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면

김천시의 읍면동
아포읍
조마면감천면대항면어모면구성면
감문면봉산면개령면농소면남면
지례면부항면대덕면증산면
법정동[1]
자산동감호동용두동모암동성내동
평화남산동평화동남산동
양금동황금동양천동
대신동신음동대광동응명동교동삼락동
문당동
대곡동부곡동다수동백옥동
지좌동지좌동덕곡동
율곡동율곡동
녹색 칸은 관할 행정동명이다.


鳳山面 / Bongsan-myeon
width=100%

추풍령 휴게소. 이름과는 달리 김천시 봉산면에 위치한다. 경계에 걸친것도 아니고 아예 봉산면 안이다.[1]

봉산면
鳳山面 / Bongsan-myeon
국가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김천시
인구3,637명
(2014년 12월 주민등록인구)
면적56.45㎢
하위 법정리8
법정동 코드4715037000
면사무소 소재지예지리
봉산면사무소 홈페이지

1 개요

김천시 서쪽에 위치한 면. 동으로 삼락동, 문당동, 어모면과 접하며, 서로 영동군 매곡면과 접한다. 남으로 대항면과 접하고, 북으로 영동군 추풍령면과 접한다.

2 역사

신라시대때부터 고려시대때까지 김산현에 속한 지역으로서, 근처 직지사에 봉납하는 산물을 생산하던 지역으로 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면의 동부와 남부지역은 김산군 파미면(巴彌面)으로 경상도 지역이였으며, 나머지 지역은 황간군[2] 남면의 일부지역으로서 충청도 지역이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당시 위 지역을 모두 통합하여 봉산면이라고 하고 김천군에 포함 되었다. 봉산면은 직지사에 봉납하는 산물을 생산하던 지역이라는 뜻이다.

1949년 김천읍이 김천부/김천시로 승격되면서 금릉군 소속이 되었으며, 1973년 복전동[3] 일대를 대항면에 넘겨주었다. 1995년 김천시금릉군이 도농통합을 실시함에 따라 김천시 봉산면이 되었다.

3 관할 리

8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지명법정동 코드비고
신리4715037021봉계초등학교 소재
인의리4715037022
예지리4715037023면사무소 소재
덕천리4715037024
태화리4715037025대화초등학교 소재
상금리4715037026
신암리4715037027신암역 소재
광천리4715037028추풍령 휴게소, 추풍령IC 소재

4 교통

4.1 도로교통

관내를 경부고속도로가 정확하게 관통하며 추풍령 휴게소, 추풍령IC가 위치한다. 영동군에 추풍령면이 있기는 하지만 휴게소, 나들목 모두 김천시 봉산면에 위치 고속도로 이용이 유리한 곳이다. 단, 4번 국도와 붙어있지 않은 신리, 예지리 일대는 교동에 위치한 김천IC가 훨씬 가깝다.

4번 국도가 관내를 관통한다. 정확하게는 덕천리 일대부터가 4번 국도라인. 신리도 4번 국도를 끼고 있긴 하지만, 마을은 국도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신리 소재의 전답들만이 4번 국도와 인접되어 있다. 그외 지역은 4번 국도와 인접되어 있다. 이 국도로 영동군 영동읍이나 황간면, 추풍령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김천시 다수동, 부곡동 일대로 이동이 가능하여 관내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삼락동일대에는 김천대학교가 있어 대학로가 이어져 있는데 이 대학로가 봉산면 지역으로 이어져 있으며, 신리에서부터 봉산1로로 이름이 바뀐다. 이 길은 면사무소를 이어주는 길일뿐만 아니라, 봉산의 중심지역이라 할 수 있는 신리, 예지리 일대는 4번 국도와 붙어있지 않기 때문에 주로 이 길을 이용한다. 이 길 역시 주요 교통로. 관내 태화리에서 4번 국도와 분기하며, 예지리, 신리를 지나 삼락동(김천), 교동일대로 이동이 가능한 주요교통로 되시겠다.

