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기타 | ん | 々 | ・ | ||||||||||||||||||||||||||||||||||||||||||||||||||||||||||||||||||||||||||||||||||||||||||||||||
あ゙ | ヴ | お゙ |
요음 | 촉음 | ||
ゃ | ゅ | ょ | っ |
목차
1 개요
- 가타카나: ナ (奈의 약자)
- 히라가나: な (奈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나
- 라틴 문자 표기: na
- IPA: /nä/ (유성치경비음 + 중설 평순 저모음)
- 일본어 통화표: 名古屋のナ (나고야노 나)
- 일본어 모스 부호: ・-・
な행 あ단 글자이다.
2 な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に를 제외한 な행은 유성치경비음이며, に는 구개음화되어 치경구개 비음이다. 비음의 특성상 무성음은 없으므로(세계적으로도 드문 편) 탁음을 쓰지 않는다.
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pi:nʌt] → ピーナッツ. 다만 한국인 이름의 일본어 표기에서는 어째서인지 お단으로 쓸 때가 많다. ex) 선 → ソン
4 모양
둘 다 奈에서 따왔다. 사실 奈라는 글자는 원래 한자부터가 별 뜻이 없는 글자여서 중국에서는 지금도 /na/ 발음에 해당되는 글자로 이 한자를 쓰고 있다. 나락(奈落)도 'naraka'를 奈로 옮긴 음차 한자어이다. 한국어, 일본어로도 음이 여전히 /na/.
히라가나 な는 た와 조금 닮은 면이 있는데 た가 太에서 온 걸 보면 한자 모양도 위쪽에 大가 들어간다는 점이 닮았다.
히라가나 な는 사람에 따라서 십자를 뺀 오른쪽 부분을 하나로 이어서 쓰는 사람도 있고, 점 하나 찍은 다음에 나머지 부분을 쓰는 사람도 있다. 인쇄체도 폰트에 따라 이어져있기도 하고 끊어져 있기도 하다. 이건 さ나 き와 유사한 부분.
가타카나 ナ는 히라가나 な에서 오른쪽 부분을 없앤 것처럼 생겼다. 너무 기울이면 メ와 비슷해 보일 위험이 있지만, 실제로 혼동하는 경우는 적다.
나가노 현과 나라 현의 현 깃발은 가타카나 ナ의 모양을 딴 것이다. 히라가나 な는 도식화하기 좀 어렵겠지
5 한글 표기
무난하게 '나'로 적는다.
6 쓰임
6.1 な형용사
일본어의 형용사 중 하나로 'な형용사'라는 것이 있다. '형용동사(形容動詞)'라고 부르기도 한다.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명사와 유사하게 -だ로 끝나지만 관형적 용법으로 쓰일 때 -な(명사) 꼴로 쓰이기 때문에 な형용사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본어 위키피디아 '형용동사'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형용동사라는 명칭에는 논란이 좀 있다. 사실 な형용사의 활용은 거의 형용사와 유사하며 동사라고 불릴 여지는 없다. 진행형이나 명령형을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닮은 걸로 치자면 명사랑 더 닮아서 차라리 '명사 형용사'가 더 걸맞을 수 있다. 일단 '형용동사'라는 명칭은 끝에 붙는 だ를 조동사로 본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일본어에서만 쓰이는 품사 용어라서 나무위키에서 형용동사 문서는 형용사로 리다이렉트되어있다.
역사적으로는 헤이안 시대에 형용사(い형용사)가 부족했을 시절, 명사에 なり(수식할 땐 なる)나 たり(수식할 땐 たる)를 붙이던 형태가 굳어진 것이라고 한다. 오노 스스무, 일본어 문법 고전편(1988) なり는 (명사)+にあり, たり는 (명사)とあり의 축약. 후자는 (명사)たる 식으로 변형되었고, 전자가 주로 な형용사로 변화하였다. (명사) + なる 용법도 문어적으로 지금도 이따금 쓰인다. ex) 偉大なる業(위대한 업적)
명사형 단어에 붙어서 활용된다는 점 때문에 명사 + だ와 헷갈릴 수 있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 뒷 단어 수식이 가능: きれいだ - きれいな人(O) / 学生だ - 学生だ人(X) (이 땐 学生である人를 쓸 수 있다)
- 부사를 붙이는 것이 가능: きれいだ - かなりきれいだ(O) / 学生だ - かなり学生だ(X)
정중형에서 だ 대신 です를 쓰는 것은 명사 + だ와 동일하다.
