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 타다카츠

(본다충승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한자식 발음인 본다충승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도쿠가와 사천왕
사카이 타다츠구혼다 타다카츠사카키바라 야스마사이이 나오마사


本多忠勝 (ほんだ ただかつ)
(1548.03.17 ~ 1610.12.03)

화실겸비의 용사(花實兼備の 勇士).[1]

1 설명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미카와국 구라마에(현재 아이치 현 오카자키 시)에서 혼다 다다토요의 장손이자, 다다타카의 장남으로 출생했다. 사나다 노부유키입장에서는 장인 어른

관례 후 받은 이름은 타다카츠, 아명은 나베노스케, 통칭은 헤이하치로로,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을 꺼리던 당시 풍습에 따라 보통 헤이하치로라 불리었다.단, 관직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우선하였기에 타다카츠의 경우는 보통 나카츠카사노스케라고도 불렸다.[2]

출생 직후에 오다 가와의 전투에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전사하여 홀어머니 밑에서 성장하였다. 이후 토쿠가와 이에야스[3]의 시동이 되었다고 하며, <토쿠가와 짓키>에 따르면, 1560년때 관례를 치르고 헤이하치로 타다카츠라 칭하며 오케하자마 전투에 첫 출전을 했다고 한다.

1563년에 미카와에서 일어난 일향종의 난때, 대부분의 혼다 일족이 도쿠가와 가문에게 반기를 내걸었으나, 타다카츠는 일향종에서 정토종으로 개종하며 도쿠가와 가에 남아 무공을 세웠다.

이후 1570년에는 아네가와 전투에 참전하여 토쿠가와 군의 선두에서 대활약, 오다 노부나가로부터 은상(銀賞)를 수여(授與)받는 동시에 "혼다 타다카츠의 용맹은 장비에 비견된다." "화실겸비의 용사(花實兼備の 勇士)." 말로 찬사를 받았고, 1572년에 타케다 군이 토쿠가와령을 침공하였을 때 히토코토자카 전투에서는 패퇴하는 아군의 후위를 맡아서 분전, 그 활약을 지켜본 타케다 휘하 무장 코스기 사콘이 "이에야스에게 과분한 것이 두 가지가 있으니, 당나라 투구와 혼다 헤이하치이니라."라는 교카(狂歌)의 낙서를 통해 그의 용맹스러움을 칭찬하였다.[4] 이 해 12월에 미카타가하라 전투에도 참전하였고 1575년의 나가시노 전투에도 참전하였다.

18세기 초에 저술된 <번한보(藩翰譜)>에 따르면, 1582년에 일어난 혼노지의 변 당시에, 교토 일대에 체재하고 있던 이에야스가 오다 노부나가의 사망소식에 그 뒤를 따라 자결하려고 하는 것을 만류하고 영지로 도피하도록 간언하였다고 한다.[5]

1584년에는 코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참전하여 분전했고, 전투 후 도쿠가와 군이 철수할 당시에는 불과 수백의 군사만 거느린 채 추격해오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군을 가로막으며 호담한 면모를 보였는데, 그의 대담한 언행을 본 도요토미 히데요시로부터 "일본 제일, 고금 독보의 용사(日本第一、古今独歩の勇士)." "동쪽에 혼다 타다카츠라는 천하무쌍의 장수가 있듯, 서쪽에도 타치바나 무네시게라는 천하무쌍의 장수가 있도다." (東に本多忠勝という天下無双の大将がいるように、西には立花宗茂という天下無双の大将がいる)라고 극찬을 받았다. 이 일이 히데요시에게 상당히 깊은 인상을 남겼던지, 전후 토쿠가와 씨가 히데요시의 패권을 인정하였을 때, 히데요시의 천거로 종오위하(従五位下) 나카츠카사노스케(中務大輔)[6]으로 서임되었다.

