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더 토이

(파우더토이에서 넘어옴)

김정은님이 이 게임을 좋아합니다.

1 개요

파일:파우더 토이 메인화면.png
파우더 토이(The Powder Toy)는 여러 가지 화학 성분 가루와 물질/각종 정신 나간 물질[1]들을 이용하여 실험, 놀이를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파우더 토이 공식 사이트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다. 파우더토이 한글판은 파우더 토이 네이버 공식 카페에서 다운로드 받을수 있다. 현재 버전은 91.5 버전이다.

파우더 토이(가루 장난감)이라는 이름 답게 가루를 이용하는 게임이다. 하지만 그 가루라는 것이 단순한 먼지에서 끝나지 않고 물질 고유의 색을 이용해 픽셀 아트를 한다던가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세요
, 전도체와 전기를 가지고 계산기를 만들던가 하는 것도 있지만 그 중 최고의 묘미는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 덕에 수많은 폭탄(핵융합도 된다)들을 만들 수 있고 그 폭탄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세요
들을 터뜨려볼 수 있다. 사용자층도 세계적이여서 검색만 해도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화학 물질만 있는 건 아니다. 간단한 고체, 액체, 기체와 여러 기능을 하는 벽, 전기와 전원, 방사능 등... 수많은 물질들이 있어 폭발하는것부터 시작해 물을 전기분해해서 산소와 수소를 모으고 소금물을 소금와 물로 분리하고 이를 혼합해 물로 전기를 만들 수 있고, 이들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만들 수 있다. 심지어 컴퓨터도 만든다(프로그래밍도 된다...)[2] 개발자가 1년동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적이 있었다.(ver 90.2 ~ ver 91.0) (사실 스냅샷은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었다!)

2 물질

파우더 토이에서는 수많은 물질이 있다. 각 물질은 화면의 우측에 있는 탭에 들어가서 물질을 선택한 후 마우스로 드래그하거나 클릭하여 배치할 수 있다.

2.1 기본 분류

파우더 토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형태에 따라 크게 벽, 액체, 기체, 고체, 가루, 에너지 입자로 나눌 수 있다.
(각 물질의 정확한 분류 기준은 액체, 기체, 가루, 에너지 통과 벽의 통과 유무이다.)

파일:Tpt벽.jpg
이미지상의 회색 부분으로 쉽게 말해서 다른 물질들과는 독립적인 존재이다. 벽탭에서 상세 설명한다.

  • 액체

파일:Tpt액체.gif
움직임에 중력의 영향과 압력의 영향을 받으며 가루보다 퍼지는 성질이 더 크다. 대표적 물질로 WATR이 있다.

  • 기체

파일:Tpt기체.gif
움직임에 중력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으며 압력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기체가 퍼지는 정도는 물질마다 다르다. 대표적 물질로 GAS가 있다.

  • 고체

파일:Tpt고체.jpg
움직임이 없는 물질이며, 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물질도 있다. 대표적 물질로 GOO가 있다.

  • 가루

파일:Tpt가루.gif
다르게 말해서 움직임이 있는 고체라고 보면 이해가 쉽다. 움직임에 중력과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물보다는 덜 퍼진다. 대표적 물질로 DUST가 있다. 원래는 가루도 고체이지만 프로그램의 특성상 분리해 두었다.

  • 에너지 입자

파일:Tpt에너지 입자.gif
움직임에 중력[3]과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모든 입자가 밝게 빛난다. 대표적 물질로 NEUT가 있다.

2.2 상세 분류

오른쪽 물질 선택 탭에 따른 물질의 분류이다. 분류가 많아 각 물질은 여기서 설명한다.

2.2.1 벽 탭

각종 벽들이 존재하는 탭이다. 대부분의 벽은 특정 물질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질이라고 보기에는 좀 애매하다.[4]
모든 벽들이 ARAY, CRAY, DRAY 에서 복사되거나 나오는 물질들에 대해서는 전부 통과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중력 벽을 제외하고 모든 벽들은 중력을 통과시키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통과 벽들이 압력도 동반통과시키는 결함을 갖고 있다.
둘다 막고 싶으시면 옵션으로 제공되는 중력 벽과 압력 차단 벽을 구매하셔서 8픽셀을 양보하셔야 합니다^^
벽탭 에서 설명하는 '중력'은 시뮬레이션 자체의 중력[5]이 아니라 GPMP와 중력 생성 툴에 의해 생성되는 중력을 말한다.
벽탭 에서 설명하는 표의 'PSTN'은 PSTN으로 어떤 물질을 밀었을 때의 통과 여부를 말한다.

  • Wall_Erase.png 벽 제거
벽을 제거한다.
  • Conductor_Wall.png 전도체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불통불통불통불통불통통과통과정지

전기가 통하고 있는 물질에 닿으면 INST와 비슷하게 전기가 통한다.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 다른 전도체 물질에 닿으면 그 물질에도 전기가 통하게 된다.

  • E-Wall.png 전자 벽

비활성 상태 (전기가 통하고 있지 않을 경우)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불통불통불통불통불통통과통과정지

활성 상태 (전기가 통하고 있는 경우)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

비활성 상태에서는 전기가 통하는 점을 제외하고 기초 벽과 성질이 같지만 전기가 통할 경우 전기가 통하고 있는 전도체 벽과 성질이 같아진다.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넘어가는 순간에 끼어있던 물질들은 소멸한다(...)

  • Detector.png 탐지기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

무언가가 벽 안에 들어오면 빨갛게 빛나면서 BTRY와 같은 기능을 한다.

  • Streamline.png 스트림라인
압력의 확산 방향과 강도를 선으로 보여준다. 어떠한 물질과도 아무런 작용이 없다.
  • Fan.png 송풍기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불통통과

바람을 가속시킨다.
활용 방법은 송풍기를 그린 후 SHIFT키를 누르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선을 그어주면 된다. 붙어있는 송풍기는 모두 같은 방향을 가지므로 따로 설정하고 싶으면 떨어뜨리거나 대각선으로 놓아야 한다.

  • Liquid_Conductor_Wall.png 액체 통과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불통통과불통불통통과통과통과액체만 통과

액체만을 통과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진 벽이다.
특이하게 전도체이다.

  • Absorb_Wall.png 흡수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소멸소멸소멸소멸통과통과불통소멸

VOID 와 비슷한 작용을 하는 벽이다.

  • Wall.png 기초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불통불통불통불통불통통과불통정지

간단하게 아무 기능이 없는 벽이다.

  • Air_Wall.png 압력 통과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불통불통불통불통통과통과불통정지

압력만 통과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진 벽이다.

  • Solid-Only_Wall.png 가루 통과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통과불통불통불통통과통과불통가루만 통과

가루만 통과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진 벽이다.

  • Allow_Conductor_Wall.png 전도체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

전도체인 투명벽(?)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 E-Hole.png 전자 홀

비활성 상태 (전기가 통하고 있지 않은 경우)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저장저장저장저장통과통과통과통과

활성 상태 (전기가 통하고 있는 경우)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방출, 통과방출, 통과방출, 통과방출, 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

비활성 상태에서는 물질들을 압축저장하며[6] 활성 상태에서 전부 방출한다.
물질을 너무 많이 저장하면 그자리에 BHOL 이 생성된다. 방출할때 이러한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 Gas_Wall.png 기체 통과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불통불통통과불통통과통과불통기체만 통과

기체만 통과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진 벽이다.

