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선 | |||||
왕십리 방면 태 평 | ← 0.9 km | 모 란 | → 2.3 km | 수원 방면 야 탑 | |
수도권 전철 | |||||
8호선 | |||||
암사 방면 수 진 | ← 1.0 km | 모 란 (826) | 시종착 | ||
분당선 | |||||
왕십리 방면 태 평 | ← 0.9 km | 모 란 (K225) | → 2.3 km | 수원 방면 야 탑 |
모란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Moran |
한자 | 牡丹 |
중국어 | 牡丹 |
일본어 | モラン |
역번 | |
서울 지하철 8호선 | 826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K225 |
300px 서울 지하철 8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수도권 전철 분당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 지하철 8호선 모란역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 지하 100 (舊 수진동 4518) |
수도권 전철 분당선 모란역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지하 1147 (舊 성남동 1575) |
수도권 전철 | |
운영기관 | 100px |
8호선 개업일 | 1996년 11월 23일 |
운영기관 |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
분당선 개업일 | 1994년 9월 1일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 |
분당선 개업일 | 1994년 9월 1일 |
관리역 등급 | 배치간이역(수서역 관리) |
牡丹驛 / Moran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분당선), 지하 3층(8호선)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공통)
목차
1 개요
서울 지하철 8호선 826번.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 지하 100 (舊 수진동 4518번지) 소재.
수도권 전철 분당선 K225번.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지하 1147 (舊 성남동 1575번지) 소재.
2 역 정보
이름은 인근에 모란시장이 있어서 붙여졌으며,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시종착역이다. 양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 가동 중.
대부분 기존 노선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의 환승역이 이렇게 되어 있지만 분당선 맞이방은 언제나 붐비는 반면 8호선 맞이방은 언제나 한산하다. 그 이유는 모란시장이 분당선 쪽으로 통로가 나있는 데다가 버스 정류장도 전부 분당선 쪽에 있기 때문. 게다가 '노는 곳'도 전부 분당선 쪽에 있다. 아래에 나와있는 정기권을 쓰려고 한다면 8호선 쪽으로 가야하지만, 맞이방을 연결하는 통로를 지나면 180° 다른 모습에 놀라게 될 것이다.
8호선과 분당선의 환승 통로를 통해 8호선 승강장을 횡단할 수 있다.
모란이란 지명은 이 지역을 일으킨 사람이 이북 출신인데, 자신의 고향인 평양을 그리워하며 모란봉에서 따와 지었다 한다.
2.1 승강장
2.1.1 서울 지하철 8호선
수진 ↑ | |||
하 | ㅣ | ㅣ | 상 |
종착역(모란기지 ↓) |
상 | 서울 지하철 8호선 | 복정·잠실·천호·암사 방면 |
하 | 서울 지하철 8호선 | 당역종착 |
2.1.2 수도권 전철 분당선
↑ 태평 | |||
2 | ㅣ | ㅣ | 1 |
야탑 ↓ |
1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정자·죽전·기흥·수원 방면 |
2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수서·선릉·강남구청·왕십리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은 평범한 주거 지역.. 이긴 커녕 국내 유명 5일장 중의 하나인 모란시장으로 유명한 곳이며 최근에는 산성대로 부근으로 성남의 신흥 유흥가로 부상 중이다. 수 많은 식당과 술집, 카페 등등 다양한 업종이 먹자 골목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나이트클럽이 있었고, 한때 드라마의 촬영장소로도 사용됐지만 2008년 화재로 폐업. 지금은 수진역에서 가는 게 더 가깝다. 어찌 됐든, 산성대로 일대의 모텔촌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다.
2002년을 절정으로 2004~5년 무렵까지는 성남에서 '노는 곳'이라고 하면 10대나 20대나 거의 신흥역 주변의 종합시장으로 갔었으나, 2010년 이후로 현재는 오히려 모란역 일대가 더 붐비고 있다. 건물의 1층은 술집이고 2층 이상은 가정집인 묘한 풍경을 볼 수 있는 동네... 하지만 어느 정도 구분은 되어있다.
그 외에도 인근에 사단 법인 풍생 학원 (풍생중학교, 풍생고등학교), 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 (舊 성남공고, 성남방송고) 가 있다.
사족으로, 밤에도 사람이 많이 다니기 때문에 상당히 안전한 편이다. 거의 술에 취해있다는 점만 빼면 말이다. 그래도 이 동네에는 자잘하게 시비 거는 양아치는 적은 편이니 안심하시길. 세력이 강력한 어르신들이 있지만.
그리고 버스를 타고 모란역에 와서 8호선을 이용하려고 한다면 버스가 풍생고등학교 정류장을 지나는지 확인해 보자. 모란역 정류장보다 이 정류장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 그러나 대부분 이 풍생고등학교 정류장을 지나는 버스들은 수진역이나 신흥역도 필수적으로 지나간다. 그리고 이쪽이 더 빠를 수도 있다.
