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慶北線 / Gyeongbuk Line
경북선 | |
350px 크게보기 | |
소유자 | " />?width=100 |
운영기관 | " />?width=100 |
노선번호 | 214 |
노선명 | 경북본선 (慶北本線) |
종류 | 간선철도 |
영업거리 | 115.0㎞ |
궤간 | 1435㎜ |
역수 | 12 |
기점 | 김천역 |
종점 | 영주역 |
전기 |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 | ATS |
선로 수 | 1 |
개업일 | 1924년 10월 1일 |
운영노선 | 무궁화호 |
목차
1 개요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역과 김천시 김천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2011년 1월 25일부로 나무위키(舊 리그베다 위키)에 경북선의 모든 역에 대한 정보가 작성되었다.
2 역사
- 1924년 10월 1일 : 김천-상주, 상주-점촌 구간이 완공 (조선철도주식회사의 사철로 운영시작)
- 1928년 11월 1일 : 점촌-예천 구간 개통
- 1931년 10월 11일 : 예천-안동 구간 개통
- 1944년 10월 1일 : 전쟁 수행 물자 부족을 이유로 점촌-안동 구간 폐선 (선로수거)[1]
- 1966년 1월 27일 : 점촌-예천 구간 개통
- 1966년 10월 11일 : 예천-영주 구간 개통[2]
- 2016년 4월 28일 : 예천-어등 이설(0.2km 단축)
3 특징
여객수요가 나올만한 곳이 매우 적다.
그나마 충북선은 대세청(대전-세종-청주) 라인이 여객수요를 책임지고 있고 서부경전선은 성수기에 보성역 수요가 상당히 나와서 그나마 나은데[3], 경북선에는 철도망으로 유입되는 관광 수요도 거의 없다. 수도권에서 경북선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다니지 않는 것을 보면 말 다 했다. 경북순환열차까지 포함해 열차가 하루에 딱 네 번[4] 왕복하며, 이는 서부경전선의 운행횟수보다 더 적다. 주민들은 30분 간격으로 다니는 시외버스를 주로 이용한다. 선로 상태도 전국에 있는 간선 철도 중에 가장 상태가 좋지 못하고 점촌~영주 구간의 경우 시속 60km이상 달리지를 못 한다.[5]
경북선의 유일한 장점은 운임이 싸다는 것. 그래서 시간대가 맞으면 경북선을 타기도 한다.
다만 기종점을 제외하고도 중간에 시가 2개(상주시, 문경시)나 있는 것이 위안이 되어 실제 이용객 수는 오히려 서부경전선보다 경북선이 많다. 연이용객 수 보성역 11만, 상주역 18만. 이 두 역은 각각 서부경전선과 경북선의 중간역 중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즉 경북선의 승리.
그래도 적자라서 코레일은 이 노선을 운행하는 열차에 꼼수를 부렸는데, 부산역 착발로 변경한 것. 즉 부산역에서 동대구역을 거쳐 김천역까지의 경부선 구간수요도 같이 노린 것이다. 이 때문에 순수하게 경북선 구간만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없고, 모두 부산에서 출발하여 김천에서 경북선으로 들어가 영주까지 운행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부산에서 영주로 가는 경북선 경유 열차를 타 보면 경부선처럼 구미역~대구역 구간수요가 끝나주게 많고, 잔여 경부선 구간에서도 꾸준히 수요가 있는 반면에, 경북선 구간은 상대적으로 승객이 적은 편이다.
유별나게 폐역이 많은 노선이다. 원래 26역이었는데, 현재 남은 역은 12역이다. 절반을 넘는 14역이나 폐역될 정도. 아니, 그냥 무정차역으로 돌리고 그대로 놔두면 될걸 왜 굳이 폐역까지 시켰대?
향후 중부내륙선이 개통하면 문경선 및 이 노선의 점촌 - 김천 구간을 중부내륙선의 일부로 편입하여 개량할 계획이 장기계획으로 잡혀있다. 예천군 안습 이렇게 되면 남는 점촌역-영주역 구간은 영동선에 편입될 듯. 그런데 영동선도 동해역 이후 구간은 동해선에 편입될 예정이다.
4 주요 구간
김천 - 상주 - 점촌(문경시청) - 예천 - 영주 |
김천에서 경부선, 점촌에서 문경선, 영주에서 중앙선 및 영동선과 접속한다.
