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쾡이에서 넘어옴)
한글유니코드C0B5완성형 수록 여부O
구성ㅅ+ㅏ+ㄺ두벌식QWERTYtkfr세벌식 최종–QWERTYnf@
Leopard cat이명 : 살쾡이
Prionailurus bengalensis Kerr, 1792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고양이과(Felidae)
살쾡이속(Prionailurus)
삵(P. bengalensis)

파일:Attachment/DSC07546.jpg

출처

파일:Attachment/re-03.jpg
출처


파일:Attachment/32488 580 360.jpg
출처 : Encyclopedia of Life[1]

1 개요

영어로는 Leopard Cat이고, 학명은 Prionailurus bengalensis (Kerr, 1792)이다. 국내에 서식하는 아종은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혹은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이다. 유럽삵(Wildcat)의 학명은 Felis silvestris이다.

다른 말로 살쾡이라고도 한다. 살쾡이로 검색해도 여기로 들어올 수 있다.

일단 살쾡이란 말 자체가 산고양이란 말이다.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등에서는 고양이사투리로 '괭이'라고 하는데, 이게 산괭이 - 살쾡이 - 삵으로 변화를 거친 것. 일본어에서 삵을 뜻하는 단어 야마네코 역시 산(야마)고양이(네코)이다. 예로 이리오모테삵의 경우 '이리오모테야마네코'라고 부른다.

고양잇과에 속하는 맹수로 실제로도 고양이와 닮았다. 하지만 몸길이 55∼90cm, 꼬리길이 25∼32.5cm, 뒷다리 12.2cm 정도 되는 덩치로 고양이보다 눈에 띄게 큰 편이며, 머리의 일자 줄무늬가 특징적이다. 그리고 귀가 일반적인 고양이보다 작다. 주로 러시아 서남부, 중국 동북부, 타이완, 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 말레이 반도, 인도차이나 반도, 인도 아대륙, 대한민국, 일본 쓰시마섬 등지에 분포한다.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삵은 고양이와 형태가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분류학적으로는 서로 속(살쾡이 Prionailurus로 살쾡이속, 고양이는 Felis로 고양이속)이 다를 뿐만 아니라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완전히 독립된 진화 과정을 거쳐왔다. 우리나라에서는 고양이와 삵이 한 지역에서 섞여 서식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여 경쟁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이들 간에 교잡종이 발생되고 이러한 혼형 개체군이 형성되고 있다는 보고는 아직 없다고 한다. (출처)

위에 언급한 유럽삵과 우리나라 삵은 분류학적으로 다른 속임에도 불구하고 유전적 근연 관계는 몹시 가깝다. 삵과 P. bangalensis euptilura의 nucleotide Tamura-Nei distance는 0.00로 나타났고, (국내 삵과 동북아 아종은 같다고 이해하면 된다.) 고양이와 삵간에는 0.12였으며, 유럽삵(wildcat)과 삵 간에는 0.01로 나타났다. 즉 학명으로 보면 유럽삵과 고양이가 근연종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유럽삵과 고양이는 거의 별개이고, 오히려 유럽삵과 삵이 가깝다는 것. 하지만 출처가 된 논문 후반부 인용[2]을 보면 최소한 인공적으로 집고양이와 삵을 교배할 경우 성공할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 (출처)

주로 밤에 활동하며 직접 먹이를 잡아 먹는다. 작은 동물이나 , 물고기 같은 걸 잡아 먹는다. 그러나 매우 드물게 사슴이나 고라니, 심지어 멧돼지 새끼를 잡기도 한다. 두루미도 잡는다. 새끼는 한 번에 4~5마리씩 낳으며, 수명은 10~15년 정도이다. 고양잇과에 속하는 동물답게 아주 몸놀림이 빠르며 나무도 잘 탄다.

2 애완용

어쩐지 외국에서는 삵을 길들여서 반려동물로 키우는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명색이 맹수인데, 일단 고양잇과여서인지 길들인 삵은 사람 한정으로 온순하다는 모양이다. 고양이와 달리 개처럼 사람과 얼굴을 부비적거리며 논다. 물론, 사람 한정이다. 다른 동물을 보면 맹수로 돌아온다고.(...)

TV 동물농장에서도 다 죽어가다 사람이 구해줘서 같이 사는 삵이 나왔는데, 사람한테 길들여지니 거의 고양이라고 할 수준. 당시 출연한 야생동물 전문가도 "이렇게 사람과 친하게 지내는 삵은 처음본다."며 엄청난 관심을 보였다.(링크)

단, 벵갈고양이를 진짜 삵으로 오인하는 때도 있으니 조심. 실제 벵갈고양이가축 고양이와 삵의 교배종이어서 육안으로는 실제 삵과 매우 비슷하다.

3 한국에서의 모습

과거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에서 무척 흔하게 볼 수 있는 맹수였는데, 1970년대 이후 쥐와 벌레 잡기 열풍이 불면서 엄청난 숫자의 삵이 쥐약과 살충제에 의해 희생되었다.[3] 이후 지속적으로 산간이나 오지가 개발되고 삵들의 터전이 줄어들면서, 숫자는 점점 줄어들었다. 거기에 최근에는 로드킬, 즉 야간에 산악도로 등지에서 차에 치여 죽은 삵도 증가했다. 현재는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포유류 2급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4] 주요 서식지로는 강원도 산간 지방이나 비무장지대, 우포늪 그리고 시화호 등지이며 그 외에 경상남도 진주시의 진양호 공원에 10여마리가 생존해 있다고 한다 [5] 요즘에는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로드킬이 개체수 조절을 한다는 결과도 나왔지만 이는 좀 더 확인이 필요할 듯 싶다.

