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김천시/행정
김천시의 읍면동 | ||||||
읍 | 아포읍 | |||||
면 | 조마면 | 감천면 | 대항면 | 어모면 | 구성면 | |
감문면 | 봉산면 | 개령면 | 농소면 | 남면 | ||
지례면 | 부항면 | 대덕면 | 증산면 | |||
법정동[1] | ||||||
자산동 | 감호동 | 용두동 | 모암동 | 성내동 | ||
평화남산동 | 평화동 | 남산동 | ||||
양금동 | 황금동 | 양천동 | ||||
대신동 | 신음동 | 대광동 | 응명동 | 교동 | 삼락동 | |
문당동 | ||||||
대곡동 | 부곡동 | 다수동 | 백옥동 | |||
지좌동 | 지좌동 | 덕곡동 | ||||
율곡동 | 율곡동 | |||||
녹색 칸은 관할 행정동명이다. |
龜城面 / Guseong-myeon
구성면사무소 |
구성면 龜城面 / Guseong-myeon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기초자치단체 | 김천시 |
인구 | 3,224명 (2014년 11월 주민등록인구) |
면적 | 95.50㎢ |
하위 법정리 | 17리 |
법정동 코드 | 4715041000 |
면사무소 소재지 | 상좌원리 |
구성면사무소 홈페이지 | |
|
목차
1 개요
김천시 서쪽에 위치한 면. 동으로 조마면과 접하고, 서로 영동군 상촌면과 접하며, 북으로 양천동, 대항면과 접하고, 남으로 지례면, 부항면과 접한다.
2 역사
조선시대까지 구성면이라는 지명은 없었다. 이지역은 원래 4개의 면이였는데, 관내 북부지역은 김산군 소속 과곡외면, 과곡내면이였으며 관내 남쪽지역은 지례군 소속으로서, 상북면, 하북면이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당시 일대가 모두 김천군으로 편입되었는데, 김천군으로 편입되면서 과곡외면과 과곡내면이 과곡면으로, 상북면과 하북면, 그리고 대항면의 백어라는 지역까지 통합하여 석현면을 신설하였었다.
1933년 큰 홍수로 석현면의 청사가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이에 과곡면과 석현면을 통합하여 구성면을 출범하고 상좌원리에 면청사를 신축하였다. 구성이라는 이름은 옛 김산군의 별호가 금릉이여서 금릉군이 출범했었던 것 처럼 옛 지례군의 별호가 구성이였기에 구성면으로 이름지어 진 것이다. 조선시대 무려 4개면이 이당시 모두 합쳐지는 바람에 구성면은 법정리 17리에 95.5㎢라는 현재 김천시 내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면적을 자랑하는 면이 되었다.
1949년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소속이 되었다가 1995년 김천시와 금릉군의 도농통합으로 김천시 구성면이 되었다.
3 관할 리
무려 17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지명 | 법정동 코드 | 비고 |
하강리 | 4715041021 | 김천시 농업기술센터 소재 |
양각리 | 4715041022 | |
흥평리 | 4715041023 | |
송죽리 | 4715041024 | 지례중학교 구성분교 소재 |
광명리 | 4715041025 | |
금평리 | 4715041026 | |
구미리 | 4715041027 | |
임평리 | 4715041028 | |
임천리 | 4715041029 | |
월계리 | 4715041030 | |
마산리 | 4715041031 | |
작내리 | 4715041032 | |
용호리 | 4715041033 | |
상거리 | 4715041034 | |
상원리 | 4715041035 | 구성초등학교 소재 |
미평리 | 4715041036 | |
상좌원리 | 4715041037 | 면사무소 소재 |
4 교통
4.1 도로교통
관내를 3번 국도가 관통하며, 최근에 4차로로 확장까지 모두 마쳐서, 김천시 동지역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거창군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며, 거창군 중심인 거창읍까지 약 30분~40분 정도로 멀지 않다. 3번 국도가 관내 주요도로이다.
구미리 일대에서 3번 국도와 901번 지방도가 분기하며, 영동군 상촌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임평, 월계, 임천, 마산리 등은 901번 지방도를 이용하여야 한다.
따로 번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지만 상좌원리에서 황학로, 작내리에서 작내로를 타고 이동하다 보면 마산리 방면에서 길이 모이며, 이 길을 계속 따라가면 대항면으로 김천시동지역을 거치지 않고 이동할 수 있으며, 직지사 근처로 나와 4번 국도까지 길이 통해져 있다.
