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광주시 버스 목록
width=100% | |
2004년 5월 촬영. 구도색차량. 출처 | 2013년 촬영. 해당 차량은 현재 폐차. |
2016년 1월 촬영. 출처 | 17-1번. 2016년 1월 촬영. 출처 |
목차
1 노선 정보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17번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광주차고지)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래미안금광A)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4:40 |
막차 | 22:2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출퇴근 5분/평시 10분 | 주말배차 | 15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52대 | ||
노선 | 광주차고지 - 보건소 - 광주터미널 - 오포읍 - 문형리 - 신현리 - 장안타운 - 효자촌 - 동국대한방병원 - 수내역 - 서현역 - 이매역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수진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 신구대학 - 래미안금광A |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17-1번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광주차고지)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래미안금광A) | ||
종점행 | 첫차 | 04:5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00 | 막차 | 23:10 | ||
평일배차 | 출퇴근 20분/평시 30분 | 주말배차 | 4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10대 | ||
노선 | 광주차고지 - 보건소 - 경안동주민센터 - 양벌리 - 오포읍 - 문형리 - 신현리 - 장안타운 - 연수원입구 - 서현역 - 이매역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수진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 신구대학 - 래미안금광A |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17-1A번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광주차고지)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래미안금광A) | ||
종점행 | 첫차 | 06:00 | 기점행 | 첫차 | 05:25 |
막차 | 21:20 | 막차 | 23:10 | ||
평일배차 | 80~120분 | 주말배차 | 200~30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대 | ||
노선 | 광주차고지 - 보건소 - 경안동주민센터 - 양벌리 - 오포읍 - 봉골우림아파트 - 신현리 - 장안타운 - 연수원입구 - 서현역 - 이매역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수진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 신구대학 - 래미안금광A |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광주시 송정동에서 성남시 금광동을 잇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17번, 17-1번)
3 역사
- '천호동 - 잠실 - 성남시 - 광주읍' 시외완행버스가 전신이다.
- 이후에 17번, 17-1번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분당신도시를 경유했기 때문에, 개발 초기에는 분당과 서울을 잇는 중요한 노선으로 통하기도 했다. 그러나 차츰 타 노선이 개통되면서 수요가 차츰 줄어 유령노선화되었다가, 17번, 17-1번 노선은 사라졌다.
- 그러다가 2000년대 초반, 광주와 분당을 거쳐 금광동까지 가는 17번이 새롭게 신설되었다. 이후 수요가 급증하여 광주시와 성남시를 잇는 노선 중 배차 간격이 조밀한 노선으로 광주시와 성남시에서 모두 인지도가 높은 노선으로 성장하였다.
- 17-1번은 2008년 3월에 119번의 '광주 - 능골' 구간이 단축되면서 이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초반에는 119번을 대체하기 위해 양벌리를 경유했던 점을 빼면 17번과 동일했고, 이 때문에 한때는 17-1번 측면에 17번과 17-1번은 동일한 노선이라는 안내문을 게시하여 다니기도 했다. 관련 사진[2]
- 2009년 3월 2일부터 17-1번은 광남중을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 야탑과 광주를 바로 잇지 않고 서현역, 수내역으로 우회하여 갔기 때문에 불만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17-1번을 '야탑역 - 시범단지 - 장안타운' 경유로 변경하였다. 이 변경으로 17-1번은 119번과 동일하게 되었고, 119번에 과도하게 몰렸던 수요도 다소 분산되었다.
- 2016년 7~8월 경 17-1A번 노선이 분리신설 되었다. 기존의 17-1번 노선 중 빨간색 번호판을 달고 문형2,3리 대신 봉골우림아파트를 경유하는 노선이 정식 노선으로 등록된 것이다.
4 특징
4.1 17번과 17-1번의 노선 차이
4.1.1 광주시내에서의 차이점
- 17번은 송정교교차로에서 광주터미널 방면으로 진입한다.
