빛의 영혼 16개로 제작한다. 사용 시 칼의 형상을 한 발사체 3개가 플레이어 주위에 소환되어 클릭한 지점으로 발사된다. 매직 미사일과 달리 이 발사체는 직접 조종할 수 없다. 하드모드 초반에 만들기 적합한 무기.

공격력속도넉백소모 마나량
85보통보통18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사막의 영혼 램프 1개, 금지된 파편 2개, 밤의 영혼 12개로 제작한다. 사막의 영혼 램프는 하드모드에서 커럽션이나 크림슨 으로 지배된 사막 지하의 사막의 영혼이 2.5%, 금지된 파편은 하드모드 사막에서 모래폭풍이 불 때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모래 정령이 100% 드롭한다. 사용하면 자주색 불꽃이 플레이어 주변에 최대 5개까지 소환되어 일정 시간 동안 공중에 머무른다. 이때 적이 25타일 이내에 진입했을 경우, 불꽃이 적으로 유도되어 피해량과 함께 약간의 폭발을 일으켜 추가적인 스플래시 피해를 입힌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0보통보통9

PC 1.3 패치 이후 할로우 지형에서 낚시로 획득 가능한 무기. 휘두르면 분홍색의 수정이 일직선으로 날라가며 지형이나 몬스터에 충돌 시 작은 파편을 남기면서 폭발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5매우 빠름매우 약함10

하드모드 지하의 대리석 동굴에서 등장하는 메두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충전식 마법 무기. 발사 버튼을 꾹 누르면 최고 3초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 시간에 비례해 위력이 강해진다. 타격 대상은 화면 내의 모든 적들로, 해상도에 따라 범위가 달라지는 독특한 무기. 단, 블록 등 엄폐물 뒤에 있는 적은 공격할 수 없다.
PC 1.3.1 패치로 메두사가 하드모드 이후에 스폰됨에 따라 하드모드 아이템으로 변경되었다. 공격력도 28에서 45로 상향되었고, 마나 소모량도 8에서 10으로 조금 늘어났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8매우 느림보통22

하드모드 지하의 거미굴에서 등장하는 블랙 레크루즈로부터 얻을 수 있는 무기. 독 송곳니 4개를 한 번에 발사하고 마나 소모량이 높다. 맹독 지팡이의 재료로 사용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6매우 빠름보통14

하드모드 설원에서 등장하는 아이스 엘리멘탈, 얼어붙은 수인, 얼음 골렘로부터 얻을 수 있는 무기. 프로스트브랜드와 동일한 얼음 조각을 발사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55매우 빠름강함17

하드모드의 설원 지하에서 낮은 확률로 나타나는 얼음 미믹을 잡으면 획득할 수 있는 무기. 블록에 튕기는 얼음 불꽃을 발사하며 맞은 적은 50% 확률로 서리불 효과에 걸린다.
불의 꽃의 상위 호환 무기로 모티브는 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Wii에서 새로 추가된 아이스 플라워에서 따온 듯.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36빠름없음10

크림슨 로드의 강화형으로, 비가 올 때 스폰하는 화난 비구름(Angry Nimbus)에게서 1/15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적에게 피해를 주는 먹구름을 최대 2개 소환한다. 지속 시간이 길고 2개나 설치할 수 있어 펌킨 문이나 프로스트 문 같은 상황에서 쓰면 유용하다. 파괴자를 잡을 때 지상보다 높은 곳에 아레나를 짓고 님부스 로드를 아래로 2개 소환하고 프로브만 잘 잡으면 난이도가 보다 쉬워진다.
하드모드 초반에 운 좋게 얻게 된다면 적당히 컨트롤만 해줘도 와이번을 사냥이 가능해 비행의 영혼 모으기가 쉬워진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치명타율
40빠름약함67%

고블린 침공의 고블린 소환사에게 얻을 수 있다. 사용하면 촉수처럼 생긴 보라색 불꽃 여러 갈래가 앞으로 뻗어나간다. 불줄기에 맞은 적은 확률적으로 섀도플레임 디버프에 걸린다. 이펙트는 멋지나 심히 애매한 명중률 때문에 자주 쓰인다곤 못 하는 무기.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32매우 빠름없음4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하프 1개, 시야의 영혼 20개, 밤의 영혼 12개, 수정 파편 25개로 제작하는 무기. 음표 모양을 한 발사체를 발사하며 이 음표는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공격 횟수와 블록에 닿은 횟수에 관계없이 4초간 유지된다. 즉, 모든 적을 4초간 무한대로 관통한다. 방향에 상관없이 플레이어와 마우스의 거리에 따라 음표의 이동 속도가 달라지며 소리 또한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첫 파괴자 사냥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공격 방식은 마법 무기이지만 아주 독특한 공격 방식을 갖고 있다. 플레이어와 마우스의 거리에 따라 음표의 속도가 결정되며 이때 나오는 소리 또한 달라진다. 정확히는 플레이어와 마우스 사이가 가까울수록 음표는 느린 속도와 함께 낮은 음이 나오며 멀수록 음표는 빠른 속도와 함께 높은 음이 나온다. 마우스 위치를 기억해야 하지만 이런 소리나는 특징이 있으므로 간단한 연주도 해볼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74매우 빠름보통18

하드모드 마법 무기로 발사체 제어가 가능한 무기.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수정 파편은 10개, 유니콘의 뿔 2개, 요정 가루 10개, 시야의 영혼 15개, 빛의 영혼 8개로 조합[18]한다. 재료가 꽤 많은데 할로우 지역의 대부분 재료는 전부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컬러 조명을 사용할 경우 이름답게 발사체에서 여러가지 다채로운 색상의 빛을 뿜어내며 용암이나 물에도 사라지지 않는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63보통강함25

버전이 1.2.3으로 갱신되면서 새로 추가된 아이템.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독 지팡이 1개, 클로로파이트 주괴 14개로 제작한다. 맹독 송곳니 5개를 한 번에 발사한다. 끔찍한 마나 소모량도 그대로 가져왔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73빠름강함25

하드모드 지옥의 붉은 악마 3.33%의 낮은 확률로 떨어뜨리는 마법 무기. 사용 시 총 4회 관통이 되는 삼지창을 발사한다. 발사 속도가 느린지라 하프를 쓰는 게 낫다.
1.3 패치로 공격력과 속도가 상향되고 자동 공격 기능이 추가되었으나 마나 소모량이 2배 가까이 늘어났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1매우 빠름없음6

플랜테라에게서 얻을 수 있는 무기로, 여왕벌에게서 얻을 수 있었던 꿀벌 총의 강화판. 유도성이 있는 말벌들을 발사한다. 말벌이기 때문에 여왕벌에게서 얻을 수 있는 벌 가방은 적용되지 않는다.(영문 이름이 Bee 와 Wasp 로 완전히 다르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28빠름극도로 약함10

플랜테라에게서 얻을 수 있는 무기로 바일쏜의 강화판. 사용 시 마우스의 방향으로 블록 관통이 되는 가시가 뻗어 나아간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8미친 듯이 빠름약함4

플랜테라에게서 얻을 수 있는 무기. 나뭇잎을 빠르게 속사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50미친 듯이 빠름매우 약함4

