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系. Korean descendants in foreign countries. 해외에 이주한 한인이나 그들의 후손으로 거주국 시민권을 유지하는 사람을 말한다. 재외동포의 부분집합이다.
1 역사
한인의 이주는 1860년대부터 시작됐고 러시아나 중국이 대상이었다. 그러던 것이 1910년 경술국치를 겪으면서 일본으로 확대됐고 196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미국 이민[1]이 시작됐다. 20세기 말부터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 등 영미권 국가 등으로 다변화됐다.
2 규모
2011년 외교부가 파악한 재외동포 가운데 시민권자의 규모는 4,472,747명이다. [2]
- 한국계 중국인: 조선족이라 흔히 불린다. 2,335,968명으로 가장 많다. 외국계 한국인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집단도 한국계 중국인이다.
- 한국계 미국인: 1,094,290명. 다만 부분적으로 한국계 혈통이 섞인 사람은 세기에 따라 170만까지 세기도 한다.[3]
- 한국계 일본인: 재일 한국인들은 꾸준히 귀화했다. 1950년대엔 연평균 1,500명 수준이었으나 1970년대에는 평균 4,684명, 80년대에는 5,386명까지 증가하였고 1995년엔 1만명을 넘겼다. 현재는 연간 9천에서 1만1천명 수준.[4]
- 고려인들은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등에 많다.
- 한국계 러시아인: 213,020명.
- 한국계 우즈베키스탄인은 171,300명.
- 한국계 카자흐스탄인은 105,235명.
- 한국계 우크라이나인은 12,711명.
- 한국계 키르기스스탄인 17,299명 정도이다.
- 그 외에 독립국가연합에 있는 한국계는 3,977명 정도.
- 한국계 뉴질랜드인: 7,926명
- 한국계 호주인: 29,879명
- 한국계 대만인: 420명
- 한국계 캐나다인: 102,666명.[5]
- 한국계 브라질인: 24,954명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7,420명
- 한국계 멕시코인: 876명
- 한국계 독일인: 7,814명
- 한국계 영국인: 3,839명
- 한국계 프랑스인: 786명[6]
3 그 외
해외에 스며든 한국문화를 말하기도 한다. 아니면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이라든가. 라인(메신저) 같은 경우엔 일본에서 기획자나 개발진의 주축이 일본인이라 일본 앱으로 평가하지만 지분을 네이버에서 갖고 있어 한국계 앱이라 보는 시선도 있다. 야키니쿠에 대해선 말이 많지만 귀화한 한국계 요리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일단 재일 한국인들이 일본의 야키니쿠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4 한국에서
누군가 한국계 혈통이 아니냔 식으로 해외반응 비슷한 이슈로 갈 때가 많다. 특히 개소문닷컴이나 가생이닷컴에서 kim이나 lee가 들어가거나 아시아계 같아 보이면 한국계 아니냔 식으로 추측하는 일이 빈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