4.2 철도
관내 철도교통은 없다. 거창군을 경유하냐 마냐 했었던 남부내륙선철도가 거창군을 거치지 않게 되어 앞으로도 쭉 철도교통은 없을 예정. 인구밀집지역이 아니기에 역이 생길 가능성도 한없이 제로에 수렴하기에, 철도가 차라리 지나지 않는 편이 관내 주민에게는 더 좋다.
경부선, 경북선 철도를 이용하려면 평화동에 위치한 김천역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승용차로 약 30분정도 소요된다.
KTX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김천(구미)역을 이용하여야 하며, 새로이 3번 국도가 확장되면서 율곡동으로 선형을 바꾸었기에 지역마다 다르지만 상좌원리 기준 승용차로 20여분정도면 접근이 가능해졌다.
4.3 버스
시외교통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하여야 한다. 승용차로 30분이상 소요.
시내교통은 80번, 90번, 800번대 노선이 이 일대를 지난다. 조마면, 중앙고, 양천동일대를 종점으로 하는 노선을 제외하고 지례면, 부항면, 대덕면, 증산면일대로 가는 모든 버스는 구성면을 경유한다. 김천시 동지역에서 위 지역을 가려면 무조건 구성면을 경유하여야 하기 때문.
일대로 향하는 좌석버스 일부는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일 시종착으로 하지만 탑승을 터미널 맞은편 하나로마트 앞에서 해야할 때도 있다. 주의하여야 할 점.
구성면을 경유하는 일반(입석)버스 노선 |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기타사항 |
<#D3D3D3><:>83-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양곡동, 중앙고 | 하강 | 왕복 1회 하강 방면 하나로마트앞 승차 |
<#D3D3D3><:>83-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 금평 | 흥평 | 왕복 2회 터미널 방면 막차 황금동 미경유 |
<|2><#D3D3D3><:>83-6 |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금평 → 고노실 → | <|2>흥평 | <|2>왕복 1회 흥평 방면만 금평,고노실 경유 |
← 황금동 ← 중앙고 ← | ||||
<|2><#D3D3D3><:>83-7 |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공자동 → | <|2>직지사 | <|2>왕복 1회 직지사 방면 공자동 경유 터미널 방면 송죽,과곡 경유 |
← 황금동 ← 중앙고 ← 과곡 ← 송죽 ← 구성 ← | ||||
83-8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 구성 | 상거2리 | 1일 2회 |
83-9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 구성, 지례 | 마산리 | 1일 1회 |
84-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 구성, 지례 | 조룡2리 | 1일 1회 |
<|2><#D3D3D3><:>84-2 |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삼실 → | <|2>울곡 | <|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삼실 미경유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 ||||
<|2><#D3D3D3><:>84-3 |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삼실 → 울곡 → | <|2>기터 | <|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삼실 미경유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울곡 ← | ||||
<|2><#D3D3D3><:>85 | 용문산 | → 두원 → 아천 → 탑웨딩 →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부항 → 하대리 → 갈개 → | <|2>안간리 | <|2>왕복 1회 안간리 방면 부항,하대리,갈개 경유 용문산 방면 터미널까지만 운행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 |||
<|2><#D3D3D3><:>85-4 |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조룡2리 → 대덕 → | <|2>예서마을 | <|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조룡2리 미경유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대덕 ← | ||||
<|2><#D3D3D3><:>90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 <|2>거물리 | <|2>거물리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2회 터미널 방면 지례까지만 운행 |
지례 | ← | |||
<|2><#D3D3D3><:>91 | 지례 | → | <|2>거물리 | <|2>왕복 2회 거물리 방면 지례에서 출발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
<|2><#D3D3D3><:>92 | <|2>지례 | → 속수 → 대덕 → 황황 → 황정 → 증산 → 청암산(장뜰) → | <|2>수도리 | <|2>왕복 1회 지례 방면 대덕만 경유 |
← 대덕 ← | ||||
<|2><#D3D3D3><:>93 | 지례 | → 대덕 → 청암산(장뜰) → | <|2>수도리 | <|2>왕복 1회 수도리 방면 지례에서 출발 수도리 방면 대덕,청암사만 경유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속수 ← 대덕 ← 황황 ← 황정 ← 증산 ← 청암산(장뜰) ← | |||
<|2><#D3D3D3><:>94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부항 → 하대리 → | <|2>해인리 | <|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지시,뱃들 경유 터미널 방면 지례까지만 운행 |
지례 | ← 부항 ← 하대리 ← 지시 ← 뱃들 ← | |||