3DS 기종에서 플랜테라를 처치하면 1.25%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마법 무기이다. 모양과 이름을 볼 때, NES의 슈팅 게임 컨트롤러 재퍼를 본따 온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데스크톱 기종에서 최초로 삭제된 무기로, 성능은 1.1 기준 하드모드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들도 모두 압도할 정도로 매우 강력했다고 한다. 제작자들이 테스트를 하기 위해 호신용으로 가지고 다니다가 실수로 테라리아 프리 릴리즈 버전에서부터 이 무기를 추가시켜 버렸고 이후 1.0.1 버전에서 천사 동상으로 대체되었으나, # 닌텐도 사의 NES 컨트롤러라는 유래에 걸맞게 후일 출시된 3DS 기종에서 하드모드 전용 무기로 재추가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6보통보통30

하드모드 일식 이벤트의 파리인간 의사가 떨어뜨리는 마법 무기. 독성 플라스크를 투척하여 떨어뜨린 지점에는 잠시 동안 적에게 대미지를 입히는 연기가 퍼진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73매우 느림매우 강함15

리자드 사원의 골렘에게서 얻을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땅에 굴러가는 바위를 소환한다. 관통이 가능하므로 내리막길에서 올라오는 적들을 쓸어버릴 수 있다. 공격력, 속도, 마나 소모량 등 모든 면에서 히트 레이에 밀리는 무기였지만 1.3 이후 공격력이 45에서 73으로 대폭 증가하였고 마나 소모량이 줄어들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55매우 빠름매우 약함8

리자드 사원의 골렘에게서 얻을 수 있는 무기로 레이저 소총의 강화판. 사용 시 관통이 되는 열선을 발사한다. 섀도빔 스태프와 공격 방식이 유사하지만 이쪽은 벽에 반사되지 않는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8매우 빠름보통14

하드모드 던전의 Blue/Rusty/Hell Armored Bone과 Bone Lee에게서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으로 사용 시 몬스터를 자동 공격하는 전기 구체를 발사한다. 발사된 구체는 플랫폼을 제외한 블록에 닿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 혹은 구체를 다시 발사하면 이전에 발사된 구체는 사라진다. 구체 자체에는 공격력이 없고 구체에서 가해지는 공격이 연사가 굉장히 빨라 어느 정도 공간만 있다면 수백 대의 공격력을 우습게 뽑아낸다. 구체를 발사하고 나면 아무런 제약 없이 다른 무기를 쓸 수 있고 다시 발사하기 전까지는 마나를 소비하지 않기에 의외로 효율이 좋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53매우 빠름약함7

하드모드 던전의 네크로맨서를 잡으면 약 3%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관통과 벽 반사가 가능해서 한쪽에서 몰려오는 몬스터들을 잡을 때 유용하다. 한 번에 적중하는 적이 많을수록 피해량은 감소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65보통매우 강함18

하드모드 던전의 디아볼리스트를 잡으면 약 3%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파이어볼을 날려 적이나 블록에 닿을 경우 폭발을 일으켜 연속적으로 강력한 공격력을 입힌다. 적들 다수를 공격할 수 있고 다단히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펌킨 문에서 유용하다. 소서러가 주력으로 사용해도 쓸만한 무기.
또한 발사체는 벽을 통과하진 않지만 블록에 닿아서 폭발하면 블록 안쪽까지 피해량을 입히기 때문에 지형을 관통하여 다가오는 적들에게 유용하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72빠름보통11

하드모드 던전의 래기드 캐스터즈(Ragged Caster)를 잡으면 2.5% 확률로 얻을 수 있는 무기. 자동 유도 기능이 있는 발사체를 발사한다. 헌데 다른 던전 마법 무기와 비교하면 관통 기능도 없어서 많이 초라하다. 바로 위 두 무기와 비교하자면 이쪽은 쓰는 일이 거의 없을 정도.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5매우 느림매우 약함20

신성한 열쇠를 사용해서 던전에 있는 신성한 상자를 열면 획득할 수 있다. 포물선을 그리는 무지개를 10초 동안 생성한다. 지속 시간이 길고 범위도 넓기 때문에 깔아놓기용으로 써도 무방.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5매우 빠름매우 약함3

펌킨 문 이벤트의 펌킹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로 말벌 총과 유사하다. 유도성이 있는 박쥐를 한 번에 1~3마리씩 발사한다. DPS가 높은 축에 속하며 유령의 갑옷 세트와 같이 사용한다면 미친 듯한 흡혈 효과+높은 공격력을 보여준다. 다만 마나 소모량이 너무 적어서인지 마나 소모량이 감소하는 수식어를 붙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최고 수준의 수식어는 Godly.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48미친 듯이 빠름약함5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에버스크림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로 리프 블로워의 강화판. 한 번에 2~4개의 발사체를 발사하며 그 위력적인 뱃 셉터의 DPS를 압도할 정도로 강력하다. 눈보라 지팡이가 이벤트 전용 무기라면 이쪽은 사냥용 및 보스용 주 무기. 의외로 중력의 영향을 받아 일정 거리가 되면 바닥으로 내려간다. 마나 소모량이 적지만 Mythical이 붙을 수 있다. 블록 관통이 되는데 무기가 길어서 그런지 가로 기준으로 3칸의 블록을 통과한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58매우 빠름보통9

프로스트 문 이벤트의 얼음 여왕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나온다. 마우스 포인터로 조준한 지점에 다수의 고드름을 하늘에서 눈보라 몰아치듯이 집중 사격한다. 탄착군이 어느 정도 분산이 되나 대미지가 절륜하며, 분산 수준이 보스의 크기와 유사하기 때문에 보스건 잡몹이건 모조리 녹아버린다. 기관총같은 연사력+파워를 가진 레이저파인도 한수 접고 들어가야 할 정도. 대부분의 무기들이 광적인 DPS를 자랑하는 후반 소서러 무기들 중에서도 최고의 화력을 자랑하는데다 보스전이나 이벤트에도 적합하기 때문에 최고의 마법 무기 중 하나로 거론되었던 무기이다.
다만 이 무기도 노스 폴과 마찬가지로 천장이 막혀있으면 고드름이 천장에 막혀 탄착 지점까지 내려오지 않는 등 지형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지하 탐사 시에는 상당히 부적합하다. 또한 몬스터에게 발사되기까지 딜레이가 상당히 많으며 마나 소모량도 높다. 실질적으론 펌킨 문, 프로스트 문 이벤트에만 사용되거나 달의 군주의 졸개들을 처치하는 데에 잠깐 쓰이고 버려지는 무기.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60매우 느림보통16

바다 보스 피시론 공작이 드롭하는 무기. 사용 시 링 형태의 큼지막한 유도성 발사체를 발사한다. 이 발사체는 지형에 닿으면 튕기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발사체 자체가 유도력이 크고 지형에 반사돼서, 아무데나 쏴도 적을 맞추기 쉽다. 또한 공중에 있는 대상으로 쏘면 상당히 오랫동안 남아있어서 스펙터 세트 흡혈 효과가 상당하다. 1.3 패치 이전까지 레이저파인, 눈보라 지팡이와 함께 소서러의 주 무기로 사용되었다. 단일 대상에 대한 딜링 능력은 부족하지만 잡몹을 처리하거나 다수의 적들을 견제하는 데 있어서는 몇 손가락 안에 꼽을 수 있는 무기이다. 또한 기둥 보호막 벗기는데에도 굉장히 효과적이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70매우 빠름매우 약함4

