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령면

김천시의 읍면동
아포읍
조마면감천면대항면어모면구성면
감문면봉산면개령면농소면남면
지례면부항면대덕면증산면
법정동[1]
자산동감호동용두동모암동성내동
평화남산동평화동남산동
양금동황금동양천동
대신동신음동대광동응명동교동삼락동
문당동
대곡동부곡동다수동백옥동
지좌동지좌동덕곡동
율곡동율곡동
녹색 칸은 관할 행정동명이다.


開寧面 / Gaeryeong-myeon
main_img.jpg

개령빗내농악 전수관. 빗내농악은 현재 경북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6년 현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추진중에 있다.

개령면
開寧面 / Gaeryeong-myeon
국가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김천시
인구2,898명
(2015년 9월 주민등록인구)
면적27.85㎢
하위 법정리8
법정동 코드4715034000
면사무소 소재지동부리
개령면사무소 홈페이지

1 개요

김천시 북쪽에 위치한 면. 동으로 감천이 흐르며, 이를 경계로 아포읍, 남면과 접하고, 서로 어모면, 응명동, 대광동과 접한다. 남으로도 감천이 흐르고 이를 경계로 농소면과 접하며, 북으로는 감문면과 접한다.

2 역사

김천시의 역사에 빼놓을수 없는 중요한 곳으로, 개령면의 역사를 알면 김천시 전체의 역사를 얼추 알 수있다.

원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 깊은 곳으로서, 옆에 감문면이 있지만, 개령 일대에 감문국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근처에서 구전으로만 내려오는 소국이 아니라 감문국은 역사의 한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는 소국이다. 감문국이 신라에 항복하기 전의 궁전터, 왕릉, 산성으로 전해지는 유적들이 산재해있다.

서기 231년 신라에 감문국이 병합되면서 감문주가 설치 되었었다가, 687년 개령군이 설치되어 개령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 하게 된다. 개령군은 현재 김천시의 전신이 되는 김산군, 지례군, 개령군 중 하나가 되며, 당시 개령군은 감물현[1], 지품천현[2], 무산현[3], 김산현[4]을 두루 관할하는 거대 행정구역이였다. 김천시의 전신이 된 세개 군중 하나가 김산군이며, 김산군이 사실 김천시의 모태가 되는 것을 생각해 봤을때, 원래 지역의 중심은 현재 김천시 동지역이 아니라 개령지역이였음을 알 수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 1416년 전국을 8도로 개혁하면서 개령군은 개령현으로 격하되었으며, 임진왜란때는 길운정이라는 사람이 반란을 꾀하다 잡혔는데, 그 사람의 고향이 개령지역이라 폐현되는 흑역사도 있었다. 그러다 1609년 다시 복현 되었다.

1869년 행정구역을 다시 개편하면서 개령지역은 다시 군이 되었다. 이 당시 김천시지역의 행정구역이 김산군, 개령군, 지례군으로 조선시대에 들어 지역중심이 개령지역에서 김산지역[5]으로 옮겨간 셈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당시 감산군, 개령군, 지례군이 모두 김천군으로 통합되며 개령군은 역사속으로 사라졌으며, 당시 개령군 부곡면과 서면지역을 통합하여 개령면으로 개편 현재의 개령면이 되었다.

1949년 김천읍이 김천시로 승격됨에 따라 금릉군 개령면이 되었으며, 1983년 관내 대광동김천시로 넘겨주어 관할 면적이 살짝 작아졌다. 1995년 금릉군김천시가 도농통합을 하게 됨에 따라 김천시 개령면이 되었다.

3 관할 리

8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지명법정동 코드비고
황계리4715034021
신룡리4715034022개령서부초등학교 소재
덕촌리4715034023
서부리4715034024
<#C0FF3E>동부리4715034025면사무소, 개령초등학교
개령중학교 소재
양천리4715034026
광천리4715034027빗내농악 전수관 소재
남전리4715034028

4 교통

4.1 도로교통

관내를 59번 국도가 관통하며 관내 주요 교통로이다. 북으로 감문면 태촌리(배시내)지역, 구미시 선산읍 지역으로 이어져 있으며, 남으로 대광동, 모암동, 용두동지역으로 연결된다. 황계리, 동부리, 서부리, 광천리를 지나며 이 지역, 특히 동부리는 개령면의 중심지역이다.

