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추

320px-Iceberg_lettuce_in_SB.jpg
사진은 양상추

lettuce
계 : 식물계(Plantae)
문 : 속씨식물문(Magnoliophyta)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국화목(Asterales)
과 : 국화과(Asteraceae)
속 : 왕고들빼기속(Lactuca)

1 개요

유럽/서아시아 원산의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2 한국의 상추쌈

배추와 많이 닮아서 배추와 가까운 종류인걸로 알지만 사실 국화과의 식물. 굳이 말하자면 민들레와 가깝다.[1] 종류가 수십가지나 된다. 그래도 크게 3가지로 나뉘어보면 결구하지 않는 상추, 반결구상추, 결구상추가 있고 결구상추는 우리가 아는 양상추이다. 또 Cos lettuce라고 하는 상추는 배추와 거의 흡사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국명도 배추상추다.

1988년까지는 '상치'가 표준어인 데다가 우리말바로쓰기 캠페인에서 항상 "상추(X)·상치(O)"강조되던 단어 중 하나여서 아직도 '상치'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현재는 '상추'만 표준어다.

중국을 거쳐서 전래되었지만 일찍부터 전래되어 한국의 특산처럼 되었다. 상추쌈은 다른 나라에서 거의 찾아보기 힘든 생채소를 싸서 먹는 방식인데,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의 특산품이기도 했고, 최전방 병사들의 군량으로도 지급된 점으로 보아 상당히 오래 전부터 우리 민족이 대중적으로 먹어온 채소이기도 하다.[2] 당시 수나라 사람들은 생채소로 쌈을 싸먹는 방식을 신기하게 여겨 매우 비싼 값을 주고 종자를 수입하기도 했는데, 이때 나온 이름이 바로 천금채다[3].

또한 고려시절 원나라로 끌려간 공녀들이 고국을 그리워하면서 재배해 쌈으로 먹었던 채소도 바로 상추다. 중국에서는 잘 먹지 않았던 채소쌈 방식과 상추가 바로 이런 과정을 통해 원나라 시절 소위 고려양이라는 이름으로 유행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상추쌈을 먹으면 입을 크게 벌리게 되기 때문에 예의에 어긋난다 해서 상추쌈 먹는 예법을 보면 젓가락만으로 먹는 것이라 지금의 시점에선 갑갑해 보인다.

유명한 <학도병의 편지>에도 상추쌈을 먹고 싶다는 구절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잎상추를 먹는데 대표적인 품종에는 치마상추·뚝섬녹축면상추·적축면상추가 있다. 결구종은 주로 수입종으로 그레이트레이크·팬레이크가 있다. 재배형태로는 봄재배·가을재배·겨울재배·고랭지재배가 있다. 고랭지에서는 주로 결구상추가 재배되며 평지의 봄·가을 재배에서는 잎상추가 재배된다.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면이 위로 가게 싸먹지만, 매끈한 면이 겉으로 나오게 즉, 뒤집어서 싸 먹는 쪽이 더 낫다는 사람들도 있다. 옛날에는 그렇게 먹으면 체하지 않는다 여겼다고 하는데, 가운데 심 때문에 거꾸로 싸먹기 어렵다 싶으면 그 부분을 지긋이 눌러주면 싸기가 편하다.

삼겹살의 파트너로 제격이지만, 사실 삼겹살의 최고의 파트너는 깻잎이라고도 한다. 한의학적으로는 삼겹살, 즉 돼지고기는 찬 기운이 많은 음식인데, 상추도 이에 못지않게 찬 기운이 많아서 이 둘을 같이 먹으면 몸에 찬 기운이 배로 더해져서 안 좋을 수 있다고. 반면에 깻잎은 찬 기운이 덜하므로 돼지고기와 궁합이 잘 맞는다.[4]

가끔 기상이변(ex.폭우)에 따른 수요 공급 불균형이 발생하면 상추가 삼겹살보다 더 비싸지는 뭥미스러운 상황이 발생한다. 이럴 때 상추는 금(金)추라 불리며 평소 잘 가던 삼겹살 집에 상추 대신 이상한 채소가 나오는 진풍경도 연출된다.(...) 케일이라든가, 파슬리라던지 로메인, 청경채, 아니면 쌈배추, 양배추, 등등...의외로 비싼 놈. 2010년에는 연초의 냉해, 여름의 폭우크리가 겹쳐서 가격이 그야말로 폭등했고 삼겹살의 두세배에 달하는 가격을 기록하면서 '삼겹살에 상추를 싸먹는' 게 더 저렴한 지경에 이르렀다(...). 정 없으면 대용품으로 빈터의 왕고들빼기를 써도 된다. 다른 나물들은 여름이 지나면 모두 질겨지는데 반해 왕고들빼기는 여름이 지나도록 부드러운 잎을 보여주기 때문. 다만 잎 뒤의 가시는 조심.

광주광역시에는 튀김을 상추에 싸 먹는 상추튀김을 판다. 절대로 상추를 튀겨 먹는 게 아니다.[5]

3 하얀 즙

잘린 단면에 하얀 즙이 나오는 것이 상급이며 그 즙에 수면 성분이 들어 있어 상추쌈을 많이 먹으면 노곤해진다[6][7]. 그렇다고 상추를 몇장 먹자 말자 아 졸려 하고 잠들 정도는 아니고 거의 못 느낄 수도 있다. 상추로 수면 효과를 보려면 몇 kg씩 상당량을 먹어야 한다. 반면에 상추쌈은 좋아하는데 잠오는게 다소 걸린다면 줄기 및 줄기와 바로 닿아있는 굵은 옆맥을 제외하고 넓은 잎만 먹으면된다.