하드모드 바다의 피시론 공작이 드롭하는 무기. 사거리가 짧은 비눗방울을 앞으로 발사한다. 근거리에 특화되었다 보니 중~장거리의 원거리 몬스터에게 대처하기 어려운 감이 없잖아 있다. 마법 무기치고는 사거리가 짧은 데다 방울이 일자가 아니라 진짜 비눗방울처럼 퍼지면서 나가기 때문에 보스전, 펌킨 문, 프로스트 문 등에는 비효율적이다. 다만 마나 소모량도 적고 DPS도 가히 최강급이기 때문에 실력이 된다면 웬만한 마법 무기보다도 빠르게 보스를 녹일 수 있다. 실제로 아직 유령 후드셋이 너프 먹지 않은 모바일 테라리아에서는 펌킨 문이고 프로스트 문이고 후드셋과 비눗방울 총 하나 들고 다 녹여버린다(...). 여러 마리의 펌킹한데 다굴 먹으면서도 높은 DPS와 피흡으로 다 녹여버리는 모습을 보면 몬스터들에게 미안해질 지경이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52매우 빠름매우 약함14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소서러 전용 무장. 꾹 눌러서 3초 동안 충전한 뒤 사거리 무한의 레이저 포를 방출한다. 지속적으로 마나를 소모하여 레이저 포를 유지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5초간 유지되고 마나 160을 소모한다. 충전이 완료된 후 레이저 포가 방출되면 마우스가 선택된 지점에 고정되며, 그 이후로는 방향을 변경할 수 없어 적을 맞추는 데에 꽤나 에로사항이 꽃핀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60매우 빠름매우 약함6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다. 미니건처럼 처음 사용 시에는 속도가 느리다가 그 후 체인건처럼 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빨라진다. 추가로, 공격 시 레이저가 2발씩 나간다. 2발짜리 샷건이 머스켓~메가샤크 급의 연사력을 갖는다는 소리. 단, 적을 관통하진 못하므로 단일 적에 대한 공격이 효과적이다. 레이저파인과 매우 비교되는데 레이저파인은 예열 시간이 없고 DPS 자체는 꽤나 우수하지만 일정 거리 이상 날아가면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레이저 기관총은 예열 시간이 있지만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70보통보통30

소서러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분홍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성운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작은 빛들이 궤도를 돌고 있고 분홍색과 검은색이 섞인 구체를 발사한다. 구체는 일정 시간 동안 벽에 반사되면서 필드에 남아있고 적이 주변에 있으면 그쪽으로 꺾어서 다단히트 피해를 입힌다. 지속 시간이 상당히 길고 대미지도 강력한 데다가 유도 성능도 나쁘지 않아서 이벤트 때 많이 깔아놓으면 가만히 있어도 화면 안팎으로 몹이 우수수 죽어나가므로 상당히 쓸만한 무기. 대신 연발하기엔 마나 소모가 심하다는 게 문제이다.
1.3.0.5에서는 공격력 하향(80->70), 넉백 하향(강함->보통), 마나 소모량 감소(40->30) 등의 변경점과 함께 투사체 속도가 빨라졌다. 레이저블레이드 타이푼의 상위 호환 무기지만 속도가 더 느리므로 움직이면서 잡기엔 힘이 든다. 그래도 처음 성운의 파편을 획득하였고 파편의 개수가 두 무기를 모두 만들기에 충분치 않다면 성운의 광휘보다는 이걸 만드는 편이 좋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30매우 빠름없음18

소서러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분홍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성운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이중 나선을 그리는 꼬리를 가진 분홍색 에너지를 발사하여 적에게 유도한다. 또한 간혹 불규칙적으로 빠른 속도와 높은 공격력을 가진 파란색 에너지가 튀어나온다. 수정펀치
딜량도 준수하고 마나 소모량도 화력에 비하면 괜찮은 수준이기 때문에 성운의 불가사의와 함께 운용한다면 달의 군주를 잡는 데에도 효과적인 무기이다.
1.3.0.5 패치로 공격력이 상향(120->130)되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00매우 빠름보통13

최종 보스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소서러 무장. 공격 방식은 블리자드 스태프와 유사하지만 이쪽은 한 치의 오차 없이 푸른색 불꽃 3개를 선택한 지점으로 떨어뜨린다. 또한 클릭한 높이에 닿기 직전까지는 모든 지형지물을 통과한다. 딜량도 우수하고 잡몹 처리에 일가견이 있기 때문에 일반 무기로 활용하면 편하다.
라스트 프리즘이 일순간에 엄청난 화력을 뿜어내는 극딜형 무기였다면 루나 플레어는 화력은 덜할지 몰라도 더 안정적으로 지속딜을 박을 수 있는데다 범용성이 매우 뛰어나 일반 전투나 던전, 잡몹 처리용으로 자주 쓰이는 무기이다. 지형지물을 관통하여 빛을 내기 때문에 지하의 어두운 공간을 모두 비춰주어 탐사에도 적합하고, 이벤트에서도 전혀 딸리지 않는다. 장비나 포션 등으로 공격력을 극강으로 끌어올리고 이 무기가 무한 관통된다는 점과 파괴자가 각 마디마다 피해량을 받는다는 점을 이용해 소환되는 도중에 몸통에 갈겨주면 파괴자 0.125초 컷도 가능하다.

‘Fire a lifeform disintegration rainbow(모든 생물체를 분해하는 무지개를 발사합니다)’
공격력속도넉백마나 소모량
100매우 빠름없음12

