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系加那陀人. Korean Canadian.
1 개요
한국인 조상을 가진 캐나다인을 말한다. 국적을 가리키는 말이 혈통의 형용사로도 쓰이는 영어에서는 Korean Canadian이 한국계 캐나다인과 재캐나다 교포를 일컫어 부른다. 재외동포 규모로 볼 때 중국, 미국, 일본 다음으로 크며 러시아에 사는 고려인보다 많지만 항목은 좀 뒤늦게 만들어졌다.
한국계 캐나다인은 2012년 외교부에서 파악한 바로는 102,666명 수준이다. 국적의 변동으로 한국계를 파악하는 한국 외교부와 달리 혈통[1]으로 추산하는 캐나다의 기준에 따르면 2011년 기준으로 161,130명이다. 재캐나다교포는 128,826명으로 이 중 85,951명은 영주권자이며 2만 명 정도는 유학생이다. 합치면 재외동포 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231,492명 정도이다.
2 역사
일단 국적이 재캐나다교포(한국인)와는 다르다. [2] 하지만 일단 한국계 캐나다인을 얘기하려면 재캐나다 교포의 역사부터 얘기할 필요가 있다. 재미 한국인이 19세기 말에 하와이에 처음 왔던 것과 비교하면 캐나다 한인의 역사는 196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65년에 불과 70명 정도가 캐나다에 살았고 그 전에 온 사람들은 대체로 캐나다에서 보낸 선교사들을 거쳐 유학 온 신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고. 그러다가 1966년에 캐나다 이민법이 1965년 미국 이민법이 바뀌듯이 대거 바뀌면서 1969년까지 2천명의 한국인들이 캐나다로 이주했다. 1970년대에 18,148명이 이민왔고 1980년대에도 17,583명이 이민을 왔다. 1990년대 후반에 한국인들은 캐나다에서 다섯 번째로 큰 이민자 그룹[3]이 됐다.
재캐나다 한국인은 토론토에 제일 많이 살긴 하지만 최근엔 두 번째로 많이 사는 밴쿠버로 많이 간다. 몬트리올은 세 번째 규모라고. 2001년에는 캐나다로 이민 가는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 가는 한국인을 초과하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한국 국적은 아니지만 조선족이 캐나다로 이민오기도 한다고.
대체적으로 커뮤니티 분위기는 같은 영어권이라 미국과 비슷하다. 퀘벡엔 규모가 작다. 프랑스어가 통하는 지역에는 재캐나다나 한국계 캐나다인이 드문 편이다. 아무래도 캐나다인들이 미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국계 캐나다인 중에도 미국에서 일하는 이들이 있다. 재미 한국인이나 한국계 미국인과 더불어 한국의 영어학원이나 학교의 원어민강사로 오기도 한다.
한국계 캐나다인보다 재캐교포의 이야기가 더 길다.
3 유명 인물
이름을 기준으로 ㄱㄴㄷ 순 배열.
- 게일 킴: 여성 프로레슬러. 한국명 김계일.
- 그레이스 박 : 배우. 배틀스타 갤럭티카, 커맨드 앤 컨커3에 출연. 한국명 박민경
- 데니스 강
- 림학 리 : 수학자, 한국명 이임학.
- 레이먼 킴 : 셰프, 한국명 김덕윤. 한국에서 외식사업중.
- 마루 킴(Maru Kim) :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한국명 김마루.
- 브라이언 리 오말리
- 요나 마틴(Yonah Kim-Martin): 1965년생으로 브리티시컬럼비아의 캐나다 보수당 정치인으로 총리였던 스티븐 하퍼의 지명으로 선거에 나가 캐나다 상원의원이 되었다. 최초의 한국계 캐나다인 연방공직자이다. 한국명 김연아.
- 샌드라 오(Sandra Oh). 한국명은 오미주로 1971년생. 그레이 아나토미에 닥터 크리스티나 양으로 출연했다. 미국인으로 아는 사람이 많다.
- 알로직 : 유튜버.
- 야스민: 여자 배우.
- 줄리엔 강: 데니스 강의 동생인데 둘은 특이하게 한국계 캐나다인 중엔 드문 편인 프랑스어 지역 출신이다. 어머니가 프랑스인이었기 때문에 프랑스 국적도 있다.
- 지나 제인 최(Gina Jane Choi). 한국에선 G.NA로 통한다.
- 짐 백(Jim Paek): NHL의 하키선수. 현재는 선수로는 은퇴하고 NHL의 하위리그인 AHL에서 코치로 있다가 한국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한국명 백지선.
- 타블로: 형도 캐나다인이다.
- 한스 정: 캐나다군에서 처음으로 장관급 장교에 오른 한국계 인물이다.
- 마크(NCT)(Mark Lee): 캐나다 밴쿠버 출신. 한국이름은 이민형. 캐나다 여권을 쓰는 사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