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사서 | |||
흠정 24사 | |||
순서 | 이름 | 저자 | 권수 |
1 | 사기 | \[[[전한]]\] 사마천 | 130 |
2 | 한서 | \[[[후한]]\] 반고 | 100 |
3 | 후한서 | \[[[유송]]\] 범엽 | 120 |
4 | 삼국지 | \[[[서진]]\] 진수 | 65 |
5 | 진서 | \[[[당나라|당]]\] 방현령 등 | 130 |
6 | 송서 | \[[[양나라|양]]\] 심약 | 100 |
7 | 남제서 | \[[[양나라|양]]\] 소자현 | 59 |
8 | 양서 | \[[[당나라|당]]\] 요사렴 | 56 |
9 | 진서 | \[[[당나라|당]]\] 요사렴 | 36 |
10 | 위서 | \[[[북제]]\] 위수 | 114 |
11 | 북제서 | \[[[당나라|당]]\] 이백약 등 | 50 |
12 | 주서 | \[[[당나라|당]]\] 영호덕분 등 | 50 |
13 | 수서 | \[[[당나라|당]]\] 위징 등 | 85 |
14 | 남사 | \[[[당나라|당]]\] 이연수 | 80 |
15 | 북사 | \[[[당나라|당]]\] 이연수 | 100 |
16 | 구당서 | \[[[후진]]\] 장소원 등 | 200 |
17 | 신당서 | \[[[북송]]\] 구양수 등 | 225 |
18 | 구오대사 | \[[[북송]]\] 설거정 등 | 150 |
19 | 신오대사 | \[[[북송]]\] 구양수 | 74 |
20 | 송사 | \[[[원나라|원]]\] 탈탈 등 | 496 |
21 | 요사 | \[[[원나라|원]]\] 탈탈 등 | 116 |
22 | 금사 | \[[[원나라|원]]\] 탈탈 등 | 135 |
23 | 원사 | \[[[명나라|명]]\] 이선장 등 | 210 |
24 | 명사 | \[[[청나라|청]]\] 장정옥 등 | 332 |
기타 정사서 | |||
- | 동관한기 | \[[[후한]]\] 유진 등 | 22 |
- | 신원사 | \[[[중화민국]]\] 커사오민 등 | 257 |
- | 청사고 | \[[[중화민국]]\] 자오얼쉰 등 | 536 |
北史
1 개요
중국 정사 25사 중 하나이다. 북사는 북조(北朝) 즉 북위(北魏),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隋) 4개 왕조의 역사를 하나의 기전체 체례로 묶어 정리된 정사로서, 이연수(李延壽)가 643년에 찬술을 시작하여 659년에 완성하였다.
2 편찬 과정
사실, 북사의 편찬은 이미 이연수의 아버지 이대사(李大師)에 의해 진행되고 있었다. 그 당시 위수(魏收)의 『위서』, 심약(沈約)의 『송서』등 단대사가 널리 보급되어 있었다. 이에 이대가는 『오월춘추(吳越春秋)』의 체제에 입각한 남북조의 역사를 편년체로 엮어 펀찬 사업을 추진했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망했다. 이연수가 북사를 편찬한 것은 바로 아버지의 유업을 이어가기 위한 것이었다. 이연수는 남사와 북사를 편찬하게된 이유를 서전에서 밝혔다. 그는 왕조 교체에 있어서 전대의 사실에 대해 극히 부정적이거나 소략하다는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이연수는 아버지의 장례를 치루고 3년 뒤에 각각 남사, 북사의 편수 작업을 이행하였고, 편년체 대신 기전체로 방식을 바꾸었다. 또한, 위수의 『위서』와는 다르게 불필요한 내용을 축소하거나 삭제했다.
3 구성
본기(本紀) 12권, 열전(列傳) 88권으로 도합 100권으로 구성되었다.
본기
1.위본기제1 - 태조도무제(太祖道武帝)・태종명원제(太宗明元帝)
2.위본기제2 - 세조태무제(世祖太武帝)・恭宗景穆帝・高宗文成帝・顕祖献文帝
3.위본기제3 - 高祖孝文帝
4.위본기제4 - 世宗宣武帝・肅宗孝明帝
5.위본기제5 - 敬宗孝荘帝・節閔帝・廃帝・孝武帝・西魏文帝・西魏廃帝・西魏恭帝・東魏孝静帝
6.제본기上제6 - 高祖神武帝・世宗文襄帝
7.제본기中제7 - 顕祖文宣帝・廃帝・孝昭帝
8.제본기下제8 - 世祖武成帝・後主・幼主
9.주본기上제9 - 太祖文帝・孝閔帝・世宗明帝
10.주본기下제10 - 고조무제(高祖武帝)・선제 (宣帝)・정제 (静帝)
11.수본기上제11 - 고조문제(高祖文帝)
12.수본기下제12 - 양제(煬帝)・공제 (恭帝)
4 의의와 평가
북사는 특이하게 표(表)와 지(志)가 없다. 본기에서는 기전체 체례대로 북방 4개의 왕조를 나누어 구분했지만, 열전에서는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가계를 묶어 왕조의 구분을 짓지않고 북조사를 하나의 체제로 만들었다.
북사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전의 사서들은 당시의 원시적인 문장을 정리하여 편찬했지만, 남사에 비해 북사는 이연수가 심혈을 기울어 한장 한장 편찬했다. 진(陳) 말기에 강남 지방의 백성들이 수나라에 저항한 기록이나, 이해전(李諧傳)에서 남북조간의 공식적인 기록은 이전의 중국 정사에서는 엿볼 수 없다. 그렇기에 사료적 가치가 크다. 오죽했으면, 자치통감을 집필한 사마광(司馬光)이나 청나라의 고증학자 조익(趙翼)은 모두 번잡한 문장은 줄이면서도 내용은 더욱 풍부해진 ‘가사(佳史)’ 혹은 ‘양사(良史)’라고 평가하였는데, 일관된 체제와 간결하고 중립적인 서술을 평가한 것이었다.
그러나, 북사 역시 적지 않은 비판을 받고 있다. 왕명성(王鳴盛)의 『십칠사상각』에서 북사는 위수의 위서를 필사하였을 뿐 오히려 많은 기록을 삭제하였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익도 남북조간의 전투 기록이 부실하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북사는 이전의 정사와는 대조적으로 일관성과 중립성이 나타나 많은 학자들에게 호감을 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