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손도

(공손탁에서 넘어옴)
위서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공손찬도겸장양공손도장연장수장로


公孫度
(150년 이전 ~ 204년)[1]

1 개요

후한 말의 군벌. 는 승제(升濟) 또는 숙제(叔濟).[2] 유주 요동군 양평현 사람. 본명은 공손표(公孫豹), 개명(改名)이 공손도.

2 생애

그의 부친 공손연(公孫延)[3]은 관리의 추적을 피해서 현도군으로 갔기 때문에 그곳에서 살았다. 아버지가 일찍 죽고 현도군 태수 공손역(公孫琙) 아래에서 일했는데, 공교롭게도 공손역의 18세에 요절한 아들 이름이 공손도의 원래 이름이었던 공손표였고, 공손도는 공손표와 태어난 해가 같았다. 이 때문에 공손역은 공손도를 자기 아들처럼 사랑해 좋은 혼처를 얻어 장가를 가도록 도와줬고, 스승을 붙여주며 생업에 매진할 필요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아끼지 않았다. 이후 169년에는 사필이 유도(有道)[4]로 천거해서 중앙 정계에 진출했다.

그렇게 점차 관직이 올라가 기주자사까지 승진했지만 뜬소문이 돌아 면직되었다. 이후 189년에 동탁의 수하 장수였던 서영이 공손도와 동향 출신이었기 때문에 그의 추천을 받아 요동 태수가 되었지만 중원 지역이 혼란해지자 왕을 자칭했다.

191년에 위명을 떨쳐 중원의 난리를 피해서 온 관녕, 병원, 왕렬과 같은 인물들이 의탁했다고 하며, 객사를 비워 관녕, 병원 등을 그들을 맞이했다. 관녕의 충고로 병원이 고향으로 도망갔을 때 굳이 쫓지 않았으며, 왕렬을 장사로 임명하려고 했지만 왕렬이 왕렬히 거부했다고 한다.

그는 산동 반도의 동부 지역 및 주변 지방을 공략하는 등 세력을 확장하였다. 또한 국내적으로도 강성한 호족들을 대량숙청하며 철저한 공포정치로 절대 군주권을 확립하는 데 힘썼다. 한편 그와 적대하던 고구려와 선비족의 적국인 부여에게 종친의 딸을 시집보내는 형태로 부여와 동맹을 맺는 등 외교 관계 수립에도 힘을 기울였다.

중원의 패권싸움에서 발을 빼고 고구려, 부여 같은 세력과 티격대고 있었을 뿐.. 197년, 고구려에서 산상왕 즉위하고 형인 발기가 이에 반발했다가 패하여 망명해 오자 이를 지원해 남의 나라 내전에 3만의 군대를 투입할 정도로 상당한 강자였다.

헌제를 옹립한 조조에 대해서는 상당히 같잖게 본 듯하다. 조조가 직접 헌제에게 상주해 공손도를 무위장군, 영녕향후의 작위를 내렸지만, 공손도는“나는 요동의 왕이다. 뭐가 영녕향후냐!”며 화를 내고 인수를 창고에 버렸다고 한다.

204년 8월, 조조가 원상을 격파하고 업을 함락시켰다는 소식을 듣자 이 기회에 군사를 일으켜 조조를 밀어버리고 자기가 업을 차지하겠다는 패기 넘치는 발언도 했다. 이로 보아 원소 사후 하북의 혼란을 틈타 중원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할 생각도 있었던 듯 하나, 마침 그 해에 자신이 죽어버렸고, 사망한 후 아들 공손강이 뒤를 이었다.

3 이름 논란

이름인 도(度)를 탁이라고도 읽어서 공손탁이라고도 하며, 실제로 한국의 여러 논문과 사전에서 '공손탁'이란 표기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도 '도'에 해당하는 'ど'와 '탁'에 해당하는 'たく'을 모두 볼 수 있다. 이름은 자와 맞추므로 승제와 통하는 식으로 읽고 이에 대해 몇 가지 의견이 있다.

'헤아리다'는 뜻의 '승'에 주목해서 '재다'는 뜻의 '탁'으로 읽으며, '승제'가 현대 중국어에서 '초도'(중생을 구제한다)의 의미이므로 그 초도에서 따서 '도'로 읽는다.

4 미디어 믹스

삼국지 12,13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항상 변방에 도시 하나 차지한 찌질한 세력으로 묘사된다.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항상 변방에 도시 하나 있는 세력으로 묘사되어 장수도 적고 능력치도 구리게 나온다. 다만 삼국지 3에서는 무력74/지력61/정치력/53/매력71, 육전72/해전72라는 좋은 능력치를 자랑한다. 물론 무난하지만, 장군으로 임명을 할 수가 있고 안 그래도 대부분의 장수들은 해전 때문에 장군이 못 되거나 약해지는 것을 감안한다면 공손도는 육전, 해전이 72이라서 전투에 참가할 수가 있다. 삼국지 4에서는 24개의 특기중 화계, 낙석밖에 없는 주제에 통솔78,무력77의 스탯으로 장군 임명이 가능하였다.

