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사

대한민국군사 계급
장관급 장교
준장소장중장대장원수
위관급 장교영관급 장교'
소위중위대위소령중령대령
부사관준사관
하사중사상사원사준위
이등병일등병상등병병장
파일:A5LjyKf.png
구형 대한민국 국군 중사 계급장

1 개요

中士. 군대부사관의 두번째 단계.사실은 장관급 장교이다

대한민국 육군 기준으로 하사로 입대해서 의무복무기간만으로 군생활을 마친 사람은 보통 중사 계급으로 전역을 한다. 하지만 자리가 적은 공군에선 '보통 중사 계급으로 전역'하는 일은 불가능. 진급 TO가 매우 적어 6~8년차 하사도 수두룩하다. 반면 기본 전투원이 중사로 규정되어 있는 특전사의 경우, 중사진급 심사 자체가 없고 하사복무할 수 있는 최소기간만 채우면 100% 중사로 진급한다. 물론 특전사의 훈련과 중사 진급심사의 난이도를 그대로 비교할 수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사는 특전사에서는 하사와 같이 그냥 전투원일 뿐이며 최하위 지휘자라는 게 대위정도나 돼야 가능하다. 따라서 특전부사관의 중사를 다른 부대의 중사와 같은 개념으로 봐서는 안된다.

주로 중사를 '선임하사', 줄여서 '선하'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사실 선임하사는 오늘날 부소대장에 가까운 직책이지만 대부분의 계급이 중사였기 대문에 중사 = 선임하사라는 인식이 굳어지게 되었다. 해군에서는 여기에 각자 직별을 붙여서 (예 : 조타 직별 중사를 조타 선임하사 이런 식)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 Sergeant를 번역할 때 유독 '중사'라고 하는 일이 잦다. 이 말은 부사관 전반을 뜻하는 단어이기도 하지만, 국군의 경우 이 계급을 병장으로 보지만 실제로는 하사에 해당하는 계급.

영국 육군의 경우는 중사가 맞기 때문에, 혼선이 생겨 미군 계급도 같이 번역하는 듯 하다. 그리고 영국군은 이등병과 일등병은 계급장과 계급명이 없다. 또한 준사관이 부사관과 분리된 체제가 아니기 상급 준위 계급을 한국군의 상원사 계급으로 대치해야 한다. 즉 영국군의 SERGEANT는 한국군의 병장 계급에 해당됨이 맞다. 다만 병장 계급을 부사관으로 인정하느냐 병계급으로 인정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병장을 부사관이 아닌 병으로 생각하는 한국군이 특이한 예일 뿐이다. 하긴 2년도 복무 안하는 병사들을 병장까지 기어이 진급시키는 한국군이 좀 많이 특이한 편이긴 하다.

보통 중사까지만 Sergeant라고만 불러도 되고 그 위는 계급명을 명확히 불러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서 이럴 수도 있다. 헤일로 시리즈의 에이버리 존슨 상사는 이것 때문에 강등 당하기도 했다.

대위 전역자가 가끔 부사관지원을 하는 경우 바로 이 계급으로 임관된다.[1]정말 먹고 살기 힘든 경우 이 경우 전에 대위로 복무했던 군적이 유지되며 호봉도 인정해준다. 다만 진급심사에는 반영이 안된다.애초에 반영 만한 성과가 있었으면 대위만기전역은 안할 것 같다만 비록 지금은 취소선이 그어져 있지만 장기복무 인원이 부족해져가는 실상이라 아무래도 미래에는..

물론 계급 정년 상 이런 경우는 대위 출신이 거의 전부라고 봐도 좋다. 국방일보에서 이따금씩 보이는 케이스이다. 소령 이상 예비역의 부사관 입대는 불가능하다. 소령 전역자는 보통 40대가 넘어간다. 즉 장교 출신의 부사관 입대는 30세 미만으로 전역한 대위까지만 가능하다. 20대에 소령을 달아버린 용자가 갑자기 때려치고 중사를 하려 들지도 모르겠지만 그런 사람은 필시 제정신이 아닐 것이다