국도는 원래 하나만 지났는데, 근처 남면농소면일대에 경북드림밸리가 건설됨으로 인해 3번 국도가 선형을 바꾸면서, 3번국도가 개령면을 정확하게 관통하게 되었다. 일반 국도라기보다 산업도로로 형성되 고속도로의 성격을 조금 띄고 있긴 하다만, 일단 서부교차로에서 59번 국도와 교차하고, 덕촌교차로에서 913번 지방도와 교차해 어모면, 남면, 율곡동, 멀리는 거창군까지의 교통이 아주 편해졌다.

대광동에서 59번 국도와 교차하는 913번 지방도 역시 관내를 관통 신룡리 일대의 주요교통로로 이용된다. 북으로는 감문면 남으로는 대광동이 나오며 서술되어져 있다 싶이 대광동에서 59번 국도와 합쳐진다. 신룡리 일대만 913번 지방도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언뜻 보면 실질월경지로 보이기도 하지만, 황계길 등의 작은 길로 다른 마을과 이어져 있어 월경지는 아니다.

양천리 빗내입구 교차로에서 59번 국도997번 지방도와 분기되는데 997번 지방도역시 관내 주요 도로로 빗내입구 교차로가 997번 지방도의 기점 되시겠다. 이 도로는 감문면을 거쳐 상주시 공성면쪽으로 들어가는 지방도로, 관내에서는 남전리 일대에서 주요 교통로로 이용하는 도로이다.

관내 고속도로는 없으나, 3번 국도의 선형변경으로 경부고속도로 동김천IC가 아주 가깝다. 황계리, 동부리, 서부리 일대에서는 5분 이내 접근가능. 동김천IC자체는 남면에 위치하지만 개령면을 위한 나들목[6]인냥 가깝다. 관내 전체로 봐도 5분에서 15분정도면 동김천IC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4.2 철도

관내 철도교통은 없다. 경부선, 경북선철도를 이용하려면 김천역을 이용하는게 좋다. 승용차로 20여분 소요.

고속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김천(구미)역을 이용하면 된다. 3번 국도의 선형변경으로 10~20분정도면 접근 가능하다.

4.3 버스

시외교통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하여야 한다. 승용차로 20여분 소요.

감문면일대와 경유노선이 똑같다. 일대를 지나는 버스는 감문면일대가 종점이거나 구미시 선산읍 일대가 종점인데, 어느길을 통해서 가더라도 개령면 -> 감문면 -> 구미시 선산읍 순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코스다.

