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 버스 9

경기도 광주시진입 시내버스
직행좌석500-1500-210051113
1113-11113-211171150
115113031500-2
일반좌석114
시내
122-13-1
4-59/9-11313-2
14-315-11717-1
2031-231-332
32-1526095
95-1119300500-5
520521522660
공영광주공영버스(36-15제외)21-121-2
마을3-35757-157-2
광주시 전체 노선 목록광주시 미경유 노선 목록

1 9번

파일:Attachment/P508752.jpg
KD의 흔한 차량관리. 회사규모가 커지면서 차량 부식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물론 지금은 다시 깔끔해졌지만.


출처

1.1 노선 정보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9번
기점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사송동)종점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남한산성)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6:00
막차22:00막차23:00
평일배차10~15분주말배차10~15분
운수사명대원고속인가대수15대
노선사송동 - 탄천종합운동장 - 야탑역 - 모란역 - (→ 성일중.고교 →) - 중앙시장 - 태평2동주민센터 - 수정구청 - 산성역 - 민속마을 - 논골 - 은행시장 - 남한산성입구 - 민속마을 - 남문매표소 - 남한산성

1.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사송동에서 야탑역, 모란역, 태평2동, 산성역,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를 거쳐 남한산성(산성리)를 잇는 일반시내버스. 전체 정류장 목록

1.3 역사

  • 경기교통 시절부터 운행 중인 노선으로, 경기교통 부도 후 대원고속에서 인수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1.4 특징

  • 평일에는 그저 그런 노선이지만 주말만 되면 미어터지는 노선이다. 남한산성 매표소를 지나 안쪽까지 들어가는 몇 안되는 버스이기 때문에 등산객 수요가 넘쳐나 입석인 경우가 다반사. 이에 성남시내버스 52번을 남한산성까지 연장했지만, 40분에 1대 오는 수준인지라 + 차량도 마을버스용인 현대 카운티를 몇 대 넣어서 여전히 미어터진다.
  • 비 오는 날 타면 중앙시장을 지나면서 은행시장까지 구간에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서울주민이나 분당구민이면 야탑에서 이 버스를 타고 남한산성 남문까지 올라가보자. 성남구시가지라고 불리는 곳이 어떤 곳인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 남한산성 산복도로 구간의 경우 하남시 정류장이 있지만 하남시의 실질 생활권은 아니다. 월경지 참고.
  • KD운송그룹 내 여타 노선과는 달리 다소 속도를 내는 편인데, 남한산성 산복도로에서 내려올 때 탄력을 이용해 속도를 많이 낸다. 게다가 속도제한을 걸어놓지 않았는지 경보음도 들리지 않는다.
  • 산길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남한산성에서 탔을 때를 기준으로 다운힐, 그리고 성보경영고 앞 오르막길까지 모두 체험할 수 있다. 단, 길 옆에 안전장치가 그다지..라 무서울 수도 있다.
  • 시간대만 잘 맞으면, 이 노선을 타고 남한산성종점까지 간 다음, 15-1번을 타고 내려가 광주로 가는 방법도 있다.

1.5 연계 철도역

2 9-1번

파일:/20140824 102/nobunaga34 1408883991948JWAcQ JPEG/9-1-.jpg
출처

2.1 노선 정보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9-1번
기점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산성역)종점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남한산성)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20
막차18:00막차18:20
평일배차운행안함주말배차5~8분
운수사명대원고속인가대수2대
노선산성역 - 폴리텍대학 - 남문매표소 - 남한산성

2.2 개요

산성역에서 남한산성(산성리)를 직통으로 잇는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2.3 역사

추가바람

2.4 특징

  • 기존 9번이 산성역 - 남한산성 구간에서 은행시장을 경유하는 등 꽤 많이 돌아갔기 때문에 만들어진 직통 노선이다. 산성역에서 돌아가는 것 없이 바로 남한산성으로 간다.
  • 이 노선은 주말 및 공휴일에만 운행한다. 평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차량은 9번에서 빼온 2대로 운행. 평일에는 9번에서 운행하고 휴일에는 9-1번에서 운행하는 방식이다. 행선판도 번호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출처

2.5 연계 철도역

  1. 9번 차량이 측면에 임시 행선판을 꽂고 운행한다. 하단 참조
  2. 이름은 같지만 다른 곳에서도 등산객 편의를 의해 지선을 주말에 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