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 몰트 위스키


Single Malt Whiskey

1 개요

Single malt whisky.

싹을 틔운 곡물, 그 중에서도 보통은 맥아(보리)를 원료로 하여 한 곳의 증류소에서 만든 몰트 위스키를 말한다.

스코틀랜드 지역에서 만들어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단일 증류소에서 맥아만 사용하여 만들게 되면 싱글 몰트라고 칭하기도 하나,[1] 통상적으로는 130여개의 증류소가 있는 스코틀랜드가 기준이 된다. 당연하지만.

그 자체로서도 개성적인 훌륭한 맛을 내는 것은 물론이며, 블렌디드 위스키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원료다. 이 때 사용되는 몰트 위스키들을 키 몰트(Key Malt) 라고 하며 이들은 위스키가 만들어지는 지역 단위의 독특한 맛과 향, 개성을 가지고 있다. 뒤집어 말하면 마시는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카치 위스키 협회(Scotch Whisky Association)가 규정을 만들어 관리 하고 있고, 사실상 싱글몰트에 대한 규정이 스카치 위스키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2009년 11월 23일 발효된 규정 역시 대부분 싱글몰트에 대한 정의와 구분이 대부분이다. 자세한 규정은 스카치 위스키항목 참조.

세계 판매량 빅3는 더 맥켈란, 글렌피딕, 더 글렌리벳 순. 미국에서는 글렌피딕 이 더 잘나간다고 한다.

1.1 싱글 몰트의 빈티지 개념

와인에 비해 나온 지 얼마 되지는 않았으나, 싱글 몰트도 빈티지 제품이 있다.
원래 최초 캐스크에서 숙성중인 원래 상태의 위스키는,

  • 어떤 오크통(캐스크)으로 숙성하는지
  • 그 캐스크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
  • 최초로 위스키를 담기 전에 비워둔 캐스크에서 먼저 숙성했던 술의 성분이 얼마나 배어있는지
  • 그 캐스크가 이미 위스키를 숙성하는데 한번 이상 쓰였던 것인지
  • 증류방식을 포함한 제조공정 전반이 어떠한지
  • 제조에 사용된 맥아의 (보리 상태에서의)품종은 무엇인지
  • 그리고 그 맥아에 이탄향을 어느 정도 가했는지
  • 얼마 동안, 어디에서 숙성했는지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맛의 차이가 (크든 미미하든) 수백~수천 가지로 갈리는데, 흔히 보이는 이른바 "정규 제품"의 경우 이 수많은 캐스크의 원액을 제조책임자(혹은 담당 마스터 블렌더)가 일일이 선별하여 일정한 맛이 나도록 적절하게 섞어서 내놓는 반면, 빈티지 싱글 몰트는 정확히 특정 해에 증류한 원액만 사용한다. 따라서 와인의 빈티지처럼 원 재료의 영향을 받는 요소는 적다.

이는 뒤집어 말하자면 위스키의 풍미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은 원재료를 위스키로 만들어내는 과정 쪽의 영향력이 큼을 뜻한다.[2][3][4] 말인즉슨, 제조 공정부터 기성 제품들과의 차별화를 꾀하여 부가가치를 더하는 방식으로써 "빈티지"의 의미를 강조하는 것이다. 때문에 제품 자체의 차이보다는 마케팅의 일환이라는 의견도 있다. 설명이 좀 어려워졌는데 숙성 과정에서 풍미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캐스크(오크통)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인데 맛과 향만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오크통 원가 때문에 가격대에도 매우 큰 영향을 준다.

참고로 스카치 위스키는 새로 제작한 오크통이 아닌 쉐리 와인, 포트 와인, 버번 위스키 등을 숙성시켰던 오크통을 재활용하는데 이전에 담갔던 주종의 색과 풍미가 오랜 시간동안 오묘하게 위스키에 배어드는 것이 매력이라 할 수 있겠다.

빈티지 싱글 몰트 제품만의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보통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중첩해서 갖는 경우가 많으며, 대개 기성품보다 풍미나 품질이 뛰어난 것이 많고, 제품 특성상 100% 한정판이다.

