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1 운행 차종
1.1 현재 보유 차종
- 현대자동차 카운티: 1998년부터 현재까지 마을버스 부문에서 도입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 에어로타운: 1994년 말부터 마을버스에 도입하였고, 초기에는 전문형으로 도입하였다가 1996년부터 전중문형으로 출고하였다. 19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중반 형식은 차령이 만료된 만큼 모두 전멸하였고, 현재 2000년대 중후반 이후 형식이 운행중에 있다. 시내버스에도 투입된 적 있는데 50-1번, 73번, 88-1번, 90번, 178번, 501번, 586번에 투입되었다.
- 현대자동차 글로벌900 F/L: 2008년~2010년 초에 도입한 현대 중형버스이다.
- 현대자동차 그린시티: 2010년부터 현재까지 도시형 및 마을버스에서 도입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 뉴슈퍼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뉴슈퍼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L: 2005년부터 2008년 초까지 도입한 현대 도시형 차종이다.
- 현대자동차 뉴슈퍼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L: 2008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2009년~2010년에 부산에 많던 디젤차량을 이 차량의 가스차 버젼으로 많이 대차해서 부산에 많은 댓수가 운행중에 있다.
- 현대자동차 저상 뉴슈퍼에어로시티: 2005년~2008년 초에 도입한 현대 저상버스이다.
- 현대자동차 저상 뉴슈퍼에어로시티 F/L: 2008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 블루시티: 2015년 7월 삼성여객이 최초 출고하였다.
- 현대자동차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2009년부터 현재까지 전중문 폴딩형으로 급행버스에 도입하여 운행중에 있다. 참고로 부산의 유니버스 좌석버스는 유니버스 프라임/노블에 기본사양으로 들어가는 최고급형 실내등을 대부분 옵션으로 선택하고 출고하고 있다.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 일부 마을버스 업체에서 운행중에 있다.
-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2002년부터 2008년 초까지 도입한 대우 중형버스이다. 현재 일부 남아 있다.
- 대우버스 BS090 F/L 로얄미디: 2008년~2011년 도입한 대우 중형버스이다. 도시형 및 마을버스 노선에 존재한다.
- 자일대우버스 NEW BS090: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1998년부터 2008년 초까지 꾸준히 도입한 대우 도시형 버스이다. 2001년에 최초로 가스차를 도입하였고, 2003년~2007년 사이에 디젤차량이 대량 도입되기도 하였다. 좌석버스는 2004년에 일부 차량이 전문형으로 도입되었고 나머지는 전부 전중문형이었다.
- 대우버스 BS106 F/L 로얄시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도입한 대우 도시형버스이다.
- 자일대우버스 NEW BS106: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 대우버스 BS110CN F/L: 2009년부터 도입하여 2010년부터 전문이 현대 저상버스처럼 폴딩형식으로 도입하였다.
- 자일대우버스 NEW BS110: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 자일대우버스 FX116 크루징애로우: 2009년부터 현재까지 전중문 폴딩형으로 급행버스에 도입하여 운행중에 있다.
1.2 과거 보유 차종
- 현대자동차 D0710: 1970년대 마을버스로 도입하였다.
- 현대자동차 코러스: 1988년~1997년에 도입했고, 마을버스에서 소수 존재하였다.
- 현대자동차 R192/R182: 1970년대 초중반에 도입한 현대 도시형버스이다. 초기에만 중후문형에다가 옆으로 마주보는 시트 형식으로 일부 도입하였다가 얼마 안가서 중문형에다가 앞으로 향하는 시트 형식으로 도입하였고, 1980년대 초반까지 운행하였다.
- 현대자동차 HD160: 1977년 초기에 중문형으로 도입하였다가 후에 전중문형으로 도입하였다. 중문형이 1982년~1983년에 전멸하였고, 전중문형이 1986년에 전멸하였다.
- 현대자동차 HD170: 1979년~1981년에 도입하였다. 한국의 여러 도시들 중 이 버스를 가장 많이 운행하기도 했다[1]. 좌석버스 최초 도입분으로 좌석버스 차량이 운행하기도 했다.
- 현대자동차 FB485: 1982년 출시초기부터 많은 업체에서 시내버스로 많이 도입하였고, 시내좌석버스로도 많이 도입하였다. 1983년 후반부터 중문이 슬라이딩인 형식을 출고하였고 1985년 말까지 도입해서 타 지역에 1980년대 주력 차종이 대우 BF101이었던 것과 달리 부산은 FB485가 1980년대 시내버스들 중 가장 많이 볼 수 있던 차종이기도 하였다. 대체로 1988년~1991년에 대차하였다.