1590년에 히데요시가 호죠 씨를 멸하고 이에야스가 간토 250만석의 영주로 전봉된 후에는, 가즈사 국 오타키[7] 10만석의 영주로 봉해져, 같은 사천왕이자 절친한 동갑내기 동료인 사카키바라 야스마사와 함께 가신 중 영지 서열 2위에 올랐다(1위는 이이 나오마사의 12만석). 1591년 장남인 타다마사가 이에야스의 손녀 쿠니히메와 결혼하면서 이에야스와 인척 관계가 된다. 특히 쿠니히메는 비명에 간 장남 노부야스의 딸이라 이에야스가 특히 아꼈다고 하는데, 그런 손녀를 시집 보냈다는 점에서 이에야스가 그를 얼마나 아꼈는지 알 수 있다. 덧붙여서 쿠니히메의 아들 혼다 타다토키는 후에 이에야스의 손녀인 센히메와 결혼했다.

이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400명의 군사를 이끌고 군감으로 참전한다. 이에야스의 본진에 종군하면서 각 다이묘들을 포섭하는 서장을 작성하였고, 전투가 시작되자 이에야스의 명령으로 군사를 이끌고 전투에 임했는데, 그가 상대한 서군의 세력은 우키타 히데이에, 시마즈 요시히로, 이시다 미츠나리 등이었다. 전투 도중 그가 탄 말이 헤드샷을 당해 낙마했는데도 그는 아랑곳하지 않고, 부하의 말을 빌려타고 계속 싸우는 절륜한 용맹을 보여줌으로써 같은 사천왕인 이이 나오마사와 쌍벽을 이루는 도쿠가와 군의 맹장다운 활약을 했다.

타다카츠의 400명이 군사가 거둔 수급은 90여 개였다고 하는데, 이게 어느정도냐면 호소카와 타다오키의 5100여명의 군사들이 거둔 수급이 채 140개가 안 되었다고하니 단순 계산으로 호소카와군과 같은 숫자의 병력이었다면, 수급이 1100개가 넘어가게 된다는 뜻. 말 그대로 용장 밑에 약졸 없다.[8]

이 공적으로 이세국 구와나 10만석의 영지를 받았다[9]

말년에는 이에야스를 비롯하여 2대 쇼군인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측근을 혼다 마사노부 부자 등, 관료 타입의 문치파로 채우며 권력에서 멀어졌고, 이에 따라 불우한 말년을 보냈다고도 한다. 1609년 6월에 가독을 장남 혼다 타다마사에게 물려주고 은거, 이듬해 10월 18일에 영지인 구와나에서 병사하였다. 향년 63세.

온몸이 상처투성이였던 이이 나오마사와 달리 생애 57회에 이르는 출진에도 평생 몸에 상처 하나 입지 않았다고 한다.[10] 후방에서 지휘만 해서 그런게 아니고 거의 자살특공대 수준의 기습부대를 운용하는 등의 격렬한 전투 속에서도 상처 하나 입지 않았던 것이라 한다.이거 어떤 민간 설화인데?[11] 삼국지로 따지자면 이이 나오마사는 주태, 혼다 타다카츠는 감녕에 비견된다.

말년에 목제품을 조각하는 일로 시간을 보냈는데 이때 손이 미끄러져 손가락을 베었고 이 때 '나도 여기까지군' 이란 말을 남겼다고 전해지며, 그로부터 며칠 뒤에 죽었다고 하는데 그게 일생동안 입은 유일한 상처라카더라.심각한 유리몸이었나보다.

"톤보키리(蜻蛉切)"라는 창을 애용했다고 하는데, 이는 원래 핫토리 가문의 소유였으나 다다카츠가 이를 양도받았다고 전해진다. 창날에는 무라마사의 일파라고 하는 '후지와라노 마사자네 작(藤原正真作)'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으며, 날 길이는 43.8센티미터, 손잡이의 길이는 6미터에 이르는 장창이었다고 한다(단, 말년의 다다카쓰가 쓰기 무겁다는 이유로 4.5미터 정도로 줄였다고 한다).

