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애덤스

(존 아담스에서 넘어옴)

1 미국의 제 2대 대통령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앤드루 애덤스존 애덤스새뮤얼 애덤스토머스 애덤스
존 앨솝에이브러햄 볼드윈존 배니스터조사이아 바틀렛
리처드 바셋건닝 베드퍼드 주니어데이빗 브렐리에드워드 비들
존 블레어리처드 블랜드윌리엄 블라운트사이먼 보름
카터 브랙스턴제이콥 브룸피어스 버틀러캐럴턴의 찰스 캐럴
대니얼 캐럴리처드 캐스웰새뮤얼 체이스에이브러햄 클라크
윌리엄 클링건조지 클라이머존 콜린스슈테판 크레인
토머스 쿠싱프랜시스 대나조나단 데이턴사일러스 딘
존 드 하트존 디킨슨윌리엄 헨리 드레이턴제임스 두에인
윌리엄 듀얼엘리퍼릿 다이윌리엄 엘러리윌리엄 퓨
토머스 피츠시먼스윌리엄 플로이드나다니엘 폴섬벤저민 프랭클린
크리스토퍼 개즈던조셉 갤러웨이엘브리지 게리니콜라스 길먼
나다니엘 고램버튼 그윈넷리먼 홀알렉산더 해밀턴
존 핸콕존 핸슨코르넬리우스 하니트벤저민 해리슨
존 하트존 하비패트릭 헨리조셉 휴이스
토머스 헤이워드 주니어새뮤얼 홀텐윌리엄 후퍼프랜시스 홉킨슨
슈테판 홉킨즈티투스 호스머찰스 험프리스새뮤얼 헌팅턴
리처드 허슨제러드 잉거솔존 제이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존슨윌리엄 새뮤얼 존슨루퍼스 킹제임스 킨제이
존 랭던에드워드 랭워시헨리 로렌스프랜시스 라이트풋 리
리처드 헨리 리프랜시스 루이스필립 리빙스턴윌리엄 리빙스턴
제임스 러벌아이작 로우토머스 린치헨리 머천트
제임스 매디슨존 매튜스제임스 매켄리토머스 매킨
아서 미들턴헨리 미들턴토머스 미플린거버니어 모리스
루이스 모리스로버트 모리스존 모턴토머스 넬슨 주니어
윌리엄 파카로버트 트리트 페인윌리엄 패터슨에드먼드 펜들턴
존 펜찰스 코트워스 핑크니찰스 핑크니페이튼 랜돌프
조지 레드조셉 리드대니얼 로베르도시저 로드니
조지 로스벤저민 러시에드워드 러틀리지존 러틀리지
나다니엘 스커더로저 셔먼제임스 스미스조너선 베이야드 스미스
리처드 스미스리처드 돕스 스페이트성 토머스 제니퍼의 대니얼리처드 스톡턴
토머스 스톤존 설리번조지 테일러에드워드 텔페어
매튜 손턴매튜 틸먼니콜라스 반 다이크조지 월턴
존 월턴새뮤얼 워드조지 워싱턴존 웬트워스 주니어
윌리엄 휘플존 윌리엄스윌리엄 윌리엄스휴 윌리엄슨
제임스 윌슨헨리 위스너존 위더스푼올리버 월코트
조지 위스
역대 미국 대통령
초대2대3대
조지 워싱턴존 애덤스토머스 제퍼슨
역대 미국 부통령
미국 독립전쟁초대2대
미합중국 건국존 애덤스토머스 제퍼슨
공식 초상화
풀네임John Adams
출신정당연방당
생몰년1735년 10월 30일 ~ 1826년 07월 04일(92년 8개월 5일)
재임기간1797년 03월 04일 ~ 1801년 03월 04일
서명
170cm

1.1 개요

미국의 제 2대 대통령. 미국 초대 부통령이기도 하다. 즉 세계 역사상 최초의 부통령.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들이 대부분 그랬듯이 종교는 유니테리언 계열이었다고 한다. 대통령이 되기 전에는 변호사로서도 활동했고, 작은 키에 성격은 고집불통이었지만 강직하고 청렴해서 칭송을 많이 받았다. 대쪽같은 선비 같은 기상을 가지고 있었던 인물. 더불어 역대 미국 대통령 중에서도 가장 청렴한 도덕성으로 대표되는 인물이다.