  • Gravity_Wall.png 중력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통과통과통과통과통과불통불통통과

유일하게 중력을 막을 수 있는 벽이다. 이 벽으로 끝과 끝이 이어져있는 모양을 그리면 그 영역 안에서는 뉴턴중력이 영향을 끼칠 수 없다. 단 자연적인 중력은 막을 수 없고,오직 플레이어가 GBMB, GPMP, BHOL 등의 물질로 생성한 인공 중력만 막을 수 있다. 즉 뉴턴 중력이 꺼져 있으면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벽이 된다.
이 벽을 통해 스틱맨 제트팩을 만들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 Energy_Wall.png 에너지 통과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불통불통불통통과통과통과불통정지

에너지만 통과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진 벽이다.

  • Airblock_Wall.png 압력 차단 벽
가루액체기체에너지 입자압력중력전기PSTN
통과통과통과통과불통통과불통통과

압력을 차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벽이다.

벽, 물질, 말풍선까지 모두 지울 수 있는 지우개이다.
현재 공식 파우더토이 위키에서 이 툴의 이름을 정하지 않아 이 툴의 조합인 벽 제거(벽 탭) + 지우개(특별 탭) 로 하였다.

2.2.2 전기 탭

전자 회로와 관련된 물질들의 탭이다. 회로를 만들 때 필수적인 물질들이 모여 있는 탭이다. 이 물질들을 잘 이용하면 계산기 정도는 물론이고 실제 컴퓨터 매커니즘에 따라 컴퓨터를 만들어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파우더 토이 시스템의 한계로 속도는 보장 못한다.

전기가 아주 잘 통하는 그냥 금속이다. 1000℃에 녹는다. 대부분 전기회로의 단거리 전선으로 쓰인다.(장거리는 INST가 쓰인다) 스파크를 받으면 온도가 10℃씩 더 올라가지만, 390℃ 이상일 경우 더 이상 오르지 않는다.
흔히 철이라고도 하는데 철은 IRON이다. 이건 그냥 금속.

스파크. 파우더 토이에서는 전기를 의미한다. 전도체에 그려 전기를 흐르게 할 수 있다.(벽 제외)
스틱맨과 파이터는 이 스파크에 닿으면 프레임당 >100의 피해를 받으며 가루가 되어버린다.
전기구 물질[7] 의 활성화 기능을 할 수 있는 전도체 물질. 전기를 흘려주면 기능을 한다. 1414℃에 녹는다. NSCN, WWLD로 전기가 통한다.(PTCT는 후술)
  • NSCN.png N-타입 실리콘
전기구 물질의 비활성화 기능을 할 수 있는 전도체 물질. 전기를 흘려주면 기능을 한다. 1414℃에 녹는다. PSCN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WWLD의 전기를 받을 수 있다.(NTCT는 후술)
  • INSL.png 절연체
열과 전기를 막는다. 그러나 불에 탈 수 있다.
  • NTCT.png N-타입 세미 컨덕터
100℃를 기준으로 이상일 경우 PSCN으로부터 전기를 받을 수 있으며 NSCN으로 전기를 줄 수 있다. 반대로 미만일 경우 PSCN에서 NSCN으로 전기를 줄 수 없지만 반대는 가능하다. 1414℃에 녹는다.
늘 언제나 21.80℃를 넘지 않으려고 알아서 온도를 떨어뜨리는 애쓰는 물질이다.
  • PTCT.png P-타입 세미 컨덕터
100℃를 기준으로 이상일 경우 PSCN, NSCN과 서로 전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반대로 미만일 경우 NSCN으로부터 전기를 받을 수 있으며 PSCN으로 전기를 줄 수 있다. 1414℃에 녹는다.
  • ETRD.png 전극
전도체이므로 전기회로에 쓸 수는 있긴 하나, 스파크를 받으면 전기가 불규칙적으로 흐르며, 또한 알아서 계속 전기를 생성한다. 일직선상에 빈 공간이 있을 경우 플라즈마가 생겨난다. 두개든, 세개든, 거미줄처럼 엮이면서 플라즈마가 마구 생겨난다. 일직선상에 물질로 막혀있어도 무조건 플라즈마를 만들어낸다.
연속적으로 전도체에 전기를 전달해준다. 웬만한 전기회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폭탄에도 시동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PLUT시절) 2000℃에 플라즈마로 승화한다.
PSCN의 전기로 활성화 할 수 있으며 NSCN의 전기로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전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물질이다.
전기가 통하는 물질이 한정된 전도체이다. PSCN, NSCN과 서로 전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1414℃에 녹으며 FILT와 비슷하게 ARAY에서 발생한 BRAY를 통과시킨다. 단, 색은 입혀지지 않는다.
Tesla Coil![8] 전기를 보내면 크기에 따라 번개(LIGH)를 만들어낸다. 테슬라 코일을 크게 그릴수록 크고 아름다운 뜨거운 번개가 생긴다. 약 9000℃부터 붉게 밝아진다.
  • INST.png 급속 전선
전기를 흘려주면 전체로 동시에 전기가 통한다.(전도체 벽과 비슷하다) 오로지 PSCN으로부터 전기를 받고 NSCN으로 전기를 보낼 수 있다. 특이하게 십자모양으로 교차시에 전기가 합쳐지지 않고 나누어진다.
와이파이 잘 돼요?여러분이 생각하는 그 와이파이가 맞다. 100℃씩 나누어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전기를 전달해준다.[9] 온도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와이파이를 쓰면 회로 제작이 매우 쉬워지기 때문에 "나 회로 좀 만든다"하는 유저들은 와이파이를 쓰지 않고 회로를 만드는 것이 유행하기도 했다.정말 쓸데없다
  • ARAY.png A-타입 레이 이미터
PSCN을 제외한 전도체에서 전기를 받으면 해당 방향으로 하얀색 B-타입 레이(BRAY)가 나아간다. BRAY는 쏘아진 방향으로 전기를 발생시켜 주며 FILT를 이용해 색을 입힐 수 있다. 주황색 BRAY에 비해 지속시간이 길며 서로 겹치면 지속시간이 더 긴 BRAY로 남는다. 반대로 PSCN의 전기를 받으면 주황색 BRAY가 나간다. 이 주황색 BRAY는 전기를 공급해주지 못하지만 지속 시간이 짧아 레이저를 만드는데 쓰이고 하얀색 BRAY를 지워주기도 한다.
EMP. 이 전자기 펄스에 전기를 주면 보호막과 마나가 증발한다 프로토스가 TPT를 할 수 없는 이유 순간 화면이 푸른 빛을 내면서 전기가 흐르고있는 PSCN를 NTCT로, NSCN를 BREL로 만든다. 전기를 불규칙적으로 만들어 회로가 망가지고 METL, BMTL, SWCH, WIFI가 여러 물질로 부서진다.
  • WWLD.png 와이어월드 와이어
와이어. 전기 전달 속도가 느리다. 오로지 PSCN으로부터만 전기를 받고 NSCN으로만 전기를 전달한다.
와이어는 다른 전도체와는 달리 전기의 흐름에 따라 비활성 노랑[10], 파랑[11], 주황[12], 활성 노랑[13] 총 4가지의 상태와 3가지의 색을 가진다. 비활성 노랑은 전기를 가하지 않은 기본 상태이고, 전기를 가하면 파랑 -> 주황 -> 활성 노랑 의 순으로 1프레임마다 바뀌며 전기가 퍼진다.(퍼지는 모습은 LIFE탭의 REPL과 비슷하다[14])
여러가지 복잡한 논리회로를 만드는데에 아주 유용한 물질이지만 다른 전도체에서 전기가 프레임당 2픽셀로 진행하는데 비해 프레임당 1픽셀로 속도가 느려서 PSCN, NSCN, SWCH, ARAY가 독점하고 있다.
  • CRAY.png C-타입 레이 이미터
복사된 물질(ctype으로 설정된 물질)을 기억하여 전기를 받으면 ARAY처럼 물질을 한 줄로 발사한다
전도체 고체 물질. 전기를 흘려주면 온도가 올라가며 점점 밝게 빛난다. 전기를 흘려서는 최고 3322℃까지 올라가며 온도가 3422℃ 이상일 경우 녹으며 동시에 폭발한다. 압력을 가하면 BRMT로 부숴진다.
  • DRAY.png D-타입 레이 이미터
자기 앞에 있는 물체의 도색, tmp값, life값 등 모든 수치를 똑같이 복사한다