이 창에는 일화가 있는데 창날에 앉은 잠자리가 그대로 두 동강 났다는 것으로, 이것이 그대로 창의 별명이 되었다. 천하 3명창 중 하나로[12],오카자키 성 등에 복제품이 전시되어 있다.

위의 초상화와 같이 큰 염주를 매고있어서 여러 매체에서 큰 염주를 맨 모습으로 나오는데, 실제로 다다카쓰는 전장에 나갈 때 청령절과 사슴뿔 투구, 염주를 항상 휴대했다. 이 염주는 전장에서 자신이 죽인 자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고. 사슴뿔 투구로도 유명하며 갑옷과 함께 현재 일본 중요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이나히메(코마츠히메)는 이에야스의 양녀가 되어 사나다 노부유키와 결혼했다.

같은 사천왕 동료인 사카키바라 야스마사와 타다카츠의 후손들은 잦은 이봉[13]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나마 야스마사의 후손들은 고쿠다카가 늘어난 15만석의 다카다 번에 정착을 하지만, 타다카츠의 후손들은 고쿠다카가 줄어든 5만석[14]의 오카자키번에 정착하게 된다. 게다가 직계 후손들의 단절도 자주 생겨, 다른 가문의 사람들을 양자로 들여 가문을 잇게 하는 경우도 잦았다.

2 대중문화에서의 혼다 타다카츠

2.1 전국 바사라

혼다 타다카츠(전국 바사라) 참조.

2.2 전국무쌍

혼다 타다카츠(전국무쌍) 참조.

2.3 일본 메이플스토리

9130027.png
하야토, 칸나 120 퀘스트에서 히데요시와 이에야스와 함께 오다군을 배신하고 연합군에 합류하며 하야토, 칸나와 몇명의 연합군 장수들과 혼노지에서 만날 때, 오다군의 추격병들이 추격해오자 히데요시와 이에야스를 부탁하고 추격병들을 상대한다. 그 뒤 히데요시와 이에야스가 모미지 언덕에서 연합군과 이야기 할때 상처 하나 없이 나타났다.

2.4 슈팅 게임 바사라

en03_on.gif en03_b.jpg

우리들 앞을 가로막는 자는 용서하지 않겠다! 각오하라!

성우는 타치키 후미히코.
4번째 스테이지 보스로, 역사상 맹장이었던 혼다답게 명불허전한 강력함을 보여준다. 체감 난이도는 야규 무네노리보다 높은 듯.
폭격기(?)를 타고 나오는데, 양 쪽에서 발사하는 기관포는 멍하니 있다 보면 맞기 쉽고, 가운데의 코어(?)에서는 메가입자포가 발사된다. 어느 정도 데미지를 입히면 염주포(가칭)를 사용하는데, 이게 또 골칫거리.

발악 패턴은 무수한 산탄을 발사하며 화면 끝까지 좌우로 왕복하면서 메가입자포를 쏘는 것.

2.5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

파일:本多忠勝1.jpg

노부나가의 야망 창조노부나가의 야망 창조 전국입지전

창조에서는 일러스트가 꽤나 카리스마있게 나왔다. 다만 전국입지전에서는 맹장의 이미지를 강조하려 했는지 휴고니즘의 마수를 피하지 못했다.

도쿠가와의 명실상부한 주력 무장. 각각 통솔과 무용을 10씩 올려주는 가보를 끼고 등장하신다. 가문 최강의 무용을 놓친 적이 없다. 도쿠가와의 주력은 아시가루이지만 기마적성도 높아서 다케다나 사나다 등으로 그를 사로잡아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지모나 정치도 그렇게 낮지는 않게 측정된 편.

일러스트는 초기작에서 어째 미소년으로 등장한다. 천하창세부터는 사슴뿔 투구를 쓰는 맹장이 되었다. 웃긴점이라면 아자이 나가마사도 타다카츠처럼 초기에는 미소년으로 그려지는데. 천하창세에서는 기름진 다이묘가 되었다.

