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버트 왕자

AV.jpg

Albert Victor Christian Edward
클라렌스와 에븐데일의 공작

1864년 1월 8일 ~ 1892년 1월 14일 (28세)

1 개요

영국의 국왕 에드워드 7세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의 장남으로 빅토리아 여왕의 장손. 본명은 앨버트 빅터 크리스천 에드워드. 세상에서 가장 안습한 왕자.

앨버트 빅터 왕자는 태어나기도 전에 이미 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이 '앨버트 빅터'라고 아이의 이름을 결정해놨는데, 장남 부부 에드워드 7세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의 의견을 듣지도 않고 여왕이 멋대로 정한 것. 결국 여왕의 뜻대로 '앨버트 빅터'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가족들에게는 '에디'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2 어린 시절

당시 웨일즈 공이었던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궁전과 멀리 떨어진 말버러 하우스에서 친구들과 자유분방을 삶을 살았는데, 앨버트 빅터 공자가 6살 무렵 웨일즈 공은 그의 수많은 정부들 중 1명의 이혼 소송에 증인으로 참석해야 했고(…) 이것은 그가 바람둥이라는 인식을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일 중 하나였다.

그래서 빅토리아 여왕은 이런 아들의 영향 아래 성장하는 손자들을 걱정했고, 직접 손자들의 교육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1871년부터 여왕이 직접 고용한 가정 교사인 존 달튼 목사에게 남동생 조지 왕자와 함께 교육받았다. 존 달튼은 야망은 있는 인물이었지만 훌륭한 교사는 아니었는데, 매우 엄격한 교육 스케쥴을 고안했고 그것을 강요했다. 앨버트 빅터 왕자와 조지 왕자는 그를 거부했으며, 심지어는 기초 교육조차 받으려 들지 않았다.

하지만 달튼은 자신의 실패를 무마하기 위해서 앨버트 빅터 왕자의 지적능력과 인성 모두에 문제가 있다고 불평했다. 뿐만 아니라 2개월 일찍 태어난 것[1] 때문에 학습능력 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여겨졌고[2], 빅토리아 여왕의 개인비서인 헨리 폰슨비는 어머니의 난청을 물려받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대영제국으로 불릴 만큼 위대했던 영국의 보통 왕자도 아니고, 차차기 왕의 자리의 오를 왕자였기 때문에 영국군에도 신경써야 하는데, 정작 본인은 군대에 관심이 없고 남동생 조지 5세가 해군에 열광하여 밀덕이 되어버린다. 안습.

3 논란의 대상

앨버트 빅터 왕자는 10대 시절부터 평생 방탕하게 인생을 보냈고, 이것 때문에 2가지의 스캔들의 의혹을 받았다. 그 2가지가 바로 클리블랜드 스트릿 스캔들과 잭 더 리퍼 사건. 클리블랜트 스트릿 스캔들은 그가 동성애 매춘(...)을 했다는 의혹이고, 또 하나는 바로 매춘부들을 살해한 잭 더 리퍼가 앨버트 왕자라고 의심을 받았던 것.[3]

4 사랑 이야기

앨버트 빅터 왕자는 2번의 사랑(....)을 하면서 할머니[4]와 부모님[5]이 출연한 막장 드라마에 본인도 출연신청을 했다.

첫사랑은 사촌인 헤센의 알릭스 대공녀인데, 아직 어린 알릭스 대공녀가 좀 더 자라 청혼할 수 있는 나이가 되길 기다리는 동안(…) 그의 평생에 오점이 되어버린 클리블랜드 스트릿 스캔들이 터졌다. 그해 앨버트 빅터 공자는 인도 제국으로 보내졌고, 다시 돌아왔을 때 이미 알릭스 대공녀는 니콜라이 2세와 뜨겁게 연애 중이었기 때문에, 앨버트 빅터를 찼다. 조지 5세도 자기보다 10살 어린 사촌인 에든버러의 마리가 하루빨리 성장하길 기다리다가 어머니들간의 반대로 망했다. 형제가 참...

점점 나이가 들수록 스캔들의 대상이 되기 쉬워졌기에 서둘러 아내를 맞이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 앨버트 빅터 공자는 여러 공주들을 생각했는데, 하필 가장 부적격인 여성과 사랑에 빠졌다. 루이 필리프 1세의 손자였던, 프랑스 왕위 계승요구자인 파리 백작 오를레앙의 필리프 딸인 오를레앙의 엘렌이었다.

그녀는 통치 가문의 남자와 혼인할 수 있는 신분이지만, 프랑스인인데다가 가톨릭 신자였고 영국의 왕위계승자는 가톨릭 신자와 결혼해서는 안되었다.[6] 프랑스 공주가 왕후가 된 예는 찰스 1세의 왕후였던 헨리에타 마리아가 있었지만 그 때 영국은 청교도 혁명이 일어났었다.

빅토리아 여왕은 다른 결혼 후보로 프로이센의 마르가레테 공주를 추천했지만, 둘이 워낙 열렬하게 사랑하고 있었기에 여왕에게 간청을 했고 결국 여왕은 그들의 결혼을 지원해주기로 결심한다. 앨버트 빅터는 왕위 계승권을 포기할 것을 제안했고 엘렌은 교황 레오 13세에게 중재를 요청했지만, 교황은 가톨릭 외의 다른 기독교도와 결혼하는 것을 반대하였고 그녀의 아버지도 반대해서 결국 둘은 결혼하지 못하게 되었다. 후에 오를레앙의 엘렌은 아오스타 공작 부인이 되었다.