관내 덕천리에서 4번 국도903번 지방도가 분기하며 이 길은 대항면직지사 일대로 이어진다.

그외 어모면, 영동군 매곡면과도 붙어 있지만 이어진 길은 없다. 다른 곳으로 돌아가야 한다.

4.2 철도

관내를 경부선철도가 정확하게 관통한다. 그리고 관내 신암리에 신암역이 있다. 하지만 여객운행은 하지 않으므로, 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평화동에 위치한 김천역으로 이동하거나 영동군 추풍령면의 추풍령역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추풍령역운전간이역이고 김천역은 급은 떨어졌지만[4] 무궁화호, 새마을호 필정역이므로 김천역을 이용하는 편이 더 낫다.

경부고속선도 관내를 정확하게 관통하지만 관내 역사는 없다. KTX이용을 위해서는 남면으로 이동하여 김천(구미)역을 이용하여야 한다. 김천시 동지역을 기준으로 완전히 반대쪽이다. 승용차로 30~40분 소요.

4.3 버스

시외교통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하여야 한다. 승용차로 30분이상 소요.

시내교통은 11번대 버스와 15번대 버스가 일대를 경유한다. 신리, 예지리 일대와 나머지 지역이 버스노선이 다르다. 신리, 예지리 일대는 봉계라고 해서 15번대 버스 종점이 있는데, 생각보다 버스가 자주 있는 편이기 때문에 버스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일부 동지역 보다도 편한 편.

나머지 지역은 11번대 버스를 타야한다. 그런데, 11번대 버스는 대다수가 덕천리에서 직지사방면으로 빠져버린다. 덕천리[5]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버스교통이 편하지 않다. 추풍령면 일대로 가는 11번대 버스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정리해 보자면 11번대 직지사행 버스는 관내 덕천리만 경유하며, 11번대 추풍령면 방면 버스는 덕천리, 광천리, 신암리, 태화리 일대를 경유하며, 15번대 버스는 종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신리, 예지리, 상금리 일대를 경유한다. 같은 면이지만 이용되어지는 버스가 상이하다. 주의할 점.

