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김천시/행정
김천시의 읍면동 | ||||||
읍 | 아포읍 | |||||
면 | 조마면 | 감천면 | 대항면 | 어모면 | 구성면 | |
감문면 | 봉산면 | 개령면 | 농소면 | 남면 | ||
지례면 | 부항면 | 대덕면 | 증산면 | |||
법정동[1] | ||||||
자산동 | 감호동 | 용두동 | 모암동 | 성내동 | ||
평화남산동 | 평화동 | 남산동 | ||||
양금동 | 황금동 | 양천동 | ||||
대신동 | 신음동 | 대광동 | 응명동 | 교동 | 삼락동 | |
문당동 | ||||||
대곡동 | 부곡동 | 다수동 | 백옥동 | |||
지좌동 | 지좌동 | 덕곡동 | ||||
율곡동 | 율곡동 | |||||
녹색 칸은 관할 행정동명이다. |
農所面 / Nongso-myeon
농소면사무소 |
농소면 農所面 / Nongso-myeon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기초자치단체 | 김천시 |
인구 | 3,311명 (2014년 8월 주민등록인구) |
면적 | 45.42㎢ |
하위 법정리 | 7리 |
법정동 코드 | 4715031000 |
면사무소 소재지 | 월곡리 |
농소면사무소 홈페이지 | |
|
목차
1 개요
김천시 동쪽에 위치한 면. 동으로 율곡동, 남면과 접하며, 서로 덕곡동, 감천면과 접하고, 남으로 성주군 초전면과 벽진면과 접하며, 북으로 아포읍, 개령면과 접한다.
2 역사
연명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조선시대부터 농소면이였으며, 당시에는 개령현 소속이였다. 연명리가 조금 특이한 케이스인데, 연명리의 위치를 살펴보면 관내 남서쪽에 위치, 현재 김천시 동지역과 반대쪽, 즉 성주군방면에 위치한다. 그런데 연명리는 희한하게도 김산군 소속이였다. 즉 월경지였다는 말. 이는 신라시대의 영향으로 신라시대에 관습적인 행정구역이 조선시대때까지 내려와서 그렇게 된 것같다고 한다.
1906년 연명리지역은 연명면으로 승격되고, 김산군에서 분리되어 농소면에 이속되었다.[1]
1914년 행정구역 개편당시 연명면은 연명리가 되어 농소면에 포함되었으며, 새로 출범한 김천군 소속이 되어 김천군 농소면이 되었다.
1949년 김천읍이 김천시로 승격 분리되면서, 금릉군 소속이 되었으며 1995년 김천시와 금릉군이 다시 도농통합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김천시 농소면이 되었다.
2013년 월곡리 일부와 신촌리 일부에 경북드림밸리사업이 진행되면서 경북드림밸리사업지를 율곡동으로 분리하여 면적이 조금 작아졌다.
3 관할 리
7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지명 | 법정동 코드 | 비고 |
입석리 | 4715031021 | |
신촌리 | 4715031022 | 김천휴게소 소재 |
월곡리 | 4715031023 | 면사무소, 농소초등학교 소재 |
용암리 | 4715031024 | |
봉곡리 | 4715031025 | |
연명리 | 4715031026 | |
노곡리 | 4715031027 |
4 교통
4.1 도로교통
4번 국도가 관내를 관통한다. 입석리와 월곡리 일대를 경유하는데, 4번 국도가 김천 시가지 지역으로 들어가는 국도이기 때문에, 4번 국도가 통하지 않는 마을에서도 4번 국도를 통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일이 많다. 관내 주요교통로. 4번 국도는 김천시에서 인접한 대도시인 대구광역시로 가는 국도기 때문에 차량 통행량도 많은 편이다.
원래 국도는 하나뿐이였는데, 3번 국도가 선형을 변경하게 되어 농소면 일대를 관통하며, 관내 농소교차로에서 3번 국도와 4번 국도가 교차한다.
덕분에 관내에서 양천동, 황금동일대와 감천면일대, 멀리는 거창군이나 상주시이동이 시가지를 거치지 않고 자동차 전용도로로 바로 갈 수있어 아주 편해졌다. 3번 국도의 선형변경은 인접한 율곡동에 경북드림밸리때문이지만, 관내에서 율곡동일대를 가기 위해서는 3번 국도를 이용해서는 안된다. 다른지역에서 율곡동을 접근하기 위해 설치된 교차로가 농소교차로이기 때문에, 농소교차로에서 3번 국도를 이용하게 되면 남면 초곡리까지 가서 되돌아 와야된다.
