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이 없다

(노답에서 넘어옴)
310px
김캐리 짤방[1]

1 개요

400px[2]
한국에서 널리 쓰는 유행어. 나름대로 짜임새를 갖춘 유행어로 퍼진 것은 게임 해설자 김태형이 허구한 날 했던 "답이 안 나오죠. 캐리어 가야 합니다."가 가장 결정적이었다.

2 유래

사실 유래라고 할 것도 없이 이전부터 쓰던 관용구지만 이전에 김태형 해설은 조곤조곤한 톤으로 특히 부정적 상황을 강조하는 식의 해설을 많이 했다.[3] 게다가 프징징이 거의 공식 별명처럼 쓰이는 프로토스 스덕들이 "지상군으로는 답이 없죠. 캐리어 가야 합니다."에 크게 호응한 데다, 마침 김태형이 해설에서 부진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할 때라 정말 답 없이 캐리어만 찾는 해설로 이미지 메이킹을 한 탓에 소위 김캐리는 스덕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을 탔다. 스덕들에서 크게 유행했던 배리에이션으로는 엄재경 식의 '껄껄껄 이건 뭐 답이 없죠'가 있다.

이후 스타판의 요소가 많이 빠지면서 '답이 없죠'만이 잘려 여러 방면에서 쓰는데, 주로 그 무엇을 하여도 못 구제할 만큼 상황이 우울하고 곤란하거나, 상대가 그 무엇을 하여도 못 이겨 사기적일 때, 혹은 평생까임권을 받을 정도로 자기 고집만 부리는 비타협적인 사람들에게 '몇 번을 말해도 못 알아들으니 상대의 성격을 고칠 방법이 없다'라는 식으로 비하하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이에 맞받아치는 말로는 있는데요가 있다.

3 쓰는 사례와 그 외 이야기

수학에서 답이 없음을 증명하려면 상당히 어렵다. 그냥 "해보니까 안 되더라."나 "안되니까 답이 없는 것 같다." 수준이 아니라[4] "왜 안 되는가?"를 증명해야 해서다. 이럴 때 많이 쓰이는 것 중 하나가 그 유명한 귀류법.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한 뒤에 논리를 전개하면 모순이 나오더라. 왜 이런 모순이 나왔느냐? 그건 없는 해를 있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따라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정리하는 방법이다.

객관식 문제에 보기로 '답이 없다'가 나오면 응시자는 출제자를 저주한다. 왠지 "포기하면 편해"라는 출제자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특히 모두 고르시오 문제일 때...

2011년도 사법시험부터 다지선다형 문제에 '정답 없음'이 더 들어갔다. 안 그래도 어려워서 반은 찍고 나오는[5] 사법시험난이도가 이 한 선택지에 난이도가 무지막지하게 올라갔다. 그런데도 53회 사법시험 1차 컷은 기삼 243이라는 극악의 커트라인이 나왔다. 52회는 232, 51회는 229.

SAT Writing 부분에서도 이 유형이 나온다. 문장을 써놓고서 그 중 문법적인 오류를 고르는 것인데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Choice E No Error.

AP에서도 심심하면 출제된다. 특히 합답형으로 I, II, III 중 맞는 것을 모두 고르라고 했는데 마지막으로 보기 E None of above.

반면에 시험 대부분이 에세이[6]나 short response인 IB에선 그런 게 없다. 있었음 얼마나 좋겠냐 괜히 IB가 어렵다는 소리가 나오는게 아니다

2010년 말~2011년 초부터는 좀 더 축약한 표현인 노답이라는 표현법도 많이 쓴다. lol과 같은 게임도중 채팅을 여유있게 길게 치기 힘든 게임들에서 파생한 듯하고, 특유의 직관적인 어감 때문에 많이 쓰는 듯하다. 가끔은 answerless라는 영어 표현도 보인다고.[7] 그 이전부터 종종 사용되던 용어였지만 이 사람이 솔로 랭크에서 아군 정글러를 보고 사용해서 유명해졌다.

4 관련 문서

5 만사휴의

사실상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고사성어가 존재한다. 바로 만사휴의(萬事休矣). 뜻이 모든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 어찌 해 볼 수 없음이니 완전히 동일한 뜻이다.