일본어 단어 중 명사일 것 같은데 이 な형용사인 것들이 좀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病気だ / 気味だ 같은 단어는 왠지 명사 같아서 病気がある, 気味がある(아픈 기운이 있다, 기미가 있다) 식으로 실수하기 쉽지만 な형용사로 활용하는 게 옳다. 반대로 邪魔だ와 같은 な형용사는 어째서인지 '방해야' 라고 명사형으로 오역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에는 없는 문법이니 대응은 힘들겠지만 한국어에서 한자어로 형용사를 만들 땐 동사와 똑같이 '하다'를 붙이고 (ex: 화려하다) 뒷문장을 수식할 때는 '한'이 되므로 '한'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나 な형용사의 어간은 한국에서도 그대로 쓰이는 한자어일 때가 많아서 바로 '한'으로 일대일 대응될 때도 종종 있다. 방금 예를 든 華麗な 역시 '화려한'으로 옮겨질 테고. 참고로 일본에서는 한자어를 동사로 만들 땐 す, する, ずる, じる 등을 써서 형용사와는 양상이 다르다. ス와 シ 항목 참조.
6.2 なる의 어간
なる는 한국어로는 주로 '되다'에 대응되는데, 그런 기본 동사들이 다 그렇듯이 용법이 굉장히 많아서 '되다'와 일대일 대응이 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존경어 용법의 になる라든가... 이 문서는 'な' 문서이므로 なる의 용법을 구체적으로 쓰는 것은 좀 부적절할 것 같다. 'なる' 문서를 따로 파도 토막글은 벗어날 수 있을 듯.
する와는 달리 활용될 때 어간이 변화하지 않고 仕事처럼 한자로 쓰지도 않으므로(仕는 する가 변화한 し의 한자로 쓰인다) 문장에서 보이는 な는 많은 경우 なる의 어간인 경우가 많다.
6.3 な행 변격 동사(ナ行変格動詞) (문어)
끝이 ぬ로 끝나는 동사 중 死ぬ와 往ぬ(지금은 쓰이지 않는다)는 な행 변격동사(ナ行変格動詞)라고 불규칙적으로 활용되었다. 둘 다 ぬ로 끝나는 동사이므로 ぬ 항목을 참조.
6.4 훈독
名의 훈으로 읽는 용법이 제일 익숙하다. 일본어를 처음 배울 때 외우는 '이름(名前;なまえ)'에도 이 용법으로 な가 들어간다. '이름'에 관련된 단어들도 'めい'라고 음으로 읽는 용법을 제외하면 な가 들어가는 편. 名乗る(なのる;이름을 대다), 名札(なふだ;명찰) 등등.
'무엇'을 뜻하는 なに는 보통 何(어찌 하)를 쓴다. 이따금 なん으로 쓰이기도 한다. '몇', '어떤' 등등에 대응되는 표현. 그래서 일본어 의문문에는 な가 들어갈 때가 많다.
나물 채(菜)를 な라고 읽기도 한다. ex) 青菜(あおな) 이 용법은 특히 여자 이름에서 가끔 쓰인다. ex) 오노 하루나
일본어의 부정형인 '~나이'도 '無い'의 훈독이다. 그리고 되다를 뜻하는 '나리'도 '成り'로 쓸수 있다. 하지만 전자 후자 모두 히라가나로 쓰는 경우가 훨씬 많다.[1]
6.5 음독
南은 음으로 보통 なん이라고 읽지만, 南雲(なぐも)와 같이 ん을 빼고 읽는 경우도 있다.
納을 な라고 읽을 때도 있다고 변환도 되고 일어 사전에도 그렇게 나오긴 하는데 그렇게 읽는 경우를 찾기가 쉽지 않다. 보통은 納豆(なっとう), 納得(なっとう)처럼 なっ, 혹은 奉納(ほうのう)처럼 のう라고 읽는다.
그 외에 な 한 글자로만 읽는 한자들은 그렇게 썩 많지는 않다. IME에서 음독으로 기본 변환되는 게 奈拿納那南밖에 없다(...). 이 점은 한글 '나'도 마찬가지. 그나마 대한민국에서는 두음법칙으로 '라'가 어두에서 '나'가 되는 경우가 이따금 있지만.(나팔, 나체 등)
6.5.1 だ와의 음운 대립
일본 한자음에서 오음에서 な행인 것들이 후대에 들어온 한음에서 だ행으로 이어진 경우가 있다. 중국 음운의 泥 성모가 /n/에서 /nd/로 변화한 것이 일본 한자음에 반영된 것이다. 일본 한자음은 한음이 더 보편적으로 쓰이므로 아래의 경우 대체로는 だ행 쪽으로 더 많이 읽는다.
- 男(なん/だん): 長男(ちょうなん) / 男子(だんし)
- 內(ない/だい): 境内(けいだい) / 内密(ないみつ)
6.6 그 외
종조사로 하지마라는 뜻이 있다.
- 騒ぐな(떠들지 마라)
한편 감정 표현으로 '~구나' 식의 어미가 되기도 한다.
- きれいだな(예쁘구나)
- ↑ 번역기에 無い, 成り라고 치면 ない, なり로 변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