존 애덤스는 알렉산더 해밀턴과 함께 미국 연방주의자들의 거두였으며 독립 선언서를 작성할때 참여했던 건국의 아버지들 중 한명이기도 하다. 그의 정책은 연방정부의 권한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당시 미국 대통령 선거는 2등을 한 후보에게 부통령 직위를 주었고 존 애덤스 다음으로 표를 많이 받은 사람이 그 유명한 공화주의자이자 훗날 3대 대통령이 되는 토머스 제퍼슨이였다. 그리고 존 애덤스는 대통령 임기 내내 부통령이자 가장 큰 정적인 제퍼슨에게 견제를 받아야 했다. 말년이전에는 정치적 앙숙이기도 했었고 실제로 토마스 재퍼슨의 정치적 공격[1]으로 재선에 실패까지 했었다.

또한 미국은 당시 독립국이긴 했어도 아직은 신생 국가라 유럽 국가들에게 만만한 3류 국가였고 영국은 미국 상선을 습격하여 나포하는[2] 행위를 저지르자 미국은 프랑스에 특사를 보내 영국의 행위를 저지해달라고 요청했으나 당시 프랑스 정계 실력자였던 탈레랑은 미국 특사들을 푸대접한 것은 물론 미국에게 거액의 돈을 요구했다.

미국의 연방주의자들은 이러한 처사에 분노했고 그들의 압력에 의해 프랑스와 전쟁을 선포했다. 그러나 당시 미국은 프랑스를 상대할 국력도 안 됐을 뿐더러 미국 정부는 이 시기에 프랑스와 친하게 지내는 반역자들을 잡는다는 명분으로 외국인법을 제정했지만 실제로는 국민들의 자유를 억압하는 악법이였다.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프랑스를 좋아한 데다 미국 정부의 권력 확대를 경계하던 공화주의자들에게는 말도 안되는 행위로 비쳐진 건 당연지사. 결국 애덤스는 전쟁을 철회했고 연방주의자들도 애덤스에게 실망해 지지를 철회해버려 재선에 실패하게 된다.

그러나 애덤스는 그의 정적이었던 토머스 제퍼슨이 편하게 대통령 임기를 보내게 할 생각은 없었다. 애덤스는 임기 종료 바로 전 날 판사들을 전부 연방주의자로 앉혀버렸고 매버리 대 메디슨 사건이 벌어지게 되었다. 한편 대법원장은 애덤스와 친했던 존 마셜이 차지했기 때문에 제퍼슨은 임기 내내 사법부의 견제를 받았다. 워싱턴 때부터 중립성을 엄중하게 지키던 미국 법원의 전통은 이때부터 확고해졌다.

1826년 사망 몇달 전

그리고 존 애덤스가 험한 백악관 생활을 끝내고 정치를 사실상 포기하며 귀향한 이후 알렉산더 해밀턴이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라 구심점을 잃은 연방주의자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렸다.

평생 토머스 제퍼슨과 정적으로 얽히고 설킨 관계였으며 한창 싸울 때는 사이가 극도로 나빠져서 서로 말도 안하고 살았지만[3] 죽을 무렵에는 화해도 하고 서신도 자주 교환했다. 공교롭게도 둘은 같은 날, 그것도 미국의 독립 기념일인 7월 4일에 죽었다.[4] 유언은 "토머스 제퍼슨은 아직 살아있...(Thomas — Jefferson — still surv — )"가 유명한데, 보다시피 말을 끝마치지 못하고 죽었으며, 토마스 제퍼슨은 이 말을 하기 몇 시간 전에 이미 세상을 뜬 후였다 한다.

변호사 시절에는 보스턴 학살 사건에서 시민들에게 총을 쏜 영국 병사들을 변호하기도 했다. 당시 영국 병사들을 미국 내에서 변호해주려는 인물도 찾기 어려웠던 상황이었고, 실제로 이 때 영국 병사가 유죄로 처벌을 받았으면 영국 본토의 보다 본격적인 개입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영국 병사를 정당방위로 무죄로 몰아가는 과정에서 주동자들을 숨기는 형태로 당시 과격파들을 보호하는 역할도 했다. 때문에 대체역사를 다룬 유명한 책 만약에에서 역사학자 토머스 플레밍은 만약 존 애덤스가 변론을 하지 않았다면 보스턴에는 영국 과격파들이 파견한 군대가 깔렸을 것이고 당연히 보스턴 티 파티는 벌어질 엄두도 못내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존 애덤스는 이에 대해서 "일찍이 조국에 바친 최고의 봉사 중 하나"로 이 행동을 꼽았을 정도.