- 현대자동차 RB520/RB520L: 1985년 부터 도입하였고 1986년 엔진이 변경된 이후로 훨씬 더 많이 도입하였으며, 1987년 좌석버스에도 많이 도입하였다. 최후차량이 1991년 초에 도시형 및 좌석형으로 도입하였고, 대차는 1992년부터 순차적으로 대차해갔고 도시형 및 좌석형이 1999년까지 운행하였다.
- 현대자동차 RB585: 1987년~1988년에 1982년~1984년형을 중고로 도입하여 운행한 적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520/에어로시티520L: 1990년대 초반에 몇 대 도입하였으나[2] 이쪽도 2000년 이전에 모두 대차되었다.
-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540/에어로시티540L[3]: 1991년~1995년 중반까지 도입한 현대 도시형 및 좌석차량으로 제법 많은 댓수를 도입하였다. 1992년에 전중문형 좌석버스[4]를 최초로 도입하였고 1995년 4월 도시형에 냉방형을 최초로 도입하였으며, 무냉방형이 2000년대 초반까지 운행하였고 냉방 최초기형이 2000년대 초중반 까지 운행하였다. 좌석형은 이 때는 대부분 스틸바디 차량이었으며 일부 회사에서는 패널바디 차량도 사용했다. 부산여객이 가로배열 패널바디 차량이 많았다.
-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540/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540L[5]: 도시형 및 좌석형을 1995년 중에 첫 도입하여 2000년까지 상당수를 도입하였다. 좌석형의 경우 전 차량 전중문형이었고, 2000년대 후반까지 운행하였다. 또한 좌석형의 경우 학성여객을 제외하고 패널바디 차량만 보유했다.
- 현대자동차 슈퍼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슈퍼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L: 2000년 중후반부터 도입하여 도시형과 좌석부문에 꾸준히 도입하였다. 2001년부터 가스차를 도입한 이후로도 디젤차량도 몇 대 출고하였으며, 현재는 전량 대차된 걸로 보인다.
- 현대자동차 글로벌900: 2003년~2007년에 도입한 현대 중형버스로, 현재 일부 마을버스노선에 남아 있다.
- 신진자동차 FB100LK
- 신진자동차 DB102LC: 중문형과 중후문형이 공존하였다.
- GM-코리아 BD50DL: 이 때부터 중문형에다가 앞으로 향하는 시트 형식으로만 도입하였다.
- GM-코리아 BD098/BD101: 앞서 설명한 현대 HD160 중문형과 같이 1977년에 마지막으로 도입한 중문형 버스이다. 1980년대 초반까지 생존하였다.
- 새한자동차 BU120: 1977년 일부 업체에서 몇 대 도입하였는데, 비싼 가격 및 유지비와 전장이 긴 만큼 회전반사경이 커서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도입량이 저조하였고, 이 후 대부분 1980년대 초중반에 조기대차되었다.
- 새한자동차 BF101: 초기형의 모습으로 1978년~1982년에 도입하였고, 1978년 후반 부산 그것도 전국에서 최초로 좌석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할 당시 도입한 차종이다. 당시 좌석버스는 시내직행버스로 칭하였고 1983년이 되어서야 좌석버스로 칭하였다. 대체로 1985년~1988년에 걸쳐서 리어엔진 신형버스로 대차하였다.
- 대우버스 BM090 로얄미디: 1997년부터 2004년 초까지 도입한 대우의 중형버스이다.
- 대우자동차 BF101: 1982년 말부터 도시형 및 좌석형으로 도입하였고, 1984년부터 중문이 슬라이딩 형식으로 도입하였다. 1986년 초까지 많이 도입하여 1990년대 초반까지 생존하였다.
- 대우자동차 BF105: 1990년대 일부 마을버스 업체에서 운행했다.[6]
- 대우자동차 BR101: 1983년~1984년에 도입하였고, 도입댓수는 그리 많지 않았다. 1990년대 초중반까지 생존하였다.
- 대우자동차 BV101: 1985년에 도입하였고, 도입댓수는 그리 많지 않았다. 1990년대 초중반까지 생존하였다.
- 대우자동차 BS105: 1986년부터 1993년까지 많이 도입하였다[7]. 단, 좌석버스는 그 수가 많지 않았다. 1993년부터 본격 대차가 이루어져서 1990년대 말까지 생존하였다.
- 대우자동차 BS106 하이파워: 1991년 출시부터 1998년 초까지 많이 도입한 버스차종이다. 1995년 초 무냉방 시절만 해도 철창틀로 도입하였다가 1995년 4월 냉방도시형부터 2/3개폐창 형식으로 도입하였다. 좌석형의 경우 1991년 출시 초기 당시에는 전문형으로 많이 도입하였다가 1992년도부터 전중문형으로 도입하였다.
