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비수

언어별 명칭
문화어방어수
영어Defender
일본어ディフェンダー
중국어後卫
독일어Abwehrspieler
프랑스어Défenseur
이탈리아어Difensore
스페인어Defensa
포르투갈어Zagueiro
러시아어Защитник

1 일반적 의미

여러 구기종목 중 수비를 주된 임무로 하는 포지션을 의미한다. 종목별로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공격을 하는 상대팀을 방해하여 상대가 득점을 못하게 만드는 것이 수비수의 역할이다.

2 축구

축구 포지션
공격수측면 공격수(WF)타겟맨(ST)세컨드 스트라이커(SS)측면 공격수(WF)
미드필더측면 미드필더(WM)
윙백(WB)
공격형 미드필더(AM)측면 미드필더(WM)
윙백(WB)
중앙 미드필더(CM)수비형 미드필더(DM)
수비수풀백(FB)센터백(CB)스위퍼(SW)풀백(FB)
골키퍼골키퍼(GK)

2.1 개요

골키퍼(GK)와 미드필더(MF) 사이에 위치하며 플레이하는 선수를 뜻한다. 상대팀이 공격을 못하게 막아 실점하지 않는 것이 주임무이다.

2.2 상세

팀의 뼈대 그 자체. 공격은 팬을 부르지만 수비는 우승 트로피를 가져온다고 하듯, 한 팀이 참가한 대회의 기간 전체를 봤을 때 가장 중요한 포지션이다. 팀의 필드 플레이어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며 찬사보다는 비난을 받기 쉬운 위치.

수비수의 전통적 임무는 상대방의 공격을 방해하고 공을 최대한 위험지역에서 걷어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대의 수비수는 거기에 덧붙여 공격, 패스의 최초 연계점의 역할도 동시에 요구되면서 수비적 능력 이외에 많은 것을 요구받게 되었다. 현대에는 과거의 수비형 미드필더가 하는 일이 수비수로 옮겨진 것이다.

또한 공격이 전개될 경우 공격수가 상대방의 수비수에 차단당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이런 임무에 특화된 선수가 세르히오 바티스타 전 아르헨티나 축구대표팀 감독, 비셴테 리사라수, 하비에르 사네티, 마르코 마테라치, 헤라르드 피케 등이 있다.

레프 야신 단 한명만 존재하는 골키퍼 만큼은 아니지만 발롱드르 수상자가 나오기 무척 힘든 포지션이다. 2006년 파비오 칸나바로가 수상한 것이 마지막으로 역대로 따져도 프란츠 베켄바워(2회), 마티아스 잠머, 그리고 파비오 칸나바로까지 단 3명 뿐이다. 바비 무어, 뤼트 크롤, 프랑코 바레시, 파올로 말디니, 알레산드로 네스타같은 축구역사에 길이 남을 수비수들도 받지 못했다. 수상자 3명 중 칸나바로를 제외한 2명은 리베로다. 공격수, 미드필더들과 달리 공격포인트를 많이 쌓기 힘든 수비수들의 능력이나 공헌도를 가늠하는 정확한 척도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부 축알못들 같은 경우에는 수비는 축구 못하는 사람이 한다라는 인식이 있다. 이는 축구 후진국이나 리그 수준이 낮을 수록 심한데 당장 동네축구나 군대스리가만 가도 축구 잘하는 순서 또는 나이 많고 힘쎈 순서로 공격수→미드필더→수비수→골키퍼 순으로 포지션이 가려진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축구 전체에도 영향을 미쳐서 유스에서 저런 식으로 공격수만 넘치고 수비수가 부족하며, 성인 국대에서도 고질적 수비 불안 및 골리 불안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을 정도. 축구소재 서브컬처물이나 비디오게임에서도 대체로 수비수는 구리거나 병풍, 주인공에게 매번 털리는 호구 신세를 벗지 못한다.

2.3 포지션

센터백, 스위퍼, 풀백, 윙백 등으로 나뉜다. 참고로 윙백은 엄밀히 말하면 미드필더에 가까운, 수비수와 미드필더 사이 어중간한 위치에 있는 포지션이라고 보는게 맞다.

2.3.1 센터백

말 그대로 중앙 수비수. 3백이건 4백이건 중앙에 배치되어 팀의 최후방 수비를 담당한다. 크게 커맨더형과 파이터형으로 구분된다.

