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 왕조

Maintenance scrip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4월 7일 (금) 12:14 판 (Imported from text file)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의 역사
인더스 문명
베다 시대드라비다인
십육대국
하리얀카 왕조 · 시슈나가 왕조
난다 왕조 · 마우리아 왕조
체라 왕조
촐라 왕조
판디아 왕조
인도-파르티아인도-그리스슝가 왕조사타바하나 왕조
인도-스키타이칸바 왕조
쿠샨 왕조서사트라프사타바하나 왕조
굽타 왕조바카타카 왕조카담바 왕조칼라브라 왕조
후나족바르다나 왕조찰루키아 왕조팔라바 왕조판디아 왕조
프라티하라 왕조팔라 왕조라슈트라쿠타 왕조
가즈니 왕조서찰루키아 왕조촐라 제국
고르 왕조세나 왕조야다바 왕조호이살라 왕조촐라 제국판디아 왕국
델리 술탄 왕조 · 노예 왕조마두라이 술탄국
델리 술탄 왕조
로디 왕조
구자라트 술탄국
말와 술탄국
자운푸르 술탄국
벵갈 술탄국
바흐마니 술탄국비자야나가르 왕국
무굴 제국 · 수르 제국데칸 술탄국마이소르 왕국
카르나틱 태수령
마두라이 나야크
무굴 제국
시크 왕국무굴 제국영국마라타 동맹
영국 동인도 회사
영국령 인도 제국
파키스탄인도 공화국
파키스탄방글라데시
노예 왕조
سلطنت مملوک‎‎
104px-Mamluk_dynasty_1206_-_1290_ad.GIF
존속기간1206년 ~ 1290년
수도델리
언어페르시아어
종교이슬람 수니파
성립 이전고르 왕조
멸망 이후할지 왕조

1 개요

1206년 고르 왕조로 부터 독립하여 델리를 수도삼아 세력을 키우게 되는 이슬람 왕조. 델리 술탄 왕조의 시초가 되는 왕조이다. 1290년 할지족들에 의해 멸망한다.

2 역사

델리 술탄 왕조의 시초인 노예 왕조를 세운 쿠트브 우딘 아이바크는 원래 노예출신으로 어린 시절에는 한 상인에 의해 길러지다 콰지라는 사람에게 팔려나가게 된다. 그에 의해 아이바크는 종교적이고 군사적인 훈련을 받게된다. 콰지가 죽은 후 아이바크는 그의 아들에 의해 상인에 의해 팔리고 그 상인은 고르 왕조의 왕 무함마드에게 넘어간다. 무함마드에게 충성을 다한 덕분인지 그는 왕의 신임을 얻게 되고 1192년 타라인의 전투 이후 델리에 남아 그 지역을 통치하게 된다. 델리의 통치자가 된 후에도 무함마드의 명에 따라 영토 확장을 계속하게 된다. 이후 무함마드가 죽으면서 실질적으로 델리의 왕이나 다를바 없는 아이바크는 고르 왕조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델리 술탄 왕조를 성립하게 된다.

당시 가즈니에서는 얄두즈가 같이 독립을 했는데 그는 욕심이 많아 아이바크의 델리까지 넘보게 된다. 결국 얄두즈는 델리의 지배권을 주장하며 펀자브 지역으로 침공을 했지만 실패하고 오히려 역으로 수도 가즈니를 빼앗기게 된다. 이대로 아이바크가 가즈니를 통치하나 싶었지만 당시 주민들은 이에 반발하고 얄두즈에게 협력하여 아이바크를 공격하게끔 했다. 결국 아이바크는 가즈니에서 물러가고 인도에 있는 자신의 본토 지역으로 돌아가게 된다.

델리에 독자적인 이슬람 정권을 세웠던 아이바크는 종교에도 매우 열성적인 사람이었다. 그는 델리와 아지메르에 모스크를 세워 자신의 종교적 열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재위 4년만에 아이바크는 라호르에서 차웅가[1]를 하다, 낙마 하는데 이때 입은 부상으로 사망하게 된다. 참고로 다음 술탄은 알람 샤가 즉위하는데 원래 아이바크는 딸 3명밖에 없어 그는 터키계 귀족들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고 한다.[2] 근데 이 알람 샤 술탄은 자신이 왕국을 다스릴 만한 자질이 부족했다. 그래서 터키계 귀족들은 다른 왕을 뽑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샴스 우딘 일투트미쉬를 천거하고 자신들이 술탄이 되어달라고 요청한다. 이는 당시 투르크인들에게 있어 왕위 계승에 관한 일정한 법률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 대부분은 족장이나 귀족들의 의견 혹은 상항이 위급함이 정도에 따라 왕이나 그 지도자를 결정하는 편이었다.