- 17-1번은 파발교사거리에서 경안동주민센터 방면으로 진입하고 축협을 경유해 구3번종점에서 두 노선이 다시 만난다.
4.1.2 양벌리 경유 여부
- 17번은 오포방면으로 직진한다.
- 17-1번은 장지사거리에서 양벌리로 빠진다. 양벌3리, 양벌쌍용1차아파트, 양벌초등학교, 롯데칠성음료공장 그리고 광남중학교를 경유한다.
4.1.3 분당시내에서의 차이점
- 17번은 장안타운에서 효자촌 방면으로 진입해서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과 능골공원, 양지마을, 수내역, 서현역을 거쳐 모란방면으로 간다.
- 17-1번은 서현로를 직진하여 연수원입구를 경유해 성남대로 모란방면으로 진입한다.
4.2 17-1번과 17-1A번의 노선 차이
- 17-1번은 노동교육청삼거리에서 문형삼거리 방면으로 직진하여 문형2,3리를 거쳐 능골삼거리 방면으로 간다.
- 17-1A번은 노동교육청삼거리에서 봉골길 방면으로 좌회전하여 우림아파트를 거쳐 능골삼거리 방면으로 간다.
4.3 수요
전체적으로 보면 광주시 내부, 광주시 - 분당신도시, 분당신도시 내부, 분당 - 수정/중원구 연계가 주를 이룬다. 특히 광주시내~오포 구간 및 단대오거리역~모란역~야탑역~서현역~수내역 구간은 노선이 직선 형태로 되어 있어 인기가 높다. 다만, 단대오거리~모란~야탑 구간은 성남시에서 가장 인기있는 노선 중 하나인 성남 버스 51에 밀리는 편. 또한 서현역~수내역~수내동~분당동 구간을 성남 버스 33과 수요를 양분하여 인기도가 높은데, 이 구간에서는 경기고속 소속 노선답지 않게 33번을 의식해서 그런지 속도를 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노선은 전체적으로 보면 굴곡이 심한 편. 성남 금광동이나 모란에서 광주 시내 가려는데 광주 행선판만 보고 이 노선을 타면 불필요한 분당투어와 오포투어를 하게 되므로 큰 낭패를 보게 된다. 또한 서현역~수내역~수내동~분당동 구간을 경유하기 때문에 야탑에서 분당 장안타운 지역이나 광주시 지역은 우회해서 가게 된다. 빨리 가고 싶으면 중원구에서는 성남 버스 3-1을, 분당에서는 성남 버스 300을 타도록 하자. 그래도 2000년대 초반에는 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얼마 안되는 노선이라 우회하는데도 타는 승객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해당 구간을 직선으로 운행하는 119번이나 17-1번으로 수요가 많이 이동한 상황. 그래도 경기도 시내일반버스 승차량 순위 10위권에는 든다.
4.4 차량
17번의 경우 인기가 많아 한때 저상버스를 투입하기도 했으나, 송정동차고지에 이동식 가스충전소가 없어지면서 저상버스를 모두 타 노선으로 넘겼다가, 2012년 다시 차고지에서 가스충전이 가능해지면서 저상버스를 재투입하고 있다. 가스 충전 시설이 있는데도, 기존 차량을 대차할 차량으로 NEW BS106 유로6 디젤을 출고시키고 있다..[3]
17번에는 2006년에 BC211M 초기형 중저상을 출고했었다. 경기도 신도색 적용전에 들어온 차량이라 구도색을 입고 출고되었다.#
17-1번의 경우 주력차종은 NEW BS106이고 과거에는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를 운행했었다.[4]
2016년 8월에는 대원고속 16번에서 넘어온 12년식 크롬시티들을 대차하고 뉴비 디젤 신차를 가져왔다. 크롬시티들은 경기버스 23번으로 이동.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모란역, 신흥역, 수진역, 단대오거리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수내역[5],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경기광주역, 이매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