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법

(민소법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법률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가 다루는 내용은 대한민국 헌법 및 법령에 따라 제정 또는 승인된 법률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신중하고 사실에 근거해 편집해주시기 바랍니다. 왜곡된 사실이나 허위 사실을 게재하는 경우 경찰 · 검찰 및 기타 관계 기관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만위키정확하고 책임있는 법률지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기초 상식 및 학술적인 설명으로만 이용해주시기 바라며, 이와 다른 용도로 이용해 불이익이 발생한 경우 우만위키는 법적으로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이 문서는 법률의 개정과 상이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법조인에게 법률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영어: Civil procedure
한자:民事訴訟法
독일어:Zivilprozessrecht[1]

1 개요

민사소송 절차를 규율하는 일체의 법 또는 민사소송법이라는 이름의 실정법률

민사소송법이라고 함은 형식적으로는 민사소송법이라는 법률을 말하고, 실질적으로는 민사소송제도를 규율하는 법규 일체를 말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의미의 민사소송법에는 민사소송법외에도 민사집행법(2002년 분리), 가사소송법 등등이 포함된다. 파산이나 회생, 개인회생도 민사소송법학의 연구대상이다. 즉, 널리 민사절차 일반이 민사소송법학의 연구 대상이다.[2] 하지만 실제로는 민사조정절차나 비송사건절차같은 건 별로 연구를 않고 있지.

'민사소송법'이라는 이름의 법률도, 좁은 의미의 민사소송절차만 규율하는 것은 아니다. 제소전화해절차, 독촉절차, 공시최고절차도 규율한다. 다행히 시험에는 거의 안 나온다. 심지어 공시최고절차는 쓰기가 귀찮아서인지 시험에 어차피 안 나와서인지 하여간 교과서에서도 서술을 통째로 생략하는 예가 많다. 이 절차들을 '민사소송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이유는, 민사소송절차로 이행될 수 있는 절차들이기 때문.

사인간의 다툼에 관계되는 법이므로 사법(私法, 司法이 아니다.)같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공법이다. 왜냐하면 국가기관인 민사법원의 절차를 규율하는 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민사소송법은 공법과 사법중 공법영역에 속하지만 공사법말고 절차법과 실체법을 나누는 기준으로서는 절차법에 속하며 이 경우 사법의 절차법이 된다. 일반법과 특별법을 나누는 기준으로는 일반법에 속하므로 민사소송법은 공법이며 사법의 절차법이고 사법의 절차법의 일반법이 된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법대생들이라면 헷갈리지 않는 것이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법과 정치를 듣는 고등학교 수험생들은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3]

2 내용

3 민사소송법의 주요 법리

4 하위법, 특별법 및 관련법

5 시험과목 중의 하나로서의 민사소송법

사법시험 2차시험의 필수과목이다. 사법시험 2차시험에서는 총 7법에 대한 논술형 시험을 보게 되는데[4], 그 중 민법과 더불어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손꼽힌다. 일단 기본적인 난이도자체가 상당히 높아. 이해하는데 애를 먹기 일쑤며, 공부할 때 이것저것 신경쓸 것도 매우 많다. 그래서 법대생들이나 고시생들이 꽤 어려워하고 고생하는 과목이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하거나 들을 수 있는 민법이나 형법과 달리 소송을 경험하기 힘든데다, 절차를 규율하는 이다 보니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민법 역시 어렵긴 마찬가지지만, 그래도 실체법이라 소송법에 비해 이해하는 것 자체에서는 애를 덜 먹으며, 민법은 형법, 헌법과 더불어 사법시험 1차 필수과목인지라, 1차시험에서부터 공부를 해왔기에, 2차를 준비할 때 생소하지 않다. 하지만 민사소송법은 2차시험에 처음으로 제대로 공부하는 수험생들이 많기에, 그 짧은 시간에[5] 그 어려운 민사소송법을 마스터하려니 상당한 애를 먹는 것이다. 실제로 신림동 고시학원의 사법시험 2차 강의 스케쥴을 보면 민사소송법에 할당되는 시간이 민법 다음으로 가장 많다. 덧붙여 실제 생활과 다소 유리된 기술적인 법이다 보니 민법과 같은 실체법에 비해 재미도 없다는 게 중평.

또한 변리사 시험에서도 2차 과목에 해당하여, 변리사 수험생들 사이에서도 2차의 최종보스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6] 이 밖에 법원행정고등고시, 5급 공채 일부 직렬, 법무사 시험 등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목.

대신 절차라는 것은 누구에게나 동일해야 하므로 정형화되어 있는 점도 있어 이를 빨리 파악하거나 한번 숙달되면 그 다음부터는 일사천리.[7] 그래서 이정도 수준에 다다른 수험생들은 민사소송법에서 고득점을 기대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숙달되기까지 상당히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지만.

6 기타

소위 6법 중 첫번째로 한글화 된 법이 민사소송법이다.[8]


실질적으로 변호사들의 밥줄스킬이며, 변호사의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일 것 같지만 사실 변호사보다는 판사가 더 잘 알아야 한다고 한다. 민사소송법이 법원을 규율하는 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민사소송법을 공부하는 사람의 경우 거의 모든 사람이 이시윤 교과서를 보고있다. 이는 독일 민소법의 전설적인 법학자, 지금의 민소법을 완성시켰다는 평을 받는 로젠베르크(Rosenberg)의 제자의 제자인데서 기인한다.
  1. 독일에서 형식적 의미의 민사소송법의 제명은 Zivilprozessordnung(약칭 ZPO).
  2. 그도 그럴 것이, 민사소송법은 다른 민사절차법에도 많이 준용된다.
  3.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절차법을 공사법으로 분류하는 것이 무용하다고 본다. 물론 수험에서는 그냥 공법이라고 외워야한다.
  4. 주로 케이스 문제가 주어진다
  5. 2차 수험 기간이 대략 1년 조금 넘는데, 7법의 수천페이지를 통달해야 한다.
  6. 변리사 2차 시험의 4개 과목 중 당락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선택과목이라는 것이 중론이나 난이도나 투자하는 노력에 있어서는 민사소송법이 단연 압도적.
  7. 때문에 다른 소송 절차법에 있어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민사소송법의 규정을 준용한다. 민사소송법 하나만 파도 나머지 소송 절차법을 배우는데 어려움이 없다.
  8. 민사소송법 한글화를 담당한 사람은 국문학과 교수였는데 내용이 어려운데다 법률 관련 용어의 난해함 때문에 온갖 고생을 해가며 한글화 작업을 했더니 나중에 가서는 민사소송법에 관해서는 법대 교수보다 더 정통하게 되었다는 웃지못할 사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