개령면을 경유하는 일반(입석)버스 노선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기타사항
32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구야, 감문개자왕복 3회
<|2><#D3D3D3><:>32-1<|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구야 → 감문 →<|2>개자<|2>왕복 1회
개자 방면 구야,감문만 경유
← 김천의료원 ← 구야 ← 문무 ← 도명 ← 남곡 ← 감문 ←
<#D3D3D3><:>32-3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구야, 남곡, 도명문무왕복 2회
토,휴일 1회 증회 운행
32-5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구야, 감문, 오성, 금곡송문왕복 1회
<|2><#D3D3D3>32-6<|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구야 → 감문 → 오성 → 금곡 → 송문 →<|2>시술<|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금곡 미경유
← 김천의료원 ← 구야 ← 감문 ← 오성 ← 송문 ←
<|2><#D3D3D3>32-7<|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구야 → 감문 → 대양 → 천동 → 태촌 →<|2>시술<|2>왕복 1회
시술 방면 태촌 경유
← 김천의료원 ← 구야 ← 감문 ← 대양 ← 천동 ←
33-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개령 → 빗내 → 배시내 → 감문 → 구야 →감문편도 1회 운행
<|2><#D3D3D3>33-3<|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구야 → 문무 → 도명 → 남곡 →<|2>감문<|2> 왕복 1회
터미널 방면 부거리, 중앙중 경유
토,휴일 운휴
← (영남대로경유) ← 중앙중 ← 자연과학고 ← 부거리 ← 속구미 ← 구야 ← 문무 ← 도명 ← 남곡 ←
38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개령, 빗내, 배시내, 습례선산[7]왕복 4회
38-1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서부리, 개령, 빗내, 배시내, 습례선산왕복 1회
<|2><#D3D3D3>38-4<|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개령 → 빗내 → 배시내 → 습례 →<|2>선산<|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황계동, 남전 경유
← 김천의료원 ← 황계동 ← 남전 ← 개령 ← 빗내 ← 배시내 ← 습례 ←
38-5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황계동, 남전, 개령, 빗내, 배시내, 습례선산왕복 1회
<|2><#D3D3D3>38-6<|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개령 → 빗내 → 시술 → 황새울 → 소재 →<|2>선산<|2>왕복 2회
터미널 방면 황새울,시술만 경유
← 김천의료원 ← 시술 ← 황새울 ←
38-7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황계동, 개령, 빗내, 남전배시내왕복 1회
<|2><#D3D3D3>38-8<|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황계동 → 개령 → 빗내 → 남전 →<|2>배시내<|2> 왕복 1회
터미널 방면 황계동 미경유
← 김천의료원 ← 개령 ← 빗내 ← 남전 ←
39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서부리, 개령, 빗내배시내왕복 1회
<|2><#D3D3D3>39-1<|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의료원 → 구야 → 감문 → 송문 → 금곡 → 감문 →<|2>배시내왕복 1회
터미널 방면 금곡, 송문 미경유
← 김천의료원 ← 구야 ← 감문
개령면을 경유하는 좌석버스 노선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기타사항
<|2><#D3D3D3><:>332<|2>김천공용버스터미널구야, 감문<|2>개자<|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중앙중 경유
← (영남대로경유) ← 중앙중 ← 구야 ← 감문 ←
<|2><#D3D3D3><:>332-2<|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구야 → 문무 →<|2>문무<|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도명,남곡 경유
← 구야 ← 문무 ← 남곡 ← 도명 ←
<#D3D3D3><:><|4> 332-3<|4>김천공용버스터미널→ 구야 → 감문 → 오성 →<|2>송문<|2>왕복 1회
송문 방면 금곡 미경유
← 구야 ← 감문 ← 오성 ← 금곡 ←
→ 구야 → 남곡 → 도명 →<|2>문무<|2>왕복 2회
터미널 방면 구야만 경유
← 구야 ←
<|2><#D3D3D3><:>332-8<|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구야 → 감문 → 대양 → 천동 →<|2>시술<|2>왕복 1회
터미널 방면 태촌 경유
← 구야 ← 감문 ← 대양 ← 천동 ← 태촌 ←
332-9김천공용버스터미널구야, 감문, 대양, 천동, 담안시술왕복 2회
<|2><#D3D3D3><:>333<|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구야 → 감문 → 대양 → 천동 → 담안 →<|2>시술<|2>1일1회
터미널 방면 감문, 구야만 경유
← 구야 ← 감문 ←
<|2><#D3D3D3><:>333-1<|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구야 → 감문 →<|2>시술1일 1회
시술 방면 구야, 감문만 경유
← 구야 ← 감문 ← 대양 ← 천동 ← 담안 ←
<#D3D3D3><:>338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개령, 빗내, 배시내, 습례선산왕복 3회
터미널 방면 첫차 평일만 중앙중까지 운행
<#D3D3D3><:>338-2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서부리, 개령, 빗내, 배시내, 습례선산왕복 1회
선산 방면 황계동, 신룡리 경유
<#D3D3D3><:>338-3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의료원, 서부리, 개령, 빗내, 배시내, 습례선산왕복 1회
터미널 방면 황계동, 신룡리 경유
<#D3D3D3><:>339-2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의료원, 황계동, 남전, 개령, 빗내, 남전, 시술황새울왕복 1회
터미널 방면 남전,황계동 경유

5 관내 자연부락

본 내용은 개령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5.1 황계리

  • 행경골. 황경(黃京). 황경곡
1805년 김명한이란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큰 들판을 낀 고을이고 황토가 많다고 하여 황경이라 했다 하며, 이것이 변하여 오늘날에는 속칭 행경골이라 부르고 있다.
  • 오송골. 오송(五松)
황계리 서쪽에 위치한 마을인데, 임진왜란 때 이곳에 큰 소나무 5그루가 있었는데 소나무가 있는 곳으로 피난을 하면 안전하다는 설이 있었다 하며, 그 때부터 마을 이름을 오송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 구내주막
지금의 번개들 중에서 약 60ha가 옛날에는 냇바닥으로 되어 있었고 들 위 부분에 있는 주막자리가 옛날에는 냇가였기 때문에 구내주막이라 불렀다 한다.
황계동의 입구인 동시에 번개들의 중심으로 농부들의 휴식처로 쓰였으나 현재는 없어지고 주변에 황계쉼터가 조성되어 대신하고 있다.