노부나가의 야망 혁신에서는 쓰기 애매. 스탯은 뛰어났고 병과적성은 족경과 기마 모두 뛰어났지만 고유전법 '승붕'이 기마전법이었는데 도쿠가와는 아시가루 가문이라 활용이 애매했다. 기마병을 양성하든지 고유전법을 무시하고 아시가루 부대를 이끌든지 취향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다만 아이템으로 기본장착하고 있는 돈보기리 덕분에 족경계 최상위 전법을 처음부터 가지고 있고 아시가루 적성도 좋아서 아시가루를 이끌어도 강력한 면모를 보인다. 사카이 다다츠구는 능력치가 떨어지고, 기본 능력치가 괜찮은 사카키바라 야스마사나 이이 나오마사는 다다카츠처럼 등장시부터 들고 나오는 고유 아이템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사천왕 중에서는 다다카츠가 최강.

노부나가의 야망 천도에서는 가문기술에 맞추었는지 '신창'이라는 아시가루 전법 최강 특기를 가지고 나왔다. 전법 크리티컬이 터지면 엄청난 데미지와 함께 적을 공황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노부나가의 야망 창조에서는 전작들에서 들고나왔던 가보를 고유전법으로 들고나왔는데 이게 난전공격 및 방어 대폭상승으로 단일부대로 전법만 난사하면[15] 혼다의 부대는 멀쩡하고 앞을 막고있던 적들은 도미노처럼 쓰러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노부나가의 야망 ds 2에서는 전투 99를 찍는다! 게다가 전투는 시마즈 요시히로도 뛰어넘는다!
그래서 전투에 자주 데리고 나가면 금방 전투 100이 되므로 우에스기 켄신과 막상막하로 맞장뜰 수 있다.
근데 문제는 정치가 꼴랑 1인지라 정치 낮은 장수에게 잘 걸리는 계략에 손 쉽게 걸린다.
예를 들어 몇 턴간 못 움직이는 혼란이 있고, 게다가 '발동 시 무조건 정치가 낮은 적군 1부대를 퇴각시키는' 전술(만약 성주의 정치가 적군 장수보다 낮으면 실패. 대신 사기를 내림)이 있는데 혼다 타다카츠는 정치 1이라서 발동 즉시 무조건 퇴각해버린다. 안습. 그래서 전투 빼곤 시마즈 요시히로를 못 뛰어넘는다.[16][17]

2.6 귀무자 시리즈

3편에서 등장. 왠지 중간 이름인 헤이하치로로 더 많이 불린다. 잭 시나리오에서 등장하며 보스로 몇번 마주치게 된다.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오다와 동맹 관계라 부득히 잭과 사마노스케를 막았을뿐, 사람들이 환마에게 위협받자 이를 막으려 한다. 게임 후반부에 란마루의 공격으로 죽는다...그럼 그후의 타카카츠는 뭔지(...)

작중 타카카츠로 플레이할수 있는 모드가 있다.

2.7 지휘봉의 행방

비주얼 신장 200cm, 비주얼 연령 45세, 취미는 단련과 독서, 좋아하는 것은 쌀.

전장에서 단 한 번도 상처를 입은 적이 없는 도쿠가와 최강의 장수. 게임 내에서도 혼자라고 얕봤다가 여러 명 골로 갔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신뢰하는 장수로 이에야스를 향한 충의도 두텁다. 최종 전투 이후 엉망이 된 몸을 끌고 이에야스를 지키기 위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에야스가 자신들을 믿지 못 해 천안을 사용하는 것은 아닌가 의문을 품은 바도 있지만 곧바로 자신의 부족함 때문에 이에야스가 무리를 한다고 보고 다시금 전의를 다진다.