5 역 목록
5.1 현재 역 목록
일러두기(여객, 화물취급) | |||
K | KTX 필수정차 | k | KTX 선택정차 |
R | SRT 필수정차 | r | SRT 선택정차 |
I | ITX-청춘 필수정차 | i | ITX-청춘 선택정차 |
S | ITX-새마을/새마을호 필수정차 | s | ITX-새마을/새마을호 선택정차 |
M |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 m |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
C | 통근열차 정차 | B | 바다열차 정차 |
O | O-train 정차 | V | V-train 정차 |
N | S-train 정차 | D | DMZ-train 정차 |
A | A-train 정차 | G | G-train 정차 |
H | 화물취급 | ─ | 여객/화물 미취급 |
일러두기(역 등급) | |||
⊙ | 관리역 | ○ | 보통역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위탁발매소 |
‡ | 신호장 | † | 신호소 |
※ 관할 지역본부
¶ 대구본부 : 김천
¶ 경북본부 : 옥산 ↔ 영주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김 천 | 金 泉 | MS | H | ⊙ | 경부선 | 경상북도 김천시 |
7.7 | 아 천 | 牙 川 | |||||
12.8 | 두 원 | 杜 院 | |||||
20.0 | 옥 산 | 玉 山 | m | ─ | ○ | 경상북도 상주시 | |
27.1 | 청 리 | 靑 里 | m | ─ | ◑ | ||
36.0 | 상 주 | 尙 州 | M | ─ | ○ | ||
44.4 | 백 원 | 白 元 | ─ | ─ | ◑ | ||
47.9 | 양 정 | 楊 亭 | |||||
55.8 | 함 창 | 咸 昌 | m | ─ | ◑ | ||
60.0 | 점 촌 | 店 村 | M | H | ⊙ | 문경선 | 경상북도 문경시 |
65.4 | 산 양 | 山 陽 | |||||
66.9 | 용 궁 | 龍 宮 | M | ─ | ◑ | 경상북도 예천군 | |
69.6 | 송 암 | 松 岩 | |||||
73.3 | 개 포 | 開 浦 | m | ─ | ◑ | ||
76.7 | 율 현 | 栗 峴 | |||||
79.7 | 가 동 | 佳 洞 | |||||
85.0 | 예 천 | 醴 泉 | M | ─ | ○ | ||
101.4 | 어 등 | 魚 登 | ─ | H | ◑ | ||
105.4 | 미 룡 | 美 龍 | |||||
108.1 | 반 구 | 盤 邱 | 경상북도 영주시 | ||||
115.0 | 영 주 | 榮 州 | MS | H | ⊙ | 중앙선 영동선 |
새마을호 속으면... 김천역은 경부선, 영주역은 중앙선이다!!!
경북선 이설사업을 반영하여 동예천역 이후 구간의 위치를 수정하였다.
5.2 1944년 이전의 예천-안동 구간 역 목록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지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예 천 | 醴 泉 | 경상북도 예천군 | ||||
4.1 | 고 평 | 高 坪 | |||||
9.5 | 호 명 | 虎 鳴 | |||||
15.5 | 경북풍산 | 慶北豊山 | 경상북도 안동시 | ||||
23.0 | 명 동 | 鳴 洞 | |||||
32.6 | 안 동 | 安 東 | 중앙선 |
1944년경 노선이 철거되고 중앙선과 연결된 안동역을 제외한 모든 역사가 폐역되었다. 이때 철거된 노선은 점촌-안동 구간이지만, 1966년에 점촌-영주로 노선을 새로 깔면서 점촌-예천 구간은 기존 노반을 그대로 사용했다. 선로가 갈라지는 곳은 예천역을 지나서 28번 국도와 34번 국도가 갈라지는 동예천 교차로 근처로, 안동 방면 선로는 34번 국도 옆으로 따라갔다. 고평역도 현 위치와는 다른 곳에 있었는데, 동예천교차로와 내성천의 거의 중간지점에 있었다.
5.3 2016년 이전의 예천-어등 구간 역 목록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지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85.0 | 예 천 | 醴 泉 | M | ─ | ○ | 경상북도 예천군 | |
86.6 | 동예천 | 東醴泉 | |||||
89.3 | 고 평 | 高 坪 |
2016년 4월 28일자로 완전히 이설되면서 더이상 통과하지 않는 구간이다.
6 지선
노선번호 | 노선명 | 기종점 | 철도거리 | 역수 |
2141 | 문경선 | 점촌역↔문경역 | 22.3km | 4 |
경북선에는 1개의 지선철도가 있다.
지선은 문경선과 가은선이 있었지만 둘 다 여객영업을 중단했다. 정확히는 문경선은 경북선의 지선이고 가은선은 문경선의 지선인 방식. 이중 가은선은 공식 폐선되어 레일바이크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점촌역을 제외하고 현재 영업중인 역은 인근에 쌍용양회공업이 있는 주평역 뿐이며, 그마저도 여객열차는 운행하지 않고 화물열차만 운행한다.
나머지는 진남역과 문경역을 제외하고 모두 폐역 상태이다. 다만, 중부내륙선이 개통되면 문경선 구간은 중부내륙선에 편입되어 영업을 재개할 예정이다.- ↑ 쉽게 말해서, 전쟁에 쓸 물자가 부족하다고 철도의 레일을 뜯어다가 엿바꿔먹어 자원으로 썼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일은 여기뿐만 아니라 한국이나 일본 곳곳에서 일어났다. 전쟁 말기 일본이 뭐 그렇지... 한국에서는 조선경남철도 경기선의 안성-장호원 구간, 광주선 광주-담양 구간이 그렇게 없어지고 말았다.
- ↑ 한국전쟁이 끝나고 이후 경제 개발 계획이 시작되면서 정부는 1962년~1966년 경부선, 중앙선, 영암선(현재 영동선의 영주-철암 구간의 옛 명칭)의 직결을 위해 노선을 변경하였다.
- ↑ 하루 1왕복밖에 없는 용산역 착발 무궁화호 근성열차가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에도 살아서 굴러다니는 곳이 서부경전선이다.
- ↑ 주말에는 부산~강릉 왕복편이 추가되어 총 5회 왕복
- ↑ 이전 버전에서는 전 구간 시속 60km이상 달리지 못한다고 되어 있었지만 김천~점촌 구간은 시속 90km까지 달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