2 부대에서의 영향력

부대 내의 중요 처부에서 '반장' 역할을 주로 맡으며(차량정비반장 등) 중대 내에서는 보통 부소대장 그외 보급관 역할도 부여받으며 부대 내의 상,원사가 부족할 경우엔 가끔 행정보급관을 맡기도 한다. 물론 그 대대는 지옥이 펼치진다 본인도 지옥이다 하지만 중사 쯤 되면 대부분 결혼해서 부대 밖으로 나가기 때문에 일과시간 외에 병사들에게 크게 간섭하지는 않는 편.따지고보면 군인이 우리나라 평균결혼연령을 낮추는 중요한 직업 20대 중반 남자의 90%가 결혼하는 부사관간부급 인원이 부족한 부대에서는 처부장급 직책을 맡기도 하지만 다른 처부장들의 짬에 치여 여러가지로 처부원들이 피곤해지는 경우가 많다. 짬 높은 처부장에 병사들과 친한 중사급 반장이 있다면 해당 처부는 축복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병사보다 짬밥이 몇 년 이상 높기 때문에 하사나 소위, 물중위처럼 무시당하는 처지는 당연 아니다. 하지만 사단 본대급의 병영에서는 원체 영관급 이상이 많은지라 병사나 별 다름없는 취급을 받는다고 한다. 일반 부대라도 부사관 중 가장 많은 계급이 중사다.

스포츠 고글과 MTB 자전거가 상징이라고 한다

3 진급

중사 진급 후 5년이 지나면 진급 심사에 들어간다. 장기 군생활자와 전역자를 가르는 중요한 계급으로, 중사생활을 오래 한다고 하면 '장기를 할 마음은 굴뚝같고 부대에서 인정도 받고있지만 이상한 곳에서 사고를 쳐서 진급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2] 상사와 중사의 월급은 천지차이기에 중사 8년 이상은 거의 막장으로 보고 있다.

4 대우

부사관 중에서도 나름대로 경험이 쌓인 만큼 웬만한 나라의 군대라면 중사 쯤 되면 꽤 대접을 잘 받는다. (이것도 각 나라 군대 나름임) 물론 한국군 기준으로 실제 지위는 그다지 높지 않다. 말단 사병에서 시작해서 병장을 거쳐 부사관이 되는 다른 나라의 부사관과는 달리 한국군은 징병제라 그런지 부사관은 보통 따로 모집해서 입대할 때 하사를 달고 시작하는게 일반적이기 때문. 물론 그래도 군 간부이기 때문에 말단인 일반병보다는 대접이 당연히 훨씬 좋다.

해군과 공군은 대우가 더 좋은 편이다. 하사에서 중사로 진급을 하는데 해군은 초급반 시절 교육사령관상(중장이다.) 받으며 엘리트로 시작해도 보통 5년이 걸리고, 공군의 7, 8년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문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또한, 해군, 공군은 숫자 자체도 육군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이다. 게다가 해군은 승함, 전투 직별우선,[3] 공군은 정비계열이 우선 순위에 적용되므로 다른 직별 부사관은 진급하는게 시간이 오래걸리고 공군의 경우 일이 상대적으로 편해서 군에 남는 비율도 놓다. 진급 TO는 결정되어 있는데 사람들은 정체되어 있으니 결국 진급하려면 어지간히 버텨야 한다. 그래서 해군, 공군에는 장기복무에서 짤려서 하사로 전역하는 사람들이 많다.[4] 하지만 매우 드문 케이스로 하사만 10년 넘게 하다 근속진급 덕택에 진급하는 경우도 있다. 요즘은 대체로 장기선발이 되면 진급도 함께 하는 추세이다. 공군의 경우, 과거 하사에서 중사 진급이 쉽던 시절에 일찍 중사로 진급한 사람은 중사 계급으로 10년이 넘기도 한다. 일례로 1990년에 임관한 공군 총무특기 부사관은 1992년에 중사 진급을 한 뒤에 2008년에 상사 진급을 했다. 지금은 선임원사를 신설하고 중사에서 11년을 근무하면 상사로 근속진급하게 바뀌어서 그럴 일은 없겠지만.

국방부 인사실무편람에 의거, 일반직공무원의 8급에 해당한다.

5 매체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에선 중사 계급의 인물이 많다. 이는 일본에서 군인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계급이 군조(軍曹)였기 때문. 구 일본 육군에서 기간병의 축을 이루는 계급이었으며 소위 도깨비하사(鬼軍曹) 같은 단어를 봐도 알 수 있듯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많이 끼쳤다. 따라서 부사관=군조(중사)라는 도식이 생긴 것. 문제는 이 단어는 하사를 뜻하기도 한다. 애당초 구 일본군의 계급체계가 현재 한국군이 쓰고 있는 계급체계와 1:1로 대응이 안된다.

