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Tommelise(덴마크어)
Thumbelina
親指姫(おやゆびひめ-오야유비히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대표작 중 하나. 1835년에 발표된 안데르센의 동화집 2집에 수록. 미운 오리 새끼와 마찬가지로 안데르센의 고향인 덴마크 오덴세의 전원풍경을 배경으로 쓰여졌다고 한다.
"엄지공주"보다는 "엄지소녀"가 더 번역에 맞는데 엄지공주가 된 까닭은 역시 일본어 중역 때문.
각종 아동용 동화로 만들어져 큰 인기를 얻었다.
2 줄거리
옛날 어느 마을에 튤립 꽃봉오리 속에서 태어난 작은 여자아이가 있었습니다.키가 엄지 손가락만큼이나 작고 예뻤기 때문에 엄지공주라고 불리며 모두의 귀여움을 독차지했습니다.
어느 날 밤, 엄지공주는 두꺼비에게 납치를 당해 청혼을 받지만 물고기와 나비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빠져나올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풍뎅이가 엄지공주를 낚아채서는 숲 속 어딘가에 놓고 가 버리고 말았습니다.
홀로 남겨진 엄지공주는 들쥐의 집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엄지공주는 쓰러진 제비를 발견했습니다.
엄지공주의 간호로 건강해진 제비는 함께 남쪽 나라로 가자고 했습니다.
하지만 엄지공주는 자신을 따뜻하게 보살펴 준 들쥐를 두고 갈 수가 없어서 거절했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옆집에 사는 돈 많은 두더지가 찾아와서 엄지공주에게 청혼을 했습니다.
엄지공주는 슬펐습니다. 그 때, 엄지공주가 구해 줬던 제비가 나타났습니다.
제비는 엄지공주를 등에 태우고는 꽃의 나라로 데리고 갔습니다.
거기서 엄지 공주는 자기와 똑같은 키의 왕자를 만나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3 작품 해설
엄지공주는 마법사[1]의 (튤립) 꽃에서 태어난, 엄지손가락 크기밖에 되지 않는 작은 소녀이다. 외로운 농부의 아내[2]가 보리 알을 받아 호박 껍질 침대에 두고 딸처럼 길렀는데, 어느 날 두꺼비에게 유괴되고 만다. 엄지공주는 연꽃 잎 근처 물고기들의 도움으로 탈출하지만 집에 돌아가지는 못하고, 그 후로도 풍뎅이에게 유괴당하고 버려지는 등 온갖 고생을 한다. 붙잡힌 히로인
가을(겨울)이 되자, 엄지공주는 들쥐 할머니에게 얹혀살게 된다. 들쥐 할머니와 친했던 이웃집의 부자 두더지가 결혼을 강요하지만, 엄지공주는 해와 하늘로 한번도 나가지 않고 캄캄한 지하에서만 사는 두더지와 결혼하고 싶진 않았다. 엄지공주는 두더지네 집에 있던 죽어가는 제비를 간호했고, 결혼식날 제비와 함께 꽃의 나라로 간다. 거기서 엄지공주는 꽃의 나라의 왕자와 결혼하게 되고,[3] 날개와 마이아라는 새 이름도 갖게 된다.
의외로 액자식 구성인데 이 모든 광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본 파랑새가 실연에 멘붕한 나머지 작가(여기서는 안데르센)에게 이야기를 전달해준다는게 원작.
엄지공주를 길러준 인간 양어머니가 어찌 되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마지막까지 없다. 양어머니 입장에서 보면 금지옥엽 기른 딸이 유괴당해서 죽었는지 살았는지도 모르게 된, 대단히 비극적인 이야기인데 그 때문인지, 바레이션으로 엄지공주가 제비에게 자신의 근황을 양어머니(혹은 할머니)에게 전해달라고 한다. 어느 일본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꽃의 나라 왕자와 결혼한 뒤에 왕자와 함께 제비를 타고 자신의 양부모를 찾아서 재회하는 장면도 분명히 있었다.
4 기타
1994년에 워너브라더스에서 극장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바 있다. 이후 20세기 폭스에서 《아나스타샤》를 만든 돈 블루스와 게리 골드먼이 여기서도 공동으로 감독을 맡았으며 크게 유명한 작품은 아니지만 아는 사람들은 아는 애니메이션으로 《아나스타샤》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착각하고는 한다. 그런데 감독인 돈 블루스나 게리 골드먼이 디즈니 출신이긴 하다. 이따금 원작파괴란 말을 들을 정도로 원작을 많이 각색하는 편인 디즈니와는 달리 이 애니메이션은 대체적으로 원작을 충실히 따라가는 편이다. 작중 제비인 자퀴모가 화자로 등장하며, 원작을 따라 주인공인 썸벨리나(더빙판에서도 '엄지공주'라고 번역하지 않고, 이 이름을 쓴다) 에게도 인간 뿐만이 아니라 풍뎅이, 두꺼비, 두더지 등 다양한 동물과 곤충이 꼬인다. 원작과 다른 점은 애니메이션엔 지속적인 악역이 필요하기 때문에 원작에서는 엄지공주가 떠나면 동물들이 다신 안 나오지만 주인공인 썸벨리나에게 미련을 못 버린 두꺼비가 어떻게든 썸벨리나와 결혼하겠다고 계속해서 쫓아다닌다. 엄지공주를 제일 처음 납치한 두꺼비를 가족 극단으로 만들고, 풍뎅이 무도회장 등을 만드는 등 뮤지컬 적인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각색을 한 편이지만 그래도 원작의 한계는 벗어나지 못했다.
주인공인 썸벨리나는 집을 벗어난 뒤 주변 사람들에게 '집에 가서 엄마를 만나고 싶어. 하지만 그건 불가능해.'라고 징징거리기만 하는 민폐 캐릭터이다. 오로라 공주와 달리 출연 분량은 많지만 납치당하고, 기절하고, 울기만 할 뿐 능동적인 모습은 거의 보여주지 않는다. 주인공 보정으로 요정과 각종 동물과 곤충들을 가리지 않고 사방에서 도움을 받으며 구애를 받는다. 그야말로 작중에서는 종족을 초월하는 팜므파탈이지만 비슷한 시기에 나온 디즈니 공주들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해 능동적이며 자기 매력을 확실히 갖춘 반면 시종일관 의존적인 모습을 보인다. 썸벨리나의 상대역인 코넬리우스 왕자도 다소 뻔한 백마 탄 왕자 캐릭터이며 별로 비중이 없다. 썸벨리나를 우연히 만나 금세 사랑에 빠지고 썸벨리나가 없어진 뒤 열심히 찾아다니지만 어째 악역들보다도 소식통이 느리며 삽질만 계속한다. 또 명색이 왕자이긴 한데 작중 취급이 영 좋지 않다. 심지어 중간에 한 번 얼음 속에 갇혀 리타이어 되기까지 한다.
개봉당시 2800만 달러로 제작했지만 북미 흥행은 1130만 달러에 그치며 흥행에 실패했다. 하지만 노래만은 꽤 좋은 뮤지컬 애니메이션으로 한 번 쯤 감상할 만 하다.
끊임없이 여러 생물(엄지공주에게는 괴수?)들이 군침을 다시고 납치당하는 묘사 때문에 패러디물에서는 뭔가 이종족 관련으로 위험한 상황을 제시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