봉산면을 경유하는 일반(입석)버스 노선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기타사항
<|5><#D3D3D3><:>11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5>직지사직지사 방면 21회
터미널 방면 17회
터미널 방면 1회 토,휴일 운휴
시청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직지사 방면 10회 편도 운행
덕곡주공→ 아랫장터 → 지좌동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직지사 방면 9회 편도 운행
1회 토,휴일 운휴
김천구미역→ 용시 → 아랫장터 → 지좌동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직지사 방면 2회 편도 운행
지경리월명, 김천구미역, 옥산,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1일 1회 운행
<|4><#D3D3D3><:>11-6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4>추풍령[*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추풍령 방면 6회
터미널 방면 11회
시청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추풍령 방면 3회 편도 운행
덕곡주공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1일 2회
종상→ 국립종자원 → 율곡중학교 → LH아파트 → 김천구미역 → (신촌), (용시)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추풍령 방면 2회 편도 운행
첫차 용시 경유
막차 신촌 경유
11-7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천덕[6]천덕 방면 1회 편도 운행
11-8김천공용버스터미널 (시청)(이마트),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직지사, 천덕임산[7]2회 운행, 임산 방면 첫차 시청 출발
<|2><#D3D3D3><:>11-9<|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2>직지사<|2>1회운행, 토,휴일 운휴
직지사 방면 김천역 경유
터미널 방면 중앙중 경유
← (중앙중)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5><#D3D3D3><:>12김천공용버스터미널아랫장터, 지좌동, 용시<|5>김천구미역김천구미역 방면 11회
터미널 방면 12회
김천구미역 방면 2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1회 토,휴일 운휴
시청→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용시 →김천구미역 방면 3회 편도 운행
봉계코아루,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용시1일 2회 운행
삼락동코아루, 부거리, 그린빌,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용시1일 1회 운행
정골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용시1일 1회 운행
12-1김천구미역→ 신촌 → 지좌동 →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터미널 방면 5회 편도 운행
시청→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신촌 →<|3>김천구미역김천구미역 방면 1회 편도 운행
토,휴일 운휴
봉계→ 코아루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신촌 →김천구미역 방면 3회편도 운행
직지사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신촌1일 2회 운행
<|2><#D3D3D3><:>12-8천덕직지사 →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2>김천구미역<|2>왕복 1회
천덕 방면 터미널까지만 운행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5><#D3D3D3><:>13김천공용버스터미널아랫장터, 지좌동<|5> 덕곡주공덕곡주공 방면 19회
터미널 방면 7회
덕곡주공 방면 4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2회 토,휴일 운휴
시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덕곡주공 방면 편도 운행
1회 토,휴일 운휴
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덕곡주공 방면 편도 운행
토,휴일 운휴
세송→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덕곡주공 방면 1회 편도 운행
직지사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1일 2회 운행
<|3><#D3D3D3><:>13-1김천공용버스터미널아랫장터, 지좌동, 무실<|3>덕곡주공덕곡주공 방면 3회
터미널 방면 2회
덕곡주공 방면 2회 토,휴일 운휴
시청→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무실 →덕곡주공 방면 1회 편도 운행
토,휴일 터미널 출발
추풍령→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무실 →덕곡주공 방면 1회 편도 운행
<|6><#D3D3D3><:>13-2<|2>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 지좌동 →덕곡주공<|2>덕곡주공 방면 4회
터미널 방면 3회
덕곡주공 방면 막차 토,휴일 운휴
남산동← 아랫장터 ← 지좌동 ←
시청→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남산동 → 아랫장터 → 지좌동 →덕곡주공 방면 1회 편도 운행
정골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남산동, 아랫장터, 지좌동
직지사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남산동, 아랫장터, 지좌동
추풍령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남산동, 아랫장터, 지좌동
<|2><#D3D3D3><:>13-6직지사→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2>부상고개<|2>1일 1회 운행
직지사 방면 터미널까지만 운행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2><#D3D3D3><:>13-7김천공용버스터미널아랫장터,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월명<|2>지경리지경리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3회
직지사→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지경리 방면 3회 편도 운행
13-8직지사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월명, 지경리약목[8]왕복 3회 운행
13-9직지사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지좌동, 덕곡주공, 농소, 옥산, 김천구미역, 월명, 지경리, 약목왜관[9]1일 왕복 2회
<|5><#D3D3D3><:>15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코아루<|5> 봉계봉계 방면 27회
터미널 방면 28회
봉계 방면 11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6회 토,휴일 운휴
시청→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봉계 방면 10회 편도 운행
덕곡주공→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봉계 방면 7회 편도 운행
2회 토,휴일 운휴
김천구미역→ 용시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봉계 방면 1회 편도 운행
노곡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코아루1회 운행
<|3><#D3D3D3><:>15-2<|2>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 코아루 →<|3>봉계<|2>봉계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2회
왕복 1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코아루 미경유
← 김천역 ←
덕곡주공→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봉계 방면 편도 2회 운행
<|2><#D3D3D3><:>15-3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금릉초등학교), 코아루문당동문당동 방면 6회