514번 지방도역시 관내를 관통하는데, 바로 옆 덕곡동에서 4번 국도와 514번 지방도가 분기된다. 514번 지방도는 신촌리 일대를 지나는데, 신촌리 일대 주요 교통로로 이용된다. 이 도로는 인접도시 구미시로 가는 지방도로 김천시에서는 국도보다 이용율이 높은 도로이다. 신촌리는 옆 율곡동에 경북드림밸리가 생기면서 사실상 월경지가 되었다. 월곡리와 붙어있기는 하지만,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월곡리로 가려면 율곡동이나 덕곡동을 반드시 거쳐야만 한다.
913번 지방도가 관내를 관통한다. 북으로는 율곡동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남으로는 성주군 벽진면, 초전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노곡리, 연명리 등에서는 이 도로를 통해 4번 국도로 나와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일이 많다.
번호는 따로 부여되어 있지 않지만, 관내 벽봉로라는 길도 주요 교통로이며, 남으로 성주군 벽진면, 동으로 감천면 등지로 이동 가능하며, 입석리에서 농남로와 만나게 된 뒤 월곡리에서 4번 국도와 만나게 된다. 용암리, 봉곡리 지역에서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는 길이다.
4.2 철도
관내를경부선철도가 관통한다. 하지만 역사는 없고 열차를 이용하려면 김천역을 이용하여야 한다. 승용차로 20여분 소요.
관내를 경부고속선철도가 관통하며 고속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김천(구미)역을 이용하면 된다. 남면에 위치하긴 한데, 농소면과 남면과 경계선상에 역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아주 가깝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승용차로 5분~20분 소요. 특히 입석리, 월곡리 일대는 5분내 접근 가능으로 역세권이나 마찬가지이다.
4.3 버스
시외교통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하여야 한다. 승용차로 20여분 소요.
김천시소속 시내버스 외에 성주군소속 농어촌버스가 이곳을 지난다.
구미시관내 버스가 신촌리를 경유한다. 신촌리 쪽으로 가고자 한다면 구미시 관내 버스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용시지역은 원래 농소면 관내이고 원래 마을이 있었다. 현재 마을이 있던 곳은 율곡동 관내로 넘어간 상태. 농소면 관내에서 용시지역만 경유하는 노선이 일부 있는데, 용시지역에 마을이 사라졌으므로 목록에서 제외 하였다.
농소면을 경유하는 일반(입석)버스 노선 |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기타사항 |
<|5><#D3D3D3><:>1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5>직지사 | 직지사 방면 21회 터미널 방면 17회 터미널 방면 1회 토,휴일 운휴 |
시청 |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 | 직지사 방면 10회 편도 운행 | ||
덕곡주공 | → 아랫장터 → 지좌동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 | 직지사 방면 9회 편도 운행 1회 토,휴일 운휴 | ||
김천구미역 | → 용시 → 아랫장터 → 지좌동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 | 직지사 방면 2회 편도 운행 | ||
지경리 | 월명, 김천구미역, 옥산,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1일 1회 운행 | ||
<|4><#D3D3D3><:>11-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주공아파트 | <|3>영남제일문 | 영남제일문 방면 7회 터미널 방면 9회 토,휴일 1회 왕복 운행 |
덕곡주공 |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주공아파트 → | 영남제일문 방면 3회 편도 운행 | ||
김천구미역 | 용시, 지좌동,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 1회운행, 토,휴일 운휴 | ||
봉천 | 석정, 옥산,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직지사 | 1회 운행, 토,휴일 터미널~직지사 구간 운휴 | |
<|2><#D3D3D3><:>11-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2>이로리 | 왕복 2회 터미널 방면 1회 토,휴일 운휴 |
김천구미역 | → 신촌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 | 이로리 방면 1회 편도 운행 토,휴일 운휴 | ||
<|4><#D3D3D3><:>11-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4>추풍령[*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 추풍령 방면 6회 터미널 방면 11회 |
시청 |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 | 추풍령 방면 3회 편도 운행 | ||
덕곡주공 |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1일 2회 | ||
종상 | → 국립종자원 → 율곡중학교 → LH아파트 → 김천구미역 → (신촌), (용시)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 | 추풍령 방면 2회 편도 운행 첫차 용시 경유 막차 신촌 경유 | ||
12-1 | 김천구미역 | → 신촌 → 지좌동 → 아랫장터 →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터미널 방면 5회 편도 운행 |
시청 | →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신촌 → | <|3>김천구미역 | 김천구미역 방면 1회 편도 운행 토,휴일 운휴 | |
봉계 | → 코아루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신촌 → | 김천구미역 방면 3회편도 운행 | ||
직지사 | 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신촌 | 1일 2회 운행 | ||
12-4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아랫장터 → 지좌동 → 신촌 → 김천구미역 → LH아파트 → 율곡중학교 → 용전사거리 → 국립종자원 → | 종상 | 종상 방면 1회 편도 운행 |
