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넘어옴)
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ム (牟의 약자)
  • 히라가나: む (武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무
  • 라틴 문자 표기: mu
  • IPA: /mɯ̹/ (양순 비음 + 후설 원순 고모음 + 평순화) 뒤집어도 /mɯ/
  • 일본어 통화표: 無線のム (무센노 무)
  • 일본어 모스 부호: -

ま행 う단 글자이다.

2 ま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양순 비음으로, 비음의 특성상 거의 유성음이며 탁음은 없다. 양순음이라는 점에서는 ば/ぱ행과 유사하다.

일본 한자음 중 오음으로 ま행인 게 한음으로는 ば행인 것들이 있다. 이런 한자들은 한국 한자음에서는 대체로 오음과 같이 ㅁ으로 읽는 글자들이 많다. 전반적으로 한음 ば행이 우세하지만, 늘 그렇지는 않다.

3 う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평순 고모음(/ɯ/)으로 ㅜ(/u/)와 ㅡ(/ɨ/)의 중간발음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4 발음

(연구개 파열음 + 후설 평순 고모음)이다. 정확히는 입술이 동그래지는 정도(원순)가 ㅜ와 ㅡ의 중간 정도 된다고 한다.

5 모양


둘 다 음에서 따왔다. 牟는 그다지 잘 쓰는 한자는 아닌데, 한국어에서는 석가모니(釋迦牟尼)에 그 글자가 들어간다. 일본에선 그 단어를 シャカムニ(샤카무니)라고 ム라고 읽는다. 그쪽이 범어 발음엔 더 가깝긴 하다.

한자에서 자주 등장하는 모양이라서 그런지 한자를 따온 글자에서는 공통적으로 비슷한 모양의 글자를 갖고 있다. 주음부호 ㄙ(s)는 私의 옛 글자에서 따왔고 초성을 따왔다. 한국어 구결에도 이 모양이 쓰이는데 여기서는 矣를 따와서 '의'라고 읽는다.

히라가나의 유래가 된 武는 지금도 む라고 읽지만 오음/한음의 교차로 ぶ라고도 읽는다. 후술하겠지만 武者는 しゃ고 武士는 し인 등... 둘이 꽤 비등비등하게 쓰여서 귀찮은 글자 중 하나이다(...). む로 읽는 한자들이 대체로 겪는 현상. 사실 ま행이 전반적으로 그렇다. 해당 한자는 훈으로는 보통 たけし라고 읽는데 사람 이름으로도 자주 쓰인다.

6 한글 표기

늘 '무'라고 읽는다. う단이 늘 그렇듯 외래어라고 여겨지면 ㅁ받침으로 쓰기도 한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에서 レシラム를 '레시라무'라고 번역해서 논란이 된 적이 있기도 했다.

7 쓰임

7.1 ま행 5단 동사의 어미 む

다른 う단과 마찬가지로 일본어 동사의 어미로도 쓰인다. 사실 동사 어미로 못 쓰이는 う단은 뿐이니까(..). -와 함께 뒤에 で나 だ가 이어지면 ん으로 변화한다. ex) のむ - のんだ 두 글자는 양순음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이와 상관이 있는지는 불명. ま행에서 어미가 변하므로 ま행 5단 동사(マ行五段活用動詞)라고 부르기도 한다.

む로 끝나는 동사 중 가장 유명한 것은 込む(こむ)로 단독으로 잘 쓰이진 않지만 다른 동사와 굉장히 자주 쓰인다. 애초에 일본에서밖에 안 쓰는 한자라서 뜻을 짐작하기도 쉽지 않은데, 대략 '들이다' 정도로 생각해도 워낙에 다른 동사와 폭넓게 접속해서 하나하나 익혀둘 필요가 있다. 入れ込む는 '들여놓다', 包み込む는 '싸서 안에 넣다', 忍び込む는 '숨어들다' 등.

그밖에 む로 끝나는 동사 중 유명한 것들은 はさむ(끼우다), うむ(낳다), かむ(씹다) あゆむ(걷다) つつむ(싸다) にくむ(미워하다) 등이 있다. はさむ에서는 ハサミ(가위)라는 표현이 나오기도 했다.

7.2 음독

음이 む인 한자는 矛(창 모) 無(없을 무) 夢(꿈 몽) 鵡(앵무 무) 牟(무) 務(임무 무) 武(싸울 무) 霧(안개 무)가 있다(IME 변환 기준). 다들 한국어로도 모, 무인데 夢만 조금 특이한 사례.

오음에서 ま행인 것들이 한음에서는 は행 탁음인 경우가 많아서 많은 경우 ぶ로도 읽는다.

    • む: 武者(むしゃ) 武蔵(むさし) 
    • ぶ: 武士(ぶし) 武力(ぶりょく)
    • む: 無限(むげん) 無理(むり) 無駄(むだ) 無暗(むやみ) 無視(むし) 無料(むりょう) 無線(むせん) 有無(うむ)
    • ぶ: 無事(ぶじ) 無難(ぶなん) 無聊(ぶりょう)
    • 둘 다 됨: 無音(ぶいん/むおん) 無人(ぶにん/むにん/むじん) (뜻은 좀 달라질 수 있다)

7.3 훈독

훈이 む 단독인 한자는 별로 없다.

7.4 기타

へ와 유사하게 모스 부호가 꽤 간단하다. 긴 줄 하나.

8 외래어에서

외래어에서 -m로 끝나는 단어들을 ム로 쓰기도 한다. 이 경우엔 한글로는 주로 ㅁ받침으로, -므라고 쓸 땐 그다지 없다. 표준 표기는 아니지만 프랑스어 표기로 팜 파탈을 '팜므 파탈' 식으로 쓸 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