하얀 즙이 우유(젖의 'lac'에서 유래해서 'lettuse'라고도 한다.)나 남자의 무엇인가(...)를 연상시켜, 조선시대 여인들은 몰래 먹어야 했고 고대 이집트에서는 정력제로 여겨지기도 했다고. 이집트 다산의 신 '민'(남신이다)의 상징이기도 하다.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상추를 '은근초'라고 불렀는데, 상추가 정력을 북돋워 준다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엔 여성이 성에 대해 무엇이든 간에 드러내는 것이 금기시되었기 때문에 여성들은 서방에게 대접할 상추를 남들이 모르게 키워야 했고, 이래서 '은근히 키운다'라고 하여 은근초라고 불리게 됐다.

4 일본의 상추

일본 역시 한국에서 전파된 상추에 고기를 싸먹는 방식이 대유행하면서 치마상추(チマサンチュ), 한국 레터스, 야키니쿠 레터스등의 이름으로 널리 퍼져있다. 한국식 야키니쿠점만이 아니라 보통 일본 야키니쿠점에서도 상추를 주문하면 내주는 곳이 많을 정도로 메이저화 된 채소. 물론 따로 추가비용을 내야한다.

사실 일본에서도 자생하던 채소이고 치샤(チシャ)라는 본명칭이 있지만, 원래 워낙 안 쓰이던 채소이고 이후 식탁이 서구화되면서 샐러드에 적합한 양상추, 양배추등에 자리를 내주고 거의 반세기 이상 명맥이 끊겨있었던 것이 한국식 상추쌈과 함께 부활한 거라 치마상추라는 명칭이 훨씬 유명하다. 병충해에 강하고 토양이나 기후를 크게 가리지 않으며 잎만 뜯으면 계속 수확할 수 있다는 특성상 가정재배용 채소로도 매우 인기 있다. 아무래도 밖에서 사먹으면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편이라 직접 수확해서 고기 구워먹는 사람들도 많은 편.

5 재배

5∼6주간 묘상에서 육묘하여 이식하는데, 파종은 6cm 간격으로 줄뿌림하며 본잎이 2∼4장 전개되면 한 번 옮겨심었다가 본잎이 5∼7장이 되었을 때 포장이나 온실 내에 정식한다. 가정이나 아파트에서도 비교적 재배가 수월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가정의 텃밭이나 베란다에서 상추를 기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몇 뿌리만 길러도 양이 꽤 많이 나오기 때문에 가정에서 삼겹살과 함께 먹을 양 정도는 충분히 조달할 수 있다. 또한 솎아내기를 한 여린 상추 싹은 비빔밥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배추나 고추나 깻잎 등 다른 채소들은 쉽게 벌레가 먹어서 본격적으로 키우려면 어느정도 살충제를 써야하지만 상추는 자체적으로 벌레에 대항하는 성분이 있어서 진딧물등 벌레가 끼지않아서 살충제를 쓰지않고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농약 걱정없이 쌈을 싸먹을 수 있다.

잎으로 쌈을 싸 먹으며 뜯어도 계속 나오는 것이 특징. 그걸 몰라서 뿌리채 뽑아버리는 도시 촌놈도 있다.[8] 아랫쪽 잎부터 뜯어 먹으면 된다.

비료가 너무 과하거나 자주 안 뜯어주거나 꽃대가 나버리면 너무 길고 질겨져서 못 먹게 된다. 게다가 물을 많이 안 주면 맛이 쓰게 된다. 그렇다고 비를 너무 많이 맞거나 너무 더우면 잎이 녹아버리는 꽤 까다로운 채소. 대신 추위에는 강해서 남부지방에서는 품종에 따라서 겨울을 나고 봄에 쑥쑥 크기도 한다. 쭉쭉 길어지게 내버려 두면 꽃대가 나와 꽃이 핀다. 씨앗은 민들레처럼 솜털이 붙어 바람 타고 날아가는 타입. 대신 꽃이 피게 내버려둔 상추는 매우 질기고 대단히 쓰다. 때문에 다음에 심을 씨를 얻기위해 몇 포기 놔두는 경우를 제외하면 꽃대가 나면 꺾어주거나 수확이 끝난 것이다.

또한 크기 역시 중요하다. 작은 상추는 싸먹기 힘들어 몇겹으로 겹쳐야 하고, 너무 큰 상추는 반으로 접어야 하기 때문이다. 손바닥보다 약간 큰 사이즈가 적절한데 워낙 한번에 많이 팔기 때문에 크기가 부적절한 놈들이 많이 나온다.
  1. 요즘은 민들레도 쌈채소에 들어가긴 한다. 단 잎이 큰 외래종.
  2.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2311989
  3. 천금을 주고 사야 하는 귀한 채소라는 뜻
  4. 깻잎의 까칠까칠한 느낌이 싫어서 상추를 먹겠다면 마늘을 같이 싸 먹는 것을 권한다. 마늘 냄새에 거부감이 있다면 고기를 구울 때 같이 구워서 먹는 것도 좋다. 상추 항목에서 깻잎 영업이라니
  5. 실제 상추를 튀기는 요리가 있긴 하다. 상추튀김 항목 참조.
  6. 이것이 이른바 상추 아편이라고 부르는 락투카리움으로, 알칼로이드계이다. 이 락투카리움에는 락투세린, 락투신, 락투신산 등이 있는데 이것이 최면, 진정, 수면 유도 효과를 발휘한다.
  7. 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식당에서 나오는 상추들은 개량된 종자를 재배한 것이기 때문에 상추를 잘라도 하얀즙은 잘 안나온다. 물만 나올뿐.
  8. 특히 아파트에서 주민들을 위해 키우는 상추에 이런 경우가 많다. 다만 품종에 따라 뿌리채 뽑는 종류가 있으며 솎아내기를 위해 뽑아먹을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