귀족들의 요청에 응한 샴스 우딘 일투트미쉬는 1214년 군대를 이끌고 델리로 향하게 된다. 주드 평원에서 그는 알람 샤를 무찌르고 공식적으로 술탄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신드 지역에서는 나시룻딘 콰바차가 스스로 통치자임을 선언하는 등 여러 지역에서 내분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일투트미쉬는 이런 반란들을 제압하며 무사히 극복하게 된다. 1229년 일투트미쉬는 바그다드아바스 왕조 칼리프로부터 정식으로 술탄의 칭호를 받게 된다.

일투트미쉬가 델리를 굳건히 하고 델리 술탄 왕조의 기반을 튼튼하게 만들고 있을 당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위세를 펼치고 있던 호라즘이 가즈니를 점령하고 인더스 지역으로 진출을 꾀했었다. 하지만 일투트미쉬가 병사를 이끌고 라호르로 달려가 이를 바로 물리치게 된다. 그 후 호라즘몽골 제국에게 패망하는데 이 몽골인들의 세력 확장은 일투트미쉬에게도 큰 위협으로 다가 왔다. 그 외 데바 왕조세나 왕조등 동쪽 지역의 힌두교계열 왕국들과도 다툼이 끊이지 않았다.

일투트미쉬의 뒤를 이어 술탄이 된 사람은 놀랍게도 여성인 라지야 술타나[3]였다. 참고로 일투트미쉬에게는 그녀 말고도 다른 자식들이 있었다. 물론 그중에 아들들도 있었는데 일투트미쉬의 맘에 드는 아들은 나시룻딘밖에 없었다. 하지만 나시룻딘은 나이가 너무 어렸기에 그는 딸이지만 매우 총명하고 자비로운 마음을 가졌던 라지야에게 왕을 물려주게 된다. 하지만 역시나 귀족들의 반발은 강했다. 거기다 그녀의 오빠들도 이를 인정하지 못하였고 노골적으로 술탄자리를 노렸다. 귀족들이나 다른 왕족들 뿐만 아니라 무슬림 사제들의 반발심도 매우 컸다. 결국 라지야 술타나는 안타깝게도 겨우 재위 4년만에 암살당하고 만다.

라지야가 죽은 뒤에 터키계 귀족들은 서로 왕위를 노리고 다투기 시작한다. 이 왕위 다툼은 1246년 원래 일투트미쉬가 점찍어 놓았던 아들 나시룻딘 마흐무드가 재상인 발반의 도움으로 끝을 맺게 된다. 하지만 이 재상 발반의 야욕도 상당히 만만치 않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세력을 점차 강화시켜 나가게 된다. 그러나 당시 귀족들의 반발심이 매우 강해 발반은 어쩔 수없이 당장은 물러나게 된다. 하지만 펀자브 지방으로부터 몽골세력의 위협은 나시룻딘에게 큰 근심거리로 작용되었다. 이에 나시룻딘은 물러났던 발반을 다시 왕궁으로 물러들이게 된다. 발반은 술탄의 무한한 신뢰를 받아나갔고 기존에 자신을 반대하던 정적들을 제거해나간다.

1266년 나시룻딘 술탄이 사망하면서 발반은 자신이 직접 술탄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는 이전날 치욕을 생각했고 귀족들 특히 인도계 귀족들을 경계했으며 이들을 절대 중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는 터키계를 제외한 다른 민족들을 차별하기 시작했다. 이는 결국 나중에 큰 문제점을 가져오고 노예 왕조를 멸망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

발반이 죽고나서 델리의 귀족들 사이에는 큰 분쟁이 일어나게 된다. 본디 발반은 자신의 큰아들 무함마드를 후계자로 삼았었는데 그는 몽골 제국과의 전투로 전사하게 된다. 그래서 터키계 귀족들은 둘째 부그라 칸을 후계자로 지목한다. 하지만 당시 벵골과 비하르 지역을 통치하던 부그라 칸은 술탄자리에 관심이 없어 이를 거절한다. 귀족들은 이에 당황하게 되었고 발반의 손자 카이카바드가 술탄자리에 오르게 된다. 하지만 그는 어렸기에 왕위에는 적합하지 않았고 결국 할지족들의 반발로 노예 왕조는 할지 왕조로 넘어가게 된다.

3 역대 국왕

  • 1대 쿠트브 우딘 아이바크 ( 1206년 ~ 1210년)
  • 2대 알람 샤 (1210년 ~ 1211년)
  • 3대 샴스 우딘 일투트미쉬 (1211년 ~ 1236년)
  • 4대 라지야 알딘 (1236년 ~ 1240년)
  • 5대 무이즈 우딘 바흐람 (1240년 ~ 1242년)
  • 6대 알라우딘 마수드 ( 1242년 ~ 1246년)
  • 7대 나시룻딘 마흐무드 (1246년 ~ 1266년)
  • 8대 기야스 우딘 발반 (1266년 ~ 1287년)
  • 9대 무이즈 우딘 무함마드 카이카바드 (1287년 ~ 1290년)
  1. 일종의 폴로 경기
  2. 근데 일설에서는 알람 샤가 아이바크의 아들이라는 말도 있다.
  3. 남성의 경우 술탄이라 하고 여성은 술타나라고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