최종 보스인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소서러 무장.
사용 시 일곱 빛깔의 빔이 넓은 범위로 전방을 향해 돌다가 빛줄기들이 합쳐지면서 강한 빛줄기를 전방으로 내보낸다. 사용 중에 마우스 커서로 빛줄기의 방향을 바꿀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천천히 방향을 전환하는 식이다. 모이는 단계에서는 일정 범위 내의 모든 몬스터들에게 공격이 가능하므로 끊어 쏘는 방식으로 광역 딜이 가능해진다. 물론 한 빛줄기로 모이고 나서도 커서를 휘두르는 것으로 가능하며, 모이면 6개의 빛이 합쳐진다는 의미 때문인지 공격력도 즉시 6배로 늘어난다.
역대 테라리아 무기 중 단일 대상으로 한 이론적인 DPS는 부동의 1위로 10000이라는 경이로운 수치가 가능하다. 물론 실전에서 풀 치명타가 터질 일은 없지만... 스펙터 후드 세트 흡혈 효과를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참고하자.
화력이나 유틸 면이나 떨어지는 것이 없지만, 처음 사용할 때부터 굵은 빔을 만들 때까지 약 4초 동안 마나 200을 죄다 소진해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빛줄기는 초당 약 72의 마나 소모를 하므로, 소서러 외 다른 직업은 감히 쓸 엄두도 낼 수 없다. 완전히 집중시켜서 쓰는 게 아니라면 루나 플레어보다 효율이 더 떨어지기도 하고. 이 문제 때문에 생각보다 사용이 까다로운데, 편의를 위해 마나 플라워를 사용하면 장신구 자리를 하나 손해볼 수밖에 없다. 그래도 그래도 역시 딜은 절륜한 편. 마나 포션을 자동으로 사용하는 마나 플라워의 특성상 마법 공격력 감소(최대 50%) 디버프인 "mana sickness"가 필연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는데, 성운의 갑옷 세트 효과로 무마할 수 있으니 보스전에 유용하게 써먹자. 순간 화력은 다른 그 어떤 무기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마나 포션과 몇몇 악세사리를 통해 안정성만 높인다면 보스들을 순식간에 녹여버릴 수 있다.
가볍게 쓰고 싶다면 다음의 세팅을 참고하면 좋다. 수식어는 Mystic으로 하여 마나 소모를 줄이고, 성운 갑옷을 착용한다. 장신구는 천상의 휘장, 파괴자의 휘장, 마나 플라워, 천상의 조개, 앙크 방패를 두자. 전문가 모드라면 마지막 장신구는 Worm scarf를 추천한다. Cosmic Car key를 이용하면 날아다닐 때 날개가 필요 없지만, 굳이 넣고 싶다면 파괴자의 휘장을 빼자. 이 정도의 무장만 갖추어도 충분히 강력하다. 여러모로 소서러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벽을 관통하지는 못해서 탐사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이벤트나 보스는 거의 다 쌈싸먹는다.
파일:Marisa terraria 2.png
닉을 마리사로 짓고 치장 코스튬과 머리 스타일을 잘 조합해서 진짜 마리사를 만들어보자.[19] 마스터 스파크!!

5 소환 무기

무기의 설명란에 'summon damage'가 나타나 있는 무기. 서머너가 사용하며, 펫이나 동상 등 소환수를 소환하여 공격한다. 소환수는 아무런 세팅 없이 하나가 소환 가능하며 소환수는 플레이어가 죽거나 게임을 종료하기 전까지 항상 붙어다닌다. 티키 갑옷(기본 +3에 세트 효과 +1), 으스스한 갑옷(기본 +3), 장신구(피그미 목걸이, 사령의 두루마리, 파피루스 풍뎅이) 등의 추가 무장으로 소환수의 최대 생성수를 늘리고[20] 공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환 가능한 최고 숫자는 기본 1마리, 소성단의 갑옷 +5마리, 장신구 +3마리, 소환 포션 +1마리, 화려한 탁자 +1마리 해서 총 11마리이다. 옵틱 스태프를 사용하면 22마리의 눈이 떠다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한 가지 팁으로, 소환수의 공격력은 소환될 때 결정되므로 으스스한 갑옷으로 공격력이 증폭된 소환수들을 소환한 뒤 티키 갑옷으로 바꿔 한 마리 더 소환 가능하다.

초중반 무기들은 공격력이 그다지 높진 않지만 물량이 갖춰지면 상황이 다르다. 일반 세계라면 잡몹 처리에는 매우 위력적이며, 하드모드에 들어간 세계라 해도 건축 등의 개인적인 일을 할 때 방해되는 요소를 어느 정도 알아서 처리해주기 때문에 그럭저럭 쓸만하다.

최고 수식어는 'Mythical'이지만, 실질적으론 공격력을 가장 많이 올려주는 'Ruthless'가 제일 좋다. 일단 소환수는 치명타를 입힐 수 없기에 치명타 확률은 의미가 없다. 마나 소모량과 무기 속도 역시 무의미한데, 최초 소환수를 만들 때만 잠깐 사용하기 때문이다. 즉 소환수 자체의 공격력이 가장 중요한데 Ruthless가 18%로 가장 높다.

고정형 소환수를 제외한 모든 소환수들은 버프로 취급되기 때문에 버프 마크 위에서 오른쪽 클릭으로 소환수를 제거할 수 있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8매우 약함10

슬라임 종류 몬스터에게서 1/10000의 매우 낮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레어한 슬라임인 핑키에서는 1%(전문가 1.4%) 확률로 나온다. 휘두르면 새끼 슬라임을 소환한다.
슬라임 지팡이를 빠르게 얻고 싶으면 슬라임 석상을 1초 타이머나 버드 엔진으로 돌리거나 왕 슬라임을 잡아보도록 하자. 운이 아주아주 좋아서 초반에 뜨지 않는이상 석상을 이용한 방법밖에 없는데, 이미 석상을 작동시킬 수 있을 때가 되면 이미 던전을 갈 수 있다는 의미고, 그 정도 스펙이면 여왕벌을 잡아 밀랍으로 말벌 지팡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실용적으로 써먹기엔 불가능에 가깝고 콜렉션용이나 취미용으로나 쓰일 만하다. 다만 이 지팡이가 쓸모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행운의 동전을 이용한 돈벌이. 공격력에 상관없이 적을 때릴 때 마다 돈이 떨어지는 것을 이용한 영상으로 아래에 슬라임을 소환하면 공격력 낮은 슬라임이 방어력 높은 몹에게 1의 피해를 주므로 결론적으로 타격 횟수가 많아지게 되어 돈을 엄청나게 끌어모을 수가 있다.
던전에서 기계공을 구하기 전에도 지하에 설치된 함정을 이용해 슬라임 소환기를 만들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해 슬라임 지팡이를 얻는 영상.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9매우 약함10

모루에서 정글의 여왕벌이 드롭하는 밀랍(Bee Wax) 14개로 제작한다. 적에게 독침을 날리는 말벌을 소환한다. 이 독침은 적에게 독 디버프를 건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21매우 약함10

모루에서 지옥석 주괴 17개로 제작한다. 사용하면 날아다니는 임프를 소환한다. 임프는 플레이어 주위를 지키며 파이어볼을 던진다. 공격은 관통 효과가 있고 불을 붙인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26매우 약함10

거미굴의 블랙 레크루즈가 드롭하는 거미의 독니 16개로 제작한다. 사용하면 적에게 맹독 디버프를 거는 거미를 소환한다. 일반 거미처럼 벽이 있는 지형이라면 벽에 붙어서 이동하고, 땅에서는 이리저리 통통 튀며 이동한다. 공격할 때는 적에게 튀어올라 달라붙어 공격하는데, 다른 원거리형 소환수와는 달리 공격이 빗나가지 않지만 많은 적을 상대할 때 버겁다는 단점이 있다. 버그인지 4마리 소환이 가능한 경우 5마리까지 소환할 수 있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34매우 약함10

하드모드 정글 지하의 보스 플랜테라에게서 얻을 수 있는 소환 무기. 무기를 휘두르면 피그미 족이 소환된다.
피그미 족은 플레이어 주변을 지키며 창을 던저 공격한다. 공격 속도가 빠른 편이며 던진 창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떨어진다. 플레이어가 날아다닐 경우 피그미들도 창을 타고 날아다닌다(!). 던진 창에는 유도 성능이 없기 때문에 날아다니는 적을 맞추는데 애로 사항이 있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30매우 약함10
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검은 수정체 1개, 수정체 2개, 신성한 주괴 12개, 시야의 영혼 20개로 제작하는 무기. 1회 사용에 레티나이저와 스파즈마티즘 한 쌍이 같이 소환된다.

