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nstgrade der Bundeswehr
독일군(독일연방군)의 계급을 설명해놓은 글이다.
목차
[숨기기]1 개요
독일군의 계급체계는 한국군과 다른 점이 많다. 그러므로 각 계급의 접두사를 보고 적절히 해석하기 바란다. 아래의 단어는 각 계급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접두사다.
Ober = 위쪽 / Stab = staff / Haupt = 주요, 수장(머리), 선임
위장무늬 계급장은 2종인데, 전투복/야전상의에 착용하는 방식[1], 고어텍스 자켓에 착용하는 방식[2]이 있다.
타 시대 군대의 계급은 추가바람. 나치스 슈츠슈타펠의 경우 슈츠슈타펠/계급 항목 참조.
2 육군(Heer)
2.1 사병
구분 | 계급장 | 계급 | 설명 | |
정복용 | 전투복용 | |||
병사 (Mannschaften) | ![]() | ![]() | Soldat(S)[3] | 훈련병 및 이등병(OR-1)[4] |
![]() | ![]() | Gefreiter(G/Gefr) | 일등병(병사, OR-2) | |
![]() | ![]() | Obergefreiter(OG/OGefr) | 상등병(상급병사, OR-3) | |
![]() | ![]() | Hauptgefreiter(HG/HptGefr) | 상등병(참모병사, OR-3) | |
![]() | ![]() | Stabsgefreiter(SG/StGefr) | 병장(병사장, OR-4) | |
![]() | ![]() | Oberstabsgefreiter(OSG/OStGefr) | 병장(상급병사장, OR-4) | |
부사관 (Unteroffiziere) | ![]() | ![]() | Unteroffizier(U/Uffz)[5] | 하사(2급부사관, OR-5) |
![]() | ![]() | Stabsunteroffizier(SU/StUffz) | 하사(2급부사관장, OR-5) | |
![]() | ![]() | Feldwebel(F/Fw) | 중사(1급부사관, OR-6) | |
![]() | ![]() | Oberfeldwebel(OF/OFw) | 중사(상급1급부사관, OR-6) | |
![]() | ![]() | Hauptfeldwebel(HF/HptFw) | 상사(참모1급부사관, OR-7) | |
![]() | ![]() | Stabsfeldwebel(SF/StFw) | 원사(1급부사관장, OR-8) | |
![]() | ![]() | Oberstabsfeldwebel(OSF/OStFw) | 선임원사(상급1급부사관장, OR-9) |
2.2 장교
구분 | 계급장 | 계급 | 설명 | |
정복용 | 전투복용 | |||
위관급 장교 (Leutnante) | ![]() | ![]() | Leutnant(L/Lt) | 소위 |
![]() | ![]() | Oberleutnant(OL/OLt) | 중위 | |
위관급 장교 (Hauptleute) | ![]() | ![]() | Hauptmann(H/Hptm) | 대위 |
![]() | ![]() | Stabshauptmann(SH/StHptm) | 상급대위[6] | |
영관급 장교 (Stabsoffiziere) | ![]() | ![]() | Major(M/Maj) | 소령 |
![]() | ![]() | Oberstleutnant(OTL/OberstLt) | 중령 | |
![]() | ![]() | Oberst(O/Oberst) | 대령 | |
장관급 장교 (장군) (Generale) | ![]() | ![]() | Brigadegeneral(BG/BrigGen)[7] | 준장 |
![]() | ![]() | Generalmajor(GM/GenMaj) | 소장 | |
![]() | ![]() | Generalleutnant(GL/GenLt) | 중장 | |
![]() | ![]() | General(-/Gen) | 대장 |
3 해군(Marine)
3.1 사병
구분 | 계급장 | 계급 | 설명 | |||
동코트용 | 동정복용 | 하정복용 | 전투복용 | |||
병사 (Mannschaften) | ![]() | ![]() | ![]() | ![]() | Matrose(Matr/S)[8] | 훈련병 및 이등병(OR-1) |
![]() | ![]() | ![]() | ![]() | Gefreiter(G/Gefr) | 일등병(수병, OR-2) | |
![]() | ![]() | ![]() | ![]() | Obergefreiter(OG/OGefr) | 상등병(상급수병, OR-3) | |
![]() | ![]() | ![]() | ![]() | Hauptgefreiter(HG/HptGefr) | 상등병(참모수병, OR-3) | |
![]() | ![]() | ![]() | ![]() | Stabsgefreiter(SG/StGefr) | 병장(수병장, OR-4) | |
![]() | ![]() | ![]() | ![]() | Oberstabsgefreiter(OSG/OStGefr) | 병장(상급수병장, OR-4) | |
부사관 (Unteroffiziere) | ![]() | ![]() | [9] | ![]() | Maat(MT/Maat)[10] | 하사(2급부사관, OR-5) |
![]() | ![]() | [11] | ![]() | Obermaat(OMT/OMaat)[12] | 하사(2급부사관장, OR-5) | |
![]() | ![]() | [13] | ![]() | Bootsmann(B/Btsm)[14] | 중사(1급부사관, OR-6) | |
![]() | ![]() | [15] | ![]() | Oberbootsmann(OB/OBtsm) | 중사(상급1급부사관, OR-6) | |