2.2.3 전원 탭

전기로 각종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물질들의 탭이다. 대부분의 전원 탭 물질들이 PSCN의 전기를 받으면 활성화되며 밝아지고 NSCN의 전기를 받으면 비활성화되며 어두워진다.(1px 떨어진 거리에서 전기를 받아도 똑같이 작용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대부분 색액정으로 쓸 수 있다.

빛(PHOT)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액정이다. 활성화되면 빛이 통과하며 비활성화되면 빛이 통과하지 못한다. 실제 액정은 원리가 반대라는 점을 잊지 말것. 빛만 통과하기 때문에 필터로도 쓸 수 있다.물론 중력벽과 압력벽은 필수옵션이다
활성화된 상태에서 PROT가 통과하면 빛으로 전환되고 활성화 유무에 상관없이 ELEC가 통과하면 불규칙적으로 밝아진다.(활성화된 상태가 절대 아니다)
INVS와 비슷하게 데코를 입혀도 활성화 유무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색액정으로 많이 쓰인다. 1000℃에서 유리가루(BGLA)가 된다.
  • PCLN.png 전원식 클론
CLNE의 전원식 물질이다. 활성화된 상태에서 닿는 물질을 ctype으로 기억한 후에 방출하고 비활성 상태에서는 방출을 멈춘다. 사전에 미리 ctype을 설정하여 방출할 물질을 설정할 수 있다. CLNE은 빛(PHOT)을 불연속적으로 방출하는데 비해 PCLN은 연속적이기 때문에 레이저의 빛 발생 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활성 상태에서는 열의 전도가 자유롭지만 비활성화되면 온도가 동결되며 열의 전도가 멈춘다. 동결된 온도는 다음 활성화때에 방출된다. 대부분 굵기를 얇게 하여 열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많이 쓰이지만 굵기를 굵게 하여 열용량을 키우면 열을 저장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 DLAY.png 딜레이 스위치
전기 흐름의 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PSCN으로부터 전기를 받으면 활성화되며 온도 만큼의 프레임이 지나면서 점점 어두워지다가 다 지나면 비활성화되며 NSCN으로 전기를 방출한다. 온도와 지연되는 프레임의 비율은 1:1이다. 열 전도성이 없으며 최저 온도는 1℃이다.
활성화되면 밝아졌다가 점점 어두워지므로 연속 액정으로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순간적으로 반짝이는 액정을 만들기에는 좋은 물질이다.
  • STOR.png 스토어
닿은 물질이나 ctype의 물질을 저장하며 PSCN의 전기를 받으면 저장한 물질을 방출한다. 파이프(PIPE,PPIP)와 연결되어 있으면 저장한 즉시 파이프로 방출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ctype의 물질만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만들 수 있다.
물질을 저장하면 저장한 부분만 밝기 때문에 액정으로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열전도를 하지 않는 물질이다.
  • PVOD.png 전원식 흡수 물질
VOID의 전원식 물질이다. 활성화되면 VOID와 같이 물질을 흡수하며 비활성화되면 물질의 흡수를 중단한다.
온도에 따른 압력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온도는 최대 영상 256℃, 최저 영하 256℃까지 조절할 수 있다. 영상일 경우 양(+) 압력을, 영하일 경우 음(-) 압력을 만든다. 0일 경우 압력을 0으로 유지시켜 준다.
특이하게 기본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로 생성되며 비활성화시 압력을 생성하지 않는다. 열 전도를 하지 않는 물질이다.
  • PBCN.png 약한 전원식 클론
PCLN의 약화 버전이다. 압력을 가하면 형태가 일그러지며 소멸한다. 그외 기능은 PCLN과 동일하다.
온도에 따른 중력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최대 영상 256℃, 최저 영하 256℃까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일 경우 중력을, 영하일 경우 반중력을 만든다. 0일 경우에는 아무 작용도 하지 않는다.
PUMP와 비슷하게 기본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로 생성되며 비활성화시 중력/반중력을 생성하지 않는다. 열 전도를 하지 않는 물질이다.
예전엔 infinity를 입력시 중력이 무한해져 사건의 지평선이 생겨났었다.
후술할 PIPE의 전원식 물질이다. 파이프를 둘러싼 BRCK이 파란색으로 빛난다.
PPIP에 직접 접촉하여 PSCN에서 전기를 흘려주면 활성 상태가 되며 내부의 물질이 출구를 향해 움직이고 NSCN에서 전기를 흘려주면 비활성 상태가 되며 내부의 물질이 동결된다.
나머지 성질은 PIPE의 설명과 동일하다. 액정으로는 절대 쓸수 없어 보인다.

2.2.4 감지기 탭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전기를 생성하거나 물질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물질들의 탭.

  • INVS.png 인비저블
빛(PHOT)과 양성자(PROT)를 중성자(NEUT)로 바꿔 주며 압력을 받으면 색이 어두워지면서 다른 물질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설정된 ctype의 물질이 닿거나 2px 내에 있으면 BTRY와 같은 기능을 한다.
자신보다 온도가 높은 물질이 닿거나 2px 내에 있으면 BTRY와 같은 기능을 한다. 단, METL의 온도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자신의 온도만큼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감지되면 BTRY와 같은 기능을 한다.

2.2.5 힘 탭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물체를 이동(가속)시키거나 압력을 생성하는 물질들의 탭.