그의 아들 존 퀸시 애덤스는 1825년에 제6대 대통령이 되어 미국 역사상 최초의 부자 대통령의 기록을 세웠는데 이때까지도 살아 있을 정도로 장수해서 아들이 대통령이 되는 것을 직접 볼 수 있었다. 이 때 존 애덤스는 90세였고 아들 존 퀸시는 58세였다.

1.2 여담

고집불통이자 신경질적인 성격으로 정적들에게 모욕적인 언사를 서슴없이 내뱉곤 했는데 조지 워싱턴에 대해서도 스스럼없이 풍자한 적이 있다.

"워싱턴 씨의 특별한 지위(대통령직을 의미)는 어디에서 비롯되느냐 하면 우선 키가 크지요.[5] 다른 유대인보다 머리 하나가 더 커서 선택된 유대 지도자와 마찬가지요.[6] 또한 버지니아 출생이오[7]. 버지니아산 거위는 모두 백조라고 부르는 것처럼. 그리고 침묵할 때를 아는 천재적 능력을 가지고 있소. 보다시피 난 워싱턴 씨의 재능을 이렇게 여러가지를 댔소. 읽기, 쓰기, 생각하기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고 말이오."

두뇌의 명석함은 논외로 치고 워싱턴이 특별한 지위를 얻는 것은 여러 이유가 있다는 풍자이지만 이쯤 되면 거의 용자 수준. 심지어는 자신의 의견과 맞지 않는 정책을 워싱턴이 수행하자 '그 망령난 늙은이!'라고까지 했던 적도 있다. 말은 이렇게 했지만 워싱턴을 존경했던 것은 분명했다고 한다.

또한 재무장관인 알렉산더 해밀턴을 임기 말년 즈음부터 매우 혐오하여 "스코틀랜드 행상인의 후레자식", "복숭아나무 뿌리의 벌레처럼 뿌리를 갉아먹기 위해 어둠과 땅 밑에서 12년간 애를 썼고 그동안 그의 정적들은 물론 영국 상인에 빚진 채무자나 프랑스 고용인들의 도끼가 항상 나무 밑동을 쳐댔어도 나무는 쓰러지지 않았다"라고 평가했다. 그리고 함께 대륙회의에 참석한 존 디킨슨[8]을 "돈만 많고 천재성은 희귀한 자"라고 놀리기도 했다. 꽤나 매서운 독설가.

이런 면모를 두고 당대의 지식인이자 정치가였던 벤저민 프랭클린은 "애덤스는 분명 정직하고 위대한 인물이었지만 그는 때때로 완전히 미쳐 버렸다."라고 말했다.

강경한 무신론자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출처 불명이지만 "가장 좋은 세상은 종교가 없는 세상"이라고 말했을 정도. 그러나 애덤스의 종교적 성향은 여전히 학자들 가운데에서 논란의 대상이다. 분명 애덤스는 그리스도교 교회가 미신과 타락에 빠졌다고 지적하기는 했다. 그러나 동시에 존 애덤스의 저작들을 모은 '존 애덤스 페이퍼'에만 봐도 미국의 근간이 된 청교도의 신앙을 긍정하고 있다. 데이빗 맥쿨로의 애덤스 전기에서도 애덤스를 '독실한 그리스도교 신자'라고 서술한다. 데이빗 홈즈는 애덤스가 그리스도교적 유니테리언이었다고 보았다. 이 경우 이신론자에 가까웠다고 볼 수 있으나, 그렉 프레이저는 애덤스가 기적의 존재와 성서의 계시적 가치를 일부 인정했기 때문에 이신론자라고 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어찌되었건 애덤스는 이신론자나 불가지론자일수는 있어도 무신론자라고 보기는 어렵다.