![]() | ![]() | [16] | ![]() | Hauptbootsmann(HB/HptBtsm) | 상사(참모1급부사관, OR-7) | |
![]() | ![]() | [17] | ![]() | Stabsbootsmann(SB/StBtsm) | 원사(1급부사관장, OR-8) | |
![]() | ![]() | [18] | ![]() | Oberstabsbootsmann(OSB/OStBtsm) | 선임원사(상급1급부사관장, OR-9) |
3.2 장교
구분 | 계급장 | 계급 | 설명 | ||
동정복용 (수장) | 하정복용 (견장) | 전투복용 | |||
위관급 장교 (Leutnante) | ![]() | ![]() | ![]() | Leutnant zur See(LZS/Lt zS)[19] | 소위 |
![]() | ![]() | ![]() | Oberleutnant zur See(OLZS/OLt zS) | 중위 | |
위관급 장교 (Hauptleute) | ![]() | ![]() | ![]() | Kapitänleutnant(KL/KptLt)[20][21] | 대위 |
![]() | ![]() | ![]() | Stabskapitänleutnant(SKL/StKptLt) | 상급대위[22] | |
영관급 장교 (Stabsoffiziere) | ![]() | ![]() | ![]() | Korvettenkapitän(KK/KKpt)[23] | 소령 |
![]() | ![]() | ![]() | Fregattenkapitän(FK/FKpt)[24] | 중령 | |
![]() | ![]() | ![]() | Kapitän zur See(KZS/Kpt zS) | 대령 | |
장관급 장교 (제독) (Admirale) | ![]() | ![]() | ![]() | Flottillenadmiral(FADM/FltlAdm) | 준장 |
![]() | ![]() | ![]() | Konteradmiral(KADM/KAdm)[25] | 소장 | |
![]() | ![]() | ![]() | Vizeadmiral(VADM/VAdm)[26] | 중장 | |
![]() | ![]() | ![]() | Admiral(-/Adm) | 대장 |
4 공군(Luftwaffe)
4.1 사병
구분 | 계급장 | 계급 | 설명 | |
정복용 | 전투복용 | |||
병사 (Mannschaften) | ![]() | ![]() | Flieger(Flg)[27] | 훈련병 및 이등병(OR-1) |
![]() | ![]() | Gefreiter(G/Gefr) | 일등병(공군병, OR-2) | |
![]() | ![]() | Obergefreiter(OG/OGefr) | 상등병(상급공군병, OR-3) | |
![]() | ![]() | Hauptgefreiter(HG/HptGefr) | 상등병(참모공군병, OR-3) | |
![]() | ![]() | Stabsgefreiter(SG/StGefr) | 병장(공군병장, OR-4) | |
![]() | ![]() | Oberstabsgefreiter(OSG/OStGefr) | 병장(상급공군병장, OR-4) | |
부사관 (Unteroffiziere) | ![]() | ![]() | Unteroffizier(U/Uffz) | 하사(2급부사관, OR-5) |
![]() | ![]() | Stabsunteroffizier(SU/StUffz) | 하사(2급부사관장, OR-5) | |
![]() | ![]() | Feldwebel(F/Fw) | 중사(1급부사관, OR-6) | |
![]() | ![]() | Oberfeldwebel(OF/OFw) | 중사(상급1급부사관, OR-6) | |
![]() | ![]() | Hauptfeldwebel(HF/HptFw) | 상사(참모1급부사관, OR-7) | |
![]() | ![]() | Stabsfeldwebel(SF/StFw) | 원사(1급부사관장, OR-8) | |
![]() | ![]() | Oberstabsfeldwebel(OSF/OStFw) | 선임원사(상급1급부사관장, OR-9) |
4.2 장교
구분 | 계급장 | 계급 | 설명 | |
정복용 | 전투복용 | |||
위관급 장교 (Leutnante) | ![]() | ![]() | Leutnant(L/Lt) | 소위 |
![]() | ![]() | Oberleutnant(OL/OLt) | 중위 | |
위관급 장교 (Hauptleute) | ![]() | ![]() | Hauptmann(H/Hptm) | 대위 |
![]() | ![]() | Stabshauptmann(SH/StHptm) | 상급대위[28] | |
영관급 장교 (Stabsoffiziere) | ![]() | ![]() | Major(M/Maj) | 소령 |
![]() | ![]() | Oberstleutnant(OTL/OberstLt) | 중령 | |
![]() | ![]() | Oberst(O/Oberst) | 대령 | |
장관급 장교 (장군) (Generale) | ![]() | ![]() | Brigadegeneral(BG/BrigGen) | 준장 |
![]() | ![]() | Generalmajor(GM/GenMaj) | 소장 | |
![]() | ![]() | Generalleutnant(GL/GenLt) | 중장 | |
![]() | ![]() | General(-/Gen) | 대장 |
5 장교후보생
특이하게 장교로 임관하기 위한 훈련을 받는 무관후보생의 계급이 부사관 계급이다. 타국의 군대에서 사관생도의 계급장이 따로 있는 것과는 달리 독일군은 아예 부사관의 계급을 적용하고 있다. 하사 → 중사 → 상사 → 소위 의 순서대로 진급하는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상사에서 소위로 진급하는 것이 곧 임관이다.