가루, 액체, 기체 등의 움직이는 물질을 옮길 수 있는 고체 물질이다.
생성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BRCK으로 둘러싸이며 이 BRCK을 PIPE에 닿게 지워주면 그곳이 곧 출구가 되면서 내부가 점점 생긴다. 이후 나머지 부분은 전부 입구가 되며 주위의 BRCK중 아무 부분이나 지우고 물질이 들어가게 하면 내부에서 물질이 출구 쪽으로 이동한다.
파이프가 열 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파이프 내부에 있는 물질은 열 전도성을 상실하며 온도가 보존된다. 단, 압력을 세게 받으면 내부의 물질은 파이프와 함께 전부 BRMT로 쪼개진다.넣는다 -> 부순다 -> 철가루 아닌가? 획기적인 재활용 방법이네 그리고 바이러스에도 얄짤 없다.하지만 안에 비누(SOAP)가 있다면 어떨까? 비!누!
  • ACEL.png 가속기
에너지 입자[15]가 스치면 점점 속도가 빨라지게 하는 입자 가속기이다.
온도가 높을수록 가속이 더 많이 되지만 열 전도성이 있어 가속할 물질에 의해 가속의 정도가 바뀌기도 한다.
가루와 액체, 기체 등에는 작용하지 않고 오직 에너지 입자에만 반응하여 가속시키기 때문에 레이저에 가속장치로 많이 쓰인다.
  • DCEL.png 감속기
에너지 입자[16]가 스치면 점점 속도가 느려지게 하는 입자 감속기이다.
온도가 높을수록 감속이 더 많이 되지만 ACEL과 마찬가지로 열 전도성이 있어 감속할 물질에 의해 감속의 정도가 바뀌기도 한다.
가루와 액체, 기체 등에는 작용하지 않고 오직 에너지 입자에만 반응하여 감속시키지만 딱히 자주 쓰이는 곳은 없다.
  • GBMB.png 중력폭탄
어떤 물체와 닿으면 밝게 빛나며 중력을 발생시켜서 물질들을 끌어모은 후 반중력으로 날려버린다. 뉴턴 중력 모드가 켜져 있어야만 작동한다.
DMG와 같이 대부분 폭발물이 잘 퍼지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낮은 버젼인 경우 폭발물 탭에 가있다.)
  • FRAY.png 힘 발생기
가루, 액체, 기체에 작용하는 순간 가속기이다. 에너지 입자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ACEL, DCEL과는 달리 FRAY와 후술할 RPEL은 원리설명이 가능한데, 바로 단순히 압력을 순간적으로 세게 발생시켜서 물질을 날려보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FRAY는 앞에 물질이 닿은 상태에서 전기를 흘려줘야만 압력이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물질을 날려보낸다.
온도만큼의 압력으로 날려보내기 때문에 온도를 크게할수록 날라가는 거리와 속도가 증가한다.
ACEL, DCEL과는 달리 열 전도성이 없어 날려보내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 RPEL.png 리펠러
FRAY의 무전기 버전이다. 가루, 액체, 기체가 닿이면 무조건 날려보낸다. 원을 그리고 그 안에 물질을 넣어 다소 요란한 PUMP로 쓸수도 있다.그렇게 쓰라는 말이 절대 아니다
이 또한 열 전도성이 없으며 온도만큼의 압력으로 날려보내기 때문에 온도를 크게할수록 날라가는 거리와 속도가 증가한다.
가루 형태의 압력 폭탄으로, 자기 자신과 DMND, 클론 종류 이외의 물질에 닿으면 밝게 빛나며 순간적으로 반경 25px 내에 강한 압력을 발생시킨다.
많이 닿으면 닿을수록 압력이 점점 커지며 물질이 많은 곳에서는 DMG끼리의 연쇄작용에 의하여 렉이 심하게 걸린다.
최신 폭탄에 BCLN과 함께 사용되는 대표적 물질로써, 폭탄이 퍼지게 도와주는 역할을 주로 한다.
에너지 입자를 제외하고 어떤 물질을 밀어내는 기능을 하는 물질이다.
PSCN으로부터 전기를 받으면 길이가 늘어나고, NSCN으로부터 전기를 받으면 길이가 줄어든다.(한픽셀 떨어져서 전기를 받아도 작용한다)
NSCN이나 PSCN을 배치한 곳이 곧 고정점이 되며, 그곳을 기준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이 물질을 이용하면 그 영원하다는 DMND도 화면 밖으로 밀어내서(...) 없앨 수 있다.
보통 피스톤 하나만으로는 많을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아래의 FRME(프레임)과 같이 이용된다.
보통 피스톤과 같이 쓰이는 물질로 프레임이 피스톤에게 밀릴 때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도 같이 밀어진다.
한마디로 피스톤 여러 개를 써야만 가능한 일을 피스톤 하나와 프레임 한줄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피스톤으로부터 반경 14px 까지의 프레임을 동시에 밀어 낼수 있기 때문에 15px 이상부터는 프레임이 잘리게 된다. 이때는 피스톤을 더 추가하여 반경을 늘려줘야 한다.