직동 | 봉계, 코아루,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신촌, 김천구미역, LH아파트, 율곡중학교, 용전사거리, 국립종자원 | 1회 운행 | ||
<#D3D3D3><:>12-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석정 | 봉천 | 봉천 방면 3회 터미널 방면 2회 |
<#D3D3D3><:>12-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종상, 봉천 | 오봉 | 왕복 2회 오봉 방면 막차 농소, 옥산 미경유 |
<|2><#D3D3D3><:>12-8 | 천덕 | → 직지사 →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 <|2>김천구미역 | <|2>왕복 1회 천덕 방면 터미널까지만 운행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 |||
<#D3D3D3><:>13-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대방골) | 사실리[2] | 사실리 방면 막차 대방골 경유 터미널 방면 막차 대방골 미경유 |
13-4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 사실리 | 왕복 1회 |
<#D3D3D3><:>13-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 노곡 | 노곡 방면 6회 터미널 방면 5회 |
<|2><#D3D3D3><:>13-7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월명 | <|2>지경리 | 지경리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3회 |
직지사 | →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지경리 방면 3회 편도 운행 | ||
13-8 | 직지사 | 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월명, 지경리 | 약목[3] | 왕복 3회 운행 |
13-9 | 직지사 | 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월명, 지경리, 약목 | 왜관[4] | 1일 왕복 2회 |
14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월명 | 성주[5] | 1일 3회 운행 |
<|5><#D3D3D3><:>1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코아루 | <|5> 봉계 | 봉계 방면 27회 터미널 방면 28회 봉계 방면 11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6회 토,휴일 운휴 |
시청 | →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코아루 → | 봉계 방면 10회 편도 운행 | ||
덕곡주공 |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코아루 → | 봉계 방면 7회 편도 운행 2회 토,휴일 운휴 | ||
김천구미역 | → 용시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코아루 → | 봉계 방면 1회 편도 운행 | ||
노곡 |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코아루 | 1회 운행 | ||
1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김천역 → | 중앙중 | 중앙중 방면 3회 편도 운행 |
시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 1회 운행, 토,휴일 운휴 | ||
김천구미역 | → LH아파트 → 율곡초등학교 → 용전사거리 → 도로공사 → 신촌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 중앙중 방면 1회 편도 운행 터미널~중앙중 구간 토,휴일 운휴 | ||
농소면을 경유하는 좌석버스 노선 |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기타사항 |
<|5><#D3D3D3><:> 11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5>직지사 | 직지사 방면 9회, 터미널 방면 8회, 직지사 방면 1회 토,휴일 운휴 |
시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직지사 방면 편도 운행 | ||
덕곡주공 |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
김천구미역 | 용시,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
약목 | 지경리, 월명, 김천구미역, 옥산,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 |||
<|2><#D3D3D3><:>112-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지좌동, 신촌 | <|2>김천구미역 | 2~3회 김천구미역 방면 2회 터미널 방면 3회 |
봉계 | → 코아루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신촌 → | 1회 김천구미역 방면 편도 운행 | ||
113-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 사실리 | 사실 방면 편도 1회 운행 |
113-4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 사실리 | 사실 방면 편도 1회 운행 |
<|2><#D3D3D3><:>113-7 | 직지사 | →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 <|2>지경리 | <|2>지경리 방면 3회 터미널 방면 2회 직지사 방면은 터미널까지만 운행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 |||
<|2><#D3D3D3><:>113-8 | 직지사 | →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지경리 → | <|2>약목 | <|2>약목 방면 3회 터미널 방면 2회 직지사 방면 터미널까지만 운행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지경리 ← | |||
<|6><#D3D3D3><:>22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 <|6>시청 | 시청 방면 17회 터미널 방면 18회 시청 방면 6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4회 토,휴일 운휴 |
