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대하우기후

세계의 기후 구분
열대 기후건조 기후온대 기후냉대 기후한대 기후고산 기후
온대기후
CfCwCs
연중 강수 기후온대 하우 기후지중해성 기후
CfaCfb (Cfc)CwaCwbCwcCsaCsbCsc
온난 습윤 기후서안 해양성 기후온대 하우 기후지중해성 기후

Cwa 기후

640px-Koppen_classification_worldmap_Cw.png
온대하우기후의 분포도,

1 개요

냉대동계건조기후와 함께 나무위키러의 대다수가 살고 있는 기후[1]

온대 겨울 건조 기후로도 부른다. 비가 많이 내리고 쌀농사가 잘 된다는 점에서는 Cfa기후와 비슷하지만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갈린다는 점이 결정적인 차이점이다. 겨울 강수량이 여름의 1/10 미만인 기후[2]로 아열대/난대가 아닌 이상 냉대동계건조기후와 특징이 섞여버리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대체로 연 강수량 자체는 대륙 서안의 해양성 기후나 지중해성 기후보다 매우 높은 편이다.

대한민국에서 흔히 대륙성 기후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냉대동계건조기후와 함께 이 기후를 말하는 것이며, 세계적으로는 온난습윤기후처럼 아열대기후까지 포함해서 일컫는다.

2 분포 지역

바다보다는 대륙과 계절풍의 영향을 더 지대하게 받는 경우 이 기후가 형성된다. 충청북도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남부 내륙지역 대부분에서 볼 수 있고 해외에서는 중국의 산둥 반도를 비롯한 화북지역, 인도 북부, 등에 걸쳐 있다. 일본의 경우 간토 내륙지역(특히 군마, 토치기)에서 국지적으로 이 기후가 나타난다. 남반구에서는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내륙이나 호주 북부에서 국지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3 특징

여름에는 습한 기단과 지역풍의 영향으로 한국에서 흔히 장마라고 일컫는 월 강수량 250mm을 넘는 폭우가 집중되며 태풍까지 자주 북상하므로 홍수산사태가 발생할 확률이 엄청나게 높아진다. 그리고 이때 습도도 엄청나게 집중된다. 반대로 겨울에는 시베리아와 중국에서 불어오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며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맑은 날이 많고 일교차가 크다. 따라서 추울수록 가뭄산불[3]이 빈발하기 쉬우며 사막 및 스텝기후대와 인접해 있는 경우 모래폭풍미세먼지등에 노출될 확률도 높다. 요약하면 지중해성 기후와 정반대로 열대몬순기후(여름)와 추운 사막기후(겨울)가 섞인 형태. 실제로도 사바나기후 혹은 열대몬순기후와 형성 원리는 정확하게 비슷하나 위도가 높아서 계절 차이가 생기는 것. 그래서 온대지역들 중 가장 최악의 조건을 가진 지역으로 통하는 편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대륙풍으로 인해 겨울에 강수량이 한자릿수가 되거나 아예 0이 되어 버리는 경우도 많으며 실제로도 겨울에는 물을 구하기 매우 힘들어진다. 이렇게 살기 매우 힘든 기후조건상 대체로 자연재해를 막기 위한 국토정비가 자주 행해진다고 보면 된다. 한반도만 해도 전통적으로 장마철이나 우기에 온 빗물을 가뒀다가 쓰는 저수지 문화가 발달되어 있으며 산사태를 막는 옹벽도 발달되어 왔다. 하천의 경우 하상계수가 매우 크므로 범람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로 된 제방을 높이 쌓고 일정 구간마다 보를 세워 수량이 줄어드는 것을 막으며 넓은 둔치[4]를 항상 두는 3중구조로 정비된다. 남부지방에서조차 온돌이 쓰이는 원인도 바로 큰 겨울 일교차 때문이다.

논에 물이 적당히 말라붙으므로 밭처럼 쓸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겨울~초여름에 걸쳐 보리과의 부분적 이모작이 가능한 것이 특징.[5] 또한 비닐하우스를 치고 과일을 재배하기도 한다. 다만 일조량이 풍부한 계절은 1월이 아닌 5월~6월 초이므로[6] 이 때에 나오는 과일들(오디, 딸기, 산딸기 등)이 가장 맛있다.[7] 식문화는 대체로 매우 뜨겁게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전에는 흐리고 어두침침한 날이 주로 더운 여름에 집중되는 특성상 납량특집이랍시고 공포물을 자주 틀어주곤 했었다. '납량'이란 단어가 잘못 사용되는 결정적 이유. 물론 2010년대 이후로 이런 경향은 많이 줄어들었다.

물론 단점만 존재하는 건 아니다. 여름이 끈적거리고 습해서 에어컨이 필수인 건 온난습윤기후도 마찬가지이며 오히려 겨울 날씨가 나쁘지 않고 햇빛이 많다는 건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Dw기후와 달리 겨울 기온 자체는 그렇게 낮지 않으므로 옷만 잘 입어주면 햇빛 아래에서 포근한 느낌을 받을수도 있다. 실제로 야외 놀이문화가 여름이 아닌 가을, 겨울에 자주 행해지며, 그 예로 명절날 제기차기, 연날리기등을 들 수 있다.
  1. 해외에 사는 위키러를 제외하면 대체로 그러하다.
  2. 정확히는 11월~3월의 강수량이 5~9월의 강수량보다 압도적으로 적고, 이게 대한민국에서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기 어려운 결정적 이유이다.
  3. 대한민국에서 산불감시기간은 사실상 1년 중 장마철을 제외한 나머지이다. 설명이 the 必要韓紙?
  4. 고수부지는 일본식 한자어이다.
  5. 그래서 전통적으로 밀, 보리는 여름 곡식이라는 이미지가 강했었다. 실제로도 장마철 특유의 날씨와 겹쳐져서 부침개가 가장 많이 팔리는 시기이기도 하다.
  6. 1월에도 햇빛이 강렬하게 느껴지긴 하나 일조량 자체보다는 태양의 입사각도가 낮은 탓이 크다.
  7. 다만 한겨울에 하우스로 기르는 과일이 제철보다 더 맛있다는 이야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