  • 일반적으로는 특정 해에 증류한 원액들만을 대상으로 선별해서 적절히 혼합해서 내놓거나 (Multi Cask), 혹은 기성품보다는 적은 수의 캐스크 원액으로만 혼합해서 내놓는다.(Small Batch)
  • 단일 캐스크의 원액만 사용 (Single Cask) - 참고로 싱글 몰트 위에 싱글 캐스크가 있다. 싱글 캐스크는 한 오크통에 집어 넣어 12년이건 18년이건 묵혀서 만든 위스키다. 싱글 몰트만 해도 하나의 증류소에서 만든 여러 오크통의 위스키를 적당히 섞고 여기에 물을 희석해 도수를 40도 내외로 맞추는데 (소위 튜닝이라는걸 한다) 싱글 캐스크는 한 오크통에서 빚어진 원액 그대로를 '물 타지 않고' 그대로 병입한 것이라 48.4% 이런 식으로 들쭉 날쭉한 알콜 도수가 나온다. 왜냐하면 오크통 숙성 과정에서 증발된 수분의 양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증발된 수분, 혹은 위스크는 신이 마셔버린 몫이라고 Angel's Share 라고 부른다).
  • 정규 제품들과 달리 알콜 도수를 낮추지 않음 (Cask Strength)
  • 냉각여과(Chill-Filtering) 생략
  • 캐러멜색소(E150a) 첨가 생략
  • 캐스크 종류를 가려서 원액을 선별 : 이를테면 쉐리 캐스크와 버번 캐스크 원액을 혼합해서 만드는 기성품과는 달리 쉐리 캐스크에 담긴 원액만 골라서 쓴다든지, 다시 그 중에서도 캐스크의 크기에 따라 원액을 선별하는 경우도 있다.
  • 쉐리 캐스크는 스페인에서 쉐리 와인을 만들고 역할을 다한 오크통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포트 캐스크도 스카치 위스키 숙성에 사용하는데 포르투칼의 포트 와인 숙성에 사용했던 오크통을 의미) 그런데 쉐리 와인의 수요가 갈수록 줄어 쉐리 캐스크를 구하기 어렵게 되자 미국으로 눈을 돌려 구하기 쉬운 버번 캐스크를 주로 쓰는 것이 요즘 트렌드라고 한다. 버번 위스키의 경우 새로 만든 오크 캐스크를 한 번만 쓰는 것이 원칙이라 어차피 버려질 것을 스코틀랜드로 보내 스카치 위스키 숙성에 재활용하기 때문에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이라는 것.
  • 브랜드에 따라서 특정 종류의 술을 숙성했던 캐스크[5]에 기존의 원액을 담아 후숙성 처리, 혹은 아예 처음부터 특정 캐스크로 원액을 숙성하기도 한다.
  • 기존 제품과 다른 보리 품종을 사용해서 섬세한 요소를 더하기도 한다.
(예 : Glenlivet 1991 Triumph)

참고로 이 방식으로 재미를 보고 있는 증류소가 스페이사이드(Speyside)의 글렌로씨스(Glenrothes), 그리고 위의 특징들을 모두 포함하는 SMWS에서 출시하는 제품들이 빈티지에 해당한다. 이 밖에도 상업적 색채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독립병입자들도 자체 빈티지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극히 드물지만 블렌디드 위스키에도 빈티지 제품을 내놓는 브랜드가 있다. 어?

2 주요 제품 목록


파일:Whiskyflavourmap.jpg

-굵은 글씨는 처음 접할 시 주의를 요하는 종류
-취소선을 그은 곳은 현재 폐쇄된 증류소

2.1 스페이사이드(Speyside)

2.2 하이랜드(Highland)

  • 글렌고인 (Glengoyne)
  • 글렌 드베론 (Glen Deveron)
  • 글렌드로낙 (Glendronach) -티쳐스의 핵심원액
  • 글렌모렌지 (Glenmorangie)
  • 글렌오드 (Glen Ord) -싱글톤 시리즈 중 하나
  • 달위니 (Dalwhinnie)
  • 달모어 (Dalmore)
  • 딘스톤 (Deanston)
  • 로열 로크나가 (Royal Lochnagar) -윈저 XR의 핵심원액
  • 발블레어 (Balblair)
  • 브로라 (Brora), 구 클라이넬리쉬
  • 아녹 (AnCnoc)-Knockdhu Distillery
  • 아드모어 (Ardmore) -티쳐스의 핵심원액
  • 애버펠디 (Aberfeldy) -듀어스의 핵심원액
  • 에드라더 (Edradour)
  • 오반 (Oban)
  • 오크로이스크 (Auchroisk) -J&B의 핵심원액
  • 클라이넬리쉬 (Clynelish)
  • 올드 펄티니 (Old Pulteney)

2.3 로우랜드(Lowland)

2.4 캠블튼(Campbeltown)

  • 글렌길 (Glengyle)
  • 글렌스코티아 (Glen Scotia)
  • 스프링뱅크 (Springbank)

2.5 아일라(Islay)

2.6 기타 섬 지역(Islands)

2.7 기타 싱글몰트 제품

2.8 블렌디드 몰트 (Blended Malt)

  1. 일본이 대표적이다. 아이리시 위스키도 부시밀스 몰트나 코네마라 같은 경우, 싱글 몰트로 표기한다.
  2. 그래서 글렌모렌지맥켈란 등 몇몇 증류소는 숙성에 사용할 캐스크를 고르는 데에 각별히 신경쓴다고.
  3. 같은 증류소에서 나온 같은 숙성기간을 거친 제품이라도 숙성에 사용한 캐스크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 생각보다 맛과 향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다.
  4. 위스키로 되기 전의 밑술(Wash)을 증류하는 증류기도 어떻게 생겼느냐에 따라 바디감의 경중, 나아가선 위스키의 캐릭터가 갈릴 정도로 중요한 요소이다.
  5. 대개 버번 캐스크나 쉐리 캐스크를 제외한 다른 캐스크. 최근엔 여러 브랜드의 프랑스산 와인 캐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6. 그런데 왜 증류소 이름을 안쓰고! 어른의 사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