한때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 여기에 있었는데, 지금 모란역 버스정류장 중 광역버스정류장과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는 곳이다. 실은 모란역 주변이 장날(4일장, 9일장)만 되면 버스 터미널에서 나오는 버스와 장을 보려는 사람들로 인해 헬게이트가 열렸었고 시설도 심하게 낡은 데다가 버스를 더 이상 수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지금의 야탑역앞으로 옮긴 것. 얼마나 좁았냐면, 버스 승강장이 모자라서 바깥쪽과 주차장 안쪽에 따로 승강장을 만들어서 태웠을 정도. 그랬더니 버스를 대기시킬 장소가 줄어들어서 탄천 근처에 공간에다가 버스를 세워놓았다가 시간이 되면 터미널로 들어오는 뭔가 해괴한 방식으로 운영했었다. 일부 노선은 그냥 연장해서 비교적 공간이 널찍했던 동서울터미널(!!!)까지 연장을 하기도 했었다. 지금 동서울터미널이 헬게이트인 것을 생각하면.... 원래 광역버스는 여기에 서지 않았지만 기존 시내버스 정류장이 워낙 헬게이트였던 탓에 시외버스 정류장과 같은 자리에 만들어 놓은 것이다.
경기도 광주시에서 오는 사람들이 서울로 출퇴근하는데 거치는 곳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경충대로(3번 국도)가 바로 옆에 있기 때문에 갈마터널을 지나면 바로 광주시다. 그 옆의 둔촌대로 (속칭 공단로) 를 통해서도 이배재고개를 넘으면 광주시가 나온다. 야탑역이 있기는 하나 야탑역에서 광주시내로 가려면 사실상 300번 하나밖에 없고, [1] 이매역에서 경강선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배차간격이 허벌나게 벌어지기 때문에 오포읍, 곤지암, 탄벌동, 경안동 서쪽[2]에 살지 않는 이상 여기를 거칠 것을 추천한다.
송파구 남부 혹은 성남 구시가지 쪽에서 수원 kt 위즈 파크를 갈 때는 이 역에서 2007번 버스를 타고 가면 된다.
4 서울 시내 정기권
이 역은 위에서도 밝혔듯이 이 역의 소재가 경기도 성남시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서울특별시내 정기권이 사용이 안 된다. 그러나, 서울도시철도공사 관할 역들은 7호선 부천·인천 연장구간을 제외하고 모두 서울 시내 정기권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당선을 타고 온 경우 서울 지하철 8호선 게이트에 태그하고 나오자. 괜히 분당선 게이트에 태그했다가 2회 차감 되지 말고.
승차할 때도 분당선 게이트가 아닌 서울 지하철 8호선 게이트에 태그를 하고 난 뒤에 분당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분당선 게이트에서는 승차 자체가 불가능하니 주의. 귀찮지만 저렴하게 다니려면 이 정도는 감수해야 하지 않겠나.
5 버스정류소
5.1 성남대로 정류장 (모란역, 모란시장)
노선번호 | 노선유형 | 상행정류장 복정역 방면 정류장 | 종점↔회차점 | 하행정류장 야탑역, 광주 방면 정류장 |
2 | 시내일반 | 06-153 | 산성동↔운중동 | 06-003 |
2-1 | 시내일반 | 06-153 | 산성동↔오리역 | 06-003 |
3-1 | 시내일반 | 06-153 | 광주 송정동↔사기막골 | 06-154 |
3-3 | 마을버스 | 06-153 | 태평동↔광주터미널 | 06-154 |
5 | 시내일반 | 06-153 | 운중동↔마천동 | 06-003 |
8 | 마을버스 | 06-160 | 야탑3동↔단대오거리역 | 06-003 |
9 | 시내일반 | 06-160 | 사송동↔남한산성입구 | 06-003 |
11-1 | 마을버스 | 06-160 | 금토동↔성호시장 | 06-003 |
15 | 시내일반 | 06-153 | 새마을연수원↔위례신도시 | 06-003 |
17 | 시내일반 | 06-160 | 광주 송정동↔금광동 | 06-003 |
17-1 | 시내일반 | 06-160 | 광주 송정동↔금광동 | 06-003 |
31-2 | 시내일반 | - | 광주축협↔모란역 | 06-003 |
31-3 | 시내일반 | - | 광주터미널↔모란역 | 06-003 |
32 | 시내일반 | 06-153 | 광주 송정동↔잠실역 | 06-154 |
32-1 | 시내일반 | 06-153 | 오포읍↔태평동 | 06-154 |
33 | 시내일반 | 06-160 | 사기막골↔율동공원 | 06-003 |
50 | 시내일반 | 06-153 | 야탑3동↔위례신도시 | 06-003 |
51 | 시내일반 | 06-160 | 사기막골↔서울대병원 | 06-003 |
52 | 시내일반 | 06-160 | 남한산성↔궁안마을 | 06-003 |
55 | 시내일반 | 06-160 | 사송동↔남한산성입구 | - |
55-1 | 시내일반 | 06-160 | 사기막골↔정자역 | 06-003 |
57 | 시내일반 | 06-160 | 야탑3동↔세곡동 | 06-003 |
60 | 시내일반 | 06-160 | 금광동↔야탑3동 | 06-003 |
76 | 마을버스 | 06-160 | 백현마을↔모란역 | 06-003 |
77-1 | 시내일반 | 06-160 | 구미동↔금광동 | 06-003 |
