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韓商工會議所 /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Industry
파일:4JID53T.jpg
숭례문 부근 세종대로에 위치한 상공회의소 본사(1984년 완공, 2005년 리모델링). 상의 건물 안에 한국정보통신이 위치해 있으며 사옥 옆에는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의 본사가 있다.
1 개요
1884년 설립된 법정 민간 경제단체.[1] 법적으로는 공공법인으로서 특수공익법인으로 분류된다. 즉, 반관반민의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경제계를 대표한다. 실질적으로 정부와 경제계간의 가교역할을 하는 중추적인 기관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와 같이 경제5단체를 구성하고 있다. 약칭은 대한상의 또는 그냥 상의라고 불린다. 경제단체 중 대한민국에서의 역사는 제일 오래된 단체이다. 세계 상공인들의 집단인 국제상업회의소(ICC)의 산하조직이기때문인듯.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39(舊 남대문로4가동 45번지)에 위치해 있다. 세종대로 본사 안에 대한상의와 서울상의가 같이 입주[2]해 있다.
2 상세
각 지방 상공회의소들의 정책을 조정하는 단체이다. 1884년 고종의 명령으로 한성상공회의소가 세워진 것을 모태로 하며, 근거법률은 상공회의소법이다. 다른 경제단체와 달리 직접적으로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관이다. 국가기술자격검정이나 기타 자격증 업무도 여기서 하는 것들이 있는데다 금융위원회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상임위원을 파견할 수 있는 등의 능력이 있다. 현실은 기획재정부 거수기 역할
2013년 기준으로 71개 지방상공회의소가 있으며, 지방상공회의소는 설립 즉시 상공회의소법에 따라 대한상의의 정회원이 된다. 특별시나 광역시는 지방상공회의소 1개가 전부 통합해서 관리하나 도의 경우는 좀 달라서 도 상공회의소가 있다가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쪼개지기도 한다. 경기도가 특히 심해서 여기는 경기북부(의정부시 + 양주시 + 동두천시), 경기동부(구리시+남양주시+양평군+가평군) 상공회의소 정도를 제외하면 아예 각 기초자치단체 별로 상공회의소가 다 쪼개져버렸다.
3 자격증
윗 문단에서도 언급했듯이, 서비스분야 국가기술자격의 검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 외에도 몇몇 국가공인자격증을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국민 자격증이라 불리는 워드프로세서와 컴퓨터 활용 능력이 여기 주관인지라, 일반인들에게는 본래 목적인 경제 관련보다는 이쪽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편.
3.1 국가기술자격
종목명 | 등급 |
비서 | 1급~3급 |
워드프로세서 | 단일등급[3] |
전산회계운용사 | 1급~3급 |
전자상거래관리사 | 1급~2급 |
전자상거래운용사 | 단일등급 |
컴퓨터활용능력 | 1급~2급[4] |
한글속기 | 1급~3급 |
3.2 국가자격
종목명 | 등급 |
유통관리사 | 1급~3급 |
3.3 국가공인자격
종목명 | 등급 |
IT+정보활용능력인증 | 레벨1~레벨5 |
무역영어 | 1급~3급 |
FLEX(듣기/읽기) | 1000점 만점 |
상공회의소한자 | 1급~3급[5] |
컴퓨터운용사 | 단일등급 |
가구설계제도사 | 단일등급 |
3.4 상공회의소자격
종목명 | 등급 |
무역영어 | 1급~3급 |
FLEX(쓰기/말하기) | 각 250점 만점 |
상공회의소한자 | 4급~8급 |
스마트앱마스터 | 전문가, 1급~2급 |
- ↑ 1884년 설립된 한성상공회의소를 모태로 한다. 1948년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고, 1952년 12월 20일 상공회의소법이 제정, 시행됨에 따라 특수법인화되었다.
- ↑ 그래서 서울상의는 별개의 중간조직이 없이 각 자치구별 회의소만 있다. 아무래도 서울상의랑 대한상의가 같은 건물 쓰니까 중복을 없애려 그런 듯. 다른 광역시 소재의 상공회의소는 지방자치단체의 출장소와 유사한 형태의 사무소 제도가 있다.
- ↑ 2012년부터 2급과 3급이 폐지되었다.
- ↑ 2012년부터 3급이 폐지되었다.
- ↑ 4급~8급은 상공회의소 자격
- ↑ 평가 보류중으로 현재 응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