2.2.6 폭발물 탭

각종 폭약으로 폭탄을 만들 수 있는, 시밤쾅시킬 수 있는 물질들의 탭이다. 이 게임의 하이라이트이자 존재 의미
대부분 온도와 관계없이 FIRE, ACID, SPRK, PLSM, DEST, LAVA에 닿이면 폭발하고, 발화점보다 뜨거운 물질에 닿여도 폭발한다. 폭발할 때에는 대부분 압력을 동반한 FIRE로 폭발하는데 종류에 따라 EMBR, PLSM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으며, 여러 형태의 뜨거운 물질과 압력으로 변화하여 다른 물질을 녹이거나 파괴한다.
위의 6가지 물질에 닿였을 때 폭발하는 물질이나 FIRE로 폭발하는 대부분의 폭탄은 폭발시키는 방법과 무엇으로 폭발하는지를 생략한다.
기본 온도 422℃의 불이다.기본 온도 1522℃인 마그마보다 차갑다! 불은 WOOD, PLNT, OIL 등의 물질을 태우며, 여러 폭발물들의 기폭제가 된다.
한번 불을 배치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어두워지다가 온도에 따라 다르게 소멸하는데, 350℃ 이하이면 연기(SMKE)로 변한 뒤에 소멸하고, 350℃~2500℃ 사이이면 그냥 소멸한다. 2500℃ 이상이면 소멸할 때나 처음 배치했을 때나 플라즈마(PLSM)로 변해버린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400℃-
가루형태의 폭발물이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400℃3
액체형태의 폭발물이다. TNT의 재료 중 하나이며 CLST와 섞으면 섞이는 즉시 TNT가 생성된다. 다른 화약에 비해 발화점과 발화에 필요한 압력이 낮아 까딱하면 터지는 위험한 물질이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400℃3
고체형태의 폭발물이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
고체형태의 폭발물이다. 물 종류의 물질들[17]에 닿이면 불을 붙였을 때와 같이 폭발하며, 특이하게 DSTW는 흡수되다가 다 없어지면 폭발한다.
유일하게 전기가 통하는 폭발물이며, 전기가 통하고 있을때는 발화하지 않는다. 40℃가 되면 액체 형태인 LRBD로 변하기 때문에 발화 온도는 없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688℃-
RBDM의 액체 형태이다. 특성은 모두 RBDM과 같으며 역시 전기가 통한다.
RBDM이 녹아 LRBD가 되었으므로 발화 온도가 존재하며 40℃ 밑으로 내려가면 다시 RBDM이 된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
액체형태의 천둥이다. 처음 생성할 시 9000℃ 온도로 생성되며 밝게 빛난다. 서로 충돌하지 않고 겹쳐지며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움직임이 불안정하다. 어떤 물체에 닿일 시 강한 압력을 방출하면서 전기를 생성한다.
사실 "천둥" 이라고는 하지만 단순히 온도가 높고 움직임이 특이한 DMG+BTRY 의 화합물로 봐도 무방하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
가루형태의 폭발물이다. BRMT와 BREL을 섞은 뒤 열을 가해서 만들 수도 있다.
폭발물치곤 생각보다 안정적이어서 온도와 압력 다 무시하고 오직 FIRE, PLSM, LAVA에만 폭발하며 폭발시 약간의 압력과 함께 3000℃ 온도의 LAVA로 폭발하는데, 이 LAVA는 식으면 BRMT가 된다.
  • CFLM.png 서브-제로 플레임
온도가 게임 내 최저 온도인 -273.15℃를 띄고 있는 불이다. 후술될 C-5를 온도에 관계없이 폭발시킬 수 있는 물질이며 ANAR를 음압폭탄으로 둔갑시킬 수 있다. 그 외 다른 물질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또한 모탈 컴뱃의 Sub-Zero 캐릭터가 사용하는 불이기도 하다. 게임상에서 적을 얼리는 스킬을 사용할때 쓰인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
가루형태의 폭발물이다. FIRE또는 PLSM에 닿이면 위로 상승하며 6000℃에 육박하는 형형색색의 EMBR로 폭발한다. 도색하면 도색한 색으로 폭발한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700℃-
고체형태의 폭발물이다. 전기가 통하면 무조건 끊어지는 민감한 퓨즈다 SPRK, PLSM, DEST으로만 폭발하며 폭발하면 6000℃ 에 육박하는 PLSM로 변환된다.
폭발물이라곤 하나 폭발할 때 압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압력이 3이 되면 FSEP로 부서진다.
  • FSEP.png 퓨즈 가루
발화 온도발화 압력
400℃-
가루형태의 폭발물이다. 특성은 모두 FUSE와 같지만 발화 온도가 더 낮다.
특이한 형태의 번개이다. 처음 생성시 시뮬레이션 자체 중력 쪽으로 한가닥이 여러 가닥으로 나눠지는 모양의 번개가 순간 번쩍! 하고 바로 소멸한다. 어떤 물체에 닿이면 물체는 순간적으로 높은 열과 압력을 받고 전기를 받는다. 번개는 물체를 관통할 수 있으며 실생활에서 번개가 치는 순간과 꽤 비슷하다.
커서 영역을 크게[19]하면 할수록 번개의 온도가 최대 7976.85℃까지 높아지고 다시 생성되는 시간이 길어진다.쿨타임 증가 반대로 커서 영역을 작게 하면 할수록 번개의 온도가 -273.15℃까지 낮아지고 다시 생성되는 시간이 짧아진다.쿨타임 감소 아무리 번개의 온도가 낮더라도 물체는 지속적으로 높은 열과 압력을 받지만, 커서 영역이 1픽셀 일때는 먹히지 않는다.
SNOW에 이 번개를 적용시킨 후 다중 레이어로 묶어서 아주 강력한 관통 전기폭탄을 만들 수 있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
가루형태의 폭발물이다. 어떤 물체에 닿이면 빨간 빛과 열과 압력을 발생시키며 점점 물질을 파고 들어가면서 파괴하다가 소멸한다. 특이하게 압력이 높은 쪽으로 끌려간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127℃-
FIRW와 비슷한 폭죽이다. FIRW와는 다르게 불 자체에는 반응하지 않으며 온도가 127℃ 이상 올라가면 천천히 반응한다. 대신 NEUT와 반응시키면 무지막지한 반응속도를 보여준다. FIRW와 마찬가지로 도색하면 그 색으로 터진다. DUST와 NEUT가 만나면 이 FWRK가 생성된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
가루형태의 폭발물이다. 어떤 물체와 접촉하면 높은 압력이 발생하면서 9725.85℃의 둥글고 밝은 EMBR 자국이 생기는데, 이 EMBR 자국이 생겼다가 없어진 자리에 있던 물질은(심지어 BOMB 자기 자신도) 소멸한다.쓰레기는 소각하지 말고 폭발시키자.
이 BOMB과 DMG, BCLN을 같이 사용하여 모든 것을 초토화시키는 폭탄을 만들 수 있다. 물질을 아예 없애버리기 때문에 웬만한 핵폭탄보다는 더 강력하다.
  • C-5.png C-5
발화 온도발화 압력
-173.16℃ 이하-
-173.16℃ 이하의 차가운 물체와 접촉하면 -273.15℃의 CFLM으로 폭발한다. 특이하게 폭탄 자체의 온도를 내려서는 폭발시킬 수 없다. CFLM과 접촉하면 CFLM의 온도가 몇도이든 간에 폭발한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400℃-
현실에서는 군용 폭탄으로 애용되는 고체 형태의 TNT이다. 폭발시키면 1000℃-2000℃ 에 육박하는 여러 물질이 방출되는데, 대부분은 FIRE로 폭발하고, 약간의 PLSM, EMBR도 같이 나온다.
ACID, LAVA로는 폭발하지 않는다.
발화 온도발화 압력
400℃-
폭발하게 하면 폭발하지 않고 FIRE과 EMBR를 발생시키며 천천히 타들어간다. 다른 폭발물을 현실감있게 점화시킬때 쓰이며[22] 연소 방식이 tmp값과 life값의 변화에 따라 폭발하는 특이한 방식이기 때문에[23] 물 안에서도 똑같이 타들어간다.
왜인진 모르지만 TNT와 마찬가지로 ACID, LAVA로는 폭발하지 않는다.

2.2.7 기체 탭

기체 물질의 탭.

  • GAS.png 가스
OIL이나 DESL이 중성자와 반응하면 생성된다. 불에 잘 탄다. OIL을 끓이거나(!) 저압에 노출시켜도 역시 생성된다. 또,압력을 높이면 OIL이 된다.
  • WTRV.png 수증기
물이 100℃에서 끓거나 저압을 받으면 생성된다. 압력을 받거나 식으면 DSTW(증류수)가 된다. 수증기가 급속 냉각되어 바로 고체로 변화(승화)하면 RIME(서리)라는 물질로 변하고, RIME에 전류를 흘리면 FOG(안개)가 된다.
불이 온도가 높아지거나 NBLE(비활성기체)에 전류를 주면 생성된다. 일부 핵융합 반응에서도 생성된다. 매우 뜨겁다.
  • NBLE.png 비활성 기체
헬륨, 네온, 아르곤과 같은 18족 원소들을 비활성 기체라고 일컫는다. 전류를 받으면 이온화되어 PLSM를 내뿜는다. 이온화된다고 NBLE이 사라진다거나 하지는 않고, 전류를 주면 주는 대로 계속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스스로 4기압 정도의 압력을 발생시킨다. 고온 고압에서 핵융합이 가능하며, NEUT(중성자), 빨간색 PHOT(광자), 이산화탄소(CO2)[24]와 함께 50의 압력과 9000℃이상의 고온을 내뿜는다.
  • SMKE.png 연기
불이 낮은 온도로 떨어졌을 때 생성된다. PLNT(식물)에 흡수당하면 OXGN(산소)로 변한다.
-180℃ 이하나 100이상의 압력에서 LOXY(액체 산소)로 변한다. 불이 상당히 잘 붙는다(!)[25]
밑으로 가라앉는 무거운 기체. 물과 만나면 BUBW(탄산수)로 변한다. -90℃ 정도에서 DRIC(드라이 아이스)로 변한다. 불을 끌 수 있다. PLNT(식물)이 흡수하면 OXGN(산소)으로 변한다. 탄소를 새로 넣기는 귀찮았는지 핵융합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물질이 탄소가 아닌 이산화탄소가 된다.
  • CAUS.png 산성 기체
ACID(산)와 비슷하게 작용하는 기체이다. 단 불에 타는 물체를 갉아먹지 않은 이상 불에는 타지 않는다. GLAS(유리)는 못 녹인다.
  • FOG.png 안개
물 또는 산소가 BOYL(보일 가스)과 만나거나 RIME(서리)이 전기를 받으면 생성된다. 0℃의 안개가 RIME에 닿으면 마치 서리가 끼듯이 RIME이 된다.
  • BOYL.png 보일 가스
열을 가하면 압력이 증가하고 식히면 압력이 감소한다. 그래서 온도에 따라 퍼지는 정도가 다르다. WATR(물)이나 OXYG(산소)에 닿으면 FOG(안개)가 된다.
불에 닿으면 폭발하는 기체. 중성자와 전자가 만나면 생성된다. OXYG(산소)와 함께 폭발시키면 수증기가 발생한다. 고온 고압에서 핵융합을 일으켜 플라즈마, NEUT(중성자), 노란색 PHOT(광자), NBLE(비활성 기체)과 함께 50의 기압과 4000℃의 온도를 내뿜는다.

