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넘어옴)
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ワ (和의 약자)
  • 히라가나: わ (和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와
  • 라틴 문자 표기: wa
  • IPA: /β̞ä/ (양순 접근음 + 중설 평순 저모음)
  • 일본어 통화표: わらびのワ (와라비노 와)
  • 일본어 모스 부호:-・-

わ행 あ단 글자이다.

2 わ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わ행은 본디 양순 연구개 접근음([w]) 혹은 양순 접근음([β̞])이었으나 ゐ와 ゑ는 현대 일본어에서 쓰이지 않게 되었다. を는 조사로만 쓰인다.

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pi:t] → ピーッツ. 다만 한국인 이름의 일본어 표기에서는 어째서인지 お단으로 쓸 때가 많다. ex) 선 → ソン

단 わ는 [wʌ] 계열일 때 ウォ로 적는 경우도 꽤 있다. 후술 참조.

4 모양


둘 다 和의 음에서 왔다. 이 한자는 지금도 わ로 읽는다.

히라가나 わ는 , 와 꼬리로만 구분하는 모양 세트이다. 하지만 ね(祢), れ(礼)가 보일 시(示) 변을 공유하는 것과 달리 わ는 벼 화(禾) 변이라는 게 사소한 차이. 정자로도 그다지 모양이 차이가 나지 않으니 초서체로 동일해지는 것도 당연하다.

가타카나 和는 오른쪽의 口의 일부를 따왔다는 듯하다. 통째로 따오면 ロ랑 겹치니까(이쪽은 呂에서 옴) 아래 한 획을 없애고 갖고 왔다는 듯. 혹은 고리를 わ(輪)라고 읽는 것에서 유추해, 고리 모양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다.

백괴사전에서는 わ를 보고 갓 쓰고 자루 짊어진 사람이라고 한다(...). 바리에이션으로 ね는 그 사람이 잡힌 것, れ는 자루가 아닌 채찍을 들고 가는 것이라고 한다.

5 발음

'와'라고 읽는다. 조사로 쓰는 는 は라고 쓰지만 읽을 때는 わ와 동일하게 읽는다. 이는 순음퇴화 때문이다.

6 쓰임

6.1 음독

우리나라에서 '과'라는 음을 가진 한자는 원래 일본어에서도 くわ로 전파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w발음이 없어져 か 발음이 되었다. 하지만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는 없어진 w발음을 그대로 표기해 くわ라고 적었다. 이는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 か로 적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만 현재도 w발음이 남아있는 사투리는 작은 가나를 사용해 くゎ로 쓴다.

6.1.1

わ의 유래가 되기도 한 和는 '어울릴 화'로, 한국어에서는 '평화', '화목' 등 평범하게 쓰이는 글자이지만 일본어에서는 굉장히 자주 쓰인다.

쇼토쿠 태자의 십칠조 헌법 1조는 以和為貴(화합을 중시하라)일 정도로 # 일본에서는 중요시되는 가치라고 한다. 和をもって尊しとなす와 같은 말을 하기도 했다. 일본을 뜻하는 '야마토' 역시 大和라고 쓸 정도.

일본 내에서는 '일본'을 뜻하는 단어로도 자주 쓰인다. '영일사전'을 英和辞書이라 하고, '양복'의 반댓말로 和服(わふく)를 쓰는 등. 일본 밖에서 그 의미로 쓰는 왜(倭) 역시 발음이 わ라서 둘 사이의 상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설에는 '나'를 뜻하는 わ에서 왔다는 얘기도 있다.

6.1.2

이야기 화(話) 역시 음으로 わ라고 읽는다. 電話(でんわ;전화) 등. 한국 한자음에서 '화'로 읽는 다른 한자들은 주로 か로 읽을 때가 많으니 주의. ex) 회화(絵画かいが/会話かいわ)

6.1.3 훈독

훈으로 읽으면 わ는 '고리'가 된다. 그래서 指輪(ゆびわ)는 '반지'가 된다. 環라고 쓰기도 한다.

날개 달린 것들을 세는 깃 우(羽) 역시 わ로 읽는다. 단, 이 표현은 원래는 は였기 때문에 탁음이 붙을 때는 ば로 붙는다.(三羽さんば) 원래부터 わ였다면 탁음이 붙지 않았을 텐데 흔적이 남아있는 것이다.

'나'를 뜻하는 我도 있다. 吾로도 쓰고... 여기서 われ, わたし등이 나온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는 わ 단독으로 1인칭이 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를 붙여서 わがしゃ(우리 회사), わがくに(우리 나라), わがはい(우리들) 등의 단어를 이루기도 한다.

6.2 종조사 わ

말 끝에 わ가 붙는 경우가 있다. 현대에는 여자들이 주로 쓰는 모양이다.

7 외래어 표기

앞서 말했듯이 한글로 '어'라고 적는 외래어를 가나로는 あ단으로 적을 때가 많은데 한글로 '워'가 되는 외래어들은 가나에서 ワ와 ウォ가 조금 갈린다. 한글에는 [wo]가 없어서 그것까지 '워[wʌ]'로 똑같이 적는 데 비해 이를 가나로는 ウォ로 구분해서 적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생긴다. ワーレット나 ウォーレット(월렛)처럼 두 가지 모두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 규칙에 따르자면 한국어의 '워[wʌ]'는 사실 ワ로 적어야 더 맞겠지만 보통은 ウォ로 적는다. ex) 한국 원: ウォン

7.1 ワ로 적는 것들

  • 월드(world[w3:rld]): ワールド
  • 워킹(working[|w3:rkɪŋ]): ワーキング
  • 원더(wonder[|wʌndə(r)]): ワンダー
  • 샤워(shower[|ʃaʊə(r)]): シャワー

7.2 ウォ로 적는 것들

  • (war[wɔ:(r)]): ウォー
  • 워크맨(walkman[|wɔ:kmən]): ウォークマン
  • 워치(watch[wɑ:tʃ;wɔ:tʃ]): ウォッチ
  • 워터(water[|wɔ:tə(r);]): ウォーター
  • (wall[[wɔ:l]): ウォ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