덕곡주공 |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 | 시청 방면 4회 편도 운행 막차 토,휴일 운휴 | ||
김천구미역 | → 용시 → 덕곡주공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 | 시청 방면 편도 운행 | ||
지경리 | 월명, 김천구미역, 옥산,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이마트 | 1회 | ||
봉계 | 코아루,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이마트 | 1회 | ||
직지사 | →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 | 시청 방면 8회 편도 운행 첫차 토,휴일 운휴 |
농소면을 경유하는 경상북도 구미시 소속 버스[6] |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구분 | 운수회사명 |
5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의동, 구미역 | 금오공대 | 일반(입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1-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구미역 | 금오공대 | 일반(입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2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 선산 | 일반(입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2-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김천구미역 | 선산 | 일반(입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구미역 | 구미종합버스터미널 | 좌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3-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농공단지, 구미역 | 구미종합버스터미널 | 일반(입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구미역, 1공단 | 석적 | 일반(입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7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구미역 | 금오공대 | 일반(입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53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구미역, 아포, 구미역 | 구미종합버스터미널 | 좌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55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구미역, 아포, 구미역 | 석적 | 좌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55-1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구미역, 공단본부 | 구미종합버스터미널 | 좌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57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포, 구미역 | 금오공대 | 좌석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000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구미역, 아포, 구미역 | 구미종합버스터미널 | 리무진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100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구미역, 아포, 구미역, 구미종합버스터미널, 공단본부 | 황상 | 리무진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200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구미역, 아포, 구미역, 구미종합버스터미널, 금오공대 | 4공단 | 리무진 | 일선교통, 구미버스 |
5 관내 자연부락
본 내용은 농소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
5.1 입석리
- 선돌. 선둘. 입석(立石)
- 마을 입구와 북서쪽 산에 암석이 하나씩 크게 솟아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을 고칠 때에 봉곡동과 율곡동, 봉현동의 각 일부와 연명면 입석동 일부가 합하여졌다.
- 달팽이. 애말리. 외말리. 팔미(八味)
- 팔미들 서쪽에 있는 조그마한 부락으로 들 이름을 따서 팔미라고 부르고 있으며, 이 들 한가운데 물을 대는 보에서 달팽이가 많이 나와서 달팽이라 불렀다. 또 외말리는 입석으로부터 바깥 마을이라고 하여 외말리라 한 것이 차츰 변하여 애말리라 부르고 있다.
5.2 신촌리
- 농신촌. 신촌(新村)
- 조선 중엽에는 관동못 옆에 큰 마을이 있었으나, 외세의 침입과 화적떼의 등살로 현재의 마을로 옮겨서 새마을을 만들었다 하여 신촌이라 하며, 마을 근처에 농막이 있다 하여 농신촌이라 부르기도 했다.
- 봉촌(鳳村)
- 처음에는 하천변에 이름 없는 마을로 두세 집이 살면서 화적떼를 대접하였다 하여 봉촌이라 불러 오다가 지금은 봉촌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싸리미
- 이 마을은 유씨 성을 가진 사람이 살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일설에는 버드나 무가 많은 곳에 자리잡은 마을이라 버드실. 유촌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5.3 월곡리
- 밤실. 율곡(栗谷)
- 조선 영조 때 밀양박씨가 집단으로 마을을 개척하여 살았고, 그 후 김처철이라는 선비가 선산 송림 율곡에서 이주해 와서 보니, 이곳에도 밤나무가 많으므로 그곳의 지명을 따서 밤실이라 불렀다 한다. 지리서를 보면 밤은 중요한 먹거리로서 마을 이름이 될 정도로 밤의 생산이 관심사였다.
- 월천동(越川洞)
- 밤실 북쪽에 있는 마을로 1936년 율곡 마을이 병자년 수해로 침수되어 박희중 선비가 작은 내를 건너(越川) 새로 부락을 개척했다 하여 마을이름을 동음의 한자로 월천동이라 적었다.