2.2.8 액체 탭

그냥 물. 분자식 H2O. 당연히 0℃가 되면 얼어 ICE(얼음)이 되고 100℃일 때 끓어 WTRV(수증기)가 된다. -40기압에 WTRV로 변한다. 도색되어 있으면 도색된 색으로 수증기가 만들어진다.
전기가 통한다. 그래서 실제 전자제품이 침수되면 고장나듯 회로에 물을 부으면 회로를 고자로 만들 수 있다. 참고로 액체라는 특성상 무한전기가 잘 생긴다.
IRON(철)을 부식시켜 BMTL(약한 금속)으로 변하게 한다. 전기가 흐르는 IRON에 닿으면 HYGN(수소)와 OXGN(산소)로 전기분해된다.
  • OIL.png 기름
불이 잘 붙는 기름. 온도를 높이거나, -35기압의 낮은 압력에서 GAS(가스)로 변한다.
용암. 액체 탭에서 생성되는 용암은 기본적으로 STNE(돌)이 녹은 것이다. 액체 탭에서 직접 생성하는 경우가 아닌 물질이 열을 받아 녹은 경우에는 이름이 Molten (물질명)이 된다. 용암의 ctype을 설정해서 용암이 굳으면 무엇으로 바뀌는지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녹은 블랙홀 따위를 만들 수 있다. PLUT(플루토늄)의 핵분열 시에도 소량 생성된다.
  • ACID.png
일부 물질을 제외한 대부분의 물질을 녹인다. 물질을 녹이면 녹일수록 온도가 올라간다. 온도가 높아도 불이 붙지는 않지만 불을 직접 갖다대면 불이 붙는다.
  • DSTW.png 증류수
물을 끓이고 다시 식히면 만들어지는 증류수.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WATR(물)이나 SLTW(소금물)이 1px이라도 닿으면 전체가 WATR로 변한다. IRON을 부식시키지 않는다.
  • SLTW.png 소금물
WATR(물) 또는 BUBW(탄산수)에 SALT(소금)을 넣으면 생성된다. 용해도 그런 거 없다. QRTZ(석영)을 자라게 한다. 반대로 PLNT(식물)을 파괴한다.
WAX(왁스)가 녹으면 생성된다. GEL(젤)과 만나면 굳는다.
매우 차가운 액체. 질소 기체가 구현되지 않아[26] 온도가 올라가거나 기압이 올라가면 그냥 사라진다. 냉각재로 자주 쓰인다.
디젤 연료. FIRE(불)/SMKE(연기)/PLSM(플라즈마)/PHOT(광자)/AMTR(반물질) 등에 탄다. NEUT(중성자)를 맞으면 GAS(가스)로 변한다
낮은 기압이나 높은(?)온도에서 산소로 기화한다. 불을 붙이면 PLSM(플라즈마)까지 내뿜으며 폭발한다(!). LN2(액체 질소)와는 달리 냉각재로 쓰면 피 보는 물질. 다만 불 등의 접촉 없이 그냥 온도가 올라간다면 폭발하지는 않는다.
  • GLOW.png 글로우
온도와 압력에 따라 그 색을 달리하는 물질. 압력이 높아지면 연두색 계열로, 낮아지면 보라색 계열로 색이 변한다. 온도가 올라가면 붉은색 계열로, 내려가면 청록색 계열로 색이 변한다. 물과 섞으면 DEUT(중수소)가 된다.
  • BUBW.png 탄산수
WATR(물)에 CO2(이산화탄소)를 섞으면 생성된다. 온도가 높아지거나 가루물질과 닿으면[27]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리되며 폭발한다.
  • BIZR.png 비자르(기묘한)
이름대로 기묘한 물질이다. 온도가 낮아지면 기화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응고된다. FILT(필터)에 들어가면 그 색이 되고, 비자르에 도색한 상태에서 비자르가 다른 물질에 닿으면 그 물질을 자신의 색으로 도색한다. PHOT(광자)가 통과하면 ELEC(전자)가 된다.
  • PSTE.png 접착액
CLST(점토가루)와 WATR(물)이 섞이면 생성된다. 압력이 조금이라도 높아지면 굳어 PSTS가 된다. 온도가 높아지면 BRCK(벽돌)이 된다.
  • GEL.png
점성이 있어 떨어지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 WATR(물) 등을 빨아들이면 색이 파래지고 점성이 낮아지며 열전도성이 높아진다.
  • SOAP.png 비누
BIZR(비자르)와 반대로 도색된 물질의 색을 씻어낸다.[28] VIRS(바이러스)로 변해버린 물질을 치료한다. 0.5의 압력을 주면 거품이 만들어진다.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늘어나고, 낮추면 다시 부피가 줄어든다. 전기가 통하며, TSNS가 나오기 전의 온도계에 주로 쓰였다.
  • VIRS.png 바이러스
벽과 DMND(다이아몬드), SOAP(비누)를 제외하면 모든 물질을 바이러스로 바꿔버린다. 온도가 낮아지면 VRSS(고체 바이러스), 온도가 높아지면 VRSG(기체 바이러스)로 바뀐다. 세 물질 모두 불에 타며[29] SOAP(비누)와 닿으면 그 즉시 바이러스 확산이 멈추게 되고 비누가 닿은 부분부터 원래 물질로 돌아온다. DMND를 두르지 않은 이상 어떤 벙커도 바이러스 1픽셀과 약간의 불만 있으면 깰 수 있기 때문에 폭탄에 절대 써서는 안 될 물질이다. LOVE(사랑)과 LOLZ(웃음)은 바이러스에 닿으면 CLNE(클론)마냥 바이러스를 복제한다(...)[30] 바이러스로도 뚫을 수 없는 사랑과 웃음의 위대한 힘