1.3 매체에서의 등장

john-adams-06.jpg
(드라마 <존 애덤스>의 한 장면. 워싱턴의 취임식 장면이다. 앞쪽 오른쪽에 검은 옷을 입은 키 큰 남자가 조지 워싱턴. 바로 왼쪽에 있는 키 작은 남자가 주인공 존 애덤스.)[9]

사실 워싱턴이나 제퍼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는 분위기였지만(어디까지나 '이 둘에 비해')2008년 방영된 7부작 드라마 〈존 애덤스〉에서 간지폭풍 독립운동가이자 사상가로 재조명되었다. 연기파 배우 폴 지어마티가 주인공 애덤스를 맡아 열연. 그는 이 배역으로 제66회 골든글로브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드라마 속에서는 괴팍하고 성깔 있지만 원칙과 소신을 내세우는 강직한 면모가 매우 잘 드러난다. 죽기 직전에 한 유명한 말은 이 드라마 속에서는 "토머스 제퍼슨이 (나보다) 오래 사는군(Thomas Jefferson survives)"이란 말로 나타낸다.

이 드라마 속에서는 기괴한 노인 스타일로 등장하는 프랭클린과 냉철하고 지적인 제퍼슨도 볼거리. 로라 리니의 애비게일 애덤스 연기도 훌륭하다[10]. 리니 역시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 왜곡 보도를 했었다.
  2. 당시 미국 선원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항해 실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영어를 썼기 때문에 영국 해군에게는 모자란 수병을 보충하기 위해서 습격하는 경우도 많았다.
  3. 애덤스는 잘나가던 변호사 시절의 언변으로 수려하게 제퍼슨을 폄하하고, 당연하게 제퍼슨은 그런 아담스를 싫어했다.
  4. 당시 미국 대통령은 존 퀸시 애덤스. 즉, 존 퀸시 애덤스 대통령은 임기 중 독립기념일에 부친상을 당한 것이다.
  5. 워싱턴의 키는 187cm였다.
  6. 유대인의 첫 왕 사울을 말한 것인데 사울은 남들보다 키가 컸다라는 기록이 성경에 있다.
  7. 버지니아는 독립초기 남부의 대표적인 주로 독립전쟁을 주도할 정도로 위세가 대단했으며, 크기도 지금보다 훨씬 컸다. 1대 워싱턴부터 5대 제임스 먼로까지 초기 5명의 대통령 가운데 매사추세츠 출신인 존 애덤스를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버지니아 출신일 정도. 그리고 이걸 막아낸 인물이 6대 존 퀸시 애덤스, 존 애덤스의 아들이었다.
  8. 대륙의회에 참가한 식민지 대표 중 끝까지 독립을 반대한 사람이지만, 막상 투표로 독립이 확정되자 헌법 초안 등 적극적으로 건국에 앞장섰던 사람
  9. 전임 워싱턴이 187, 후임 제퍼슨이 190이라 왜소해 보이지만 애덤스는 170cm으로 당시 미국인 남성의 평균신장인 168cm보다 컸다. 현대 미국으로 가정하면 180cm인 사람이 2m인 사람들 사이에 끼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10. 존 애덤스의 옆에서 조언하는 역할이다. 그가 지나치게 현학적인 표현을 쓰려고 할 때면 제동을 건다든지, 기운이 없을 때면 기운을 북돋아 주기도 한다. 좋은 정치적 동반자이며 여성 및 노예 인권에 대한 언급도 한다.

2 미국의 작곡가


John Coolidge Adams(1947. 02. 15 ~ )
미국의 미니멀리즘 작곡가.

2.1 생애

1947년 미국 매사추세츠 워체스터에서 태어난 존 애덤스는 부모가 모두 음악가여서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 클래식말고 이렇게 어렸을 때부터 대중음악에 가져온 관심은 이후 그의 작곡성향을 결정하기도 한다.

8살때 클라리넷을 배우면서 음악에 입문한 그는 취주악단의 수석 클라리네스트로 활동했고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서 지휘, 작곡을 맡기도 했다. 그때 그는 10대 초반...에이 뭐야 모차르트보단 많네 부모도 음악하고, 재능도 충분했던 그는 자연스럽게 음악가의 길을 걷기 시작, 하버드 대학교 음대에서 석사까지 마쳤다.

그러나 대학과 그는 맞지 않았다. 당시 대학에서는 쇤베르크의 무조주의가 대세가 되어있었고 재즈와 록에 관심이 많았던 그와는 어울리지 못했다. 억지로 학교과정을 따르고 있었지만 기숙사에 오면 지미 헨드릭스를 비롯한 록음악을 즐겨들으면서 그는 히피 문화에 빠져들어간다.