자식들과 손자도 장군으로 임명이 가능한 편이고, 본인의 수명이 높은 편이라서[5] 3에서 헤택을 누리게 되었다. 아쉽게도 세력은 없고 시나리오 4부터 위나라 소속으로 등장한다. 그 이전 시나리오에서는 양평에서 수색하면 재야로 등장하는데 인재가 부족한 공손찬,원소 진영의 희망이 되어준다. 그리고 후속작부터는 안습. 삼국지 3을 제외한 모든 시리즈에서는 다른건 60~70대니 그렇다치고 후반 시리즈에서 매력이 낮은데, 3에선 그래도 71였던 매력치가 10에선 무려 19를 자랑했고, 11에선 조금 올랐으나 여전히 35에 불과.

삼국지 시리즈 내내 요동 혹은 양평이라는 구석군주답게 구리다는 오명을 지니고 있으나 삼국지 9삼국지 11 정도가 아니면 플레이에 따라서는 천하통일도 불가능 하지만은 않다. 보통 장남인 공손강으로 플레이할 때 쯤에는 조조에게 멸망 당하는 게 태반이라 난이도가 대단히 높은데, 설상가상으로 있는 인재라고는 아우인 공손공밖에 없다. 그나마 능력치도 구려서 공손고자라는 아명까지 얻은 공손공 입장에서는 안습.

본격적으로 플레이 가능한 독립세력으로 등장한 시리즈는 삼국지 5로, 관도대전부터 등장한다.

삼국지 8에서는 68/60/58/48의 능력치로 등장. 매력이 낮은 것이 걸림돌이지만 8의 특성상 여러 도시를 돌아다니며 인재를 모을 수 있으므로 반동탁연합이나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동탁/여포나 오나라 상성의 장수들을 모으면 그나마 할만하다. 다만 동탁/여포 상성의 장수들이 없어지고, 하북을 평정한 원소나 조조를 뚫고 나가야 하는 관도대전 이후부터는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삼국지 9의 능력치는 통솔력70/무력66/지력72/정치력64. 돌파, 주사, 정란, 혼란을 가지고 있다. 아들 공손강과 함께 양평 세력에서는 가장 괜찮은 편이다. 하지만 세력 난이도는 삼국지9 전체에서 가장 하드코어하다. 일단 살고 싶으면 양평은 무조건 버리고 빨리 다른데로 튀어라. 아니면 이민족이 언제 쳐들어올지 알 수 없는 살얼음판이 무엇인지 제대로 깨닫게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69/무력67/지력71/정치력67/매력19에 특기는 농업, 화시, 반목, 유인 4개. 매력을 제외하곤 균형이 잡히긴 했는데 특화된 능력치가 없고 특기도 마땅한 게 없다는 게 문제. 수하로 놓고 부리기에도 농업특기라도 써먹어야 되는데, 정치가 67밖에 안 돼서 여러모로 푸대접받을 수밖에 없다.

삼국지 11에서는 특기가 없다. 공손 일족중 특기가 있는건 장남인 공손강뿐. 11이 장수제라서 직접 옮겨다니며 재야장수를 등용 가능한 10이나 발탁무장 시스템이 있는 12와는 달리 장수를 등용하기가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에 상당히 하드코어하게 되었다. 게다가 옆동네에 있는 공손찬이 매우 강력해졌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일족들과 윤직, 가범 등을 들고 나와서 아들들로만 버텨야 하는 역시 시나리오보다 여건이 나아졌음에도 공손찬을 이기기가 어렵다.

삼국지 11 콘솔판 추가 시나리오인 영웅난무에서의 영토는 상용. 부하는 공손강, 공손공, 공손연, 양조, 비연, 윤직, 서영. 서영이 부하인 이유는 공손도를 추천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근처에 강한 세력이 없다고는 하나 공손도 자체도 크게 강한 세력은 아니라 난이도는 어려운 편. 그래도 한중의 위연을 어떻게든 멸망시키면 활로가 보일 것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전법은 공격약화. 그나마 쓸만한 편이고, 장수 수급에 문제가 있어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했던 전작들과는 달리 발탁무장의 등장 때문에 많이 쉬워진 편. 동맹도 쉬워졌기 때문에 원소와 동맹을 맺고 원군요청을 하여 공손찬을 물리치면 된다.

삼국지 13에서는 발매 직전 공개됐던 플레이 영상 중 반동탁 연합,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 시작하자마자 공손찬에게 멸망당하는 안습함을 보였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7/71/66/51. 근데 의외로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공손찬을 뒷통수쳐서 멸망시키는 위용을 뿜내기도 한다. 이번 작의 공손찬이 유독 약하기 때문.

5 관련 항목

  1. 유도로 천거된 것이 169년의 일이고 이전 공손역과의 일화를 생각하면 사망 당시 상당한 고령이었을 것이다. 140년대 초반 즈음으로 추정.
  2. 흔히 승제(升濟)로 알려져 있으나 후한서 문원전의 주석으로 인용된 위지, 육신주문선에 인용된 이현의 주석에는 숙제로 나와있으며, 동일한 사례로 황충, 유표가 있다.
  3. 그의 손자 공손연과 동음이인. 이쪽은 延이고, 이 증손은 淵이다.
  4. 후한 선거제 과목 중 하나.
  5. 삼국지 4까지는 제갈량이 죽는 시나리오까지 등장했다.요화돋네 삼국지 5에서부터는 정사를 반영한 건지 역사대로 204년쯤에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