2.2.9 가루 탭

  • DUST.png 먼지
색상만 보면 모래다. 먼지다. 불에 탄다. NEUT와 만나면 FWRK가 된다.
  • STNE.png 돌가루
709.85도에서 녹는다. 무겁다.
  • SNOW.png
ICE가 0.8기압 이상을 받으면 SNOW가 된다. -0.15도에서 녹는데, 이때 LAVA처럼 자신의 ctype이 된다. 그래서 파우더토이에서는 눈싸움을 하면 안된다. snow(sing)이 날라온다.
  • CNCT.png 콘크리트
STNE보다 강하다..라고 설명이 적혀있다. 특이하게도 계속 위로 쌓이는 성질이 있다. 또한 모든 가루물질은 아무리 무거워도 CNCT아래로 가라앉지 못한다.(파우더토이에서는 무거운 가루물질이 가벼운 것 아래로 가라앉는다.) 849.85도에서 녹는다.
  • SALT.png 소금
WATR이나 DSTW에 녹아 SLTW가 된다. 또한 IRON을 부식시켜 BMTL과 BRMT로 바꾸는데, 주변에 GOLD가 있으면 다시 IRON으로 돌려놓는다. 899.85도에서 녹는다.
  • BRMT.png 부서진 금속
가루 상태의 녹과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된다. 999.85도에서 녹인 후 다시 식히면 일부는 BMTL이 되고. BMTL에 압력을 가하면 BRMT가 된다. BREL과 250도 이상에서 섞이면 THRM이 된다.
  • SAND.png 모래
무겁다. 1699.85도에서 녹은 후 식으면 GLAS가 된다.
  • BGLA.png 깨진 유리
유리가 높은 압력에서 깨져 만들어진다. GLAS와는 다르게 PHOT를 반사한다.

2.2.10 고체 탭

  • GOO.png 찐득찐득한 것
압력을 받으면 흩어진 후 사라지는 고체. 압력이 가해지면 흩어지면서 life값이 300에서 400 사이로 바뀌고, 값이 0이 되면 사라진다. life값을 조절해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도 있다.
  • ICE.png 얼음
얼음. 0도 이상에서 물로 변한다. 압력을 받으면 눈이 된다.
  • WOOD.png 나무
불에 닿으면 탄다. 600도 이상에서 자연발화하며, 약 160도를 넘어가면 그을린다. 그을린 나무는 온도를 다시 낮춰도 원래 색으로 돌아가지 않는다.[31] 반대로 차가워지면 하늘색으로 변한다. 중성자와 반응해서 goo가 된다.
  • PLNT.png 식물

물을 주면 물을 먹으면서 자란다. 불에 매우 잘 타며, 스틱맨이 먹을 경우 체력이 찬다.

  • BMTL.png 깨지는 금속

....

2.2.11 방사성 탭

그리면 그린 곳으로부터 아무 방향으로 퍼져 나가는 밝은 청색의 에너지이다. 주위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대부분 PLUT와 DEUT를 폭발시킬때 사용되고, ELEC를 더해 수소를 생성하는데도 쓰인다. WATR에다 뿌리면 DSTW를 얻을 수 있다.
WOOD에 뿌리면 뿌리는 쪽으로 WOOD가 끌려온다. PLNT를 WOOD로 변환시키기도 한다.
PHOT가 INVS를 통과하면 발생하는 물질이기도 하다.
파우더토이의 대표적이던 핵폭탄의 재료. 압력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면 스스로 NEUT를 발생하여 스스로 폭발한다.자폭
NEUT를 직접 분사해도 폭발한다. 폭발하면 열과 압력, NEUT, LAVA(STNE), URAN, PLSM가 분출된다.
예전에는 PLUT에다 뭐든 넣었지만 요즘의 핵폭탄은 DEUT가 자주 사용된다. (DEUT는 압축이 가능하고 PROT와 NEUT를 가리지 않고 터지기 때문) 소량의 PLUT가 NEUT 발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BCLN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핵폭탄의 시대가 저물고 퓨전 폭탄이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SING에서 설명)
8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하얀색 에너지이다.
기본적으로 채도와 명도가 고정되어 있는 30가지의 색을 가지고 있으며(삼원색이 아니라 삼십원색) 이론적으로 발생가능한 색의 갯수는 2^30-1 = 1073741823개나 된다. 하지만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색은 그다지 많지 않다. 몇개가 보여지는지는 추가바람.
보통은 레이저를 만드는데 쓰이지만 FILT와 더불어 파우더 토이에서 만들어지는 컴퓨터의 데이터 전송을 당담하는 물질이 됐다.
삼십원색의 특징을 이용하여 한 픽셀에 30비트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전자 회로를 만들 때 전에는 INST를 썼다면 이젠 FILT와 PHOT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요즘은 PHOT도 BRAY에 밀려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압력을 가하면 열이 발생한다.
PLUT의 핵분열이 일어날 경우 생성된다. PROT가 빠른 속도로 불통 물질에 충돌시에도 발생한다.
회색의 불안정한 기체이며 물질에 닿으면 물질이 없어지고 압력이 감소하면서 PHOT가 발생한다.
단, DMND는 먹지 못한다.
핵폭탄에 자주 사용되는 물질이다.
NEUT 또는 PROT로 분열을 유도하면(계속 분사하면) 갑자기 한꺼번에 분열하며 엄청난 열과 압력을 동반한다.
낮은 온도로 압축이 가능하며, 중력으로도 압축이 가능하다. life(압축의 정도)를 250까지는 명도로 구분할 수 있으나 그 이상에서는 구분할 수 없다.
ELEC를 쐬어주면 양이 불어난다.
  • WARP.png 워프
이름 그대로 물질의 배치를 엉망으로 만들어준다. 눈으로 볼 수 없으며 데코도 먹히지 않는 이상한 물질이다. 하지만 Heat디스플레이에서는 볼 수 있다.
음압력이 되면 PHOT를 발생 시키며 천천히 소멸한다.
  • ISZS.png 고체 동위 원소-Z
ISOZ의 고체 버전이다.
다르게 말하면 블랙홀의 중심이다. 주위의 압력이 빠르게 감소하고 가루의 형태로 움직이면서 뭐든지 다 먹어버린다. 블랙홀의 중심이 블랙홀도 먹는다
크기가 큰 물질을 삼키면 그 수가 불어난다. 일정량 이상 먹으면 ELEC, PROT, PHOT, PLSM를 발생시키며 폭발한다.
언젠가부터 핵폭탄의 시대가 저물고 SING의 특성과 SNOW의 특성을 이용한 퓨전 폭탄의 시대가 열렸다.
SNOW는 얼음의 녹는점 이상이 되면 ctype의 물질로 변하게 되고, SING는 life가 0이 되면 tmp(SING에서는 물질을 먹은 수)의 정도만큼 폭발하게 되는데 이들을 이용하여 life가 0인 SNOW의 ctype을 SING으로 맞추고 tmp를 무지 크게 하여 바로 폭발하는 SING 폭탄을 만드는데 이를 퓨전 폭탄(핵융합 폭탄[32])이라고 한다.[33] 이제 SNOW에다 뭐든 갖다대기만 하면 크고 아름다운 대폭발이 일어난다. 처음부터 SNOW의 온도를 녹는점 이상으로 해두고 일시정지를 해두면 푸는 순간 터지게도 할 수 있다. 이러한 퓨전 폭탄은 GBMB, DMG, BCLN등과 같이 이용되며 이들을 다중 레이어(...)로 묶어서 프로그램을 날려 버릴 만한심하면 운영체제 전체를 폭탄을 만들기도 한다.고만해, 미친놈들아!
SPRK의 에너지 버전.
전도체에 닿으면 SPRK가 발생한다. 에 뿌리면 물이 전기분해되어 HYGN과 OXYG를 생성한다.
NEUT와 PROT에 닿으면 HYGN이 발생한다.
  • EXOT.png 이상한 액체[34]
ELEC를 쐬어주면 화려한 빛깔로 빛나면서 엄청난 열과 압력을 동반해 WARP로 바뀐다.
물의 어는점만큼 얼리면 고체의 성질을 갖는다.
NEUT를 쐬어주면 회색으로 변하며, 에너지를 제외하고 어떤 물질이든지 닿으면 일정한 주기에 한번씩 같은 물질로 복제된다.
초록색의 고체이다.
모든 형태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점점 색이 밝아지며 Tmp값이 증가한다.활성화시키는데에는 Tool의 Air가 빠르다 카더라 Tmp값이 1000이 되어 활성이 되면 LIFE값이 생성되어 밝게 빛나고 깜박거리며, LIFE가 점점 줄어들다가 0에 도달하면 열과 압력을 동반한 ELEC, PHOT, EXOT로 폭발한다. 때에 따라서는 WARP만 생성되기도 한다.
활성이 되지 않은(빛나지 않은) VIBR는 EXOT에 녹는다.
CFLM에 닿이면 파란색 계열의 색으로 변하고 한번의 활성이 끝나면 다시 평범한 VIBR로 돌아온다. 활성 상태에서 SPRK를 발생하는 VIBR의 성질을 이용하여 쓸데없는배터리를 만들기도 한다.
  • BVBR.png 가루 비브라늄
VIBR의 가루 버전이다.
36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빨간색 에너지이다. 대부분의 물질을 통과하며, SPRK를 없앤다.
PROT를 빠르게 가속시킨 뒤 아무 물질에나 부딪히면[35] PLUT, URAN, HYGN, METL(LAVA), PLSM등이 생성된다.
뉴턴 중력 모드가 켜진 상태에서 그리면 각 입자마다 중력을 갖고 있어 다른 물질들과 함께 서로 뭉친다.
대부분의 물질을 통과하기 때문에 행성도 만들수 있다.[36] 이 특성을 이용해서 가리개로 많이 쓰인다. 양성자랑 잘 섞으면 좋은일이 생긴다(데코레이션)