레티나이저는 원거리에서 레이저를 날리고 스파즈마티즘은 적에게 돌진 공격을 시도한다. 공격력 수치는 낮아 보이지만 이것은 한 마리에 해당되는 공격력으로, 실제로는 2마리를 소환하기 때문에 DPS는 태풍의 지팡이와 비슷하다. 물론 이론상 공격력만 그렇다는 거고 실제로는 태풍의 지팡이의 절반 정도이다. 다수 대상으로는 명중률이 높아 공격력에 비해 상당한 처리 속도를 보여준다. 입수 난이도에 비해 무기의 성능이 매우 준수하기 때문에, 소환사의 하드모드 초중반부는 이 무기가 책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담으로, 2마리를 합쳐서 1마리의 소환수로 인정되기 때문에 소환수 세트를 입고 여러 번 사용하면 플레이어 주위에 8마리 정도의 눈알들이 바리케이트를 친 것 같은 진풍경을 볼 수 있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40보통10

해적 침략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다. 사용하면 미니 해적을 소환한다. 이 미니 해적은 적에게 근접 피해를 입힌다. 날아다닐 땐 앵무새를 붙든다.
여담으로, 이 해적들은 주기적으로 똥(...)을 싸는데, 이는 같은 회사에서 만든 게임 Pixel Piracy의 패러디.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37매우 약함10

펌킨 문 이벤트의 펌킹을 잡으면 일정 확률로 드롭하는 무기. 휘두르면 적을 공격하는 까마귀를 소환한다.
까마귀는 피그미와는 달리 그대로 날아가 육탄 공격을 한다. 다수의 몹들이 몰려오면 이쪽이 좀 더 유용하며 특히 비행형 몬스터에게 유용한 편. 다만 AI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맵 끼임에 취약하고 플레이어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호 면에선 피그미보다 약간 떨어질 수 있다. 여담으로, PvP에선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상대가 까마귀에 닿으면 일정 피해를 주면서 자폭한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36매우 약함10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서머너 전용 무장. 사용하면 미니 UFO가 소환된다. 미니 UFO는 적에게 가까이 텔레포트하여 레이저를 날린다. 이렇게 보면 별로인 듯 보이지만, 성능은 의외로 발군. 소환되는 UFO는 바로 아래에 태풍의 지팡이가 소환하는 샤크네이도의 공격 속도의 2배에 해당하는 공속을 가졌는데, 이쪽은 히트스캔 수준으로 빗나감이 없는 공격. 덕분에 대부분의 상황에서 태풍의 지팡이를 압도하며, 최종 소환 무기 중 하나인 스타더스트 셀의 DPS도 상황에 따라선 능가한다. 적이 4개체 이상이면 스타더스트 셀의 공격이 가지는 특징 때문에 DPS가 높게 나오지만, 1~3개체에선 이놈이 미세하게 더 강력하다. 스타더스트 드래곤은 애초에 다른 무기와 DPS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강력하니 제외. 덤으로 판매가가 동급의 무기들에 비해 매우 낮으며, 따라서 강화 비용도 저렴하다. Mythical의 강화 비용이 금화 1닢이 겨우 넘는 정도.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50매우 약함10

서머너 전용 무기. 바다 보스 피시론 공작이 드롭한다. 작은 소용돌이를 소환하는데, 이 소용돌이는 적에게 상어를 발사한다. 그리고 적과 부딪치면 사지가 찢기면서 장렬히 전사한다. 공격력이 강한 편이고 DPS도 상당한지라 5마리쯤 소환해놔도 접근할 수 있는 적이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 또한 이 소용돌이에도 자체 공격판정이 있으므로 접근해오는 파괴 가능한 투사체를 없애준다. 여러모로 서머너의 중반 최고 무기. 하지만 일반 몹 상대로도 빗나가는 게 태반이고 빠르게 날아다니는 보스를 잡을 때는 정확도가 떨어져 비효율적이다.
처음 사용할 때 다수 소환해두면 관통 공격으로 착각할 수도 있는데 사실 다 빗나가는 거다(...). 1.3 패치로 많은 서머너 무기 간접 피해자 중 한 무기인데 1.3에 나온 소환 무기들이 너무 사기라서, 그 무기들 중 하나라도 얻으면 바로 버려지는 것이 현 상황.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50매우 약함10

하드모드 일식 이벤트의 치명적인 구체가 떨어뜨리는 소환 무기. 몸통 박치기를 시전하는 둥근 칼날 모양의 구체를 소환한다. 마치 분노 상태의 크툴루의 눈을 떠올리게 하는 관통 공격을 하는데 호전성과 공격 속도가 엄청나다. 하나 소환해 놓으면 가만히 서서 왠만한 하드 몬스터들을 다 쓸어버릴 정도. 다만 관통 공격과 빠른 공격 속도의 시너지 때문인지[21] 단일 개체에 대한 DPS는 3마리를 소환하든지 11마리를 소환하든지 별반 차이가 없다. 그리고 속도는 빠르지만 다른 소환수들은 화면 밖까지 돌진해서 공격하는데 비해 어느 정도 근접해야 공격하러 가는 등 인공지능이 참으로 안 좋은 데다가 태풍의 지팡이와 달리 공이 관통을 못해서 공격은 안하고 벽에 낑겨있거나 하는 상황이 매우 자주 발생한다. 참고로 앞에 붙어있는 Deadly는 수식어가 아닌 본래 아이템 이름의 일부. Deadly 수식어를 붙이면 치명적인 치명적인 구체 지팡이가 된다.
이 무기를 떨어뜨리는 몬스터 치명적인 구체와 이 무기는 영화 환타즘의 오마주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60매우 약함10

서머너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파란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소성단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세포 모양의 소환수가 나타나서 적 근처에 매우 빠르게 텔레포트하여 돌진 공격을 한다. 주변에 있는 적이 대미지를 입을 때 마다 그에 반응하여, 적에게 달라붙는 작은 세포를 발사한다.[22] 작은 세포는 10개 까지 중첩이 되고, 약 15초 동안 지속되어 틱당 10, 총 300의 피해를 입힌다. 소환사가 쓸 경우, 잡몹 처리용으로는 스타더스트 드래곤보다 우월한 무기. 아래 스타더스트 드래곤은 소환 개체가 단일 개체인지라 여러 몹들이 주변에 몰리면, 처리 속도는 스타더스트 셀보다 상당히 떨어진다. 거기다 공격력이 너무나도 오버되어 들어간다. 100~200 체력을 가진 잡몹을 잡는데 500짜리 피해량이 힘들게 빙빙 돌다가 뒤늦게 들어간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40매우 약함10