5.2 신룡리

  • 곰내기. 웅락(熊洛)
약 500년 전에 나천(羅天)이란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마을 앞 산의 모양이 곰이 머리를 내민 것 같다 하여 곰내기라 이름지었으며 한자로는 웅락이라 썼다.
또 마을을 나누어서 중심 되는 마을을 상신, 남쪽 마을을 중신, 상신의 아랫마을을 하신으로 부르기도 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룡동으로 개칭하였다 한다.
어모면의 능치. 능점과 함께 모두가 곰토템을 드러내는 곰숭배 - 조상숭배를 하던 관습이 지명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농경문화시기로 접어들면서 이는 거북 - 검(감)으로 바뀌어 쓰이게 된다.
  • 오룡골(五龍谷)
신룡리 중에서 북쪽에 위치한 마을로 약 1000년 전에 해주오씨인 한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마을을 둘러싼 산에서 5개의 능선이 마을을 향해서 뻗어 있고 그 밑에 천연적인 못이 있다 하여 오룡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5.3 덕촌리

  • 터골. 기동. 대촌
덕촌리의 중심 마을이며 임진왜란 때 함안조씨가 이곳을 개척하면서 마을터를 잡았다 하여 기동 또는 대촌이라 했다 하나 지금은 보통 터골이라 불리어지고 있으며 36여 가구가 살고 있다.
  • 독술. 독송(獨松). 약송
덕촌리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약 100년 전에 이 아무개란 선비가 이곳을 개척할 때 마을 뒷산이 독수리 모양이며, 당시 대단히 큰 소나무가 서 있었다 하여 독수리와 소나무란 뜻을 합하여 악송이라 부르기도 했고, 고립송이라는 뜻으로 독송이로도 불렀으나, 지금은 속칭 독술이라고 불리어진다.
  • 산당(山堂)
덕촌리의 북쪽에 있는 마을로서 박 아무개라는 이가 마을을 개척하면서 집들이 산 중턱에 자리 잡았다 하여 마을 이름을 산당이라 불렀다 한다. 마을에 산당이 있어 불러진 마을 이름이라는 추측도 있다.
  • 자방(紫方)
덕촌리의 북쪽에 위치한 마을로서 1480년경 오식이란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에 실 짜는 방이 있었다 하여 자방이라 불렀다 한다..

5.4 서부리

  • 버어골. 벅골. 백골. 버골. 안동네. 부억골(夫億谷). 부엌동
현재 마을회관 서쪽 산 안쪽의 위편 마을로 고려시대 경모씨라는 선비가 개척하였다 하며, 주민들의 생활이 넉넉하여 부엌동이라 불리어 왔다 한다. 60여 가구에 김해김씨. 수원백씨. 안동권씨와 이씨. 손씨 등이 살고 있다.
  • 하몰골. 하묵골. 하먹골. 하목골. 화목동(和睦洞)
서부리에서 중심되는 마을로 동사무소에서 동쪽으로 뻗쳐 있으며 이웃과 친척 사이에 화목하게 지낸다 하여 화목동이라 불렀다 하며 이씨. 김씨. 문씨 등이 35가구 정도 살고 있다.
  • 우랑동. 우량동(友良洞)
주민들의 수준이 높고 좋은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화목동 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 죽전동(竹田洞)
화목동 북편에 있는 마을인데 오늘날도 마을 뒷산에 대나무 밭이 많다. 대나무를 심은 연대는 알 수 없고 죽전동이란 마을이름은 대나무가 유달리 많아서 붙여진 것으로 보고 있다.