2.2.12 특수 탭

2.2.13 생명 탭

모든 미생물들은 콘웨이의 생명 게임을 기반으로 생명력과 전투력(?)을 가지며, 미생물 마다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변화가 일어 나는 곳은 뜨거워지며, 변화가 없는 곳은 차가워진다. 이를 이용해 뜨거운 레이저 포나 차가운 레이저 포등을 만들 수 있다.

2.2.14 도구 탭

3 관련 사이트

  • 게임 공식 사이트: [1]
  • 파우더 토이 위키: [2]
  • 파우더 토이 한국 공식 사이트 : [3]
추가바람
  1. 번개,사람,반중력 입자,다이아몬드와 심지어는 반물질까지(...)
  2. 이 외에도 서버를 둘러보면 양키들의 파워를 듬뿍 느낄 수 있는데 3D프린터나 탁구 게임 같은 괴랄한 기계도 많다..!
  3. GPMP, BHOL 등의 인공 중력에는 영향을 받는다
  4. 4x4 좌표에 고정되어 위치가 제한적이며, 온도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모든 벽들은 벽 제거 툴 이외에 다른 물질로 제거할 수 없다.(DMND도 PSTN으로 밀어내거나 DRAY를 이용해서 덮어씌우면 없앨 수 있다)
  5. 가루와 액체에만 작용하는 기본 중력
  6. 벽 한칸에 3600픽셀 이상의 물질이 들어간다
  7. LCRY, PCLN 등 Powered Materials 탭의 물질과 SWCH
  8. 파우더 토이 내 설명이 이렇다.
  9. 온도차가 100℃가 아니라, 1℃~100℃, 101~200℃ 이렇게 100℃ 단위로 나뉘어진다. 즉 온도가 1℃인 와이파이와 50℃인 와이파이는 서로 연결할 수 있다.
  10. 비활성, tmp0
  11. 일렉트론 헤드, tmp0
  12. 일렉트론 테일, tmp1
  13. 컨덕터, tmp2
  14. 그래서인지 이 와이어를 3X3픽셀 이상의 크기로 그린 뒤 1픽셀의 크기로 전기를 놓으면 무한전기가 생긴다
  15. NEUT, PROT, PHOT, GRVT, ELEC
  16. NEUT, PROT, PHOT, GRVT, ELEC
  17. WATR, DSTW, BUBW, SLTW
  18. 번개가 아니다! 번개는 LIGH으로 두 물질은 전혀 다른 물질이다.
  19. 마우스 스크롤을 올리면 커서 영역의 반경이 커진다
  20. 원래 명칭은 More Destructive Bomb(더 많은 파괴 폭탄왈도체)이나 성형작약탄과 비슷하게 폭발 하는 것을 감안해 해당 이름으로 바꿨음.
  21. 폭죽 재료는 화약(Gunpowder)이며, Origial Version of Fireworks(폭죽의 원래 버전) 라고 파우더 토이에 나와 있다.
  22. 전기로 폭발시켜도 되지만 IGNC는 실제 도화선과 타는 모습이 비슷해서 많이 쓴다.
  23. 정확히는 불에 닿으면 tmp값이 1이 되는데, 이때 life값이 3에서 시작해 서서히 줄어들다 0이 되면 FIRE과 EMBR로 변하면서 사라진다.
  24. TPT에는 탄소가 없으니 이걸로 대체한 듯 하다.
  25. '연소'라는 개념을 표현할 방법이 없어(TPT에서는 산소가 없어도 불만 붙이면 잘만 탄다.) 그냥 산소를 수소처럼 불 붙게 설정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당연히 그렇지 않다. 실제로 그랬다면 지구는 불바다가 됐을 것이며 우리는 하루도 살아갈 수 없다. 일부 초딩들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다 카더라 산소의 자세한 역할은 항목 참고.
  26. 예전 버전에는 있었으나 아무 쓸모 없다는 이유로 삭제되었다.
  27. 실제로 탄산음료에 가루를 넣으면 장관을 볼 수 있다(...)
  28. 단, 색칠된 비누는 색을 지울 수 없다.
  29. 바이러스는 불도 감염시키기(!) 때문에 불로 태우기 은근히 힘들다. 물론 폭약의 도움을 받으면...
  30. LOVE와 LOLZ는 각각 하트와 lol(...)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이 1픽셀이라도 남아있으면 즉시 원상태로 복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닿아도 사라지지 않는다.
  31. 나무의 tmp값과 관련이 있다.
  32. SING이 터질때 발생하는 ELEC와 PROT가 만나 HYGN을 생성하고 HYGN이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아 핵융합하여 NBLE이 되고.. 이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핵융합 폭탄이라고 하나 여기서는 핵폭탄(핵분열 폭탄)과 구별하기 위해 퓨전 폭탄이라고 한다.
  33. tmp나 ctype등의 변경은 PROP 툴에서 할 수 있다.
  34. 공식 파우더토이 위키
  35. 심지어 PROT끼리 가속시켜서 충돌시켜도 된다.
  36. 하지만 대부분 Radial 중력 모드가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