<|2><#D3D3D3><:>95 | <|2>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부항 → 하대리 → | <|2>해인리 | <|2> 왕복 1회 해인리 방면 지시,뱃들 경유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부항 ← 하대리 ← 지시 ← 뱃들 ← | ||||
구성면을 경유하는 좌석버스 노선 |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기타사항 |
<#D3D3D3><:>883-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 하강 | 왕복 1회 하나로마트앞 승차 |
883-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금평, 고노실 | 흥평 | 왕복 1회 |
883-7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공자동 | 직지사 | 왕복 3회 |
<#D3D3D3><:>883-8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 상거2리 | 왕복 2회 터미널 방면 첫차 구성 출발 및 황금동 미경유 |
883-9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 마산리 | 왕복 3회 |
<#D3D3D3><:>884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 구수골 | 왕복 3회 터미널 방면 첫차 가좌리 경유 |
884-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 조룡2리 | 왕복 2회 |
<#D3D3D3><:>884-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삼실 | 울곡 | 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삼실 미경유 |
<#D3D3D3><:>884-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삼실, 울곡 | 기터 | 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삼실 미경유 |
884-4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대덕, 연화 | 감주 | 왕복 3회 |
<#D3D3D3><:>884-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부항, 하대리, 파천2리 | 대야2리 | 왕복 2회 터미널 방면 파천2리 미경유 |
884-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지좌리, 부항, 하대리 | 대야2리 | 왕복 1회 |
884-7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지좌리, 부항, 하대리 | 대야2리 | 왕복 1회 |
884-8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지좌리, 부항 | 어전2리 | 왕복 1회 |
884-9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부항 | 어전2리 | 왕복 1회 |
<#D3D3D3><:>88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부항, 하대리, 갈개 | 안간리 | 왕복 1회 터미널 방면 갈개,하대리,부항 미경유 |
<#D3D3D3><:>885-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지좌리, 부항, 하대리, 해인회관 | 갈개 | 왕복 3회 1회 해인회관 미경유 |
<#D3D3D3><:>885-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지좌리 | 희곡 | 왕복 2회 터미널 방면 지좌리 경유 |
<#D3D3D3><:>885-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 대덕 | 왕복 4회 터미널 방면 첫차 평일만 중앙중까지 운행 |
885-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대덕, 대동 | 예서마을 | 왕복 6회 |
<#D3D3D3><:><|2>885-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증산, 청암사(장뜰) | <|2>장전 | 장전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2회 |
봉계 | 코아루,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증산, 청암사(장뜰) | 장전 방면 편도 운행 봉계~터미널 구간 토,휴일 운휴 | ||
885-7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동안리, 증산, 청암사(장뜰) | 장전 | 왕복 4회 |
885-8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대덕, 청암사(장뜰), 증산 | 장전 | 왕복 1회 |
<#D3D3D3><:>885-9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대덕, 연화, 덕산 | 무풍[*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 왕복 3회 터미널 방면 막차 연화 미경유 |
88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대덕, 청암사(장뜰), 증산 | 영천[1] | 왕복 2회 |
5 관내 자연부락
본 내용은 구성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
5.1 하강리
- 모리이. 신기(新基)
- 관저산 밑에 새로 자리잡은 마을이라고 마을 이름을 신기라 하고 또, 산모퉁이를 돌아가는 곳에 있다고 모리이라고도 부른다.
- 여름실. 하곡(夏谷)
- 옛날 이 마을에 과일이 많아 과일이 많은 곳이라 하여 열음(果)실(谷)이 되었는데 과곡외면(果谷外面)사무소가 이곳에 있었다.
- 강성(江城)
- 이 마을에 옛날 강씨(康氏)가 많이 살면서 세력을 떨쳐서 강성(康盛)이라 했는데 강성(江城)으로 변했다고 한다.
- 서당마. 서당촌(書堂村)
- 강성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오봉서당(五峰書堂)이 있었다.
5.2 양각리
- 황각(黃角)
- 옛날 어느 도사가 이곳을 지나가다가 말하기를 마을의 뒷산 산세가 와우형이라 하며 소백산맥의 황악산의 황과 우두각의 각자를 따서 이 마을이름을 황각이라고 하였던 것이 오늘의 마을 명칭이 되었다.