터미널 방면 3회
문당동 방면 4회 금릉초등학교 경유
터미널 방면 2회 금릉초등학교 경유
덕곡주공→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봉계봉계 방면 편도 운행
15-4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봉계 →직동직동 방면 1회 편도 운행
<|3><#D3D3D3><:>15-5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코아루, 봉계<|3>직동직동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3회
김천구미역→ 용시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 봉계 →직동 방면 1회 편도 운행
종상국립종자원, 율곡중학교, LH아파트, 김천구미역, 신촌,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코아루, 봉계1일 1회 운행
15-6덕곡주공→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김천역 → 코아루 → 봉계 →직동덕곡주공 방면 코아루 미경유 및 터미널까지만 운행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봉계 ←
15-7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봉계 →상금동상금동 방면 1회 편도 운행
<|2><#D3D3D3><:>15-8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코아루, 봉계<|2> 상금동상금동 방면 2회
터미널 방면 3회
덕곡주공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코아루, 봉계상금동 방면 2회 편도 운행
<|6><#D3D3D3><:>22김천공용버스터미널이마트<|6>시청시청 방면 24회
터미널 방면 10회
시청 방면 2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12회 토,휴일 운휴
왕복 1회 토,휴일만 운행
덕곡주공→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 시청 방면 2회 편도 운행
토,휴일 운휴
봉계→ 코아루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 시청 방면 5회 편도 운행
3회 토,휴일 운휴
대방→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 시청 방면 1회 편도 운행
영남제일문→ 문당동 → 코아루 → 금릉초등학교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시청 방면 1회 편도 운행
직지사→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시청 방면 4회 편도 운행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기타사항
<|5><#D3D3D3><:> 111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5>직지사직지사 방면 9회, 터미널 방면 8회, 직지사 방면 1회 토,휴일 운휴
시청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직지사 방면 편도 운행
덕곡주공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김천구미역용시,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약목지경리, 월명, 김천구미역, 옥산,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111-6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주공아파트 → 영남제일문 →추풍령3회 추풍령 방면 편도 운행
111-8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주공아파트, 영남제일문, 직지사임산왕복 1회
<|5><#D3D3D3><:>112김천공용버스터미널아랫장터, 지좌동, 용시<|5>김천구미역김천구미역 방면 9회, 터미널 방면 8회
김천구미역 방면 3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6회 토,휴일 운휴
시청→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용시 →김천구미역 방면 편도 1회 운행
영남제일문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용시1회 운행, 토,휴일 운휴
이로리영남제일문, 주공아파트,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지좌동, 용시1회운행
봉계→ 코아루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용시 →2회 김천구미역 방면 편도 운행
<|2><#D3D3D3><:>112-2김천공용버스터미널아랫장터, 지좌동<|2> 호동호동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2회
왕복 1회 토,휴일 운휴
직지사→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1회 호동 방면 편도 운행
<|4><#D3D3D3><:>113김천공용버스터미널아랫장터, 지좌동<|3>덕곡주공덕곡주공 방면 13회
터미널 방면 7회
덕곡주공 방면 5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2회 토,휴일 운휴
시청→ 이마트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3회 덕곡주공 방면 편도 운행
막차 토,휴일 운휴
상금동→ 봉계 → 코아루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1회 덕곡주공 방면 편도 운행
상금동~터미널 구간 평일만 운행
봉계→ 코아루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1회 터미널 방면 편도 운행
113-1추풍령→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무실 →덕곡주공1회 덕곡주공 방면 편도 운행
<|2><#D3D3D3><:>113-7직지사→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2>지경리<|2>지경리 방면 3회
터미널 방면 2회
직지사 방면은 터미널까지만 운행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2><#D3D3D3><:>113-8직지사→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지경리 →<|2>약목<|2>약목 방면 3회
터미널 방면 2회
직지사 방면 터미널까지만 운행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아랫장터 ← 지좌동 ← 덕곡주공 ← 농소 ← 옥산 ← 김천구미역 ← 월명 ← 지경리 ←
<|4><#D3D3D3><:>115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코아루<|4>봉계봉계 방면 3회
터미널 방면 2회
봉계 방면 막차 토,휴일만 운행
시청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봉계 방면 2회 편도 운행
김천구미역용시,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코아루1일 1회
사실리대방골,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김천역, 코아루1일 1회
<#D3D3D3><:>115-1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봉계봉계 방면 편도 운행
토,휴일 운휴
115-3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금릉초등학교, 코아루문당동왕복 1회
<#D3D3D3><:>115-8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역 → 코아루 → 봉계 →상금동상금동 방면 1회 편도 운행
토,휴일 운휴
<|6><#D3D3D3><:>222김천공용버스터미널이마트<|6>시청시청 방면 17회
터미널 방면 18회
시청 방면 6회 토,휴일 운휴
터미널 방면 4회 토,휴일 운휴
덕곡주공→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시청 방면 4회 편도 운행
막차 토,휴일 운휴
김천구미역→ 용시 → 덕곡주공 → 지좌동 → 아랫장터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시청 방면 편도 운행
지경리월명, 김천구미역, 옥산, 농소, 덕곡주공, 지좌동, 아랫장터, 김천공용버스터미널, 이마트1회
봉계코아루,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이마트1회
직지사→ 영남제일문 → 주공아파트 → 김천역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이마트 →시청 방면 8회 편도 운행
첫차 토,휴일 운휴