커맨더형 센터백은 본인이 직접 수비가담을 하는것 외에도 볼 배급, 라인 컨트롤, 위치선정 지시 등 수비진의 리더 역할을 한다. 그러다보니 대개 짬밥 먹은 베테랑 수비수들이나 청소년대표팀 주장 정도를 맡아본 선수들이 커맨더를 주로 맡는다. 대표적인 선수는 치아구 시우바, 마츠 후멜스, 뱅상 콩파니 등. 한국은 아직까지 제대로 가져본 적 없는 유형이다. 흔히 홍정호, 김영권 등이 거론되나 이들은 순발력이나 경합능력 떨어지는데 킥이 괜찮아서 편의상 커맨더로 분류되는거지 시야나 패스선택이 처참한 수준이라 홍명보같은 빌드업을 못한다.

파이터형 센터백은 본인이 수비 리딩을 하는 대신, 수비진에서 활발하게 뛰어다니며 적극적으로 태클이나 클리어링을 시도한다. 니콜라스 오타멘디가 가장 전형적인 파이터. 국내 선수로는 곽태휘가 파이터형 센터백에 속한다.

중앙수비의 경우, 특히 4백의 경우 중앙수비진의 호흡이 굉장히 중요하다. 일단 기본적인 라인 컨트롤부터 시작해서, 파트너 커버와 제공권 다툼 상황에서의 역할배분 등을 잘 맞춰놓아야 하기 때문. 그러다 보니 보통적으로 사용되는 중앙수비 조합이 깨질 경우 팀 수비 전체가 흔들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브라질이 센터백 치아구 시우바가 8강에서 경고누적으로 빠지게 되자 뒤이은 4강에서 수비진이 탈탈 털리며 미네이랑의 비극을 맞이하게 된 사례가 있다.[1]

또한 짬밥을 먹어감에 따라 파이터형 수비수가 커맨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어느정도 가능해지기도 한다. 2015 AFC 아시안컵에서 곽태휘가 커맨더 역할을 맡아 준우승에 크게 일조한 점, 그리고 다비드 루이즈의 수비 리딩이 일취월장해 14-15시즌 치아구 시우바가 부상당했을 때 본인이 커맨더로 나서서 마르퀴뇨스를 잘 이끈 것이 대표적인 사례.

또한 대체적으로 제공권이 좋고 피지컬이 단단해 세트피스 공격 상황에서는 강력한 무기가 되기도 한다. 코너킥 상황에서 헤더골이 나오면 과반이 넘는 사례가 중앙수비수의 공격가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특히 이정수같이 공격수 출신 수비수라면 세트피스 상황에서의 위협성은 배가 된다. 물론 파비오 칸나바로같은 예외도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전방이나 바깥으로 공을 길게 차내야 하는 점 때문인지 롱 패스나 중거리 슛에 상당히 능한 선수들이 꽤 있다. 특히 몇몇은 프리킥 상황에서 강력한 무회전 슛을 이용해 직접 골문을 공략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선수가 다비드 루이즈, 나우두, 다니엘 반 부이텐.

2.3.2 스위퍼

2.3.3 풀백

좌우 측면수비수. 4백에서만 존재한다. 공격적인 오버래핑과 함께 수비를 많이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활동량과 뛰어난 기동성이 요구되는 포지션. 현대 축구에서 3백보다 4백이 주로 쓰임에 따라 3백의 윙백과 같은 공격적 성향의 선수들도 보통 4백에 맞춰 플레이를 한다. 그러다 보니 풀백이 지나치게 공격적이면 수비진에 부담이 가중되어 수비를 흔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윙포워드나 측면 미드필더가 측면수비수로 전업하는 모습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이 케이스로 가장 성공한 사례가 조르디 알바후안프란. 엑토르 베예린도 본래 윙포워드였으며 맨유는 퍼거슨 시기(11-12시즌) 안토니오 발렌시아, 반활 시기(14-15시즌) 애슐리 영을 풀백으로 전업시켜 재미를 봤다.
  1. 다만 이 경우는 다소 극단적인 사례라고 보는게 맞다. 일단 장시간 호흡을 맞추기 힘든 국가대표이기 때문에 더 심하게 불안해진것도 있고, 시우바와 파트너를 이루었던 다비드 루이즈가 워낙 공격적인 성향을 띄다보니 시우바가 빠지자 정신과 몸이 동시에 가출해버린 점도 있다. 다소 소프트한 사례는 콤파니가 부상으로 빠지자 수비진이 흔들리며 우승경쟁에 큰 애를 먹은 15-16시즌 맨시티의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