- 관동(冠洞)
- 이 마을은 양각동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양각초등학교가 있는 부근 마을이다. 마을의 형상이 옛날 양반들이 쓴 갓모양과 같이 생겼다고 마을이름을 관동이라고 부른다. 마을 주변에는 사과나무. 자두나무의 과수원이 많은 것이 특색이며, 현재 10여 가구가 살고 있다.
- 양촌(陽村). 양지마
- 마을 뒷산의 신세가 정남향이라 지질 및 습기가 적당하여 잔디가 잘 자라고 양지바른 곳이라고 양지마. 양초이라고 부른다.
- 모산.지산(池山)
- 마을 뒤 덕대산의 시중곡에 띠가 잘 자라겠다는 어느 도사의 말에 따라 연못의 모자를 택하고 덕대산의 산을 빌려 마을 이름을 모산이라고 불렀다. 또 옛날 마을 한복판에 연못이 있어 지산이라고도 부른다.
5.3 흥평리
- 평밭. 평전(平田)
- 김각이라는 선비가 약 280년 전에 아들 4형제를 데리고 피난을 와서 밭을 개간하고 평화롭게 생활하였다 하여 평밭. 평전이라고 부른다. .
- 진흥(眞興)
- 점터 북쪽에 있는 마을로 신라시대 진흥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마을 이름을 진흥(眞興)이라고 부르고 있다. 현재는 절터만이 남아 있다.
- 내고(內古). 점터. 점기
- 옛날 이 마을에 쇠붙이를 만드는 점이 있어서 점터라 부르며 또 안쪽에 있는 오래된 마을이라고 내고라고도 부른다
- 외고(外古). 고노실
- 이 마을은 부락이 형성된지 오래되고 바깥쪽에 있는 마을이라고 고노실. 외고라 부른다. 점터 서남쪽 골짜기에 있다
5.4 송죽리
- 버어골. 벅골. 백골. 버골. 안동네. 부억골(夫億谷). 부엌동
- 현재 동사무소 서쪽 산 안쪽의 위편 마을로 고려시대 경모씨라는 선비가 개척하였다 하며, 주민들의 생활이 넉넉하여 부엌동이라 불리어 왔다 한다. 60여 가구에 김해김씨. 수원백씨. 안동권씨와 이씨. 손씨 등이 살고 있다.
- 덤밑. 암하(岩下)
- 마을 뒤에 바위가 있고, 그 바위 아래 위치한 마을이라고 암하. 엄밑이라 부르다가 덤밑으로 변했다. 이 마을에 구성중학교가 있다.
- 개정지. 개정기(開井基)
- 병자년 수해로 연화동에서 이 곳으로 이주하여 우물을 열었다는 뜻에서 개정지. 개정기라고 부르게 되었다.
- 백일대. 수동(壽洞)
- 마을을 처음 개척하였을 때 백일홍나무가 있어서 백일대라 불리어졌고 또, 장수하는 사람이 많다고 수동이라고도 부른다.
- 죽방(竹方). 댓방
- 옛날 약 3백년 전 김의술이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개척 당시 대나무가 많다고 댓방. 죽방이라고 부르고 있다.
- 황새말
- 이 마을은 송죽동의 송죽재 북쪽 아래에 위치하며 과곡초등학교 남쪽 죽방 마을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다. 마을 뒷산의 모양이 마치 학이 목을 길게 뻗어 있는 형상이라고 해서 황새 마을이라 한 것이 변음하여 오늘날 황새말로 부르게 되었다.
- 주막
- 이 마을은 김천에서 경남 거창행의 과곡재 남쪽 아래 도로변에 위치하고 금평동으로 통하는 도로가 있는 삼방통행의 교차로 상의 과곡초등학교 앞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가는 나그네와 여러 마을 사람들의 나들이 하는 데 휴식처로 알맞은 곳이라서 자연히 술 파는 집이 들어서게 되어 이 마을 이름을 주막이라고 부른다.
