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1 개요

"여러 사람이 제 뜻대로 하려 들면 일이 제대로 되기 어렵다"라는 것을 비유한 속담이다.

실제 배애서 각자 제 멋대로 노를 저어서는 배가 제자리에서 뱅글뱅글 맴돌기 마련이며, 심지어는 가지 말아야 할 암초 등을 향해 돌진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회의 장소에서 사람들이 의견 수렴 없이 자기 주장만 펼치다가는 진척이 되지 않아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다. 심지어는 적당히 중간쯤으로 타협을 보고나서 아무 의미도 없는 결과물을 내거나, 또는 논점에서 아주 벗어난 괴작을 도출해 내는 경우가 생긴다. 본 속담은 이를 지칭한다.

절대, "많은 사람이 힘을 합쳐 배를 산으로 끌고 간다"라는, 협동을 지칭하라고 만든 속담이 아니다.

영어권에서는 부먹 vs 찍먹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요리사가 너무 많으면 수프를 망친다)" 라고 한다.

경제학적으로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과도 일맥상통한다. 사공이나 요리사가 하나씩 늘어날수록 그 효용의 증가분이 점점 감소하기 때문이다.

심리학에서의 링겔만 효과와는 방향성이 다른데 결과가 개판이 되는 것은 같다.(...)

이말년은 이 속담을 응용해 공이 많으면 배가 폭풍으로 간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

2 사례

2.1 속담 적용 사례

가장 흔한 사례는 "동네 축구"에서 볼 수 있다. # 미드필더, 포워드 그런거 없이 모두 다 스트라이커(...)

나무위키에서는 객관적 사실을 기술하는데에는 큰 이견이 없지만, 그로인한 영향이나 의의를 기술하는데에는 많은 이견이 오간다. 의견을 수렴하라고 토론 기능을 제공했지만, 사실 그것을 무시하고 자기 입맛대로 서술하는 경우도 없지 않는 편이다. 위키페어리가 정리해주는 일이 없다면 서론과 결론이 따로 노는 경우가 발생하고, 심지어는 한 문단안에서 문장에 따라 새로운 논지가 덕지덕지 달라붙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 경우가 "배가 산으로 갔다"라고 할 수 있는 경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여러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는 의견도 있다. 그럼에도 가독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러한 서술은 지양해야 한다 그러니까, 이런게 배가 산으로 가는거다(...)

핌피현상이 극심한 경우 발생하기도 한다. 사회간접자본 건설시, 제발 자기 앞마당(Pleas, in my front yard)에 지어달라고 각 지역에서 요구하다보면 적당히 중간에 대충 꽂아주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아무도 만족하지 못하고 아무도 이용하지 않는 돈먹는 하마를 낳기도 한다. 공주역이 대표적인 사례.

탕수육의 부먹 vs 찍먹 예송논쟁 붕당의 이해에서는 각자의 취향과 이권을 쥐고 문제의 본질을 넘어 소모적인 정쟁으로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이를 중재하랴 다양한 대안들이 나오는데, 논점의 본질은 잊게 마련이다.

산으로 가는 프로젝트는 사실 직장인들의 일상이라 한다. 위쪽으로 컨펌-컨펌-컨펌-컨펌을 받다보면 이것 저것 뒤섞이기 때문. 뒤집히지만 않고 언덕만 넘으면 된다며 오늘도 그렇게 위안을 한다.

이를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브레인스토밍이다. 많은 사람을 모아 비판없이 제한없이 아이디어를 쏟아내어 고정관념을 깬 기발한 아이디어를 구하는 데 쓴다. 산으로 가다보면 전망 좋은 곳이 나올지 누가 아랴. 배를 만들기 전에 한정. 거의 다 만들고 산에 오르면 안된다.

나라를 지키라고 운용하는 군대에서 무기를 개발할 때도 이런 경우가 있다. 통합군용 무기를 개발하는데, 각 군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너무 많은데다가 극과 극이라고 해야 할 정도로 달라서 생기는 경우. 이런 경우의 예로 미군의 JSF F-35가 있다. 이 문서를 참고하자.

역사에서도 이런 사례를 볼수 있는데, 이런 경우의 사례가 너무 많아서 직접 연관되는 사례라도 다 적으면 여백이 부족하다.

2.2 실제 배가 산으로 간 사례

2012112302286_1.jpg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메흐메트 2세가 이끄는 오스만투르크군이 쇠사슬로 차단된 강[1]위로 들어오는 동로마제국의 지원군과 보급로를 차단하고자 배를 끌고 언덕을 넘어버렸다(...) 병신 같지만 장관인 언덕을 넘는 군함을 보자 콘스탄티노플 수비대의 사기는 꺾이고 말았다고(...)

절대 군주가 없는 현대에는 위와 같이 갤리온으로 언덕을 넘어버리는 미친 짓을 할 수도 없을 뿐더러, 국민의 지적 수준이 높아져 비판과 반론이 가능하므로 한반도 대운하와 같은 배가 언덕과 계곡을 넘어가는 일은 저지되기 마련이다. 그저 개인 차원의 사업가가 선박 레스토랑을 개업하면서 건물 대신 배를 육상에 올리는 정도만 일어날 뿐이다.

파일:/mypi/gup/202/1799 1.jpg
하지만 군대는 다르다. 까라면 까 전술적으로 유리한 위치로 기동하고 선점하는 것은 전쟁의 기초중 기초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 할 수 있는 한 상상 이상의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1367884896_53_beginner_yzzz1042.jpg
호버크래프트는 해상과 육상을 넘나들을 수 있도록 공기로 띄워 이동하는 배다. 군인의 허리를 생명을 보호하며, 많은 병력을 한꺼번에 상륙시키기 위해 산까지는 아니더라도 해안 깊숙히 침투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몰래 들어가기에는 좀 꽤 시끄럽다고 한다.

반대로 버스가 운하로 가는 경우도 있다. 사공이 둘이다. 이 경우 사업은 산으로 갔다고 한다.

사실, 지금도 많은 배들이 釜山에 간다. 사공이 많은건 아닌데 물동량이 많아서 배들이 이곳을 허브로 삼아 많은 물건을 싣고 내린다. 그 규모는 크고 아름다운 세계구급이다.

2.3 미디어에서 배가 산으로 간 사례

  1. 바다와 가까워서 금각만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