5 관내 자연부락

본 내용은 봉산면사무소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5.1 신리

  • 봉계
신리. 예지 1리는 봉계라는 큰 한 마을로 군내에서 으뜸가는 반촌으로 예로부터 현재까지 인재가 많이 배출되었다. 신리는 봉계 들머리에 있고 초등학교가 있다. 동쪽은 산이 막아 김천시 문당동과 인접하고 서쪽은 예지 1리의 송정이 있다. 남쪽은 장사례들 가까이에 경부고속도로가 동서로 지나가고 있다. 북쪽은 예지 1리에 인접하며 극락선(498m)이 솟아 있다.
  • 송 정(松亭)
1452년 홍문관 교리였던 영일정씨가 이곳의 송림 속에 정자를 세우고 살았다 하여 송정으로 부르게 되었고, 이 정자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한다.
  • 하촌. 신동(信洞)
원래 김산군 파며면 봉계 고을 중에서 아래편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하촌으로 불러 오다가 고려때 부원군의 아들 사신의 끝자를 따서 신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5.2 인의리

  • 중리. 인의 1동
김산군 파빈면 봉계 고을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해 중리라 칭해 오다가, 고려 공민왕때 부성부원군의 아들 사인. 사의의 끝자를 따서 인의동으로 불리게 되었고 1988년 1동으로 분동했다. 중리라 부르게 된 것은 봉계를 분리하여 상리. 중리. 하리라 칭한데서 유래되었다 한다.
  • 곧으네골. 상리. 직동(直洞)
조선 숙종 때 통훈대부 정만용의 둘째 아들 파계 량수를 김산군 파미면 봉계 마을의 가장 윗마을로 분가시킬 때 곧게 올라 가서 터전을 닦았다 하여 마을 이름을 직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새터. 신기(新基)
조선 중엽부터 성씨가 먼저 정착했는데, 지금은 여러 성씨가 모여 살고 있다. 이 마을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도토리 수집과 포도를 재배하여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

5.3 예지리

예지리는 본디 봉계동으로 하촌(신리. 예지. 인리)으로 칭하다가 고려 때(1373년) 상촌(인의 2동)으로 분리되었고, 그 후 1914년 김천군 봉산면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됨에 따라 봉계동이 신동[10], 인의 1. 2동[11]으로 나누어져 오늘에 이르렀다.

  • 밤리. 율리(栗里)
장살들 가운데 새터 마을이 있었는데, 병자년 집중 호우 때 자취도 없이 매몰 되었으며, 새터 마을에서 북동쪽 2km 지점인 밤티 모퉁이로 이주하여 정착하게 되었다. 이곳은 밤나무 숲이 뒷산을 무성하게 싸고 있었기 때문에 율곡이라 부르게 되었다.
  • 선돌. 입석(立石)
예지리에서 으뜸가는 마을로서 마을앞에 바위 조각이 있는데 이것은 원래 한 개의 바위였다. 마을 입구 길 옆에 깎아 세운 돌이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황간과 김산의 경계를 표시한 것으로 안쪽은 황간 땅이고 바깥 쪽은 김산 땅임을 표시한 것이다.
  • 안선돌. 내입석(內立石)
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3km 저점이고 입석마을 안쪽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마을에는 창녕조씨. 진주강씨. 연안이씨 등 37가구가 살고 있다.
그리고, 이 마을은 산지를 개간하여 밭을 조성해서 포도. 과수면적이 비교적 넓어 농가소득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초지가 많아서 농우사육 농가가 많은 마을이다.