5.5 광명리
- 기를. 기월. 기로(耆老)
- 이 마을에는 옛날부터 단명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모든 사람들은 장수하기를 빌었는 데, 달고 같이 변함 없이 장수를 누리도록 마을 이름을 기를. 기월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마을의 뒷산을 송수봉이라 부르며, 앞산의 큰 바위는 마을 사람들이 백 세까지 장수하도록 백세탑이라고 하였으며 상리 앞의 봉우리는 연만산이라고 부르고 있다. 현재는 3개의 부락 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쪽에 있는 순서로 상기(上耆). 중기(中耆). 하기(下耆)로 부르고 있 다
- 도현(挑峴). 도지미
- 이 마을은 병자년 수해 때 기를들에 살던 사람들이 이곳으로 이주해 와서 살면서 생긴 마을로서, 돌아가는 고개에 위치하였다 하여 도지미. 도현이라고 부른다.
- 배평(排坪). 바랫돌. 벼루들
- 하리 마을 건너편에 있는 마을로서 감천이 흘러내려 오다가 굽은 지점에 침식되어 벼랑이 생겼으므로 벼루들 또는 바랫들이라고 부른다.
- 광천(光川). 빗내
- 이 마을은 감천 냇가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로서 마을 앞을 흐르는 감천을 바라보면 빛이 많이 반사된다고 마을 이름을 빗내 또는 광천이라고 부른다.
- 빗내의 속내는 마을을 냇물이 빗겨 흐른다는 뜻으로 새기면 좋을것이다.
- 덕마루. 듬말
- 지금으로부터 수백년전 강모와 이모란 역학자가 이곳에 와서 뒷산의 형세가 기러기가 떨어져 북향으로 날아가는 모양이라서 수려한 누각이 들어설 장소라 하였으므로 덕마루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지금은 듬말로 불리어 온다.
- 내방(來方). 옴배미
- 이 마을은 오목하고 쏙 빠진 것 같은 느낌이 들며 산모퉁이를 돌아야만 마을이 보인다. 그래서 마을 이름을 올빼미 눈처럼 쑥 들어 갔다고 해서 옴배미라 불렀다. 또 옛날에 과거보러 가던 한 선비가 이 마을의 친구를 만나고 나서 과거에 급제하였다. 그 후 다시 이곳의 친구를 예방하였다는 유래로 내방이라고 한다.
- 봉대(鳳台)
- 병자년 수해로 인하여 이주된 촌락으로 마을 뒷산 모양이 대봉이 앉은 형상이라 하여 봉대라 부르고 있다.
5.6 금평리
- 광수(廣首). 너불머리. 넘머리
- 마을이 병모양으로 생겨 입구가 좁다가 넓어진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너불머리. 넘머리. 광수라고 부르게 되었다.
- 금곡(金谷). 팥고개. 팔곡(八谷)
- 옛날 이곳에 화전민이 입주하면서 마을이 이룩되었는데, 이 마을에서 지례현까지 여덟고개 를 넘는다고 하여 팔곡. 팔고개라고 부르게 되었다.
- 파실. 두곡(豆谷). 두릉
- 옛날에 두릉이로 불러오다가 백 여년 전에 두곡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그 때 땅이 메말 라 모든 곡식이 잘 안되고 그 중 팥이 가장 잘 되었기 때문에, 약 70여년 전부터 파실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5.7 구미리
- 무릉(武陵)
- 전주인 양녕대군의 후예 이향노가 고향에 돌아와서 살았는데 그 당시 마을 주변에 복숭아꽃이 많이 피었다고 한다. 그래서 무릉도원이라 하였다가 약칭하여 무릉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구미(九尾)[2]
- 옛날 이름은 구미(九美)로서 아홉 곳에 아름다운 경치가 있는 곳을 말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구미(九尾)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서 구미(九美)란 배밭골. 상여바위. 복숭아나무골. 매봉. 방산. 선창. 송정. 샘골. 흔들바위를 말하고 있다.
5.8 임평리
- 임평. 임바대. 임평리(任坪里)
- 이곳은 예로부터 지하수가 귀하다고 하여 임바다라 했고, 다시 임바대로 변음되었으며, 지금은 탄동과 함께 임평으로 불리고 있다.
- 탄동(炭洞). 숯가매실
- 옛날 이 골에 수목이 울창하여 숯을 많이 구워 냈다 하여 숯가매실이라고 했고, 탄동이라고도 한다.
5.9 임천리
- 산정(山亭). 새터
- 이 마을 뒷산에 정자가 세워져 옛날 임평. 임천. 월계. 마신리 4개 동민의 유흥장이라 할 수 있다. 유락을 즐기거나 주민의 잘못된 일들을 이 산정에 나와서 해결하는 곳이라서 마을이름을 산정이라고 한다.
