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동역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평부선 (경의선 남북철도연결선)
평양 방면
손 하

3.9 km
봉 동
3.3 km
도라산 방면
판 문

鳳東驛 / Pongdong Station

봉동역

다국어 표기
영어Pongdong
한자鳳東
중국어凤东
일본어ポンドン
주소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일반 철도
운영기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평부선
개업일
1906년 4월 3일
역등급?

북한 평부선의 역.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봉동리 소재. 구글 어스를 통한 좌표는 동경 126º 37' 19.02" 북위 37º 56' 47.12"

1906년에 일제경의선을 처음 부설했을 때 부터 영업한 유서깊은 역이다. 일산역이나 금촌역, 수색역 등과 비슷한 시기에 개업했으니 말 다 했다.(...)

한국전쟁이 터지기 전까지는 38선이 이 역 위에 있는 개성역 바로 위에 아슬아슬하게 걸려 있어서 대한민국의 영토였다. 1950년 6월 21일 마지막 증기기관차가 개성역에서 이 역을 거쳐 서울역으로 왔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하지만 한국전쟁 통에 북한땅따먹기(...)를 해서 지금은 북한의 영토이며, 역사(驛舍)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지못미

한국전쟁 50년 후인 2000년 6.15 공동선언이 채택되면서 경의선 복원사업을 통해 역이 부활했다. 개성공단과 가장 가까운 역이라는 이유로 경의선 화물철도(문산역~봉동역)가 운행하게 된 것. 그래서 임시승강장모양으로 역이 부활했다. 역명판도 없고, 역에 역명도 써있지 않고, 역사(驛舍)야 당연히 없는거고.. 여러모로 안습한 역.

봉동역 앞에 화물터미널이 생기기 전까지는 화물열차가 이 역이 아닌 판문역에서 회차하게 되어있다. 2007년 2차 정상회담에서는 문산역과 철도 화물 수송을 계획으로 명시하는 10.4선언까지 이루어졌다. 2008년 11월 28일부터 남북관계 경색여파로 현재는 경의선 화물열차 자체가 다니지 않는다.

화물터미널이 없는 상태에서 이 역은 대한민국이 보내주는 원조물자를 받고 있다. 주로 받는 물품은 쌀 및 비료 등. 참고링크 통일되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