원나라 때 황제의 명으로 편찬된 《송사(宋史)》 형남고씨세가(荊南高氏世家)에서 비롯된 말이다. 당(唐)나라가 멸망한 후 중국에는 5대10국(五代十國)의 혼란이 계속되었다. 5대란 중원에서 흥망한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晉)·후한(後漢)·후주(後周)의 다섯 왕조를 말하고, 10국이란 지방에서 흥망을 거듭한 전촉(前蜀)·오(吳)·남한(南漢)·형남(荊南)·오월(吳越)·초(楚)·민(종족이름민)·남당(南唐)·후촉(後蜀)·북한(北漢) 등 열 나라를 말한다. 형남은 10국 중 하나로, 당말에 형남 절도사로 파견되었던 고계흥(高季興)이 세운 나라이다. 고계흥 이후 4대 57년간 형남을 지배하다가 송조에 귀순하였다. 고계흥에게는 아들 종회(從誨)와 손자 보욱(保勖)이 있었다. 종회는 보욱을 남달리 귀여워했다. 특히 보욱이 어려서부터 병약하였기 때문에 그에 대한 종회의 사랑은 도가 지나칠 정도였다.
종회의 맹목적인 사랑을 받으며 자란 보욱은 안하무인일 수밖에 없었고, 게다가 허약하였으며, 음란하기까지 하였다. 그가 아직 어렸을 때 안하무인에 버릇 없는 보욱을 보고 주위 사람이 그를 꾸짖으며 쏘아본 적이 있는데, 보욱은 그저 실실 웃기만 하는 것이었다. 이 소리를 전해 들은 형남 사람들은 ‘이제 모든 것이 끝났구나(爲萬事休矣).' 하며 탄식했다고 한다. 보욱은 자기 형에 이어 보위에 올라야 하는데, 이렇게 자부심도, 줏대도 없고 게다가 가치관마저 무너진 사람을 가지고는 나라의 운명을 어찌 해볼 도리가 없다는 의미였다.
  1. 김캐리 문서를 보면 되겠지만 사진 속의 이름은 김도형이여서 "이 사람이 김캐리?"할 수 있는 위키러가 있는데 현재는 김태형으로 개명했다. 참고로 해당 짤방의 방송은 2005년 이전까지 사용했던 MBC 로고와 자막 디자인, 그리고 배경에 2002년 한일 월드컵 로고을 보아 2002년 뉴스데스크로 추정된다.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지고의 자막 디자인과 일치한다. 물론 해당 짤방은 합성. 다른 사람의 화면에 김캐리의 얼굴을 합성한 것이다.
  2. 정확히 말하자면 '0으로 나눌 수 없다.', '0으로 나누는 것은 (복소수 범위에서) 정의하지 않는다'지 '답이 없다'가 아니다.
  3. 마이큐브배 스타리그 결승 강민 vs 박용욱패러독스 경기에서 게임 캐스터 전용준이 불리한 전황을 타개할 파해법을 묻자 "예. 말 다했죠."라고 말한 것은 한동안 김태형을 대표하는 상징 어구로 자리잡았었다. 다만 이건 상황이라기보다는 말이 끊긴 사이에 다른 해설들이 자기 할 말을 다한 탓이 크다.
  4. 여기서 증명을 끝내 버리면 "그냥 네가 실력이 없어서 못 풀어 놓고 답이 없다고 우기냐?"라는 태클이 걸리는 것은 기본이고, 컴퓨터의 계산 속도가 빨라진 요즘은 진짜로 수식에 숫자를 무식하게 대입해서 정말로 되는 결과를 찾아 내기 때문이다.
  5. 로스쿨 도입 이후 평균 80은 기본 나오는 난이도
  6. Group 4 (Experimental Sciences) 에선 Extended Response, Group 1 (Language A)와 Group 3 (Individuals and Societies)에선 Essay
  7. 올바른 표현은 unanswerable이다. 또한, unanswerable는 이의가 없다거나 반박할 수 없다는 뉘앙스에 가까우므로 unsolvable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 굳이 less를 살리고 싶으면 clueless로 쓰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