6 타국의 중사

6.1 미군

미군 중사 계급장
육군해군해병대공군해안경비대
계급장금장중사일등중사계급장금장
Sergeant First Class[5]Chief Petty Officer[6]Gunnery Sergeant[7]Master Sergeant[8]First Sergeant[9]Chief Petty Officer[10]
80px-Army-USA-OR-07.svg.png80px-CPO_GC.svg.png80px-CPO_collar.png80px-USMC-E7.svg.png80px-E7a_USAF_MSGT.svg.png80px-E7b_USAF_1STSGT1.svg.png80px-USCG_CPO.svg.png80px-USCG_CPO_Collar.png

외국의 경우 NATO 코드로는 OR-7. 미군 페이그레이드로는 E-7에 해당한다. 국군의 공식 분류는 그냥 아래에서부터 끊어 대치시킨 것으로 실제 계급의 지위와 맞지 않는다. 흔히 상병으로 분류되는 Corporal은 사실 짬으로 치면 병장, Sergeant는 병장이 아니라 하사에 해당한다. 같은 원리로, 해군의 경우도 Petty Officer 1st Class는 하사가 아니라 중사가 맞다. 웃기는 점은, 본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국 해군도 원/상사를 CPO들이라 부르며 그들을 위한 격실 등을 CPO실, CPO 식당 같은 식으로 불러 주면서, 정작 CPO로 번역하는 중사들은 수병 및 하사들과 같은 거주공간과 식당 등에서 생활한다. 국군 차원에서 개정해야 할 부분이다. 일반적인 경우 막 상사로 진급하는 군인의 복무 기간은 최소 육군 7년, 해군과 코스트 가드 9년, 공군 8년, 해병 7년 10개월 이상. 진급육군의 경우 장성급, 해군의 경우 대령급 이상이 진행하는 중앙위원회에서의 군 내에서의 경력을 포함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승인되므로, 실제 진급이 승인되는 케이스들은 저보다 훨씬 긴 복무 기간을 요한다. 공군의 경우 상사 진급을 위해 위원회가 열리지는 않지만,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종합적 평가 시스템이 존재한다. 미 공군에서 비행대대 주임 상사는 First Sergeant. 계급명이 아닌 정식 계급은 여전히 Master Sergeant이며 보직에 한해 저 명칭으로 불린다. 계급장 안의 빈 공간에 다이아몬드가 하나 추가된다.

위와 같은 이유에서인지, 강인한 이미지의 소설 주인공들, 혹은 주인공을 직접 훈련시키는 비인간적이고 귀신같은 교관들의 계급으로 애용된다. 예를 들면 하트먼 상사. 하트먼 상사의 예도 실제 계급은 해병대 Gunnery Sergeant인데, 대한민국 해병대에선 중사로 번역하나, 사실 짬으로 치면 상사에 가까운 계급이다.

6.1.1 군복

400px-Five_US_Navy_petty_officers_in_uniform.jpg

해군의 경우, 중사 계급부터 정복과 근무복의 형태가 바뀐다. 정복의 경우, 중사까지는 동양권에서 흔히 상측의 '세일러복'이라 불리우는 Crackerjack을 입는다면 중사부터는 상급 부사관(Chief Petty Officer, CPO)으로 분류되며 장교와 비슷한 하측의 CPO Dress Blue Uniform을 입게 된다. 또한, 식당이나 함내 생활 공간 등에 있어서 CPO 전용 식당과 거주 공간 등을 할당받는다(중사 이하는 대부분 국가의 해군에서 수병과 같이 생활한다.).

6.2 영국군

영국군 중사 계급장
육군해군해병대공군
중사항공승무중사기술중사
Colour Sergeant
혹은
Staff Sergeant
Chief Petty OfficerColour SergeantFlight SergeantFlight sergeant aircrewChief Technician
80px-Army-GBR-OR-07.svg.png80px-OR7_RM_Colour_Sergeant.svg.png

6.3 독일군

독일군 중사 계급장
육군해군공군
참모1급부사관
정복전투복동코트동정복
하정복[11]
전투복정복전투복
HauptfeldwebelHauptbootsmannHauptfeldwebel
80px-HD_H_33_Hauptfeldwebel_ABCAbw.svg.png80px-MDS_33_Hauptbootsmann_70.svg.png80px-MDJA_33_Hauptbootsmann_50_Lu.svg.png80px-MA_OG5_33_Hauptbootsmann.svg.png80px-LD_B_33_Hauptfeldwebel.svg.png80px-LA_OS5_33_Hauptfeldwebel.svg.png

6.4 중화민국군

중화민국군 상사(上士)(중사) 계급장
육군해군해군육전대공군
상사(上士)
Staff Sergeant (SSG)
상사(上士)
Petty Officer 1st Class (PO1)
상사(上士)
Staff Sergeant (Sgt)
상사(上士)
Technical Sergeant (TSgt)