5.4 덕천리

  • 샘재. 신계. 용배(龍背)
1452년경 경주이씨 한 선비가 이 곳에 들러 쉬어가면서 지세를 살펴보니 용의 등과 같다 하여 용배라 하게 되었다 하며, 용의 등이 되어서 심을 파도 물이 날 수 없고 만일 물이 나면 뱀이 나온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이 마을에는 샘이 귀하여 흘러내리는 자연수를 이용, 1974년 간이 상수도를 설치하여 급수하고 있다.
  • 도산(都山)
덕천동의 동쪽에 있는 마을로 주로 창녕조씨가 살고 있으며 이 마을 개척 당시 동제를 올리는 작은 산이 있다 하여 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5.5 태화리

  • 가매기. 가막리. 봉명(鳳鳴)
옛날 이곳에 가막사(可幕寺)란 절이 있어서 가막리라 전해내려 오며 지금도 절터에 석탑이 남아 있다. 봉명이란 명칭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박완의 증조부가 경치가 아름다워 새들이 노래함을 뜻하는 봉명이란 두 글자를 돌에 새겨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는데 그로 인해 유래된 이름이다.
  • 태피. 태평(太平)
덕천동의 동쪽에 있는 마을로 주로 창녕조씨가 살고 있으며 이 마을 개척 당시 동제를 올리는 작은 산이 있다 하여 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 평촌. 하리마. 하리(下里)
옛날 서울에 과거를 보러 가는 사람들이 이 마을 근처에 있는 개방이재를 넘나들었는데, 이 재에 도적이 많아 과거 보러 가는 이들이 금품을 빼앗겼으나 이 마을에만 오면 평화스러웠다고 해서 날이 저물면 이 마을에서 하룻밤 묵어 갔다. 이 고을의 5개 부락 중 가장 아래 있는 부락이라 하여 하리 또는 하리마라 불렀다 한다.
  • 창말. 창촌(倉村)
옛날 이곳에 건평 약 50평의 창고를 지어서 군사들의 군량미를 보관하고 달구지로 운반해 주었다 하며, 창고 주변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창말 또는 창촌(倉村)이라 했다.

5.6 상금리

  • 상리(上里)
옛날부터 창말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고을의 가장 위쪽에 있다고 상리로 불리게 되었으며, 최초의 이주자는 홍씨였으나 지금은 한 집도 없고 전주이씨. 의성김씨 등 여러 성씨가 살고 있다.
창말이라 함은 나라의 세곡을 받아 관리하여 두던 창고가 있었던 마을을 이른다. 곳곳에 창말이 있음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강가에 있으면 강창이 됨은 물론이다.
  • 상중리. 중리(中里)
옛날부터 창촌. 중리. 상리를 합쳐서 창말 고을이라고 했는데, 고을의 중간에 위치하여 중리라 불리어 오고 있으며, 경주이씨가 처음 이 마을을 개척하여 살았다고도 하고 전주이씨가 먼저 부락을 이루고 있었다는 설도 있다.
  • 금화(金化). 사기점. 점리(店里)
옛날부터 사기 그릇을 구워 오던 마을이란 뜻에서 사기점 혹은 점리로 불려 왔으나 그 뒤 마을이 없어지고 사기 그릇을 구웠던 흔적만 남아 있고, 지금은 그 곳으로부터 약 2km 밑으로 내려온 야산 지대에 새로이 마을을 이루고 있으며 옛 사기점터에서는 지금도 사기 조각들이 출토되고 있다.