- 용시. 농신리(農神里)
- 조선 인종 7년 의병 이정용이 임진왜란 후 당쟁 때문에 이곳에 은거하여 농사에 종사하면서 살았다 하여 농신리라고 한 것이 세월이 흐르는 동안에 용시라는 사투리로 부르게 되었다. 또 하나의 전설은 이곳 주민 모두가 농사를 잘지어 신농씨(神農氏)로 불리어진 것이 농신으로 변했다고 한다.
- 남 곡(南谷)
- 김중식이라는 선비가 약 300년 전에 개척하였으며, 이곳의 지형이 사방 산으로 둘러싸이고 아담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마을 부근 구릉지에서는 과수원 단지가 형성되어 사과. 포도. 복숭아. 자두가 많이 생산된다.
- 안못골. 내지(內池)
- 약 300년 전에 대홍수가 있어 못이 생겼는데 못의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안못골 또는 내지라고 불렀다. 이 마을에는 밭이 많아 사과. 포도. 자두 등의 과일이 많이 생산된다.
- 바깥못골. 점못골. 외지(外池). 옹점(甕店)
- 못골 밖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외지라고 부르게 되었고, 또 이곳에 옹기전이 있어 옹점이라는 이름도 같이 부르게 되었다 한다.
5.4 용암리
- 씰미. 소마(所麻). 세마
- 마을 근처의 토지가 비옥하여 예로부터 삼이 잘 되고, 마을 사람들이 길쌈을 잘하여 마포 생산이 많았다. 이로 인하여 동민이 소마 또는 세마로 불리어지게 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씰미의 유래는 알 길이 없다.
- 숲
- 봉곡천 가까이에 있는 조그마한 마을로 인가가 들어서기 전에는 냇가에 울창한 숲이 있었다. 광복 후부터 개척하여 마을이 이루어졌으므로 마을 이름을 숲이라 부르게 되었다. 개척된 땅에는 사과나무를 심어 부근 일대가 과수원으로 변모되어 많은 사과를 생산하고 있다.
- 대방골. 대방(大方)
- 용암동 서쪽에 있는 부락으로 마을이 긴 방천의 끝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마을 이름을 대방(大坊,大防)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5.5 봉곡리
- 샙디. 샙띠. 새티. 봉현(鳳峴)
- 옛날 이 마을 부근에 학이 많이 날아와 겨울을 났는데, 학이 많이 날아오면 마을이 흥하고, 적게 날아오면 동세가 쇠약해졌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이 학을 보호했다고 한다. 샙디. 샙띠. 새티라는 이름도 큰새 즉 학이 떼를 지어 살았던 데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 우봉골
- 인가가 들어선지 약 20년 밖에 되지 않은 작은 마을인데, 우봉골이라는 골짜기 어귀에 위치한다고 우봉골이라 불리어지게 되었다.
- 사실. 조곡(鳥谷)
- 마을 부근에 큰새 학이 많이 서식하여 조곡이라고 불리어지게 되었다 하며, 또 이 마을 부근에 고방사라는 절이 있는 바 이 절로 인하여 사실이라고도 일컬어졌다는 설이 있다.
- 노 산(盧山)
- 사실의 서쪽 가까이 있는 마을인데 옛날에는 마을 근처에 갈대가 많아 노산이라고 이름지어 졌다 한다.
5.6 연명리
- 연명(延明)
- 옛날 이곳 주민들이 큰 홍수를 당하여 배바골이라는 산에 배를 매어 목숨을 구했다 하여 부락명을 연명(延命)이라 불렀던 것이 세월이 흐르는 동안 어느새 연명(延明)으로 바뀌었다 한다.
- 수골. 숫골. 수오(水梧)
- 연명동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부락 앞에 큰 오동나무가 서있었다고 하여 부락명을 수오(樹梧)라고 불러오다가 지금은 물 수자 수오(水悟)라 부르게 되었다.
5.7 노곡리
- 노리실. 노루실. 노곡(老谷)
- 옛날 연명이 개령현 연명면의 소재지일 때 관직에 봉직하고 있던 하급 관직 중 나이 많은 사람은 관직을 그만두고 이 골짜기에 모여 살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마을 이름을 노루실이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