6.5 자위대

자위대 2조(2曹)(하사) 계급장
육상자위대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
2등육조(2等陸曹)
Sergeant First Class (SFC)
2등해조(2等海曹)
Petty Officer 2nd Class (PO-2)
2등공조(2等空曹)
Technical Sergeant (TSgt)
정복근무복작업복동계정복하계정복근무복작업복정복근무복작업복
80px-JGSDF_Sergeant_First_Class_insignia_%28a%29.svg.png80px-JGSDF_Sergeant_First_Class_insignia_%28b%29.svg.png80px-JGSDF_Sergeant_First_Class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MSDF_Petty_Officer_2nd_Class_insignia_%28a%29.svg.png80px-JMSDF_Petty_Officer_2nd_Class_insignia_%28c%29.svg.png80px-JMSDF_Petty_Officer_2nd_Class_insignia_%28b%29.svg.png80px-JMSDF_Petty_Officer_2nd_Class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ASDF_Technical_Sergeant_insignia_%28a%29.svg.png80px-JASDF_Technical_Sergeant_insignia_%28b%29.svg.png80px-JASDF_Technical_Sergeant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이조(二曹)라고 한다. 기혼자 등에게 영외거주가 허가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혹은 30세가 넘었거나.

자위대에서 숫자가 제일 많은 계급이다. 5만 명에 육박해 자위대의 20%가 중사이다.

경찰 계급 중 순사부장급.

7 가상 인물

서울문화사에서 단행본이 나왔을 때 는 하사였다. 그리고 이 계급은 하사로 임관해서 올라간게 아니라 중위에서 강등당해 이렇게 된 것이다.
전공은 높으나 소대가 늘상 몰살당해서 진급이 거의 없었다.
소설판에서 쿠르츠는 후에 상사로 진급한다.
정발판에서 명칭이 통일되지 않아서 '군조' 로 표기, 군조 참조.
  1. 물론 육해공, 해병대에서 근무하여 타군 중사로 임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위 전역자 이하는 얄짤없이 하사부터다. 단, 호봉이 인정되기 때문에 진급심사를 부사관 동기보다 일찍 들어간다.
  2. 후배가 상사가 된 걸 보고 술만 마시면 울면서 하소연하는 중사도 있다. 사고 기록 하나 때문에 진급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된 것이다.
  3. 쉽게 말해 배를 타고 전투와 관련있는 갑판, 전탐, 통신같은 직별들이 장기 될 확률이 월등히 높고 헌병, 조리, 통기, 기정 같은 비승함&비전투 직별들은 크게 밀리는 편이며 경리, 정훈, 운전같은 직별은 직별 통폐합때면 존폐의 위협을 받는 수준이다.
  4. 대신 육군에 비해 장기선발 비율은 높다. 그리고 헌병이나 군악같은 직별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기술직이라 나가도 밥벌이는 충분히 할수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해군의 예를들면 전자같은 직별은 취득 할수있는 자격증이 워낙 많고 기술이 없으면 할수도 없는 직별이라 어디가도 굶을 걱정은 없다. 다만 해군은 장기 안된 하사가 복무기한 7년 꽉 채우고 전역할 경우 6년차에 근속 진급시키며 공군의 경우 하사로 7년 이상 근무 후 전역하게 되면 전역 1 ~ 2달 전 중사로 진급시킨 뒤 전역시킨다.
  5. 상급 부사관, 약칭 SFC. 줄여서 Sergeant로도 부름
  6. 상급 부사관, 약칭 CPO
  7. 상급 부사관, 약칭 SSgt
  8. 상급 부사관, 약칭 MSgt
  9. 일등중사, 약칭 1stSgt
  10. 상급 부사관, 약칭 CPO
  11. 하정복 및 하약정복 계급장은 흰색바탕에 노란색이다
  12. 원작 소설에서는 준위.
  13. 보덤 경비연대 소속의 군조(=중사). 특수전 부대 소속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전투력으로 PSYCOM을 말 그대로 묵사발을 내 놓았다. 물론 이 게임에 등장하는 주연급 캐릭터들 자체가 괴물이기는 하다. 노라의 리더였던 스노우 빌리어스야 그렇다 쳐도 전투병기와 맞서 싸우는 중학생이라던가, 항공기 조종보다 전투를 더 잘 하는 파일럿이라던가.
  14. 원본에서는 중사였는데 한국 정발떄 무슨 이유에서안지 상사로 계급이 바뀌었다. 위에 적힌 그의 패러디 캐릭터 아치 도난의 계급이 중사인건 하트먼 중사의 계급을 따라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