오를레앙의 엘렌과 헤어진 후 레이디 시빌 얼스킨과 사랑에 빠졌지만 그녀는 신분이 낮았다. 에드워드 7세는 자신의 스캔들로도 머리가 아팠기에(…) 앨버트 빅터 왕자가 결혼하지 않는다면 멀리 보내버리겠다고 위협했다. 하지만 자녀들에 대한 독점욕이 어마어마했던 어머니 알렉산드라 공주는, 아들을 다시 멀리 떼어놓는다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었다. 때문에 적당한 여성을 찾기 시작했다.

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은 예의 바르며 온순하고 강한 책임감을 가진 테크의 메리[7]를 매우 이상적인 신부감으로 생각하여 적극 추천하였고, 앨버트 빅터는 여왕의 결정에 순응했다. 다만 평상시 친하게 지내던 바텐베르크의 루드비히 공자에게 보낸 편지에는, "사랑해서 하는 결혼은 아니다"라고 썼다.

5 의문이 넘치던 죽음

1891년에 약혼했으나 1892년 1월 당시 유행하던 독감에 걸렸고, 결국 그는 28세 생일을 1주일 넘긴 채 1892년 1월 14일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많은 이야기를 남겼다. 독감이 아니라 매독이나 또는 독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었으며, 심지어는 위의 잭 더 리퍼 연루설과 연관되어 그가 죽은 것이 아니라 랜돌프 처칠 경이 음모를 꾸며서 왕위계승자를 바꾼 것으로, 앨버트 빅터 공자는 죽지 않았고 웨이트 섬의 정신병원이나 그래미스 성에 갇혀 있다는 이야기가 1930년대까지 퍼졌다.

6 평가

왕위는 남동생인 조지 5세가 계승하고 그의 약혼녀인 테크의 메리까지 계승했다. 그리고 앨버트 빅터 공자의 존재는 곧 잊혀져갔다. 특히나 불안정한 정세속에서 왕가를 지키려고 발버둥쳤던 조지 5세와 메리 왕후의 노력은 그를 사람들에게서 더더욱 잊혀지게 만들었다. 아버지 에드워드 7세의 사생활에 치를 떨며 왕가의 건전한 모습만을 보이려고 했던 조지 5세에게는 클리블랜드 스트릿의 오명을 가진 형을 부담스러운 존재로 인식했다고...

하지만 만약 앨버트 빅터 왕자가 왕이 되었다면 조지 5세가 만든 인간성이 너무 적고 차가운[8] 영국 왕실의 모습과는 달리 대중들에게 좀 더 자연스럽게 다가갔을 수도 있다는 평이 있긴 하다.
  1. 에드워드 7세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 부부의 아이들은 전부 조산으로 태어났는데(앨버트 빅터의 경우 2개월 조산으로 태어났다.), 알렉산드라 공주가 시어머니 빅토리아 여왕출산에 참석하는 것을 원치 않아서 일부터 임신 날짜를 잘못 계산했다는 얘기가 있다.
  2. 실제로 공부에 별 흥미가 없었다.
  3. 이는 <프롬 헬>의 모티브가 되었다. <프롬 헬> 이전인 1979년에도 영화 <포고령 살인>에서 같은 설정을 다루고 있다.
  4. 빅토리아 여왕, 이 쪽은 보수적이고 전형적인 시어머니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5. 에드워드 7세와 왕후 알렉산드라, 성격 차이가 있어서 서로 싸웠고 에드워드 7세가 연인 앨리스 케펠과 노는 모습을 알렉산드라가 욕한 것으로 보아 이 쪽은 전형적인 조용한 며느리의 모습(…)
  6. 영국 왕족은 꼭 가톨릭 뿐만 아니라 성공회 신자 외에 다른 종교의 사람과 결혼해도 계승권을 박탈당하는 법이 무려 2015년 3월 26일 전까지도 유효했다. 2015년 3월 26일부터는 반 살리카 법도 폐지되어 남녀 구분없이 절대적 맏이 계승으로 바뀌었으며, 다른 종교를 지닌 사람과 결혼해도 계승권을 박탈당하는 것도 사라졌다. 이 바뀐 법의 첫 수혜자는 캠브리지 공녀 샬럿이다.
  7. 테크의 메리의 아버지는 뷔르템베르크 왕가에서 갈려나온 귀천상혼 가문 출신이고 그녀의 어머니가 영국 공주임에도 다른 유럽 대륙에서는 격이 떨어지는 상대로 봤지만, 영국에서는 대륙보다 그걸 그다지 크게 쓰지 신경쓰지 않았기 때문에 약혼이 가능했다. 무엇보다 얼빠로 유명한 빅토리아 여왕그다지 예쁘지 않은 테크의 메리를 가장 지지했던지라 아무도 여왕의 결정에 토를 달 수도 없었던 것도 있고.
  8. 왕실을 지키고자 매우 노력한 조지 5세와 메리 왕후의 공로는 인정하지만, 훗날 지나치게 차갑고 경직되어 있다는 악평도 같이 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