5.7 신암리

  • 새마을.신촌. 조삼동(鳥三洞)
옛날에는 현 위치에서 북쪽 500m 저점에 조삼동 부락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산사태로 마을이 파묻혀 이곳으로 이주, 새로 이룬 마을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신촌이라 부르게 되었다.
  • 고대미. 고도암(高道岩)
조선 중엽에 김시창이라는 사람이 이곳에 정착하였는데 뒷산에 높이 10m나 되는 큰 바위가 있어 마을 이름을 고도암이라 했다 한다.
  • 가재. 가성(柯城)
마을 뒤의 가성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가성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가성산 중턱에 옛 성터가 있다.
  • 신기(新基)
옛날에는 서낭당이라는 부락으로 인가가 약간 있었다는데 경부선 철도 개설로 마을이 없어지고 일제 때 근처에 새로 마을이 조성되었다 하여 신기라 불리고 있다.

5.8 광천리

  • 감나무골. 시목(枾木)
광천동 남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 중엽에 마을이 이루어졌으며 감나무가 많아 감나무골이라 부르게 되었고, 지금은 윤. 송. 손씨 등 각성이 모여 살고 있다.
  • 주막거리. 대막골. 죽막(竹幕)
약 100년 전에는 돈목동 입구와 서울 가는 길에 주막이 있어 주막거리라 하여 두세집이 살고 있었다 하나 경부선 철도가 부설되고 국도가 확장되자 새로 마을이 이루어졌는데 대나무가 많이 있어 대막골. 죽막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임진왜란 때에 추풍령 전투에 대비하여 이곳에 작전계획을 짠 곳이다.
  • 곤 천(坤川)
고려 말까지는 마을 앞에 건천내가 있어 건천(乾川)이라 하였으나, 그 후 음양오행설에 의해 조선시대 황간군 백호촌장 손정만이 곤천으로 개칭하게 되었으며, 지금은 손씨를 비롯하여 여러 성씨가 모여 살고 있다.
  • 니리골. 너리골. 광동(廣洞)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무렵 당나라 군사가 이곳으로 내려갔기에 니리골이라 불렀다 하며, 또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들이 골짜기를 따라 넓고 길쭉하게 펼쳐져 있어 너리골이라고도 부르는데, 이 마을은 처음 조선 중엽에 양천허씨가 개척했으나 그 후 곽씨. 황씨가 들어와 살았고 지금은 안동김씨들이 주로 살고 있다.
  • 당마루
당마루 고개와 추풍령 고개가 인접하여 있는 마을로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무렵에 이곳에 당나라 군사가 쉬어 갔다 하여 당마루라 불렀다 한다. 지명 분포로 보아 당 - 계열의 마을은 거의가 성황당집이 있던 곳을 이르는 일이 많은데 이곳도 예외는 아닐 것으로 본다.

6 기타

  1. 영동군 추풍령면에서 이름을 따왔다기 보다 추풍령면과 봉산면을 잇는 추풍령고개에서 이름을 따왔을 것이다.
  2. 현재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을 중심으로 존속되었던 행정구역
  3. 현재 대항면 복전리
  4. 코레일 경북남부지사의 지사역이였는데, 지사통폐합으로 관리역이 되었다가, 김천(구미)역이 생기면서 관리역 자리마저 빼앗겨버렸다.
  5. 대항면 사무소가 더 가까운 대항면 생활권이다. 신리, 예지리 일대와도 생활권이 다르고 그외 나머지 지역과도 생활권이 다른 희한한 지역. 덕천리는 대항면소속이 아니지만 이른바 직지사 생활권이다.
  6. 영동군 매곡면. 관내는 덕천리 일대만 경유한다.
  7. 영동군 상촌면. 관내는 덕천리 일대만 경유한다.
  8.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9.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10. 오늘날 봉산면 신리
  11. 오늘날 봉산면 인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