- 대우버스 BS120CN: 2005년에 도입한 대우 저상버스이다.
- 대우버스 BS110CN: 2005년부터 2007년에 단기간이면서도 적지 않은 댓수를 도입한 버스이다.
- 대우버스 BC211M: 전국 최초 도입 지역으로 일부 업체들이 몇 대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H113: 1996년 부산 특급좌석 노선 개설하면서 도입하여 2003년 폐선 후 일부 차량이 일반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하고 몇년 더 운행했다.
- 대우자동차 BH115E: 부산 특급좌석 2003번 노선에서 운행하였다.
- 대우버스 BH116: 부산 특급좌석 2002번 노선에서 운행하였다. 이후 2002번이 폐선되면서 일반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하여 운행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AM808: 1970년대 마을버스로 도입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AM805/AM815/AM825 콤비: 1980년대~2000년대 초반에 마을버스로 도입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AM818 코스모스: 1990년대에 마을버스로 도입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AM828 뉴 코스모스: 2000년대 초반에 마을버스로 도입하였다.
- 아시아자동차 P9AMC: 1970년대 AB185 이전의 아시아 도시형 버스이다.
- 아시아자동차 AM927: 한창여객, 부일여객, 동원여객, 삼성여객 등에서 한 때 운행했었다.
- 아시아자동차 AM937E: 한창여객에서 한 때 운행했으나 브레이크 파열 사고로 전량 조기대차하였다. 이외에 삼신교통, 동원여객 등에서 무냉방 차량을 운행했으며 좌석버스는 한창여객, 부산여객, 삼신교통 등에서 운행했다.
- 아시아자동차 AM928: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공항좌석버스로 소수 운행했다.
- 하동환자동차 A60: 1960년대 하동환(현 쌍용의 전신) 도시형 버스이다.
- 하동환자동차 A66: 1960년대 하동환(현 쌍용의 전신) 도시형 버스이다.
- 동아자동차 HA20
- 동아자동차 HR252: 동아자동차 리어엔진형 시내버스라는데 부산광역시 일부 업체에서 운행했다고 한다.
2 관련 잡담
부산 시내버스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도시로 시내버스 도입시 옵션도 타 지역에 비해 고급인 형식으로 도입해 왔다. 1980년대부터 한단계 위의 차량을 운행하기도 했다. 특히 저출력형과 고출력형이 병행 생산되던 시절에는 타 지역에 비해(서울 포함) 고출력형 차량의 비중이 높았다.[8]다만 도로사정이 대도시 치곤 좋지 않아 타 지역에 비해 빨리 노후화 되는 경향이 있기도 하였다. 리어엔진 버스의 경우 1970년대 중반에 BU120을 이미 도입 운행하기도 했지만 도로사정이라든가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비교적 일찌기 대차되었고, 이 후 전장 10m급 리어엔진 시내버스가 본격 출시된 이후로도 1985년에서야 일부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1985년 당시만 해도 부산에 시내버스 신차는 대체로 현대 FB485 나 대우 BF101 의 프론트엔진버스로 이루어졌다.
1986년부터는 조례 개정으로 프론트엔진 시내버스를 더 이상 도입이 불가능하게 되었다.(마을버스는 예외였다.) 그래서 당시 부산시내버스 면허로 이 후 출시된 프론트엔진버스 대우 BF101Q/BF105 나 현대 FB500 은 단 1대도 없었고, 외곽지역에서 부산광역시로 진입하는 노선에서 존재하였다. 물론 그 차들은 부산시내버스가 아닌 인근의 김해군이나 양산군 농어촌버스였다. 1987년부터 좌석부문에 리어엔진형이자 냉방형을 적용한 차량이 많이 도입되었다.
1990년대 초반에 일부 도시형을 좌석으로 형간전환하면서 주요 도시형 노선과 같이 비슷한 격의 좌석노선도 존재하기도 했는데 일반/좌석 겸용 노선들이 많이 생겨났다. 당시에는 냉방기가 좌석버스에만 존재하여 여름철에 요금을 더 비싸게 내서라도 좌석버스를 타는 승객들도 많아 여름철에 좌석버스가 붐비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992년에 전중문형 좌석버스를 도입하고 이후 좌석버스도 전중문형으로만 운행한다. 부산은 전국에서 전중문형 좌석버스가 가장 빨리 정착한 지역이다.[9]
1990년대 중후반에 도시형에도 냉방형이 많이 도입되고 이 후 일반/좌석 겸용 노선은 수요가 줄어들어 도시형으로 전환되는 사례도 많았다. 1996년 부산에 특급좌석 노선을 신설해서 대우 BH113 을 투입해서 운행하였다가 2000년대 초중반에 폐선되었다. 2000년 부산 시내버스 신도색(흰색 바탕에 연보라 계통 도색)이 도입되었고, 좌석버스에도 신도색(흰색 바탕에 빨간색 계통 도색)이 도입되어 현재까지 이 도색으로 도입하고 있다[10].