서머너 전용 무장. 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루나 이벤트의 파란색 기둥이 떨어뜨리는 소성단의 파편 18개로 제작한다. 사용 시 'Stardust Dragon'이 나타나 적에게 돌진하여 높은 피해를 입힌다. 특이하게도 소환수 증가 옵션이 있는 상태에서 계속 휘두르면 여러 마리가 나오지 않고 몸통이 늘어나는데, 몸통 하나하나가 제각각 대미지를 주어 초당 DPS 몇 천대를 우습게 뽑아낸다. 다만 한 마리만 무조건 유지되고 와이번과 비슷한 AI의 특성상 자그마한 적은 몇 번 돌아야 겨우 한 대를 때릴 때도 있다. 다만 그 길이와 이동 속도, 공격성 때문에 몬스터가 플레이어 근처에 얼씬도 못하는 보디가드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스타더스트 갑옷과 소환수 수를 늘려주는 액세서리를 장비하고 전부 소환하면 파괴자가 순식간에 파괴된다. (참고 영상)
소환수의 이름과 모습은 유희왕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오마주한 것.
1.3.0.6 패치로 공격력이 하향(60->40)되었으나, 소환하여 길이가 늘어날수록 추가되는 대미지가 강화되었다. 따라서 한두 마디 길어지는 것은 별 효과가 없으나, 서너 마디 이상 길어지면 예전보다 더 강력해진 위력을 발휘한다. 여러모로 정통 서머너 강화.
다만 치명적인 한 가지 단점이 나타나는데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타격 부위가 한 군데인 몬스터나 보스를 집중 공격을 할 때 피해량이 너무 빠르게 들어가서 몬스터의 무적 시간으로 인해 플레이어의 공격이 통과해서 피해를 주지 못하는 괴사가 벌어진다![23] 이 때문에 정통 서머너가 아니라면 보스전 때에는 조용히 봉인하도록 하자. 오히려 딜 로스가 매우 크다. 하지만 여기 저기서 많이 쓰이는 편. 문 로드 공격 피격 판정 변경했으니 이제 이것도 좀 고치시지. 그래도 최대 소환량인 11마디 소환해 놓고 보조딜로 총 좀 쏴주면 달의 군주도 3분 내지는 5분 안에 끝난다.
여담으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무한정으로 늘어나던 버그(!) 가 있었으나, 지금은 막혔다.

5.1 고정형 소환 무기

플레이어 주위에서 돌아다니지 않고, 소환하면 커서가 있는 곳에 고정되는 소환 무기들이다. 소환수 제한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한 개체당 무조건 한 마리만 소환 가능하며, 대신 다른 고정형 소환 무기들과 중첩 소환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어가 멀리 피하거나 죽어도 그 자리에 남아 계속 공격할 수 있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21매우 강함10

모루에서 거미의 독니 24개로 제작. 휘두르면 새끼 거미가 나오는 알을 발사하는 여왕 거미를 소환한다.
새끼 거미들의 공격에는 독 디버프 효과가 있다. 수치상 대미지가 낮아보이지만, 적중 시 새끼 거미 세 마리가 나오므로 실질적으론 세 배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100매우 강함20

하드모드 설원의 몬스터가 희귀하게 떨어뜨리는 얼어붙은 열쇠를 사용해서 던전에 있는 얼어붙은 상자를 열면 획득할 수 있다. 휘두르면 프로스트 히드라를 소환한다. 프로스트 히드라는 높은 공격력에 장거리 공격을 하며 날아가는 속도는 빠른 편이지만 소환 시 약간의 텀, 공격 속도가 느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기 때문에 자주 신경을 써줘야 한다.
이 무기가 최고의 효율을 보여주는 것은 바로 PvP. 적이 지형 뒤에 숨으면 공격을 하기 힘들지만 이 지팡이로 적에게 쓰면 닿자마자 터진다(!). 게다가 이 지팡이는 공격력까지 좋아서 2~3방이면 체력 600이라도 피가 쭉쭉 깎여나간다. 지형을 관통하고 소환하는 형식이라서 농성하는 적을 죽이기에는 최적의 장비.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50매우 강함10

최종 보스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서머너 무장. 공중에 뜬 구체 모양의 소환수가 60블록 안으로 들어온 적에게 레이저를 발사하여 다단히트를 입힌다.
공격 방식이 달의 군주의 머리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와 비슷하다. 소환수의 외형은 소용돌이의 기둥이 번개를 쏠 때 나오는 소용돌이와 비슷하게 생겼다.

공격력넉백마나 소모량
150매우 강함10

최종 보스 달의 군주가 떨어뜨리는 최종 단계의 서머너 무장. 공격력은 소환 무기중 최강급. 공중에 뜬 마름모 모양의 소환수가 60블록 안으로 들어온 적에게 무지개 빛을 방출하여 다단히트를 입힌다. 빛을 쏘고 바로 피해가 들어가는 것이 아닌 일정 시간 후 그 지점에 피해를 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신없이 움직이는 개체는 잡기 힘들다.

6 투척류 무기

무기 자체를 소모하여 공격하는 무기이다. 다수 소지가 가능하다.

1.3 버전 이후에는 'Ranged Damage'에서 'Throwing Damage'라는 자체 공격력으로 바뀌었고 닌자 갑옷이나 화석 갑옷을 통해 투척 무기를 강하게 만들 수 있다. 허나 하드모드 이전에 보스, 탐험용으로 잠깐 거쳐가는 과정에 쓰이는 것이 전부이니 1.3 버전 이후 서머너가 정식적으로 포함된 4 체제 클래스가 확립된 지금 5번째 클래스(Thrower, 스로어?)가 될 가능성은 희박해보인다.

공격력속도넉백
8매우 빠름보통

눈 블록 1개로 15개를 만들 수 있다. PC 1.3 이전에는 눈 블록 1개로 10개를 만들 수 있었고 기본 공격력은 4였다. 직접 던지는 것 외에도 눈뭉치 대포의 탄약으로 사용된다. PC 1.3 이후에는 자체 공격력도 좋아져서 초기에 보호용이나 악마의 눈을 때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설원의 흙과도 같은 눈 블록으로 쉽게 만들 수 있고 또한 눈뭉치 대포도 얻었다면 사거리도 늘어나고 연사도 가능해 초기에 유용한 무기가 되어준다.

공격력속도넉백
10매우 빠름없음

1회 관통 효과를 가졌으며 넉백이 없어 적을 밀어내는 용도로는 활용할 수 없다. 사용 후 기능을 다한 수리검은 50% 확률로 다시 아이템으로 회수할 수 있다. 수리검은 자연의 항아리를 깨서 얻거나 상자 안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인에게서 구매할 수 있다.
관통 효과에 공격력도 준수하고 다량을 구하기 매우 쉽다는 점이 겹쳐, 크툴루의 눈을 최초 격파할 때 주력으로 사용하게 되는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13매우 빠름강함

할로윈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할로윈 선물주머니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소모성 아이템이다. NPC에게 던져 체력을 1 깎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4매우 빠름없음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에 몬스터가 떨어뜨리는 선물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소모성 아이템이다. 참고로 팔각은 향신료로, 흔히 중국의 음식에 사용된다.