결국 무슨 클래식계의 클리셰인양 대학원 졸업 작품이 교내 콩쿠르에서 낙선한 후 그는 1971년 샌프란시스코로 이주, 그곳에서 음악활동을 시작한다. 음악활동과 알바를 병행하던 그는 처음에는 존 케이지의 영향을 받아 우연성 음악, 전자음악을 시도해 보았지만 데꿀멍. 전혀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이러던 그에게 전환점이 된건 스티브 라이히필립 글래스였다. 이들의 미니멀리즘 음악을 접한 애덤스는 바로 주화입마. 빠르게 이들의 음악을 흡수하고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미니멀리즘 음악에 감성을 덧입혀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78년 '셰이커 룹스'을 발표해 이름을 널리 알린 그는 같은 해 샌프란시스코 심포니의 상임 작곡가 및 음악 고문을 맡으면서 승승장구, 81년 '하모니움', 85년 '화성학'을 연달아 발표하면서 왕성한 작품활동을 벌인다. 곧이어 1995년에는 '바이올린 협주곡' 으로 음악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그로마이어 상을 수상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음악계에서만 이름이 알려졌던 그였지만, 1987년 첫 오페라 '닉슨 인 차이나'를 발표하면서 더욱 유명해지게 된다. 척 보면 알겠지만 이 오페라의 주인공은 당연히 이분... 초연 당일부터 엄청난 논란을 불러일으킨 이 작품은 현대 오페라 중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닉슨 인 차이나'이후에도 근현대사 사건들을 계속 오페라로 만들어온 그는 '원자폭탄 박사'에서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주인공으로, '클링호퍼의 죽음'에서 팔레스타인문제를 꺼내든 그는 정치적 논란에 휩싸였고 급기야는 미국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오르기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어쨌든 존 애덤스는 지금도 살아서 작곡중이다. 현재는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상임 작곡가 겸 크리에이티브 의장으로 활동중이며 최근까지 작품을 발표중이다.

2.2 창작 성향

존 애덤스는 반복, 확실한 조성을 바탕으로한 미니멀리즘을 바탕으로 작품활동을 해왔다. 하지만 그의 음악을 단지 미니멀리즘이라고 봐서는 안된다. 그는 다른 미니멀리즘 음악과의 차별화를 위해 감성, 낭만성을 더해 미니멀리즘을 한층 더 강화하였다.

또 다른 그의 특징은 대중음악과의 결합과 사회 참여다. 5-60년대 히피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대중문화를 어렸을때부터 받아들여온 그이다 보니 자연스레 의도하지 않아도 대중성과 흡입력이 음악에서 드러난다. 또한 생애 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오페라를 비롯한 다양한 작품에서 시사적 소재를 활용하여 사회와 동떨어지지 않은 느낌을 많이 준다.

2.3 주요 작품

2.3.1 오페라

  • 닉슨 인 차이나(Nixon in China)
  • 클링호퍼의 죽음(The Death of Klinghoffer)
  • 나는 천장을 보고 있었고, 그리고 하늘을 보았다(I was Looking at the Ceiling and the I Saw the Sky)
  • 엘 니뇨(El Niño)
  • 원자폭탄 박사(Doctor Atomic)
  • 꽃피는 나무(A Flowering Tree)

2.3.2 관현악곡

  • 하모늄(Harmonium)
  • 화성학(Harmonielehre)
  • 주석의 춤(The Chairman Dances)
  • 두 개의 팡파르(Two Fanfares)
  • 공포스러운 대칭들(Fearful Symmetries)
  • 시티 누아르(City Noir)
  • Short Ride in a Fast Machine
  • Slonimsky's Earbox

2.3.3 교향곡

  • 교향곡 '원자폭탄 박사'(Doctor Atomic Symphony)[1]
  • 실내 교향곡

2.3.4 협주곡

  • 바이올린 협주곡

2.3.5 실내악곡

  • 셰이커 룹스(Shaker Loops)
  • 로드 무비(Road Movies)
  • 그랜드 피아놀라 뮤직(Grand Pianola Music)

2.4 기타

문명 4의 현대시대 BGM은 모두 이 사람의 작품이다. 문명 개발진 중에 이 사람 팬이 있는듯.. 오페라 '닉슨 인 차이나'중 합창 The People Are The Heroes Now

  1. 동명의 오페라를 교향곡으로 재구성