5.5 동부리

  • 윗마을. 윗골. 조동. 교동. 교촌(校村)
오늘날 향교가 있는 마을로서 한자어인 교동(校洞)을 속칭 조동이라 부르며, 이 교동 맞은편 산이 마치 호랑이가 오른쪽으로 누워 잠자는 형상이라 하여 호두산(虎頭山)이라고 하는데 이 호두산 윗줄기인 감문산 중턱에 계림사라는 고찰은 신라 눌지왕 3년 아도 화상이 산세를 진압시키려고 창건했다고 한다.
  • 옥전동(玉田洞)
옥지기들이 경작하던 밭으로 생각되는 동부리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 정변동(井邊洞)
동부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구 농협 창고 앞쪽에 샘이 있어 지어진 이름이다.
  • 조천. 구교(舊校)
원래 동부 2리 관학산 중턱에 있었는데 1837년 개령현감 태두남이 감문산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전의 향교 자리는 지금 구교(舊校). 교천(校遷) 또는 조천으로 부르고 있다. 그곳에 유후조 정승의 묘라고 전해지는 묘가 있다.

5.6 양천리

  • 역말. 양천. 양천역(楊川驛)
감천 냇가의 수양버들이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양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하며, 지금도 이 마을 앞 감천변을 따라 큰 수양버들이 많아 여름철 피서지로 이용되었고 양천리 중앙 부분에 조선 때 김천 도찰방에 딸린 양천역이 있었는데 고종 건양 원년에 혁파되었다.

5.7 광천리

  • 광어이. 광한(光汗)
병자호란 때 안련이란 사람이 비통히 여겨 개령 광한리로 낙향하여 들이 넓고 내도 광할하다고 붙인 지명이라 하며, 방언으로 광어이라고 한다.
  • 빗내. 큰마. 횡천(橫川)
낙동강의 지류인 감천에 비켜 흐르는 내가 동네 앞으로 흘러서 빗내라고 했다는 이야기와 동네가 감천에 비스듬히 있다고 빗내라고 한다는 설도 있으며, 새마와 중마를 구별되게 하기 위해 큰마라고도 부른다. 감천의 흐름이 마을에서 보면 빗겨 흐르는 모습으로 보여 빗내라 한 것으로도 보인다.빗내 농악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8호로 지정되어 있다.
  • 새마.주막거리
빗내 앞에 있는 마을로서 처음에는 주막이 있어 주막거리라 했으나, 그 후 주택이 늘어남에 따라 새로 생긴 마을이란 뜻에서 새마라 부르게 되었다.

5.8 남전리

  • 남밭. 남전(藍田). 물로동(勿老洞).물로리. 불로리. 적전(赤田)
원래 물로동이라 불렀으나 소년들이 잘 죽어 조선시대에 남밭으로 이름을 고쳤다고 하며, 산에 나무가 적어 적전이라고도 불러지며 신선이 놀던 곳이라 하여 물로리 또는 불로리라고도 불려져 오고 있다.
  • 웃마. 상촌(上村)
남밭내(川)에서 위쪽에 위치한다고 웃마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오늘날 포도. 복숭아 등 산지 과수를 많이 심어 부촌으로 가꿔 가고 있다.
  • 아랫마. 하촌(下村)
남밭내(川)에서 아래쪽에 위치한다고 아랫마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못안. 지내(池內)
마을 앞에 못이 있다고 하여 못안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이 못은 면적이 1,322m2여 평으로 모든 산세와 지세가 이곳에 모이므로 나라에서 역적이 난다고 광산김씨의 소유인 땅을 지금부터 약 500년 전에 못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6 기타

  • 옆동네에 감문면이 있는데, 개령면 일대가 옛날 감문국이라는 소국의 중심지역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관련 유적지의 대부분은 개령면에 몰려있다.
  • 초등학교가 2개나 되는데, 개령초등학교가 동부리에 위치, 개령서부초등학교는 서부리에 위치할...것 같았으나 신룡리에 위치한다. 개령면 학생들 외에 대광동지역[8] 학생들도 일부 배정된다.
  1. 현재 어모면
  2. 훗날 지례군이 되며 현재 구성면, 지례면, 대덕면 일대지역이다. 증산면은 근대까지 성주군 소속이였다.
  3. 현재 무주군 무풍면 일대
  4. 훗날 김산군이 되며 현재 김천시중심이 되는 동지역을 비롯한 대다수의 김천지역
  5. 현재 김천시 동지역에 해당되는 김천면이 김산군 지역이였다.
  6. 사실은 경북드림밸리한국도로공사의 본사를 위한 나들목이다.
  7.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8. 묘광이라고 하는 자연부락이 마치 개령면 소속인냥 가깝게 붙어있다. 면 경계선 없이 지도를 보면 묘광은 그냥 개령면 소속같이 보이는 미묘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