공격력속도넉백
12매우 빠름매우 약함

2회 관통 효과를 가졌으며 약간의 넉백이 있어 어느 정도 공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후 기능을 다 한 투척용 칼은 50% 확률로 다시 아이템으로 회수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표창의 상위호환으로 넉백도 약하지만 존재한다. 투척용 칼은 지하의 상자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러드 문일 경우 상인에게서 구매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치명타율
13매우 빠름매우 약함8%

손에서 투척용 칼 50개와 오염 가루 또는 지독한 가루 1개로 독 바른 칼 20개를 만들 수 있다. 전체적으로 성능이 투척용 칼에 비해 높아졌고 자동 공격 기능이 생겼다. 적에게 50% 확률로 10초간 독을 건다. 만약 정말로 스로어를 할 생각이라면 '빠른 자동 공격+독+치명타'로 꽤나 우월한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14매우 빠름극도로 약함

모루에서 튼튼한 화석(Sturdy Fossil) 1개로 25개를 만들 수 있다. 튼튼한 화석은 사막 지하에서 발견되는 사막 화석을 악몽의 곡괭이로 캔 뒤에 추출기에 분해해서 얻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 빠름보통

투척 무기로, 대리석 동굴에서 등장하는 장갑 보병이 50% 확률로 40~100개를 드롭한다. 3명의 적을 관통하며, 일정 거리를 날아가다 중력의 영향을 받고 떨어진다. 몬스터가 사용할 땐 80의 대미지를 넘나들지만 내가 던질 땐 공격력이 반의 반 토막이 된다. 판매가까지 없는 터라 여러모로 잉여한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29빠름보통

모루에서 튼튼한 화석(Sturdy Fossil) 1개로 15개를 만들 수 있다. 튼튼한 화석은 사막 지하에서 발견되는 사막 화석을 악몽의 곡괭이로 캔 뒤에 추출기에 분해해서 얻을 수 있다. 적에게 꽂으면 초당 3의 피해량을 15초간 입히며 최대 6개까지 꽂을 수 있다. 하드모드 이전에 여명(Daybreak)을 경험할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17매우 빠름약함

설원에서 낚시를 하면 얻을 수 있는 물고기. 1.3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10~40마리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1회 관통 효과를 가진다.
공격력이 높고 다량으로 얻을 수 있으며, 설원에 고여있는 물에서 쉽게 낚을 수 있으므로 초기에 낚시를 통해 많이 모아두면 후에 재블린과 함께 세계을 먹는 자를 처치하는 데에 유용하다.

공격력속도넉백
60매우 느림매우 강함

폭발성 무기로 블록을 부수지 못한다. 대부분 지상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으며 폭탄 전문가에게 구매할 수 있다. 던진 뒤 3초 뒤에 자동으로 폭발하며 적이 이 수류탄에 닿을 경우 시간에 상관없이 바로 터진다. 블록을 부수지 않아 초반에 블러드 문일 때 몰려오는 좀비 떼들을 막는 데 아주 유용하다. 또한 다관절 몬스터에게도 좋다. 다관절 몬스터에게 좋은 이유는 각 마디마디가 각각 하나의 개체인데, 이 수류탄을 던지면 마디마디 하나에 피해를 줌으로써 보다 더욱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세상을 먹는 자 스피드런할 생각이라면 수류탄은 갖고 다니도록 하자.

공격력속도넉백
60매우 느림매우 강함

손에서 젤 1개와 수류탄 5개를 조합하여 5개 제작. 블록에 달라붙을 수 있다.

공격력속도넉백
65매우 느림매우 강함

손에서 분홍 젤 1개와 수류탄 2개로 조합하여 2개 제작. 마구 튀어오르다가 터진다.

공격력속도넉백
30매우 빠름보통

파티 걸이 죽으면 25% 확률로 25~50개를 떨어뜨린다. 한번 얻었으면 파티 걸에게 개당 은화 2.5닢에 살 수 있다. 성능은 일반 수류탄과 같다. 여담으로 터질 시 색종이 조각이 주변으로 퍼진다.

공격력속도넉백
14매우 빠름극도로 약함

폭발성 무기. 정글의 보스인 여왕벌을 물리치면 얻을 수 있고 모루에서 수류탄 1개, 밀랍 1개로 제작 가능하다. 수류탄과 비슷하지만 자체 폭발 피해량이 낮고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대신 폭발할 시 그 자리에서 벌 떼가 튀어나오며 주변의 적을 공격하는데, 벌 떼의 공격력이 꽤 높아 4~5마리의 몬스터 무리를 순식간에 녹일 수 있다. WoF전에 유용히 쓰이니, 모아두는 게 좋다. 다만, 벌이 화면에 너무 많이 있으면 플레이어의 다른 공격이 적에게 안 먹히니 주의.

공격력속도넉백
15매우 빠름극도로 약함

주로 함정을 위해 땅에 뿌려놓으며 가시 공 하나당 5번 공격할 수 있다. 고블린 부대 이벤트의 고블린들에게 얻을 수 있으며 고블린 땜장이에게 구매할 수도 있다.
세상을 먹는 자와 싸우기 전 미리 몇 백개의 가시 공을 뿌려놓으면 나타나자마자 몸이 터져나가는 징그러운 광경을 볼 수 있다. 단 빨리 쓰지 않으면 잠시 후 알아서 부서져 나간다.

공격력속도넉백
20매우 빠름매우 약함

던전의 해골 몬스터들에게서 얻을 수 있다. 투척 무기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 기능을 다한 뼈다귀는 50% 확률로 다시 아이템으로 회수할 수 있다. 1.3.0.1 버전 패치로 공격력이 22에서 20으로 너프되고 넉백 또한 약함에서 매우 약함으로 너프되었다. 또한 전문가 모드 스켈레트론 드롭 아이템인 뼈 장갑(Bone Glove)의 탄약으로 쓰인다.
또한 피아노, 뼈다귀 가구, 네크로 갑옷 등의 재료로도 사용되는 아이템이기도 하다. 또한 거인의 포션의 재료로도 쓰인다. 하드모드에서는 스켈레트론 프라임 소환 아이템인 기계화 두개골의 재료로도 쓰인다.

공격력속도넉백
23보통매우 강함

화염병이라고도 한다. 손에서 에일 5개, 비단 1개, 분홍 젤 1개[24], 횃불 1개로 제작. 던지면 약간 불안정하게 회전하면서 떨어진다. 이때, 몬스터에게 직격하거나 블록에 닿으면 주위로 불꽃이 튀어나간다. 직격하거나 불꽃에 닿은 적들은 화상 피해를 입는다.
1.3에서 너프를 심하게 당했다. 들어가는 재료가 분홍 젤로 바뀌어서 어지간히 운이 좋지 않은 이상 극초반에는 구하지 못하게 되었다. 공격력 또한 40→23으로 떨어져서 이젠 화염방사기보다도 약하다.
1.3 이전에는 월 오브 플레시를 잡을 수 있는 가장 편리한 방법이었지만, 지금은 제작의 어려움 및 성능 너프로 인해 사장되었다.