계급명 | 장교하사 | 장교중사 | 장교상사 | ||||||
육군 | ![]() | ![]() | - | ![]() | ![]() | - | ![]() | ![]() | - |
정복 | 전투복 | - | 정복 | 전투복 | - | 정복 | 전투복 | - | |
Fahnenjunker (장교하사) | Fähnrich (장교중사) | Oberfähnrich (장교상사) | |||||||
해군 | ![]() | ![]() | ![]() | ![]() | ![]() | ![]() | ![]() | ![]() | ![]() |
동코트 | 동정복[29] | 전투복 | 동코트 | 동정복[30] | 전투복 | 동정복(수장) | 하정복(견장) | 전투복 | |
Seekadett (장교하사) | Fähnrich zur See (장교중사) | Oberfähnrich zur See (장교상사) | |||||||
공군 | ![]() | ![]() | - | ![]() | ![]() | - | ![]() | ![]() | - |
정복 | 전투복 | - | 정복 | 전투복 | - | 정복 | 전투복 | - | |
Fahnenjunker (장교하사) | Fähnrich (장교중사) | Oberfähnrich (장교상사) |
- 이동 ↑ 견장처럼 착용한다.
- 이동 ↑ 양 팔에 벨크로로 부착한다.
- 이동 ↑ 군인을 의미하는 단어.
- 이동 ↑ Soldat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병과로 나뉜다. 육군 : Grenadier(Gren, 척탄병), Jäger(Jg, 경보병), Panzerschütze(Pzschtz, 기갑소총수), Panzergrenadier(PzGren, 장갑척탄병), Panzerjäger(PzJg, 대전차병), Kanonier(Kan, 포병), Panzerkanonier(PzKan, 자주포병), Pionier(Pi, 공병), Panzerpionier(PzPi, 기갑공병), Funker(Fu, 통신병), Panzerfunker(PzFu, 기갑통신병), Schütze(Schtz, 소총수), Flieger(Flg, 항공지원병), Sanitätssoldat(SanS, 의무병) / 해군 : Matrose(Matr, 수병) / 공군 : Flieger(Flg, 공군병), Kanonier(Kan, 포병)
- 이동 ↑ 장교(Offizier = officer) 밑(unter = under)의 계급이란 의미다. 때문에 표에 적혀 있다시피 부사관 전체를 Unteroffizier라고 부른다.
- 이동 ↑ 전문직(특기병)에만 존재하는 계급. 원래 서독군 시절에는 없었으나 통일되면서 대위와 중위 사이에 상위가 있는 동독군 위관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만든 계급이다.
- 이동 ↑ 직역하면 여단장이다.
- 이동 ↑ 수병(마도로스, 선원)를 의미하는 단어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선원을 의미하는 단어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수부를 의미하는 단어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직역하면 바다를 향한 소위(...). 일부 해군 장교의 계급명은 zur See를 붙임으로써 자신이 해군 소속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의역하면 해군 소위.
- 이동 ↑ 함장(Kapitän = captain) + 위관급 장교(Leutnant = lieutenant)라는 뜻이다.
- 이동 ↑ Kaleu라는 군인들 사이에서 구어로써 쓰이는 약자도 있다. 영화 특전 U보트에서 승조원들이 함장에게 말할 때 쓰는 "Herr Kaleu"가 바로 Kapitänleutnant의 약자다. Herr는 님을 뜻하는 단어.
- 이동 ↑ 전문직(특기병)에만 존재하는 계급. 원래 서독군 시절에는 없었으나 통일되면서 대위와 중위 사이에 상위가 있는 동독군 위관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만든 계급이다.
- 이동 ↑ 직역하면 코르벳함의 함장
- 이동 ↑ 직역하면 프리깃함의 함장
- 이동 ↑ 직역하면 소함대의 제독
- 이동 ↑ 직역하면 부제독
- 이동 ↑ 공군병을 의미하는 단어
- 이동 ↑ 전문직(특기병)에만 존재하는 계급. 원래 서독군 시절에는 없었으나 통일되면서 대위와 중위 사이에 상위가 있는 동독군 위관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만든 계급이다.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 이동 ↑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