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H-29

ZH-29
종류반자동소총
국가체코슬로바키아
사용 역사
사용 년도1930년~1945년
사용 국가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나치 독일
에티오피아
태국
리투아니아
사용된 전쟁제2차 세계대전
생산 및 제조 역사
개발에마누엘 홀레크
개발 년도1929년
생산브르노 조병창
생산 년도1929년~1938년
제원
구경7.92mm
탄약7.92x57mm 마우저
급탄5/10/20발 박스탄창
작동 방식가스 작동식, 틸팅 볼트
중량4.5kg
전장1,150mm
총열 길이545mm
탄속823m/s
유효사거리402m
최대사거리1,400m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의 반자동소총.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반자동소총이 되겠다.[1]

2 상세

공업이 발달하고 공장들이 밀집되어 있었던 브르노에서 반자동소총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조병창이 있어 주로 화기나 차량, 이외에 타자기같은 도구들을 생산하고 있었다. 여기서 나온 것이 ZH-29다.

가스 작동식을 채용하고 탈착식 탄창으로 경기관총 ZB vz.26/30의 탄창과 공유할 수 있다. 아니면 스트리퍼 클립을 이용해서 장전할 수도 있다. 또 당시 다른 반자동소총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섬세하고 가벼운 편[2]이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방아쇠가 일종의 노리쇠 멈치 역할을 해서 노리쇠가 후퇴했을 때 탄약을 장전하고 방아쇠를 당기면 노리쇠가 전진해 장전이 된다.

그러나 환경조건이 민감해 의심스러운 신뢰성과 명중률, 비싼 가격면에서 군 상층부를 만족시키지는 못했다. 더구나 군의 요청이 아닌 독자적이었기에 개발과 연구에 든 비용은 전부 브르노 조병창이 부담했다. 결국 소량만 채용되었고 적자를 메꾸기 위해 타 국가 및 차기 제식소총 경쟁[3] 등 다른 쪽으로 눈을 돌려보지만 자국의 체코슬로바키아군과 비슷한 이유로 망했어요. 자국군을 비롯해 다른 국가의 군대들도 반자동소총에 대해 회의적이었던데다 기존의 볼트액션 소총으로도 충분하다고 여겨 채용 및 판매가 부진했다. 그나마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었던 중화민국과 계약이 성립되어 1930년부터 2년간 10,000정을 사들였다. 이외에 에타오피아, 태국, 리투아니아가 사용했다.
독일과 강제로 합병당하기 전까지 제한적으로 생산되었으므로 합병하자마자 생산이 끝나버린지라 그리 많이 활용되지는 않았다. 나중에 유사한 단순 잠금장치는 StG44가 사용한다.

중일전쟁 당시 국민혁명군이 사용하여 일본군을 상대로 우수한 화력을 내세웠고, 이에 일본은 노획한 ZH-29를 가지고 기존의 아리사카 소총탄인 6.5x50mmSR과 호환이 되도록 재설계한 프로토타입 '시제 자동소총 을형(試製自動小銃乙型)'을 개발해 육군에 제시하였으나 1935년에 실시된 시험 결과 명중률이 좋지 않은 이유로 채용이 되지 않았다. 대신 적군의 무고장 기관총에 크게 충격을 먹었는지 카피한 기관총은 채택되었다. 한편 해군은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의 M1 개런드와 같은 반자동소총맛 좀 보고는 4식 자동소총이라는 열화카피판을 만들었지만 실전에 배치되지 못하고 폐기처리.

3 둘러보기

전간기를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Vz.98/22, Vz.24/33
반자동소총ZH-29
기관단총KP Vz.38, ZK-383
권총Vz.22/24/27, Vz.38
지원화기기관총LK vz.26/30, TK vz.7/24, TK vz.37
박격포8cm 박격포 Vz.36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국민혁명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Kar98k, 모신나강,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4 엔필드
반자동소총ZH-29, 몬드라곤 M1908, SVT-40C,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MP18, 스텐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PPD-40, PPSh-41C, PPS-43C, 유나이티드 디펜스 M42
권총마우저 C96, 루거 P08, FN M1900,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33
M1911A1, M1917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Vz.26/30, 마드센 M1902, DP-28,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FN M1930, 브렌 경기관총
중기관총PM M1910, 24식 중기관총, 30식 중기관총, MG34, M1919 브라우닝
대전차화기PTRS-41, PTRD-41, 보이즈 대전차 소총
박격포20식 82mm 박격포, 31식 60mm 박격포
냉병기도검대도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이탤릭체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1. 한참 전에도 반자동소총이 등장하긴 했으나 성능은 안 좋고 가격은 비싸 가성비가 나빠서 많이 활용되지는 못했다.
  2. 물론 이후에 나온 개런드토카레프 반자동소총에 비하면 이쪽들이 더 가볍다.
  3. 1930년대 미국의 반자동소총 개발에 .276 페더슨 탄을 사용하도록 개조하여 참여하기도 했으나 실패했다. 여기서 승자는 개런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