2001년 부산에도 가스차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꾸준히 도입되다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디젤차량을 많이 도입하였다. 우연히도 당시 부산 시내버스 신차는 현대버스보다 대우버스 도입량이 많았다[11]. 그러다가 2009년에 부산 시내버스로 많이 있던 디젤차량들이 가스차로 많이 대차해갔는데 당시 도입한 신차 중에 현대버스가 많이 있었다. 뉴슈퍼에어로시티 F/L이 2009년부터 많이 도입되어서 현재 부산 시내버스로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2009년 부산에 급행버스 운행 목적으로 현대 유니버스 엘레강스와 대우 FX116을 도입하여 운행중에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들 중 대부분이 현대자동차 버스를 도입하는 업체들이며, 자일대우버스를 도입하는 업체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사실 알고보면 부산은 2000년대 초중반을 제외하면 전통적으로 현대자동차의 버스가 강세인 지역이었는데 프론트엔진버스 시절에도 BF101보다 HD170 - FB485가 많았으며 리어엔진버스의 시대가 오고서도 BS105보다 RB520이 많았다. 특히 좌석버스는 그 현상이 더욱 심해 BS105의 경우 일반버스로는 매우 많이 운행했으나 좌석버스로는 상당히 적었다.
여담으로 부산 시내버스 면허 체계에서 네 자리수가 같은 면허는 모두 대우버스 출신이다.[12]- ↑ HD170을 본격 도입하기 시작한 1979년 후반부터 1981년까지 기존의 중문형 버스에서 전중문형 버스로 대차하기 위한 신차도입이 많았던 데다가 현대버스 도입량이 더 많았기 때문에 한국의 도시들 중 이 차종을 가장 많이 운행한 지역이 되었던 것이다.
- ↑ 부산에서 에어로시티 520을 운행한 회사는 학성여객, 시민여객, 한진여객(현 성원여객), 구 대일여객 정도밖에 없으며 그나마도 소수 출고에 그치고 대부분 540을 운행했다.
- ↑ 차체 외관 모델명이 플라스틱이고, 각 데쉬보드를 적용한 버스
- ↑ 전중문형은 슈트락 냉방 형식이었고, 전문형은 완전 슈트락 형식도 아니고 완전 서브타입 형식도 아닌 반 슈트락(슈트락의 후부쪽만 위에 있고 냉방기 팬이 위치한 전두부 쪽은 없어서 냉방기 엔진이 차체 하부에 따로 있는 형식인데 1990년대 초반 기아 코스모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이었다.) 형식이었다.
- ↑ 차체 외관 모델명이 스티커 폰드형식(좌석형은 1997년부터 적용)이고, 유선형 데쉬보드를 적용한 버스
- ↑ 대표적으로 산성버스의 금정1번이나 대영버스의 부산대학교 순환버스가 있으며 이외에도 우성버스의 사하 1번, 동원교통의 사하 5번, 구덕버스의 서구 1번, 세성교통의 서구 3번, 삼진마을버스의 북구 3번에서 운행했다.
- ↑ 다만 1991년 BS106 출고 이후로는 도입량이 극히 적었다.
- ↑ 부산의 BS105나 에어로시티 520은 전부 21세기를 보지 못하고 대차되었다. 오히려 RB520이 저 두 모델보다 오래 남아있었다. 과거에도 HD160보다 HD170이 많았던 몇 안되는(대도시급에서는 유일한) 지역이기도 했다.
- ↑ 특히 가로배열형 에어로시티나 원형 창문의 전문 + 1자그릴의 BS106 전중비좌석을 운행했던 지역은 대다수가 부산 출신 중고차였던 것이 특징이다.
- ↑ 다만 가스차량은 그 신도색에 초록색 나무그림이 추가된 형식이다.
- ↑ 1970년대~1980년대 초중반 당시 부산은 대우버스 소재지임에도 불구하고 현대버스 도입량이 대우버스 도입량과 비슷하거나 더 많거나 하였다. 그나마 부산에 대우버스가 가장 많이 도입되었던 시기도 바로 2003년~2008년도뿐이였다.
- ↑ 동원여객의 2222, 시민여객의 3333은 BS106, 일광여객의 4444는 BS110CN. 구 금강여객의 1111번은 98년 금강여객이 폐업하면서 말소되었고(폐차 당시 차량은 BS105) 5555, 6666, 7777, 8888, 9999번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