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러드 밴 오먼 콰인

(윌라드 콰인에서 넘어옴)

hqdefault.jpg
Willard Van Orman Quine (1908년 - 2000년)

20세기 미국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언어철학, 형이상학, 인식론 등 여러 분야에서 수많은 업적을 남겼고 지금까지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생애

1908년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난 콰인은 오벌린 대학에서 학부를 졸업한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화이트헤드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직접 오스트리아를 방문하여 논리 실증주의자들과 교류하기도 했다. 이후 1978년까지 하버드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도널드 데이빗슨, 데이빗 루이스, 솔 크립키대니얼 데닛 등 수많은 철학자들을 직간접적으로 지도했고, 2000년에 사망했다.

2 주요 업적

2.1 언어철학

  • 1951년에 발표한 "경험론의 두 독단(Two Dogmas of Empiricism)"에서 크게 다음과 같은 주장들과 논증들을 제시함으로써 논리 실증주의에 막대한 타격을 가했다.
    • 칸트 때부터 내려온 분석명제종합명제 간의 구분은 불가능하다. '분석명제'에 대한 유력한 정의는 "순전히 말의 의미 때문에 참인 명제"인데, 이런 정의는 근본적으로 순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의 유의미성을 따지는데 '경험적 검증가능성'을 주된 기준으로 삼는 논리 실증주의는 실패한다.
    • 곧 유의미한 명제 일체를 오직 직접 경험적인 명제들만으로 환원하려 하는 경험주의환원주의는 실패한다. 오히려 수학논리학을 막론하고 모든 명제 일체는 총체적으로 경험에 의해 반증될 수 있다.
  • 1960년 출판한 『단어와 대상(Word and Object)』에서 두 개의 다른 언어 간의 유일하며 객관적으로 올바른 번역 편람을 구축하는 것이 원리상 불가능하다는 '번역 불확정성 논제'를 제시한다.[1]
    • 그 예시로 든 다음의 사고실험이 유명하다. 어떤 언어학자가 원시부족의 언어를 연구하기 위해 오지로 들어갔다고 하자. 말이 통하지 않는 원주민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토끼 한 마리가 지나가는 것을 보고 그 원주민이 "가바가이!"라고 말했을 때, 언어학자는 "가바가이"라는 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상식적으로는 '토끼'로 해석하는 것이 맞는것 같다. 하지만 "가바가이"라는 말소리가 설령 한국어 "토끼"와 생물학적으로 동등한 신경 신호를 유발할지라도, "가바가이"라는 말이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지는 원리상 비확정적일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가바가이"는 상식적이지는 않지만 '토끼의 이데아'를 의미할 수도 있고 그냥 토끼가 아닌 '흰 토끼'라는 평범한 의미를 지닐 수도 있으며 심지어 '저녁식사'를 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2 인식론

  • 과학을 비롯한 여러 지식에 해당하는 명제들을 순수하게 경험적인 명제들로 환원하는 경험주의환원주의가 실패하므로, 곧 지식 일체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전통적 인식론이 성공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 그 대신 인식론은 '앎이 어떻게 생겨나는가?'를 따지는 과학적 심리학의 일부로 포섭되면 충분하다는 이른바 "자연화된 인식론"을 주창한다. 물론 이는 순환논리에 처할 위험성이 있지만, 콰인은 오토 노이라트를 계승하여 "뗏목 위에 탄 채로도 뗏목을 부분적으로 보수하는게 가능하다"는 유비를 통해 '자연화된 인식론'이 여전히 정당화된다는 논증을 펼친다.

2.3 과학철학

  • 콰인이 제시한 인식론적 전체론은 상기한 바처럼 어떤 명제든 모종의 경험에 의해 반증될 수 있다는 함축을 갖는다. 이는 반대로 그 어떠한 경험적 데이터가 주어진다한들, 적절한 (혹은 Ad Hoc한) 보조가설을 추가하기만 한다면 그 어떤 과학적 가설이든 여전히 논리적 정합성이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즉 경험적 데이터가 아무리 쌓인다 한들, 무엇이 참된 과학적 이론인지는 논리적으로 결정될 수 없다(혹은 "과소결정된다(underdetermined)").
    • 이는 일찌기 피에르 뒤앙이 지적하기도 했던 사항이므로, 흔히 두 사람의 이름을 함께 따서 "뒤앙-콰인 논제"라고 불린다. 그리고 뒤앙-콰인 논제는 토머스 쿤의 과학철학에 핵심적인 기틀 중 하나가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2.4 형이상학

  • 1948년 발표한 「있는 것에 관하여(On What There Is)」에서 "[math]x[/math]는 있다" 혹은 "[math]x[/math]존재한다"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고 주장한다: 이론 [math]T[/math]세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예. 최첨단 물리학)이라고 가정하고, [math]T[/math]의 모든 명제들을 1차 술어 논리 언어로 번역하자. 이때 "[math]x[/math]존재한다"는 것은 곧 [math]x[/math][math]T[/math]의 각 명제들이 이 되기 위한 변항의 값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 이를 두고 흔히 "[math]T[/math][math]x[/math]에 존재론적으로 개입한다(ontologically commit)"고 표현한다. 그리고 이런 입장은 흔히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란 곧 변항의 값이 되는 것이다(To be is to be the value of a variable)"라는 말로 압축적으로 표현된다.
    • 예를 들어 최선의 이론 가운데 '[math]\exists x (Fx \wedge Gx)[/math]'라는 명제가 포함될 경우, 변항 [math]x[/math]에 할당된 것이 없으면 해당 명제는 참이 될 수 없으므로, 곧 [math]x[/math]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 위와 같은 방법론에 입각하여 콰인은 오직 물리적 대상들, 그리고 집합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전통적인 '보편자'들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유명론적 입장을 취했다.
  1. 두 언어 사이의 번역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