7 설치형 무기

무기 자체를 설치하여 공격하는 무기이다. 지뢰와 폭죽을 제외한 나머지 설치형 무기는 전용 탄약을 사용하며, 왼쪽 마우스에 탄약을 눌러 발사할 수 있고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설원 지하의 스노우 플링스(Snow Flinx)를 잡으면 0.67%의 낮은 확률로 나온다. 눈뭉치를 탄약으로 사용한다.
해적 침략 이벤트를 완수하면 오는 해적 NPC에게 금화 25닢을 주고 구입할 수 있다. 대포알을 탄약으로 사용한다.
하드모드 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잡았으며 파티 걸이 거주하고 있을 경우 해적이 금화 50닢에 판매한다. 다이너마이트와 토끼(...)를 조합해서 만든 탄약을 사용한다.
  • Rocket.png 폭죽(Rocket)
하드모드 이후 파티 걸이 개당 은화 15닢에 판매하는 아이템이다. 직접 설치한 후 아무런 장치 없이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하면 위로 날아가며 하늘에서 터진다. 몬스터에게 닿으면 약 150~300의 대미지를 입히며 플레이어에겐 대미지를 입히지 않는다.
이 아이템의 쓰임새는 뭐니뭐니해도 하드모드의 보스인 파괴자 격퇴. 이 아이템에는 무지막지한 대미지뿐만 아니라 스플래시 범위 또한 상당히 높게 설정되어 있는데 다관절 몬스터인 파괴자에게 이 두 효과가 시너지를 일으켜 피해량이 배로 껑충 뛰게 된다. 단지 플레이어는 폭죽 50개 정도를 구입한 뒤 전선을 다닥다닥 연결하고 파괴자가 사정거리 이내로 들어왔을 때 레버를 당기기만 하면 될 뿐.
플랜테라 처치와 해적 침략 이벤트를 완수하면 폭탄 전문가가 금화 5닢에 판매한다. 플레이어가 직접 설치할 수 있으며 지뢰를 밟은 적에게 강력한 피해를 입힌다. 자기 자신이 밟아도 큰 피해를 입으니 주의. NPC를 죽일 수 있는 가장 빠르고 비싼 아이템이다. NPC 옆에 설치하여 지나가기만 하면 두 방이면 썰려나간다.

8 삭제된 무기

공격력속도넉백
39보통6

소울 이터의 패러디 아이템. 저작권 문제로 더미 데이터로만 남아있다가, 1.2.4 이후 그 자리가 아한대 나무 탁자로 대체되어 완전히 삭제되었다. 내부 아이템 ID는 677.

공격력속도넉백
55매우 느림8.75

마찬가지로 소울 이터의 패러디 아이템. 아무래도 테라리아 제작진이 소울 이터 덕후인 모양이다. 이터 오브 소울 저작권 문제로 더미 데이터로만 남아있다가, 1.2.2 이후 레드 포션으로 대체되어 완전히 삭제되었다. 내부 아이템 ID는 678.

공격력속도넉백
44느림8
딱 봐도 서리한의 패러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서리한에 대한 저작권 위반의 우려 때문에 삭제되었다. 실제로 블리자드가 저작권이나 카피라이트에 관한 클레임이 생각보다 강한 편이다. 더미 데이터로만 남아있다가, 1.2.4 이후 아한대 나무 작업대로 대체되어 완전히 삭제되었다. 내부 아이템 ID는 673.
  1. 예외적으로 발사식 철퇴류 무기 중 작살(Harpoon)은 원거리 무기에 포함된다.
  2. 직업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보니 올라운더까지는 무리여도 워리어+레인저나 레인저+소서러 같은 하이브리드 정도는 할 수 있다.
  3. 여담으로, 이 무기를 처음 사용할 때 어색한 동작 덕에 다소 웃음이 나올 수 있다. 분명 적은 앞을 향해 쥐고 있었는데 플레이어가 잡으면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전방을 향해 휘두르고 있다(...). 원래 테라리아에서 검류 무기를 휘두르는 동작이 워낙 독특한지라 관련 패러디 영상도 있다.
  4. Arkhalis: Yeah, it's a reference to how you obtain my favorite sword in the game Castlevania: Symphony of the Night
  5. blade of grass의 뜻이 원래 '풀잎 하나'임을 이용한 언어유희이다.
  6. 혼란은 상하좌우 키를 반전시킨다. 즉, 왼쪽을 가려고 하면 오른쪽으로 간다. 플레이어에게 다가가고 싶어하는 몬스터는 되려 도망가게 된다.
  7. 출처: http://redd.it/3ddqtq
  8. 1.3 패치 이전에는 자동 공격 기능이 없어서 공격하다 보면 손이 매우 아프다는(...) 단점이 있었다.
  9. 어둠의 조각은 커럽션/크림슨 사막의 어둠의 미라가, 빛의 조각은 할로우 사막의 빛의 미라가 10% 확률로 떨어뜨린다.
  10. 비공식 한글 패치에서는 병아리.
  11. 빛의 영혼, 밤의 영혼처럼 설원 환경에 있는 상태로 모든 적을 죽이면 얻을 수 있다.
  12. 뛰어난 사람을 의미하는 영미권의 속어.
  13. 이벤트의 첫 단계인 미친 광신도는 골렘과 플랜테라 중간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고, 소용돌이 기둥은 다른 천체의 탑에 비해 난이도가 낮아서 쉽게 깰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 모드에서는 제아무리 약한 소용돌이 기둥이라도 쉬루마이트 세트와 비너스 매그넘 기준으로도 감당하기 쉬운 수준이 아니니 죽고 리스폰 반복을 3회 이상 감수해야 된다.
  14. 실존하는 모형총의 이름이기도 하다. 동명의 만화에서 유래. 30~60년대까지 한때 미국 남자아이들의 로망으로, 크리스마스 선물로 대유행했다.
  15. 심지어 1.2.0.3 패치 전에는 1/80000의 확률, 즉 0.00125%로 드롭되었다. 당연히 개발자가 의도한 사항은 아닌 것 같고 0 두세 개를 실수로 붙여버린 듯. 이후 1.2.4.1에서 0.5%로 상향되었다가 다시 1.3.0.1때 1%로 올랐다.
  16. 따라서 로켓 자체의 공격력과 파괴 여부는 변하지 않는다.
  17. vile은 불쾌한, 비도덕적인을 뜻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커럽션에서 나오는 점을 고려해 오염이라고 부른다.
  18. 1.3 패치 이전에는 시야의 영혼 20개, 빛의 영혼 10개, 요정 가루 60개, 유니콘의 뿔 4개, 수정 파편 10개로 조합했었다.
  19. 팁을 주자면 Yoraiz0r's Spell을 장신구 칸에 넣고 모든 악세사리를 보이지 않게 해두면 날개가 보이지 않고 발에서 효과만 나서 진짜 마법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
  20. 단, 고정형 소환수는 하나만 소환할 수 있으며 다른 고정형 소환수와 관계가 없다. 즉, 고정형 소환수 무기가 있다면 무기 개수만큼 더 늘어나며, 그에 관계없이 이동형 소환수를 많이 소환할 수 있다.
  21. 관통 공격을 받은 적은 1/6초 동안 관통 공격에 대한 저항이 생긴다.
  22. 스타더스트 셀이 대미지를 입혀야만 하는 게 아니라, 플레이어가 대미지를 입혀도 된다. 타겟 더미에도 적용이 되는 걸 보면 공격이라기 보다는 디버프에 가깝다.
  23. 보스를 소환해놓고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집중 공격을 가할 때 여명 같이 맞으면 확실하게 눈에 보이는 효과를 주는 무기를 써보면 알 수 있다. 5개 중 4개는 그냥 통과해버린다.
  24. PC 1.3 이전 버전은 그냥 젤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