- 단수. 단계(丹溪)
- 약 130년 전 경주이씨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산 숲에 달빛이 어리면 그 아름다움이 절경이라 단계라 불리어 오다가 약 60여년 전에 단수라고 이름을 고쳐 부르고 있다.
- 장자동(長子洞), 장자울
- 옛날 이 마을에 장자가 살고 있을 때 그 세력을 널리 떨치니 사방에서 걸인의 구걸이 끊어 지지 않았다 한다. 그래서 이 마을을 장자울. 장자동이라고 한다.
- 사기점. 사점(砂店)
- 조선 말엽 충북 지방에서 고령토를 가져와 질그릇과 사기그릇을 구워 내었다고 마을이름을 사점이라고 한다.
5.10 월계리
- 압실. 월평(月坪). 산실
- 이 마을의 지형이 마치 오리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어서 압실(鴨一)이라고 불리고 있다. 압실 촌락의 주민 일부가 아랫목에 이주하게 됨에 따라 아래압실로 불리게 되고 원래 있었던 압실을 윗압실이라고 한다.
- 골마. 이리골. 의리곡(義理谷)
- 월계리 서부에 속하며 임천초등학교에서 서남쪽 1.5km 떨어진 산간마을로서 훌륭한 선비들의 의리를 잘 본받고 지켜 살아가려는 뜻에서 마을이름을 의리곡이라고 한 것이 변음하여 이리골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또 골짝마을이라고 골마라고도 부른다.
- 사점(砂店). 사기점. 월계사점
- 옛날 이곳에서 옹기를 만든 곳이라 하여 사점. 사기점 또는 월계에 있는 사점이라고 월계사점이라고 한다. 이 촌락은 월계의 북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5.11 마산리
- 묵은점. 구사기점. 사점(砂店)
- 옛날 이 마을에서 사기그릇을 구울 때에는 사점이라 하였으나 그 후 사기그릇을 굽지 않았으므로 묵은점. 구사기점이라 불렀다고 한다.
- 수부동(壽富洞)
- 마산리 중 가장 살기가 낫다고 부(富)자를 쓰고 이 마을에 약 100년전에 문광수라는 선비가 128세까지 장수하였다고 수(壽)자를 따서 마을 이름을 수부동이라 하며, 이 마을에 살면 수와 부를 함께 누릴 수 있다고 한다.
5.12 작내리
- 울안(墻內)
- 옛날 이 마을을 개척할 때 의성김씨가 대가족을 이루고 한 울안에서 정착하여 살았다고 마을이름을 울안이라고 부른다.
- 양지마. 양지촌(陽地村)
- 작내리에서 중심되는 마을이며 마을의 위치가 양지바른 곳에 있다 하여 양지마. 양지촌이라고 부른다.
- 새터. 관평(觀坪)
- 옛날 이 마을에 처음 이주해 온 사람들이 새로 터를 잡아 살게 되었다고 마을이름을 새터 라고 했다. 들을 보고 모여 들어 이룬 부락이라 해서 관평이라고도 한다.
- 평지촌(平地村). 평지
- 마을의 지형이 평평하다고 마을 이름을 평지촌이라고 한다. 조선조에 작내역이 있었으며 위치는 작내마을 부근에 있다.
5.13 용호리
- 복호(伏虎)
- 마을 앞산의 산세가 호랑이가 누워 있는 형상과 같다고 복호라고 이름지었으며 윗마을을 윗복호동, 아랫마을을 아랫복호동이라고 부른다.
- 와룡(臥龍). 왓숫골
- 옛날 김해김씨가 살면서 숲이 많이 우겨져 있다고 왓숫골이라고 하였다. 또, 마을 뒷산 산세가 용이 누워 있는 형상이라고 와룡이라고 부른다.옛날 김해김씨가 살면서 숲이 많이 우겨져 있다고 왓숫골이라고 하였다. 또, 마을 뒷산 산세가 용이 누워 있는 형상이라고 와룡이라고 부른다.
- 각골. 각곡(各谷)
- 옛날 이 마을에는 연안이씨들이 몇집 살아 왔으며, 마을 주변에는 많은 산이 에워싸있고, 마을로 뻗어 내려오는 여러 줄기의 골짜기가 있어서 각골. 각곡이라고 부른다.
