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저 M1910


M1910

1 개요

마우저에서 개발한 호신용 자동권총.

2 역사 및 상세

본래는 군 시장을 목표로 개발된 것이 아닌[1] 민수시장을 겨냥하여 개발된 호신용 권총이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제한적으로나마 독일군이 사용하였으며, 종전 후 바이마르 공화국이 세워진 뒤에는 경찰의 제식권총이 되어 발터사의 PP가 등장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2차 세계대전 즈음엔 장교용 권총으로 제공되어 해군과 공군에서 사용되었다.

방아쇠 옆쪽에 달린 안전 장치가 탄창 멈치처럼 생겼지만 실제 탄창 멈치는 탄창 밑바닥 뒤쪽에 달려있다. 안전 장치의 경우 아래로 밀고 버튼을 눌러서 해체하는 방식이다. 슬라이드가 후퇴 고정되었을 때 탄창을 삽입 시 슬라이드가 전진하면서 장전된다.

3 파생형

파생형의 경우 디자인이나 작동 기구의 모양 변화 등 몇 가지 변화를 제외하고는 기본 설계가 유지되었다.

3.1 M1912/14


실험 단계에 그쳐 생산에 이르지 못하면서 희귀해졌다.

3.2 M1914


M1914

.25 ACP를 사용하던 M1910과는 다르게 .32 ACP를 사용한다. 총열 고정핀 등 약간의 디자인 변경이 있다.

3.2.1 Vz.22

CZ22RS.jpg
Vz.22는 전간기 체코슬로바키아군에서 사용된 자동권총으로, M1914의 라이센스 버젼이다.

체코슬로바키아가 건국되면서 새로운 권총이 필요해지자 1920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여 1922년부터 개발이 끝나 생산하기 시작하여 Vz.22로 채택되었다. 주로 헌병대가 사용하였다.
그러나 복잡한 구조 탓에 빠르게 생산이 중단되었고, Vz.24로 대체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에게 상당수가 노획되어 사용되었으며,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나라가 쪼개질 때 슬로바키아가 1,000정 이상의 권총을 가져갔다.

3.2.2 Vz.24

2007313222537_200731212362_vz24No1CropSize.jpg
Vz.22의 개량형. 군의 요구에 따라 문제를 개선하였다.

3.2.3 Vz.27

CZ_vz_27.JPG
Vz.27의 개량형으로, .32 ACP탄을 썼다. 처음엔 만든 공장의 이름을 따 CZ 27로 불렸으나 전후에 이름이 바뀌었다.

스위스와 터키, 영국, 남아프리카 연방, 이집트, 케냐, 파키스탄 등에 수출되었으며,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 합병 후 1939년 3월에 이 권총의 생산량 6,200,000정 중 4,525,000정을 독일이 가져가 P27이라는 제식명을 부여하여 경찰 무장용으로 사용되었다. 전쟁이 끝난 뒤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1950년까지 쓰였다.

ČZ 247이란 자동권총 5정이 1949년 에티오피아 황제 헤일 셀라지에게 선물되었다.

3.3 M1934


M1934


군용 M1934

손잡이 디자인이 보다 곡선이 진 것을 제외하면 M1914와 거의 동일하고, 군용의 경우 사용된 손잡이 재질의 변화(목재), 손잡이에 있는 큼지막한 마우저사의 로고가 사라지거나, 군의 각인이 추가되는 등 민수용과 차이점이 있다.

다만 민수용으로는 등장할 당시 발터 PP가 우세했기에 큰 성공을 벌이지는 못하였고, 그나마 크릭스마리네(해군)과 공군이 구입하면서 이 권총의 주 사용자가 되었다.

마우저 HSc가 생산될 즈음에 M1934의 제조 번호를 이었다.

4 미디어 등장

20150727114931848340.jpg
20150731102213138414.jpg
#!HTML <img src="http://mblogthumb3.phinf.naver.net/20150816_162/ji_hoho_1439716963926HSvzY_GIF/0B3zyoDVlZU-9cTRBNDg3eWprZGM.gif?type=w2">출처
암살(2015)에서 안옥윤(전지현 분)이 결혼식장 의거시에 M1914를 사용한다.

5 둘러보기

제1차 세계대전기의 동맹군 보병장비
개인화기볼트액션 소총게베어 1871, 게베어 1888, 게베어 1898, 만리허 M1893/95, 만리허-쇠나워
반자동소총 / 기관단총젤프스트라더 M1906, 몬드라곤 M1908, 젤프스트라더 M1916, 헬리겔 1915, MP18
권총독일제보어하르트 C93, 마우저 C96, 드라이제 M1907, 루거 P08, 마우저 M1910/14
오스트리아-헝가리제라스트&가서 M1898, 로트-슈타이어 M1907, 슈타이어 M1912, 프로머 슈토프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마드센 M1902, 호치키스 M1909, MG15nA, MG08/15, MG08/18, MG14/17
중기관총호치키스 M1900, 스코다 M1909, 슈바르츠로제 M.07/12, MG08
대전차화기탕크게베어 M1918
화염방사기벡셀아파라트 M1917
박격포그라나트베르퍼 16
전간기를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Vz.98/22, Vz.24/33
반자동소총ZH-29
기관단총KP Vz.38, ZK-383
권총Vz.22/24/27, Vz.38
지원화기기관총LK vz.26/30, TK vz.7/24, TK vz.37
박격포8cm 박격포 Vz.36
제2차 세계대전기의 나치 독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Kar98k, G24(t), G33/40(t), VK, G98/40
반자동소총G41/43, VG 1-5
자동소총FG42, MKb 42, MP43, StG44
기관단총MP18MP18의 파생형, MP38/40/41, EMP44, MP3008, ZK-383, MAB 38, KP/-31
권총루거 P08, 발터 P38, 발터 PPK, 마우저 C96, 마우저 M1934, 마우저 HSc, 드라이제 M1907
지원화기기관총MG07/12, MG08, MG13, MG30, MG26/30(t), MG34, MG35/36, MG37(t), MG42, MG131
대전차화기PzB 38/39, 졸로투른 S-18,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돌격권총, 흡착지뢰
화염방사기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박격포8cm 그라나트베르퍼 34,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르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맨패즈플리거파우스트
유탄막대형 수류탄,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시스베허)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1. 이 권총에 사용된 탄은 모델에 따라서 다르지만 .25 ACP(6.35x16mmSR), .32 ACP(7.65x17mmSR)이었다. 군용으로는 이보다 위력이 더 강력한 7.63x25mm, 9x19mm 파라벨럼을 사용하는 마우저 C96이나 루거 P08을 운용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