또 삵은 위의 글과 상반되어 보이지만 서식환경이 다른 대형맹수들과 비교했을 때 그리 까다롭지 않으며 적응력이 강한 동물에 속한다. 이는 수달도 마찬가지. 실제로 자연환경이 그럭저럭 갖춰져 있는 왠만한 시골지역에 터를 잡고 사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아주 흔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살아 온 맹수이고, 조선 시대의 민화나 그림에도 곧잘 출연했던 동물이기도 하다.

2012년 7월 23일, 부산 시내에서 어린 삵이 잡혔다.(관련기사)

중국, 일본, 대한민국 등의 동북아시아권에서는 요괴로도 등장. 여우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인간으로 둔갑한 뒤 학식 높은 사람에게 가 지식으로 발라버리다가 비가 올 것을 예견했다가 정체를 들켜[6] 본모습으로 돌아간 뒤 도망쳤다거나 한 남자의 아내로 둔갑하였으나 진짜 아내와 같이 잡혀있다가 날이 새자 도망친 일화 정도.

4 고양이?

고양이와 하도 비슷하다 보니 이런 에피소드가 있다. 어느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고양이 한 마리를 구조했는데, 그 녀석이 너무 사나워서 결국 안락사를 시켰다. 근데 그 동물병원의 높으신 분이 와서 보더니 "야, 이거 고양이가 아니라 살쾡이야!"해서 충공깽. 2011년에는 새끼 고양이를 발견해 키우다가 알고 보니 삵이었던 도 있었다. 이후 종복원 센터로 옮겨져 자연방사 되었다. 하지만 그 전에 종복원 센터와 환경청은 이 삵들을 자연방사할 때 연락을 주겠다고 약속을 했으나 전혀 지키지 않고 전화도 받지 않아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샀다. 위에 링크된 글이 두 개로 나뉘어 있는데, 두번째 글에 관련 얘기가 나온다.

근데 실제로 5천여 년 전 신석기 시대 중국에서는 삵을 고양이 대용으로 길들여 가축화했다고 한다. 그러나 중동을 통해 고양이가 도입되면서 더 이상 가축화되지 않았다고.

애완 고양이가 엄청나게 거대할 경우 농담으로 살쾡이 아니냐고 하기도 한다.(예시)

네이버에 삵을 치면 '고양이인줄 알고 키웠더니', '개인줄 알고 키웠더니'가 자동검색어로 뜬다.(...)

푸른거탑에서 마성의 짬타이거로 등장해서 처음 발견한 김호창 상병이 마성에 걸려 몰래 키우려 했다. 그러나 김재우 병장이 이를 발견하고 행보관에게 알리려고 했으나, 김 병장마저 결국 그 마성에 걸려 행보관에게 알리지 않고 놔주었으나, 이를 은혜를 갚으려는 줄로 알고 김 병장을 따르게 되고 할 수 없이 김 병장이 '짬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몰래 키우게 됐다. 하지만 성장하면서 귀여운 면은 사라지고 사납게 돌변해서 구해준 김 병장까지 막 공격하는데, 나중에는 소대원들의 생활관까지 무단으로 점거해서 소대원들이 겁에 질려 생활관에 들어가지 못할 지경이었다. 그리고 행보관이 데려온 다른 중대의 행보관에 의해 고양이가 아니라 살쾡이라는 게 드러났다. 당연히 그 자리에 있던 전원이 기겁. 그 후, 없애버리라는 행보관의 말에 자기가 책임지겠다며 그 날 밤에 김 병장에 의해 부대 야산에 방생되어 김 병장 곁을 떠나는 듯 했지만, 매일 밤마다 찾아와서 생닭, 쥐 등등의 동물을 김 병장 앞에 놓아서 은혜갚기를 시전한다. 그때마다 김 병장은 짬이가 가져온 동물들을 생으로 먹는 연기를 해야 했다.

2016년 6월 21일 잠실야구장에서 벌어진 두산 베어스KT 위즈의 경기 도중 4회말에 새끼 삵이 더그아웃에 난입하여 구단 직원들이 잡으러 다니는 작은 소동이 있었다. 몇몇 기자가 포착하여 고양이 난입이라는 기사를 썼지만 눈썰미 있는 사람들에 의해 삵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직접보자

5 그 외

김동인의 소설 〈붉은 산〉의 등장인물 정익호의 별명이기도 하다.

야구선수 김진우의 별명. 이유는 싸이월드 일기에 삶을 삵이라고 쓰는 바람에...

쉘터(게임) 2편의 플레이어블 동물로 등장한다.

아르피엘카일은 삵을 소재로 한 캐릭터이다.

보노보노에서 높은 지식수준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야옹이형으로 등장한다.
  1. 위 사진은 Prionailurus bengalensis borneoensis Brongersma, 1936 (보르네오 계통으로 국내 서식 삵과는 외양상 차이가 있다)
  2. 삵은 집고양이와 교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으며(McOrist 등, 1991) 집고양이와 삵 사이에 실험적인 교잡보고(Menotti-Raymond 등, 1999) 및 유럽 야생고양이와 집고양이 사이에 교잡에 관한 보고 등이 있다(Randi 등, 2001). 유럽에서는 집고양이와 야생고양이의 교잡으로 야생고양이 집단의 유전적 보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Pierpaoli 등, 2003)
  3. 이때 대한민국 늑대는 쥐약을 먹고 개체가 엄청나게 줄어드는 바람에 멸종되었다고 전해짐.
  4. 천연기념물로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
  5. EBS 다큐멘터리로 방영된 적도 있다. 삵 외에 천연기념물인 수달도 있는 곳.
  6. 정확히는 진짜 정체를 들킨 게 아니라 그 학식 높은 남자가 농담 삼아 말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