- 새터. 아랫마. 신기
- 마을의 위치가 아랫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아랫마라고 부르고, 또 윗마을 보다 먼저 터를 잡았다고 새터라고 부른다.
5.14 상거리
- 벽계(碧溪). 복교(伏咬)
- 공자동. 백어동 등 선비의 이름이 붙은 마을에서 이 마을로 물이 흘러 내려오므로 윗동네 선비들의 맑은 정신을 이어 받아 마을을 더욱 맑고 푸르게 하여야 한다고 벽계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 저평(沮坪). 지리대. 저력촌(猪力村)
- 옛날 이 마을에 살았던 김녕 김씨들이 공자 제자의 한 분인 장저걸력의 이름에서 저자와 력자를 따서 저력촌이라고 하던 것이 변하여 오늘의 지리대. 저평이라 부르게 되었다.
- 장저걸력이라고 함은 ≪논어≫ 에 나오는 장저걸익(長沮桀溺)을 이르는 말인데 소리가 바뀌어 굳어진 걸로 보인다.
- 명 덕(明德)
- 이 마을은 장자동. 백어동이 이 마을 위쪽에 위치해 있어 그 마을이름이 성인들의 이름이므로 그 분들의 덕을 밝힌다는 뜻으로 마을이름을 명덕이라 불렀다
- 백어(伯魚). 배어
- 이 마을은 남서쪽 공자동이란 마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간 마을이다. 위쪽에 대성(大聖) 공자님의 이름을 딴 마을이 있으므로 훌륭한 선비의 학문을 이어 받고자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이 마을의 이름을 공자의 아들이름을 따서 백어라고 한 것이 변음되어 배어로 부르게 되었다.
5.15 상좌원리
- 원앞. 주막뜸. 주막
- 옛날 길손들이 말을 타고 경남 거창에서 김천으로 오가는 통로이기때문에 주막이 있었다고 하여 마을이름을 주막뜸. 주막이라 하게 되었다. 또 상좌원앞이라 원앞이라고도 한다.
- 상좌원(上佐院). 마실
- 조선시대에 상좌원이란 원집이 있었다고 마을이름이 상좌원이라 불리게 되었다. 오늘날의 상원과 하원을 옛날에는 모두 상좌원이라 칭하였다.
- 도동(道洞). 문도동. 들은들
- 이 마을 윗동네에 공자동을 비롯하여 여러 선비들의 이름을 딴 동네가 있어서 그 분들의 말 씀을 잘듣고 도를 깨우치는 마을이라 하여 들은들. 문도동이라 칭한다. 도동서원(道洞書院)이 있다.
5.16 상원리
- 원기(院基). 원터
- 옛날 상좌원이란 관영 숙소가 있던 곳이라고 마을이름을 원터. 원기라고 부른다.
- 또 이 마을 위쪽에 있던 양지뜸. 웃원터란 마을은 오늘날 원터와 한 마을이 되었다.
- 두릉(杜陵). 마드리. 마무리
- 조선시대에 관영 숙소인 상좌원이 있던 당시 길손들이 말과 노래를 놓아 먹였던 곳이라 하여 마드리라 부른다.
- 수도곡(修道谷, 水道谷). 물탕골. 물다실. 무트실. 무티실. 수도곡(水道谷)
- 이 마을은 신라 경덕왕 때 이 지방을 수다곡소(水多谷所)라는 소(所)의 이름인데 이것이 후세에 와서 물탕골. 물다실 혹은 무트실. 무티실로 변전하였으며, 수도곡이란 이름은 고려 때 수도사란 절이 있었다고 하여 부르게 된 것이며 또 이 절에서 불도를 닦았다고 수도곡이란 마을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불도를 닦는 곳이란 의미의 수도곡은 대단한 의미의 비약이고 물과 관련한 무트실 혹은 물탕골이 그 기원형으로 보인다.
5.17 미평리
- 미평(米坪)
- 옛날 이 마을 뒷편에 덕석골. 창골이라고 하는 골이 여러개 있었다고 한다.
- 특히 이 마을은 쌀이 많이 생산되어 창고에 저장해 놓고 먹을 정도로 많이 생산되는 땅이라고 마을이름을 미평이라고 부른다.
- 운동(雲洞)
- 옛날부터 감천이 이 마을 앞들 가운데로 흐르고 있었으며 마을 앞에 큰 웅덩이가 있었다고 웅동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오늘날 운동이라고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