82 | 시내일반 | 06-160 | 모란역↔복정역환승주차장 | - |
88 | 시내일반 | - | 사기막골↔모란역 | 06-003 |
88-1 | 마을버스 | 06-160 | 사기막골↔모란역 | - |
116 | 시내일반 | 06-153 | 오산리↔잠실역 | 06-003 |
116-3 | 시내일반 | 06-160 | 경희대↔상대원동 | 06-003 |
119 | 시내일반 | 06-153 | 오산리↔군자역 | 06-003 |
200 | 시내일반 | 06-153 | 도촌동↔산성동 | 06-003 |
220 | 시내일반 | 06-153 | 사기막골↔운중동 | 06-003 |
240 | 시내일반 | 06-153 | 남한산성입구↔도촌동 | 06-003 |
330 | 시내일반 | 06-153 | 산성동↔석운동 | 06-003 |
333 | 직행좌석 | 06-160 | 사기막골↔안양역 | 06-216 |
340 | 시내일반 | 06-160 | 운중동↔사기막골 | 06-003 |
340-1 | 시내일반 | 06-160 | 사기막골↔산운마을 | 06-003 |
350 | 시내일반 | 06-160 | 사기막골↔운중동 | 06-003 |
500-1 | 직행좌석 | 06-153 | 동원대학교↔잠실역 | 06-216 |
500-2 | 직행좌석 | 06-153 | 동원대학교↔서울남부터미널 | 06-216 |
500-5 | 시내일반 | 06-153 | 광주터미널↔서울남부터미널 | 06-003 |
1117 | 직행좌석 | 06-153 | 한국외대↔강변역 | 06-216 |
2007 | 직행좌석 | 06-160 | 고색동↔단대오거리 | 06-216 |
3300 | 시외버스 | 06-153 | 성남터미널↔연천역 | 06-216 |
5100 | 공항버스 | 06-153 | 성남↔김포공항 | 07-628 |
5300 | 공항버스 | 06-153 | 성남↔인천공항 | 07-628 |
8414 | 시외버스 | 06-153 | 부천소풍터미널↔성남터미널 | 06-216 |
8446 | 시외버스 | - | 서울대병원↔광명역(상행) | 06-003 |
8446 | 시외버스 | - | 서울대병원↔광명역(하행) | 06-003 |
8467 | 시외버스 | 06-153 | 성남터미널↔시화터미널 | 06-216 |
8806 | 시외버스 | 06-153 | 성남터미널↔인천터미널 | 06-216 |
8810 | 시외버스 | 06-153 | 성남터미널↔인천터미널 | 06-216 |
8860 | 시외버스 | 06-153 | 부평역↔안양↔성남터미널 | 06-216 |
9403 | 서울광역 | 06-153 | 구미동↔동대문 | 06-216 |
9607 | 직행좌석 | 06-153 | 구미동↔청담역 | 06-003 |
5.2 산성대로 정류장 (모란역, 모란시장입구.풍생고)
노선번호 | 노선유형 | 상행정류장 남한산성입구 방면 정류장 | 종점↔회차점 | 하행정류장 탄천 방면 정류장 |
9 | 시내일반 | - | 사송동↔남한산성입구 | 05-152 |
11-1 | 마을버스 | 06-164 | 금토동↔성호시장 | 05-152 |
17 | 시내일반 | 06-164 | 광주 송정동↔금광동 | 05-152 |
17-1 | 시내일반 | 06-164 | 광주 송정동↔금광동 | 05-152 |
30 | 시내일반 | 06-164 | 상산곡동↔남한산성입구 | 05-152 |
31-2 | 시내일반 | - | 광주축협↔모란역 | 05-152 |
31-3 | 시내일반 | - | 광주터미널↔모란역 | 05-152 |
51 | 시내일반 | 06-164 | 사기막골↔서울대병원 | 05-152 |
52 | 시내일반 | 06-164 | 남한산성↔궁안마을 | 05-152 |
57 | 시내일반 | 06-164 | 야탑3동↔세곡동 | - |
70 | 시내일반 | 06-164 | 사기막골↔중랑공영차고지 | 05-152 |
116-3 | 시내일반 | 06-164 | 경희대↔상대원동 | 05-152 |
340 | 시내일반 | 06-164 | 운중동↔사기막골 | 05-152 |
340-1 | 시내일반 | 06-164 | 사기막골↔산운마을 | 05-152 |
6 일 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8호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5,348명 | 5,600명 | 5,832명 | 5,634명 | 4,844명 | 4,587명 | 4,565명 | 4,517명 | 4,593명 | 4,639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4,614명 | 4,657명 | 4,751명 | 4,819명 | 4,962명 | 4,846명 |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1,641명 | 14,377명 | 16,825명 | 18,946명 | 15,228명 | 15,112명 | 15,799명 | 16,800명 | 18,873명 | 19,731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20,710명 | 21,394명 | 22,031명 | 23,445명 | 24,469명 | 24,577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