2.8 태합입지전

여기서도 도쿠가와가의 전투담당이다. 5에선 조금 이른 나이인 13살에 일륜의 장 시나리오부터 등장. 이때는 이마가와 가문이기는 하지만 시작후 단 하루만에 이벤트로 오케하자마 전투가 일어나고 이에야스가 독립하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다. 통솔 92에 무력 89를 자랑하며 돈보기리가 무려 무력+12 인지라 실질 무력은 101. 어전대회에 나가보면 5회전즈음에서 종종 만난다. 도쿠가와가 범용 이벤트를 제외하면 특별히 전용 이벤트는 없으나, 신분이 가로 이상급으로 상승할 경우 일러스트가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사슴뿔투구를 쓴 모습으로 바뀌는 등 나름대로 대우받은 무장이다.

2.9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12에서는 전용 전법으로 만인지적이라 할 수 있는 '만인적'을 가지고 나온다. 사실 무장에서는 장비, 고대 무장에서는 항우만 가지고 있는데, 타다카츠가 장비에 비유됐다는 이야기 때문으로 보인다.

  1. 또는 일본 제일, 고금 독보의 용사(日本第一、古今独歩の勇士)'. 오다 노부나가로부터 화실겸비의 용사(花實兼備の 勇士), 도요토미 히데요시로부터 고금 독보의 용사(日本第一、古今独歩の勇士)라는 찬사를 받았다. 타다카츠가 보였던 초인적인 활약을 보고 했던 말이다.
  2. 타다카츠라는 호의 유래는 2가지 정도라 하는데 어느쪽이든 이에야스가 지어준 것이라 한다. 첫째는, 그냥(ただ)이긴다(勝つ)라는 의미라고 하고, 둘째는, 싸워서(戦って、たたかって) 이긴다(勝つ)라는 의미라는 것이다. 아무튼 이기라는 의미로 지은 호이다. 타다카츠의 일족은 대대로 이름에 "忠"자를 넣었는데(타다카츠의 조부인 다다토요의 대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이는 상기 해석보다는 일본의 명명법인 "통자(通字)"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다. 이 통자는 한반도의 돌림자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개념인데, 일족이 이름에 같은 글자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돌림자가 항렬에 따라 다른 글자를 이용하는 데 비해, 통자는 대대로 같은 자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돌림자와 상이하다 할 수 있겠다. 참고로 타다카츠의 후손 중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 53인 중에 "忠"자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은 8인, 다른 가문에 양자로 들어간 두 명을 제외하면 6/51이다.
  3. 당시에는 마츠다이라 다케치요 → 모토노부 → 모토야스.
  4. 흔히 타케다 신겐이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읊은 구절이라고 알려진 경우가 많으나 이는 잘못된 내용이다.
  5. 원전의 신빙성은 그다지 높지 않은 어디까지나 일화.
  6. 지금으로 치면 총무부 차관급이나 무사이므로 물론 실권은 없었다.
  7. 현재 치바 현 이스미 군 오타키 쵸
  8. 물론 실제로 그랬으면 어떻게 될지는 모른다만.
  9. 일설에는 15만석이라고도 한다.이전의 영지는 5만석으로 줄여 차남이 분가했다고.
  10. 이이 나오마사가 중장갑인데 비해 타다카츠는 움직임을 중시한 경장갑을 선호했다고 한다.
  11. 다만 중세의 전쟁영웅은 구전 버프를 받는 경향이 매우 강하니 이런 일화들은 아기 이성계가 화살로 파리를 잡았다는 류로, 적당히 필터링해 듣자.
  12. 나머지 두 개는 니혼고(日本号), 오테기네(御手杵)
  13. 영지의 이동
  14. 10만석 규모의 다이묘로 대접을 받긴 했다
  15. 오리지날이든 pk든 후덜덜하지만 pk쪽이 좀 더 압도적이다. 난전200%, 방어250%상승.
  16. 시마즈 요시히로는 정치 71인지라 왠만하면 저 전술에 잘 안 퇴각한다.
  17. 참고로 요 퇴각 전술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먼저 부대 편성에서 정치 듣보잡인(40~50대 정도) 무장 1명을 고른 뒤에 출진시키면 전술 발동 시 얘만 후퇴한다. 그럼 만사형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